KR20050079879A - 이미지 창문 - Google Patents

이미지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879A
KR20050079879A KR1020040033903A KR20040033903A KR20050079879A KR 20050079879 A KR20050079879 A KR 20050079879A KR 1020040033903 A KR1020040033903 A KR 1020040033903A KR 20040033903 A KR20040033903 A KR 20040033903A KR 20050079879 A KR20050079879 A KR 20050079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image
window
outside
lock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식
Original Assignee
이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식 filed Critical 이용식
Publication of KR20050079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87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및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패널을 내부에 착탈하는 이미지 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이미지 창문의 외형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고 측면 및 배면이 폐쇄된 구조를 갖는 창틀과, 창틀의 개방된 전면에 대향하는 창틀 내부의 후면에 장착되는 반사판과, 창틀 내부의 테두리부를 따라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과, 걸림턱의 하단을 따라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빛을 발산하며, 발산되는 빛의 밝기가 조절 가능한 조명부와, 창틀의 개방된 전면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되고, 걸림턱에 배면의 테두리부가 부착되어 설치되는 반투명판과, 창틀의 내부 일측면 중 걸림턱의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외부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 발생부와, 창틀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팬 및 창틀 내부의 일측면 중 팬의 수직 연장선 상에 구비되어 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외부로 토출하는 에어 토출부를 구비하는 에어 발생부, 그리고 창틀의 전면에 장착되어, 창틀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 도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미지 창문{IMAGE WINDOW}
본 발명은 이미지 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창틀의 내부에 배경사진이나 화면을 장착하고 향기 발생 장치, 음향장치 및 전기를 이용한 빛 발생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건물 구조상 창문이 없거나 외부로부터의 투시를 차단하여야 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외부로부터의 투시를 차단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배경사진이나 화면 상의 공간에 있는 듯한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미지 창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밖을 보기 위한 것이지만 지하에 있는 상점의 창문이나 사방이 벽으로 막혀 있는 곳은 창문이 있어도 밖을 볼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창문이 그려있는 도배지 형태, 벽 부착용 어항, 그리고 향기를 발산하는 그림액자 등으로 장식을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종래의 그림을 이용한 액자 형태나 창문 모양을 그려넣은 벽지의 경우 이미지의 교체가 곤란하여 시각적인 면에서 사용자에게 식상함을 줄 뿐만 아니라 후각적인 면 등에서 한계가 있어 사용자에게 답답함을 안겨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의 교체가 용이하고 사용자에게 실제의 창문과 흡사한 느낌을 줌으로써 외부의 투시를 차단함과 동시에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미지 창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창문은, 이미지 및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패널을 내부에 착탈하는 이미지 창문으로서, 이미지 창문의 외형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고 측면 및 배면이 폐쇄된 구조를 갖는 창틀과, 창틀의 개방된 전면에 대향하는 창틀 내부의 후면에 장착되는 반사판과, 창틀 내부의 테두리부를 따라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과, 걸림턱의 하단을 따라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빛을 발산하며, 발산되는 빛의 밝기가 조절 가능한 조명부와, 창틀의 개방된 전면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되고, 걸림턱에 배면의 테두리부가 부착되어 설치되는 반투명판과, 창틀의 내부 일측면 중 걸림턱의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외부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 발생부와, 창틀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팬 및 창틀 내부의 일측면 중 팬의 수직 연장선 상에 구비되어 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외부로 토출하는 에어 토출부를 구비하는 에어 발생부, 그리고 창틀의 전면에 장착되어, 창틀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 도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미지 창문이, 반투명판의 전면에 설치되고, 이미지 및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패널을 더 포함하도록 하고, 이때, 걸림턱의 전면이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걸림턱의 전면과 대향하는 이미지 패널의 배면 테두리부를 따라 자석으로 이루어진 고정부를 구비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에 이미지 패널을 부착하는 모습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에 향기 발생부 및 에어 발생부가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창문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창문(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창문(100)은 창문의 외형을 형성하는 창틀(1)과 창틀의 정면에 설치되어 창틀의 내부를 개폐하는 전면 도어(14)를 구비하고, 창틀의 내부로 사용자에게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 패널(6),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 발생부(9) 및 외부의 바람과 같이 공기를 토출하는 에어 발생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1)은 창문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부로서, 전면이 개방되고 배면 및 측면이 폐쇄된 구조를 갖는다. 창틀의 재질로는 목재, 플라스틱,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철 또는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창틀(1)의 개방된 전면에 대향하는 창틀 내부의 후면으로는 조명부(4)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2)이 설치되며, 창틀 내부의 테두리부를 따라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3)이 형성된다. 걸림턱(3)은 반투명막(5) 및 이미지 패널(6)이 부착되는 구성부로서, 창틀의 내부를 향해 횡방향으로 소정 크기만큼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창틀(1)의 내부 테두리부를 따라 구비되는 걸림턱(3)의 내측으로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4)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조명부(4)는 걸림턱의 하단부를 따라 장착하도록 한다. 이때, 조명부(4)는 다수의 LED 램프가 라인 형상으로 배열된 라인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부로부터 발산된 빛은 반사판(2)에 의해 반사되어 전방을 향헤 고르게 조사되게 된다. 한편, 조명부(4)는 빛의 밝기를 임의로 조절하거나 타이머를 이용해 시간대에 따라 빛의 밝기가 자동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창문(100)은 이미지 패널(6)의 배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조명부(4)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이미지 패널에 간접 조사함으로써 이미지 패널의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투명막(5)을 구비한다. 반투명막(5)은 창틀(1)의 개방된 내부 단면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하도록 하며, 걸림턱(3)의 전면에 테두리부가 지지되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반투명막(5)의 저면 테두리부를 걸림턱(3)의 전면에 접착 고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패널(6)은 광고 또는 그림과 같은 이미지의 사진 또는 필름 등이 장착된 패널로서, 반투명막의 전면에 부착 구비되어 조명부(4) 및 반사판(2)에 의해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을 통해 이미지의 시각적 효과가 향상되게 된다. 한편, 이미지 패널(6)로 단순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아닌 동영상을 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미지 패널(6)을 창틀(1)에 고정 장착하기 위하여, 이미지 패널의 배면 테두리부를 따라 고정부(7)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걸림턱(3)의 전면을 금속 재질로 형성하고 고정부(7)를 자석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미지 패널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로 플라스틱 자석을 사용하도록 한다. 이때, 반투명막(5)은 걸림턱(3)과 고정부(7) 사이에 자력이 작용할 정도의 두께로 형성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미지 패널(6)은 배면 테두리부가 고정부(7)에 의해 밀착하고, 나머지 배면부는 반투명막(5)에 지지되므로 안정적인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창문(100)은 창틀(10)의 내부에 음악이나 새소리 등과 같은 자연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창틀의 내부에 음향을 발생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창틀의 측면으로 노출 형성되어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도록 한다.
창틀(1)의 내부 일측면, 구체적으로 이미지 패널(6)이 설치되는 위치의 전방으로는 외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8)를 하나 이상 구비하고, 콘센트에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 발생부(9)를 장착하도록 한다. 향기 발생부(9)는 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소량의 열로 내부에 장착된 향기패드의 향기를 발산하는 구성부이다. 향기 발생부(9)로 전원 공급없이 압축공기를 이용한 향분사기 또는 방향제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창틀(1)의 내부 일측면으로는 음이온 또는 물을 이용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 발생부(미도시)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미지 패널(6)을 통한 시각적 효과 이외에 향기 발생부 (9)로 인한 후각적 효과와 산소 발생부로 인한 상쾌함을 동시에 느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1)의 내부 일측면으로는 실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에어 발생부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틀의 테두리부의 내부로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0)와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되는 팬(11)이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0)에 의한 구동력이 구동축을 통해 팬(11)으로 전달되어 팬이 회전하면서 바람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창틀의 내부 측면 중 팬의 수직 연장선 상으로는 팬으로부터 발생되는 바람이 토출되는 에어 토출구(12)를 구비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제 창문을 통해 외부의 바람이 유입되는 것과 같은 느낌과 함께 시원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산소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산소가 에어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바람과 섞이면서 자연풍과 같은 효과를 주어 사용자에게 상쾌함을 제공하게 된다.
창틀(1)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측면으로는 이미지 창문(100)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키패드(13)를 구비한다. 컨트롤 키패드(13)는 구동모터 (10)를 온/오프시키고 구동력의 강도를 조절하여 에어 토출구(12)로 토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며, 조명부(4)를 온/오프하거나 빛의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콘센트(8)의 전원공급을 온/오프시켜 향기 발생부(9)의 동작여부를 제어하고, 음향 발생부와 산소 발생부를 온/오프할 수 있다.
또한,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틀(1)의 정면으로는 실제 창문과 같이 여닫을 수 있는 전면 도어(14)를 구비하도록 한다. 전면도어(14)는 창틀과 경첩으로 연결되는 여닫이 문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미닫이 문, 접이식 문 또는 커텐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적용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창문(100)은 창문이 설치될 수 없는 지하실 등이나 외부로부터의 투시를 차단하여야 하는 마사지실 등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일반 실내 장소에 인테리어 효과를 위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창문(100)은 설치형태에 따라 매입형 또는 벽걸이형 등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외부로부터 투시를 차단하는 장소와 같이 기존의 창틀이 형성된 장소의 경우 창틀에 창문 대신 이미지 창문(100)을 매입하여 설치하는 매입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액자와 같이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미지 창문(100)의 배면으로 벽에 장착하기 위한 홈 등을 형성하여 벽걸이형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창문은 건물 구조상 창문이 없거나 외부로부터의 투시를 차단하여야 하는 장소에 대하여 외부로부터의 투시를 차단하면서 실제 창문을 설치한 것과 유사한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창문은,
첫째로, 지하실이나 외부와의 차단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하여 실제 창문을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주어 사용자의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창문이 설치된 장소에도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 가능하고,
둘째로,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패널을 설치하고 조명부의 빛의 강도를 자유로이 조절함으로써 실제의 창문을 통해 외부의 전경을 보는 것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셋째로, 자석을 이용하여 이미지 패널을 장착하므로 이미지 패널의 탈부착 및 교체가 용이하고,
넷째로, 걸림턱에 고정되는 반투명막을 이용해 이미지 패널의 배면을 지지하여 이미지 패널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조명부 및 반사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이미지 패널에 간접조사하여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다섯째로, 향기 발생부, 산소 발생부 및 음향 발생부를 통해 후각적 효과 및 청각적 효과와 함께 상쾌함을 제공할 수 있고,
여섯째로, 에어 토출구로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므로 실제 창문을 통해 외부의 바람이 유입되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산소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산소가 바람과 섞이면서 자연풍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이미지 창문을 기존 창틀에 설치하는 매입형 또는 액자와 같은 벽걸이형으로 설치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에 이미지 패널을 부착하는 모습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에 향기 발생부 및 에어 발생부가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창문의 전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창틀 2 : 반사판
3 : 걸림턱 4 : 조명부
5 : 반투명막 6 : 이미지 패널
7 : 고정부 8 : 콘센트
9 : 향기 발생부 10 : 구동모터
11 : 팬 12 : 에어 토출구
13 : 컨트롤 키패드 14 : 전면 도어
100 : 이미지 창문

Claims (3)

  1. 이미지 및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패널을 내부에 착탈하는 이미지 창문으로서,
    상기 이미지 창문의 외형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고 측면 및 배면이 폐쇄된 구조를 갖는 창틀;
    상기 창틀의 개방된 전면에 대향하는 상기 창틀 내부의 후면에 장착되는 반사판;
    상기 창틀 내부의 테두리부를 따라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
    상기 걸림턱의 하단을 따라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빛을 발산하며, 발산되는 빛의 밝기가 조절 가능한 조명부;
    상기 창틀의 개방된 전면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배면의 테두리부가 부착되어 설치되는 반투명판;
    상기 창틀의 내부 일측면 중 상기 걸림턱의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외부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 발생부;
    상기 창틀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팬 및 상기 창틀 내부의 일측면 중 상기 팬의 수직 연장선 상에 구비되어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외부로 토출하는 에어 토출부를 구비하는 에어 발생부; 및
    상기 창틀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창틀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 도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창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창문이,
    상기 반투명판의 전면에 설치되고, 이미지 및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이미지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창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전면이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전면과 대향하는 상기 이미지 패널의 배면 테두리부를 따라 자석으로 이루어진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창문.
KR1020040033903A 2004-02-07 2004-05-13 이미지 창문 KR200500798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192 2004-02-07
KR20040008192 2004-02-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640U Division KR200360364Y1 (ko) 2004-02-07 2004-05-17 이미지 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879A true KR20050079879A (ko) 2005-08-11

Family

ID=372667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903A KR20050079879A (ko) 2004-02-07 2004-05-13 이미지 창문
KR20-2004-0013640U KR200360364Y1 (ko) 2004-02-07 2004-05-17 이미지 창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640U KR200360364Y1 (ko) 2004-02-07 2004-05-17 이미지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5007987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363B1 (ko) * 2010-05-03 2012-05-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윈도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27233B1 (ko) * 2012-07-09 2013-01-28 박병무 다기능성 섀시
KR102018108B1 (ko) 2019-05-24 2019-10-21 노창진 창호 조립체 시공방법
KR102033966B1 (ko) 2019-06-20 2019-11-08 김일중 창호 조립체 제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04268B1 (ko) * 2022-11-11 2023-11-21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친환경소재를 이용한 건축물 벽체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835B1 (ko) * 2014-05-15 2014-11-21 (주)강남디자인모형 영상장치를 갖는 모형 건축물
KR200491164Y1 (ko) * 2019-08-28 2020-02-26 송찬호 창문형 화분이 장식된 실내 벽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363B1 (ko) * 2010-05-03 2012-05-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윈도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27233B1 (ko) * 2012-07-09 2013-01-28 박병무 다기능성 섀시
KR102018108B1 (ko) 2019-05-24 2019-10-21 노창진 창호 조립체 시공방법
KR102033966B1 (ko) 2019-06-20 2019-11-08 김일중 창호 조립체 제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04268B1 (ko) * 2022-11-11 2023-11-21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친환경소재를 이용한 건축물 벽체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364Y1 (ko) 2004-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503226A (ja) 自然光見せかけ窓ユニット
KR100996687B1 (ko) 배면에 배열된 편평한 스크린을 구비한 표면 벽 부재
KR200360364Y1 (ko) 이미지 창문
KR200383234Y1 (ko) 배경화면이 움직이게 보이는 그림장치가 있는 이미지창문
US20040231218A1 (en) Display frame allowing changing objects shown therein
KR20170003451U (ko) 디퓨저 어셈블리
KR200421513Y1 (ko) 움직이는 장치가 있는 이미지창문
US6502339B1 (en) Shadow display device
KR200294777Y1 (ko) 조명액자가 부착된 벽걸이 에어콘
KR20070002536A (ko) 공기청정기
US9677756B1 (en) Curio door
KR200380350Y1 (ko) 전자 액자 장치
CN105546416A (zh) 照明灯具及具有其的空调器
CN205351021U (zh) 照明灯具及具有其的空调器
CN212160317U (zh) 一种可调焦的投影灯具
KR200351245Y1 (ko) 벽걸이형 이미지 창문
JP3105262U (ja) ミラー装置
JP2001305648A (ja) 波紋等の液体現象投影装置
CN210516084U (zh) 一种易拆卸式唱片logo灯箱
CN213900868U (zh) 一种斜照式天空灯
CN217713860U (zh) 一种淋浴龙头
JP2006073244A (ja) 特殊照明効果を有する照明装置
KR200314338Y1 (ko) 스피커 장치
KR200253432Y1 (ko) 장식용 액자
KR200362438Y1 (ko) 매입형 이미지 창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