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233B1 - 다기능성 섀시 - Google Patents

다기능성 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233B1
KR101227233B1 KR1020120074643A KR20120074643A KR101227233B1 KR 101227233 B1 KR101227233 B1 KR 101227233B1 KR 1020120074643 A KR1020120074643 A KR 1020120074643A KR 20120074643 A KR20120074643 A KR 20120074643A KR 101227233 B1 KR101227233 B1 KR 101227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receiving groove
cover
wall portion
multi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무
Original Assignee
박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무 filed Critical 박병무
Priority to KR1020120074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되는 섀시틀이 인체에 유익하고 실내외에서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능을 갖춘 다기능성 섀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섀시틀의 내측 양단에 수직하게 구비된 제1 벽부 및 제2 벽부와, 바닥부를 통해서 형성된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바닥부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전원을 공급받아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모듈; 상기 수용홈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수용홈을 덮는 커버; 및 상기 수용홈의 바닥부에 설치되어서 전원을 공급받아 다색의 빛을 표출하는 LED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음이온과 같은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설치함으로써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신체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다양한 색깔 및 조도의 빛을 연출함으로써 실내에서 높은 심미감을 가질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성 섀시{Window sash having multi-functionability}
본 발명은 다기능성 섀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섀시의 틀에 인체에 유익한 물질과 실내의 심미성을 갖는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섀시의 기능성을 향상시킨 다기능성 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이란 건축물의 벽면 또는 지붕에 설치하는 개구부로써, 그의 목적, 형상, 구조, 위치에 또는 설계자에 따라 그 분류가 매우 다양하여 기능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건축설계상 중요한 구실을 하고 있다.
또한, 아파트나 다가구주택 등의 전방과 후방에는 생활공간이 보다 넓어지도록 각각 발코니와 베란다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발코니와 베란다는 환기와 자연조명 등을 목적으로 개방되지만, 방범이나, 소음차단, 바람 등의 외부 압력의 차단, 낙하 방지 등을 목적으로 유리가 구비된 섀시를 설치하여 외부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밀폐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섀시를 보면,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섀시틀(10)에 유리(3)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이중창을 위한 섀시틀(10)이 이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섀시는 단지 방범, 소음차단, 실외의 바람에 대한 실내의 유입방지 또는 물건의 낙하방지 등의 역할을 할 뿐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인체에 유익하거나 창문을 바라볼 때 그로부터 느끼는 어떠한 풍족한 심미감을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는게 현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현재의 섀시가 안고 있는 부족한 점들을 고려하여, 음이온과 같은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설치함으로써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신체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다양한 색깔 및 조도의 빛을 연출하는 LED를 설치함으로써 높은 심미감을 가질 수 있게 하는 다기능성 섀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 설치되는 섀시틀이 인체에 유익하고 실내외에서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능을 갖춘 다기능성 섀시는, 상기 섀시틀의 내측 양단에 수직하게 구비된 제1 벽부 및 제2 벽부와, 바닥부를 통해서 형성된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바닥부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전원을 공급받아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모듈; 및 상기 수용홈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수용홈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벽부 및 상기 제2 벽부의 상부면을 덮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 벽부 및 상기 제2 벽부의 내면에 각각 접촉되어 수용홈에 끼워지는 두 개의 수직플레이트로 구성되며,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 설치되는 상기 커버의 결합은, 상기 수용홈의 상기 제1 벽부 또는 제2 벽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다수 개의 고정돌기에 의해 형성된 고정홈에 상기 커버의 수직플레이트의 단부에 구비된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이온 모듈의 상부 또는 측부에 장착되고 다수 개의 확산공을 구비하여서 음이온의 확산을 돕는 서스 플레이트(SUS Plate,)가 추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홈의 바닥부에 설치되어서 전원을 공급받아 다색의 빛을 표출하는 LED가 추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이온 모듈, 서스 플레이트 및 LED는 고정판에 일체로 결합되어서 수용홈의 바닥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섀시틀 또는 컨트롤러에 구비되어 실내의 CO2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음이온 모듈을 제어하게 하는 CO2센서가 추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장착되어서 음이온의 확산을 조력하는 탐침봉이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섀시에 음이온과 같은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설치함으로써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신체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다양한 색깔 및 조도의 빛을 연출하는 LED를 설치함으로써 실내 거주자나 옥외에 있는 사람들에게 높은 심미감을 가질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다기능성 섀시는 아파트나 다가구 세대 주택 가정용이나 사무실 칸막이, 다양한 업소 또는 흡연 부스 등의 다양한 장소에 적용되어 실내의 분위기가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섀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섀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섀시를 보인 부분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섀시의 저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섀시의 커버에 유도구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섀시에 장착된 음이온 모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섀시에 탐침봉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부분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섀시에 있어서, 수용홈의 고정홈에 커버의 삽입돌기가 삽설되어 결합되는 형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성 섀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섀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섀시를 보인 부분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섀시의 저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섀시의 커버에 유도구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섀시에 장착된 음이온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섀시에 탐침봉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부분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섀시에 있어서, 수용홈의 고정홈에 커버의 삽입돌기가 삽설되어 결합되는 형태를 보인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창문(1)에 설치되는 섀시틀(10)이 인체에 유익하고 실내외에서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능을 갖춘 다기능성 섀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틀(10)에 구비된 수용홈(100)과, 수용홈(100)에 장착되는 음이온 모듈(200)과, 음이온 모듈(200) 또는 LED(500)가 내장된 수용홈(100)을 덮는 커버(300)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홈(100)은 섀시틀(10)의 내측 양단에 수직하게 구비된 제1 벽부(102) 및 제2 벽부(104)와, 바닥부(106)를 통해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00)의 제1 벽부(102) 또는 제2 벽부(104)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다수 개의 고정돌기(110)에 의해 형성된 고정홈(120)이 형성되게 하여(도 3 및 도 4 참조), 커버(300)의 수직플레이트(340)의 단부에 구비된 삽입돌기(310)가 삽입됨으로써 수용홈(100)에 커버(300)가 결합되게 하였다.
아울러, 상기 섀시틀(10)의 제2 벽부(104)에는 배선홀(130)이 구비되게 하였으며, 그를 통해 전선(2)이 통과하여 수용홈(100)으로 안내됨으로써 음이온 모듈(200)이나 LED(5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음이온 모듈(200)은 수용홈(100)의 바닥부(106)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설치되되 전원을 공급받아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을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의 음이온에 대한 효능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음이온 물질은 공지된 바와 같이, 혈액의 정화작용, 인체의 저항력 증가작용, 자율신경계 조절작용, 실내 공기의 정화작용, 또는 먼지 제거 및 살균작용 등에 아주 유익한 물질이며, 이를 고려하여 본 출원건의 발명자는 본건의 발명에 이르게 된 것이다.
상기 음이온 모듈(200)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 8을 통해서 간략하게 살펴보면, 음이온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이온 모듈(200)의 회로기판(220)에 연결된 음이온 발생칩(210)과, 상기 음이온 발생칩(210)이 내장된 케이스(230)와, 상기 케이스(230)의 내부에 코팅된 도전성 코팅층(250)과, 상기 도전성 코팅층(250)과 통전 가능하도록 케이스(230)에 내장 설치됨과 동시에 회로기판(220)에 접속된 전선(2)이 연결되는 전선 연결부재(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선(2)을 통해서 회로기판(220)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그 회로기판(220)은 음이온 발생의 작동 모드로 변환되어 음이온 발생칩(210)을 통해서 음이온이 발생하여 공급되게 하며, 이는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음이온 모듈(200)을 통해서 발생된 음이온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0)에 구비된 다수 개의 유도구(330)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음이온 모듈(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미도시)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섀시틀(10)에 결합되는 브라켓(240)을 통해서 수용홈(100)의 바닥부(106)에 단단하게 설치된다.
한편, 섀시틀(10)의 수용홈(100)에 장착된 음이온 모듈(200)의 상부 또는 측부(도 3 참조)에는 다수 개의 확산공(410)이 형성된 서스 플레이트(SUS Plate, 400)가 장착되게 하여서 음이온 모듈(200)을 통해 발생된 음이온의 확산을 돕는다.
따라서, 상기 음이온 모듈(200)을 통해 발생된 음이온이 서스 플레이트(400)를 통해서 짧은 시간에 실내로 확산됨으로써 거주자가 빠른 시간에 음이온의 효능을 얻을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커버(3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수용홈(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음이온 모듈(200) 및 LED(500) 등 수용홈(100)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실내의 깔끔함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수용홈(100)을 덮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는 수용홈(100)을 형성하는 제1 벽부(102) 및 제2 벽부(104)의 상부면을 덮는 수평플레이트(320)와, 상기 수평플레이트(320)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제1 벽부(102) 및 제2 벽부(104)의 내면에 각각 접촉되어 수용홈(100)에 끼워지는 두 개의 수직플레이트(3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100)에 설치되는 상기 커버(300)의 결합은, 상술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00)의 제1 벽부(102) 또는 제2 벽부(104)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다수 개의 고정돌기(110)에 의해 형성된 고정홈(120)에 커버(300)의 수직플레이트(340)의 단부에 구비된 삽입돌기(310)가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상기 커버(300)에 구비된 수직플레이트(340)들이 탄성작용력을 가져, 커버(300)를 결합시킬 때에 수직플레이트(340)들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는 작업자에 의해 안쪽으로 휘어져 있다가 고정홈(120)에 삽입된 후에는 다시 원위치로 복원하여 간격이 넓혀짐으로써, 커버(300)가 수용홈(100)에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커버(300)의 재질은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커버(300)의 재질에 있어서는, 수용홈(100)에 단지 음이온 모듈(200)만을 장착할 경우에는 투명 재질이든 불투명 재질이든 큰 상관은 없으나, LED(500)를 장착할 경우에는 그에 의해 발산된 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섀시틀(10)의 제2 벽부(104)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전선(2)이 수용홈(100)으로 안내되게 하는 배선홀(130)이 구비된다(도 3 참조)
아울러, 상기 커버(300)에는, 수용홈(100)의 통풍을 조장하고 음이온의 토출을 유도 또는 LED(500)에 의한 빛의 발산을 유도하는 다수 개의 유도구(330)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된다(도 6 및 도 7 참조).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주로 가정용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이중의 섀시틀(10)이 아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섀시틀(10)을 사용함으로써 사무실 칸막이, 다양한 업소 및 흡연 부스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성 섀시는 아파트나 다가구 세대 주택 가정용이나 사무실 칸막이, 다양한 업소 또는 흡연 부스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LED(500)는 다양한 색깔 및 다양한 조도를 통해서 실내의 분위기를 연출하여 거주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용홈(100)의 바닥부(106)에 설치되어서 전원을 공급받아 다양한 조도로 다색의 빛을 표출한다.
상기 LED(500)에 대한 색깔 및 조도의 조작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즉 별도로 구비된 리모콘(미도시) 또는 홈 제어 시스템(미도시)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음이온 모듈(200), 서스 플레이트(400) 및 LED(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600)에 일체로 결합되어서 수용홈(100)의 바닥부(106)에 설치되게 함으로써, 그들을 개별적이 아닌 일괄적으로 수용홈(100)에 탈창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설치에 대한 편리성을 제공하였다.
또한, 상기 섀시틀(10) 또는 컨트롤러(미도시)에 구비되어 실내의 CO2 농도를 측정하여 음이온 모듈(200)을 제어하게 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CO2센서(700)를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항상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하였다.
즉, 상기 CO2센서(700)가 실내의 기준치 이상의 CO2 농도를 감지하면 음이온 모듈(200)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작동되게 하여 실내의 CO2 농도를 낮춰줌으로써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스 플레이트(400)의 하부에 장착되어서 음이온의 확산을 조력하는 탐침봉(800)이 추가로 구성되게 하였다.
따라서, 서스 플레이트(400) 및 탐침봉(800)에 의해 음이온이 빠른 시간에 실내로 확산됨으로써 짧은 시간에 실내가 쾌적한 상태로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 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 창문 2: 전선
10: 섀시틀 100: 수용홈
102: 제1 벽부 104: 제2 벽부
106: 바닥부 110: 고정돌기
120: 고정홈 130: 배선홀
200: 음이온 모듈 210: 음이온 발생칩
220: 회로기판 230: 케이스
250: 도전선 코팅층 240: 브라켓
270: 전선 연결부재 300: 커버
310: 삽입돌기 320: 수평플레이트
330: 유도구 340: 수직플레이트
400: 서스 플레이트 410: 확산공
500: LED 600: 고정판
700: CO2 센서 800: 탐침봉

Claims (11)

  1. 건물에 설치되는 섀시틀(10)이 인체에 유익하고 실내외에서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능을 갖춘 다기능성 섀시에 있어서,
    상기 섀시틀(10) 내측 양단에 수직하게 구비된 제1 벽부(102) 및 제2 벽부(104)와, 바닥부(106)를 통해서 형성된 수용홈(100);
    상기 수용홈(100)의 바닥부(106)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전원을 공급받아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모듈(200); 및
    상기 수용홈(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수용홈(100)을 덮는 커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섀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300)는,
    상기 제1 벽부(102) 및 상기 제2 벽부(104)의 상부면을 덮는 수평플레이트(320)와, 상기 수평플레이트(320)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 벽부(102) 및 상기 제2 벽부(104)의 내면에 각각 접촉되어 수용홈(100)에 끼워지는 두 개의 수직플레이트(340)로 구성되며,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섀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100)에 설치되는 상기 커버(300)의 결합은,
    상기 수용홈(100)의 상기 제1 벽부(102) 또는 제2 벽부(104)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다수 개의 고정돌기(110)에 의해 형성된 고정홈(120)에 상기 커버(300)의 수직플레이트(340)의 단부에 구비된 삽입돌기(310)가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섀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모듈(200)은 브라켓(240)을 통해서 상기 수용홈(100)의 바닥부(106)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섀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섀시틀(10)의 상기 제2 벽부(104)에는 전선(2)을 상기 수용홈(100)으로 안내하는 배선홀(1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섀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300)에는, 상기 수용홈(100)의 통풍을 조장하고 음이온의 토출을 유도하는 다수 개의 유도구(3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섀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모듈(200)의 상부 또는 측부에 장착되고 다수 개의 확산공(410)을 구비하여서 음이온의 확산을 돕는 서스 플레이트(SUS Plate, 400)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섀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100)의 바닥부(106)에 설치되어서 전원을 공급받아 다색의 빛을 표출하는 LED(500)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섀시.
  9. 청구항 1, 7 및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이온 모듈(200), 서스 플레이트(400) 및 LED(500)는 고정판(600)에 일체로 결합되어서 수용홈(100)의 바닥부(106)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섀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섀시틀(10) 또는 컨트롤러에 구비되어 실내의 CO2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음이온 모듈(200)을 제어하게 하는 CO2센서(700)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섀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스 플레이트(400)의 하부에 장착되어서 음이온의 확산을 조력하는 탐침봉(800)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섀시.
KR1020120074643A 2012-07-09 2012-07-09 다기능성 섀시 KR101227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643A KR101227233B1 (ko) 2012-07-09 2012-07-09 다기능성 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643A KR101227233B1 (ko) 2012-07-09 2012-07-09 다기능성 섀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233B1 true KR101227233B1 (ko) 2013-01-28

Family

ID=4784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643A KR101227233B1 (ko) 2012-07-09 2012-07-09 다기능성 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2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937A (ko) * 2003-11-26 2005-06-01 한태인 단열효과를 가질 수 있는 창문틀의 구조
KR20050079879A (ko) * 2004-02-07 2005-08-11 이용식 이미지 창문
KR20090069474A (ko) * 2007-12-26 2009-07-01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실내용 도어
KR20100081452A (ko) * 2009-01-06 2010-07-15 주식회사 건축과 환경 발코니부 설치형 이중외피 시스템 및 실내 환경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937A (ko) * 2003-11-26 2005-06-01 한태인 단열효과를 가질 수 있는 창문틀의 구조
KR20050079879A (ko) * 2004-02-07 2005-08-11 이용식 이미지 창문
KR20090069474A (ko) * 2007-12-26 2009-07-01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실내용 도어
KR20100081452A (ko) * 2009-01-06 2010-07-15 주식회사 건축과 환경 발코니부 설치형 이중외피 시스템 및 실내 환경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8283B2 (en) Sensitive lighting fixture for construction junction box
US20110188250A1 (en) Lighted Decorative Framework
KR20180090983A (ko) 태양 전지 부착 옥내 용구
KR101227233B1 (ko) 다기능성 섀시
KR200451090Y1 (ko) 에스엠피에스가 내장된 엘이디 경관조명등
US8459823B1 (en) Screen enclosure lighting system
IT202000002743A1 (it) Sistema luminoso dotato di accessori laterali
JP2016018665A (ja) 反射形ledを備えた形材
CN106195789A (zh) 一种无边框式线条灯
KR100717364B1 (ko) 다기능 조명등
KR200419517Y1 (ko) 다기능 조명등
JP6653468B2 (ja) 制御装置
RU2330596C2 (ru) Душевое ограждение с подсветкой
KR20110005440A (ko) 공부방용 건축 구조물 및 그 배치방법
JP7137350B2 (ja) 住宅用内装品、室内用作業装置、手摺装置、洗面台ユニット、框構造、並びに、梁構造
KR200442202Y1 (ko) 천장 직부형 인테리어 조명장치
CN218095843U (zh) 防火面板灯
JP3137340U (ja) 扉の間接照明装置。
CN215978263U (zh) 一种可拆卸式多功能踢脚线
CN218178694U (zh) 一种幕墙一体化隐藏式线形洗墙灯
CN212644735U (zh) 自动检测指示空气质量的仿真火焰电壁炉
KR101301085B1 (ko) 가구 설치를 위한 벽면 고정형 가로바 및 가로바에 설치되는 가구
RU132322U1 (ru) Зеркало со встроенным светильником (варианты)
KR101221008B1 (ko) 프로그램 스위치
JP4591440B2 (ja) 配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