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245Y1 - 벽걸이형 이미지 창문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이미지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245Y1
KR200351245Y1 KR20-2004-0003167U KR20040003167U KR200351245Y1 KR 200351245 Y1 KR200351245 Y1 KR 200351245Y1 KR 20040003167 U KR20040003167 U KR 20040003167U KR 200351245 Y1 KR200351245 Y1 KR 2003512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interior
sound
wall
wind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식
Original Assignee
이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식 filed Critical 이용식
Priority to KR20-2004-0003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2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2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F21V33/0032Paintings, pictures or photographs; Fram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에 설치할 수 있는 벽걸이형 인테리어 창문의 관한 것으로서, 건물 구조상 창문이 없거나 창문이 있어도 불필요해 보이는 곳에 실내인테리어 창문을 설치하여 조금 더 넓어진 실내와 쾌적한 분위기를 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인테리어 제품이다.
창틀 안 내부는 비어있으며 빈공간으로 향기제품을 연결 할 수 있는 장치와 소리 낼수있는 음향장치 장치, 그리고 전기를 이용해 빛을 낼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한다. 그리고 열고 닫는 창문 안쪽으로 업종이나 환경에 따른 배경사진을 넣는다.
빛을 이용한 배경사진 장치와 아로마 분사장치를 포함한 향기 나는 장치와 소리나는 음향효과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창문과 설치장소의 적합한 배경화면 또는 영상, 음향, 향기 장치로 가상적이지만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실내 전체의 환경이 다른 곳으로 온겨진 듯한 느낌을 준다. (배경화면이 숲 속인 경우 자연과 함께 있는 듯 하다.)
창틀과 창문은 기존 창문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열고 닫는 창문 안쪽으로 배경사진이나 화면이 존재하고 창틀 속으로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벽걸이형 이미지 창문 {IMAGE WINDOW ; a wall tapestry}
본 고안은 실내 벽걸이형 인테리어 창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배경사진이나 화면이 있는 창문으로 향기 발생장치와 음향장치, 전기를 이용한 빛 발생장치를 창틀 내부에 설치해 건물 구조상 창문이 없거나 창문이 있어도 불필요해 보이는 곳에 설치했을 때에는 눈으로 보여지는 인테리어 실내가 배경사진으로 보이는 공간 안에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밖을 보기 위한 것이지만 지하에 있는 상점의 창문이나 사방이 벽으로 막혀 있는 곳은 창문이 있어도 밖을보지 못하거나 볼 수 있는 용도가 한정되어 있었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은 창문이 그려있는 도배지 형태와 벽 부착용 어항, 그리고 향기를 뿜을 수 있는 그림액자 형태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림을 이용한 액자 형태나 창문 모양을 그려넣은 벽지 형태는 시각적인 면과 후각적인 면에서 그림으로서의 느낌을 벗어날 수 없었다.
하지만 인테리어 창문을 벽에 설치할 경우 실제 창문처럼 보여지며 배경사진 또는 화면을 통해 창 밖으로 보여지는 것이 실제처럼 느껴진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 창문 형태가 아닌 인테리어 형태의 창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창문은 창틀 내부가 비어있으며 그 창틀의 빈곳으로 상기 제 1연결장치 전기를 이용한 빛을 내는 장치와 제 2연결장치 향기제품 연결 전기장치와 분사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 3연결장치 소리를 낼 수 있는 음향장치와 상기 제 4연결장치 배경사진을 연결 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좁은 공간의 답답함을 인테리어 창문을 통해서 시각적으로 볼 때 그곳이 배경사진이나 화면을 통해서 보여지는 장소로 편안함을 느껴지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향기를 통해 배경사진이나 화면으로 연결되어지며 후각적인 심리적 안정을 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음향효과의 소리를 통해 배경사진이나 향기와 함께 병행되었을 때 도시적인 삭막함보다는 정서적인면을 부각시켜 스트레스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음이온를 발생시켜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쾌적한 분위기로 만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던 그림액자 형태와 도배 벽지 형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례의 벽걸이형 인테리어 창문 구성도이며, 도 2a는 우축면 상태도이고, 도 2b는 우측면 분해도 그리고 도 2c는 완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테리어 창문의 변형례의 구성도로서, 도 3a는 우축면 상태도이고, 도 3b는 우측면 분해도 그리고 도 3c는 완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례의 이미지 창문 구성도이다.
***도면의 부호설명***
1; 인테리어 창틀(벽걸이형) 2; 인테리어 창문(벽걸이형)
3; 조명 부 (빛 조절 장치) 4; 향기 부(향기전원 장치)
5; 음향 부 (소리 조절 장치) 6; 화면 부(배경사진 연결 장치)
7; 원터치 스위치(각각의 장치조절) 8; 스테레오 스피커
9; 음이온 발생 장치 10; 인테리어 창틀(뒷면=벽면고정대)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좀더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 창문의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는 측면도이고, 도 2(b)는 측면 분리도이다.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인테리어 창문은 일정한 길이를 갖고 내부가 비어 있는 창틀안에 전기를 이용한 빛을 내는 장치를 가진 조명 부(3), 향기를 낼 수 있는 장치를가진 향기 부(4), 소리를 낼 수 있는 장치를 가진 음향 부(5)와 배경사진을 연결할 수 있는 장치를 가진 화면 부(6)로 구성된다.
조명 부(3)는 전기 연결장치를 포함한 빛 발생장치를 구비하고 향기 부(4)는 향을 뿜을 수 있는 장치와 향을 태울 수 있는 전기 장치로 되어 있으며,. 음향 부(5)는 소리를 낼 수 있는 스피커와 음향프로그램, 그리고 화면 부(6)는 사진이나 필름화된 화면을 고정하는 연결 고정부로 되어 있다. 각부마다 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장치가 하나의 전원을 가진다.
조명부(3)에서는 빛의 밝기를 임의로 조절 할 수 있으며 시간 타이머를 연결할 때는 자동으로 시간에 따라 밝기가 조절된다. 조명의 위치는 사진영사의 앞쪽이나 뒤 , 그리고 위 와 아래에 설치 할 수 있다.
향기부(4)에서는 기존에 나와 있는 표준 사이즈의 압축공기를 이용한 향 분사 방법이나 . 전기를 이용해 향 제품을 태울 수 있는 장치를 연결 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부(5)는 고음과 저음을 이용한 스테레오형의 스피커와 미리 녹음된 소리를 프로그램화하여 저장된 전자음향장치를 통해 창문을 열거나 임의 스위치 동작시 소리를 낼 수 있다.
화면부(6)에서는 업종이나 인테리어의 맞는 사진이나 필름, 영상으로 창문 밖으로 보이는 배경이 실제처럼 느껴지도록 화면을 구성한다. 사진일 경우 사진뒤쪽으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판을 부착 시켜 빛이 사진의 밝기를 조절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창문틀은 목재나, 알루미늄,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철, FRP등으로만들어질 수 있으며 창문틀 앞쪽으로 커텐등 장식이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인테리어 창문은 건물 구조상 창문이 없거나 창문이 있어도 불필요해 보이는 곳에 설치했을 때에는 눈으로 보여지는 인테리어 실내가 배경사진으로 보이는 공간 안에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여기에 배경사진에 맞는 음향과 향기와 빛의 조절로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현대인으로 도시적인 생활을 하는 사람에게는 가상적인 자연을 접하므로 마음의 편안함과 정서적으로 심신을 안정 시켜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는제품이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상기 전기를 이용해 빛을 낼 수 있는 장치와 향기내는 제품을 연결하는 장치, 그리고 소리나는 음향장치와 열고 닫는 창문 안쪽으로 배경사진이 존재하는 벽걸이형 창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을 열면, 향기가 나는 장치와 음향장치가 전기를 자동으로 연결해 동작을 실행하는 벽걸이형 인테리어 창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를 이용해 소리를 내는 음향장치가 여러 스피커를 통해 각각 다중 음향으로 나오는 스테레오 시스템이 있는 벽걸이형 인테리어 창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화면부에 있어서 원터치식 부착과 화면의 조명 밝기를 볼륨조절하거나 자동 타이머를 설치해 시간에 따라 조명의 밝기가 조절되는 벽걸이형 인테리어 창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에 있어 자동 리모콘으로 동작되거나 수동으로 열수 있는 커탠을 가진 벽걸이형 인테리어 창문.
KR20-2004-0003167U 2004-02-09 2004-02-09 벽걸이형 이미지 창문 KR2003512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167U KR200351245Y1 (ko) 2004-02-09 2004-02-09 벽걸이형 이미지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167U KR200351245Y1 (ko) 2004-02-09 2004-02-09 벽걸이형 이미지 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245Y1 true KR200351245Y1 (ko) 2004-05-31

Family

ID=4943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167U KR200351245Y1 (ko) 2004-02-09 2004-02-09 벽걸이형 이미지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2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885B1 (ko) * 2006-11-08 2007-09-04 주식회사 포스코 천정형 기중기의 에어컨 응축수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885B1 (ko) * 2006-11-08 2007-09-04 주식회사 포스코 천정형 기중기의 에어컨 응축수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7563A (en) Picture illumination display device
JP6316349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
EP2349355A1 (en) Modular fragrance apparatus
JP5966887B2 (ja) 祭壇装置
KR200351245Y1 (ko) 벽걸이형 이미지 창문
JP2008297803A (ja) 擬似窓及び擬似窓を有する壁
KR200362438Y1 (ko) 매입형 이미지 창문
US20060150465A1 (en) Display panel with three-dimensional effect
JP2018146965A (ja) 立体映像表示装置
CN218355907U (zh) 一种多功能镜柜
KR200360364Y1 (ko) 이미지 창문
KR200383234Y1 (ko) 배경화면이 움직이게 보이는 그림장치가 있는 이미지창문
JPH04315653A (ja) 環境模擬窓
KR20180062617A (ko) 비상구 유도등이 결합 된 벌레 퇴치기
CN211087879U (zh) 一种窗户虚拟造景装置
JP2002089912A (ja) 人工窓
CN210627133U (zh) 一种vr影剧院
CN210751251U (zh) 一种恐怖体验用卫生间
JP2015064541A (ja) 自然環境の感覚的効用を活用した安らぎ空間の演出機能及び情報提供機能とを兼備えた画像表示装置
KR102613548B1 (ko) 창문 대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CN217847374U (zh) 一种多媒体透景画壁展示系统
FI12281U1 (fi) Paloturvallisuuskaluste
KR200191323Y1 (ko) 스피커
KR200476204Y1 (ko) 빛이 조사되고 내장된 전시물에 알맞은 음향을 발현하는 액자
JP3185693U (ja) 建築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