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451U - 디퓨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디퓨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451U
KR20170003451U KR2020160001654U KR20160001654U KR20170003451U KR 20170003451 U KR20170003451 U KR 20170003451U KR 2020160001654 U KR2020160001654 U KR 2020160001654U KR 20160001654 U KR20160001654 U KR 20160001654U KR 20170003451 U KR20170003451 U KR 201700034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tainer
diffuser
function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석
Original Assignee
윤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석 filed Critical 윤종석
Priority to KR2020160001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451U/ko
Publication of KR201700034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4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액상의 발향스틱을 이용한 디퓨저이면서도 벽면설치가 가능하여 이용태양의 범주를 확장하고, 디퓨저 기능만 수행하는 고정된 기능이 아니라 발광이 가능하도록 하여 은은한 조명효과를 발휘하여 인테리어 기능도 수행하며, 시계, 날짜 등의 정보제공 뿐만 아니라 업체정보 등의 광고기능을 수행하여 가정 및 공공장소에서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디퓨저 어셈블리가 개시되어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인 디퓨저 어셈블리에 의하면 상면에 개구(5)가 형성된 제1 프레임(10); 상기 제1 프레임(10)과 직각으로 연결되어 연장된 면을 형성하는 제2 프레임(20); 상기 제1 프레임(10)과 마주보며 저면을 형성하고 전원부(25)가 내장된 제3 프레임(30); 상기 제1 프레임(10) 및 제3 프레임(30)의 전면부에 형성된 표시장치부(40); 상기 표시장치부(40)와 상기 제3 프레임(30)상에 형성된 발광부(50); 및 상기 제3 프레임(30) 위에 안착되며 용기입구는 상기 제1 프레임(10)의 개구(5)에 위치하고, 중공이 형성된 용기 뚜껑(55)이 상기 제1 프레임(1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5)를 통해 용기입구와 결합하는 발향용기(6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디퓨저 어셈블리{ASSEMBLY FOR A DIFFUSER}
본 고안은 디퓨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향스틱을 사용하여 발향이 나도록 하면서도 탁자 위 뿐만 아니라 벽면에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 및 이동의 편리성을 높이고, 조명기능을 발휘하여 장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기능 및 표시기능을 수행하여 다양한 정보 및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디퓨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향기로운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방향제, 향수를 이용한 분사장치가 가정집, 영업장, 또는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게 되는데, 공공장소의 벽면에 설치되어 스프레이식으로 분사되는 분사장치들은 많은 양의 액체 분사로 인하여 독한 향기로 인한 거부감이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분사기능만 발휘하기 때문에 인테리어기능이나 조명기능은 발휘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공개특허 10-2012-0034082호에서는 용기체에 수용된 방향액이나 악취 제거액 등의 액상 약제를 휘산하는 휘산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전도시에 용기체에 수용된 액상이 넘쳐 흐르지 않도록 용기체의 입구를 세밀하게 구성하는 것에 불과하고, 탁자나 선반 위에만 설치가능한 형태로서 폭넓은 이용이 불가능하고, 조명기능이나 광고 및 표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생활상의 필요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탁자 설치 및 벽면 설치가 가능하여 이용방법의 폭을 넓히면서도, 조명연출효과로 인하여 인테리어기능을 수행하고, 표시기능으로 인하여 각종 정보 및 광고를 전달할 수 있는 디퓨저 어셈블리를 개시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상의 발향스틱을 이용한 디퓨저이면서도 벽면설치가 가능하여 이용태양의 범주를 확장한 디퓨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디퓨저 기능만 수행하는 고정된 기능이 아니라 발광이 가능하도록 하여 은은한 조명효과를 발휘하여 인테리어 기능도 수행하는 디퓨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계, 날짜 등의 정보제공 뿐만 아니라 업체정보 등의 광고기능을 수행하여 가정 및 공공장소에서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디퓨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인 디퓨저 어셈블리에 의하면 상면에 개구(5)가 형성된 제1 프레임(10); 상기 제1 프레임(10)과 직각으로 연결되어 연장된 면을 형성하는 제2 프레임(20); 상기 제1 프레임(10)과 마주보며 저면을 형성하고 전원부(25)가 내장된 제3 프레임(30); 상기 제1 프레임(10) 및 제3 프레임(30)의 전면부에 형성된 표시장치부(40); 상기 표시장치부(40)와 상기 제3 프레임(30)상에 형성된 발광부(50); 및 상기 제3 프레임(30) 위에 안착되며 용기입구는 상기 제1 프레임(10)의 개구(5)에 위치하고, 중공이 형성된 용기 뚜껑(55)이 상기 제1 프레임(1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5)를 통해 용기입구와 결합하는 발향용기(60)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발향용기(60)에는 액상의 향기체(70) 또는 발향스틱(80) 또는 장식물이 내삽되며, 상기 표시장치부(40)를 통해 태양광 충전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고안인 디퓨저 어셈브리에 의하면 액상의 발향스틱 또는 장식물을 이용한 디퓨저이면서도 벽면설치가 가능하여 이용태양의 범주를 확장할 수 있다.
둘째,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디퓨저 기능만 수행하는 고정된 기능이 아니라 발광이 가능하도록 하여 은은한 조명효과를 발휘하여 인테리어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시계, 날짜 등의 정보제공 뿐만 아니라 업체정보 등의 광고기능을 수행하여 가정 및 공공장소에서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넷째, 조명효과 및 정보제공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전원공급을 유선 내지 건전지를 통한 무선의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태양광을 통해서도 충전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며 효율적이기까지 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프레임 및 발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디퓨저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인 디퓨저 어셈블리는 크게 프레임, 표시장치부, 발광부 및 발향용기로 분별된다. 이하, 구성요소별로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1 프레임(10)의 상면에는 개구(5)가 형성되는데, 개구(5)는 후술할 발향용기(60)의 입구가 위치하는 부분이 됨과 동시에 발향용기(60)의 뚜껑(55)이 상기 개구(5)를 통하여 발향용기(60)와 결합하게 되므로, 개구(5)의 크기는 발향용기(60)의 뚜껑(55)이 통과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제2 프레임(20)은 상기 제1 프레임(10)과 직각으로 연결되어 연장된 면을 형성하는데, 디퓨저 어셈블리를 벽면에 설치할 경우 제2 프레임(20)상에 구멍을 내어 벽면과 나사결합을 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2 프레임(20) 뒷면에 접착부재를 결합하여 벽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프레임(30)은 상기 제1 프레임(10)과 마주보며 저면을 형성하므로, 전체적으로 제1 내지 제3 프레임(10, 20, 30)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 프레임(30) 내부에는 전원부(25)가 내장되며, 전원부(25)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PCB회로기판, 건전지, 전원스위치 등이 형성된다.
표시장치부(40)는 상기 제1 프레임(10) 및 제3 프레임(30)의 전면부에 형성되는데, 요일 및 날씨 등의 정보제공기능과 업체 홍보 등의 광고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장치부(40)에 태양광충전부를 형성하여 태양광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발광부(50)는 제1 프레임(10) 및 제3 프레임(30)상에 형성된 표시장치부(40)에 형성되는데, 특히 제3 프레임(3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발광부(50)는 상면에 위치하게 되는 발향용기(60) 내부로 광원을 공급함으로써 발향용기(60) 자체가 조명역할을 하도록 유도한다.
발향용기(60)의 용기입구가 상기 제1 프레임(10)의 개구(5)에 위치하도록 발향용기(60)는 상기 제3 프레임(30) 위에 안착되며, 중공이 형성된 용기 뚜껑(55)은 상기 제1 프레임(1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5)를 통해 용기입구와 결합한다. 발향용기(60)의 내부에는 액상의 향기체(70) 및 발향스틱(80) 또는 장식물이 내삽되어 은은하게 향이 휘산될 수 있도록 하며, 조화, 생화, 인형 등의 장식물이 내삽될 수 있으므로 장식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5 : 개구 10 : 제1 프레임
20 : 제2 프레임 30 : 제2 프레임
40 : 표시장치부 50 : 발광부
60 : 발향용기 70 : 향기체
80 : 발향스틱

Claims (2)

  1. 상면에 개구(5)가 형성된 제1 프레임(10);
    상기 제1 프레임(10)과 직각으로 연결되어 연장된 면을 형성하는 제2 프레임(20);
    상기 제1 프레임(10)과 마주보며 저면을 형성하고 전원부(25)가 내장된 제3 프레임(30);
    상기 제1 프레임(10) 및 제3 프레임(30)의 전면부에 형성된 표시장치부(40);
    상기 표시장치부(40)와 상기 제3 프레임(30)상에 형성된 발광부(50); 및
    상기 제3 프레임(30) 위에 안착되며 용기입구는 상기 제1 프레임(10)의 개구(5)에 위치하고, 중공이 형성된 용기 뚜껑(55)이 상기 제1 프레임(1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5)를 통해 용기입구와 결합하는 발향용기(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용기(60)에는 액상의 향기체(70) 또는 발향스틱(80) 또는 장식물이 내삽되며, 상기 표시장치부(40)를 통해 태양광 충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KR2020160001654U 2016-03-29 2016-03-29 디퓨저 어셈블리 KR201700034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654U KR20170003451U (ko) 2016-03-29 2016-03-29 디퓨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654U KR20170003451U (ko) 2016-03-29 2016-03-29 디퓨저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451U true KR20170003451U (ko) 2017-10-12

Family

ID=6040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654U KR20170003451U (ko) 2016-03-29 2016-03-29 디퓨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451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16111A (ja) * 2019-01-23 2020-08-06 株式会社カーメイト 揮散装置用中栓および揮散装置
JP2020164226A (ja) * 2019-03-29 2020-10-08 小林製薬株式会社 薬液揮散器
JP2020164229A (ja) * 2019-03-29 2020-10-08 小林製薬株式会社 薬液揮散器
KR102181070B1 (ko) 2019-05-14 2020-11-19 주식회사 마인드디저트 디퓨저
KR20200002537U (ko) * 2019-05-14 2020-11-24 에프엠크리에이티브 주식회사 팩 디퓨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16111A (ja) * 2019-01-23 2020-08-06 株式会社カーメイト 揮散装置用中栓および揮散装置
JP2020164226A (ja) * 2019-03-29 2020-10-08 小林製薬株式会社 薬液揮散器
JP2020164229A (ja) * 2019-03-29 2020-10-08 小林製薬株式会社 薬液揮散器
KR102181070B1 (ko) 2019-05-14 2020-11-19 주식회사 마인드디저트 디퓨저
KR20200002537U (ko) * 2019-05-14 2020-11-24 에프엠크리에이티브 주식회사 팩 디퓨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3451U (ko) 디퓨저 어셈블리
US7093949B2 (en) Imitation flame air freshener
CN202795977U (zh) 显示系统及记事板系统
ATE476410T1 (de) Alicyclische ester mit moschusgeruch
EP1645295A3 (en) Controlled-release diffuser for room deodorants and/or perfumes, designed to be wall-mounted
US20120275950A1 (en) Scented Vent Clip
KR20040071689A (ko) 정보 디스플레이 유니트
CN202715064U (zh) 多用途香味散发器
CN107152663A (zh) 一种电子蜡烛灯结构
KR101079726B1 (ko) 방향제 용기
US20100271846A1 (en) Structure of lamp combined with picture frame and essence
CN209500351U (zh) 一种多腔香薰机
CN211699336U (zh) 一种戏剧影视文学教学展示装置
KR20170139833A (ko) Led 석고방향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led 석고방향제
CN206890421U (zh) 一种电子蜡烛灯结构
CN110593370A (zh) 一种公共卫生间除臭系统
TWM537030U (zh) 結合裝飾物之香氛裝置
KR102233716B1 (ko) 방향제 제품
TWI617329B (zh) Fragrance device combined with decoration
KR200212760Y1 (ko) 투영되는 시계와 향 분사기가 가산된 액자형 전기 스탠드
KR100295604B1 (ko) 다기능플라즈마방전장식전등
CN208626276U (zh) 电子仿真蜡烛的香薰装置
KR200287345Y1 (ko) 방향(芳香) 안내 표지판
KR200322603Y1 (ko) 자외선센서와 조명등 및 전자석을 구비한 조화장치
KR200319786Y1 (ko) 세라믹 향 발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