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9405A -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 및 이를 이용한불량 통신관로 교체방법 - Google Patents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 및 이를 이용한불량 통신관로 교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405A
KR20050079405A KR1020040007653A KR20040007653A KR20050079405A KR 20050079405 A KR20050079405 A KR 20050079405A KR 1020040007653 A KR1020040007653 A KR 1020040007653A KR 20040007653 A KR20040007653 A KR 20040007653A KR 20050079405 A KR20050079405 A KR 20050079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mmunication
replacing
incision
roller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우
한진우
최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40007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9405A/ko
Publication of KR20050079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40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조 2단, 3조 3단과 같이 여러 개의 관이 다발로 포설된 통신관로 중에서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관로절개장치(200)는 불량 통신관로를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하는 다수개의 롤러 블레이드(210)가 다수열로 일정 간격을 두고 둘레를 따라 배열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절개부(220)와, 절개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절개된 관로를 점점 벌려 그 크기를 크게 하는 확장부(230)와, 확장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확장된 절개관로에 새로운 관을 설치하기 위해 새로운 관을 연결하는 관 연결부(240), 및 절개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견인에 사용되는 견인봉을 연결하는 봉 연결부(2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손상된 불량 통신관로를 땅을 파지 않고 새로운 관으로 교체함에 있어 원하는 위치만을 연속적으로 절개할 수 있으므로 절개 관로에 인접하는 인접관로에 피해를 입히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절개하여 새로운 관으로 교체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불량 통신관로 교체방법{Pipe splitting apparatus for replacing obsolete pipe and method for replacing obsolete pipe using it}
본 발명은 관로절개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관로 재질의 성능저하, 매설심도 미달, 타 기관의 부주의한 공사, 지반침하, 관로 이탈 또는 이물질 유입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손상된 불량 통신관로를 땅을 파지 않고 새로운 관으로 교체하는 데 사용하는 관로절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로절개장치를 이용하여 불량 통신관로를 땅을 파지 않고 새로운 관으로 교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지하에 매설된 관은 수 m 직경의 대형 상하수관에서 수 ㎜ 직경의 가스관까지 매우 다양하게 존재한다. 통신관로의 경우는 대부분 그 직경이 100㎜ 인 플라스틱 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듯 통신관로는 재질이 플라스틱인 관계로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매설심도 미달, 타 기관의 부주의한 공사, 지반침하, 관로 이탈 또는 이물질 유입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손상되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그로 인해 통신 사업자는 불량의 통신관로로 인해 최근의 급증하는 초고속인터넷 수요에 바로 대응하지 못하고, 지하 통신관로를 새로 건설해야만 하는 문제점에 직면하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통신관로의 건설은 고 건설비용과 도로굴착 허가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손상된 불량 통신관로를 땅을 파지 않고 새로운 관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불량 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관로절개장치(100)는 통신관로가 아닌 상수도관 또는 하수도관과 같은 단관(單管)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즉, 관로절개장치(100)는 손상된 관로의 일측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하는 롤러 블레이드(110)가 일방향으로 설치되며 전방에 견인봉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절개부(120)와, 이 절개부(120)의 후방에 설치되어 절개된 관로를 점점 벌려 그 크기를 크게 하는 확장부(130), 및 이 확장부(130)의 후단에 형성되어 확장된 절개관로에 새로운 관을 설치하기 위해 새로운 관을 연결하는 연결부(140)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관로절개장치(100)를 이용할 경우에는 상수도관 또는 하수도관과 같은 단관(單管) 중에서 불량 관로의 일측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하고 확장하면서 그 내부에 새로운 관을 설치하여 관을 교체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관로절개장치(140)는 롤러 블레이드(110)가 일방향으로 절개부(120)의 한 쪽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불량 관로를 절개함에 있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불량 관로가 일직선으로 절개되지 않고 비스듬하게 절개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통신관로는 2조 2단, 3조 3단 등과 같이 여러 개의 관이 다발로 포설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관로절개장치(100)를 이용할 경우 절개 관로에 인접하는 인접관로에 피해를 입힐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상된 불량 통신관로를 땅을 파지 않고 새로운 관으로 교체함에 있어 절개 관로에 인접하는 인접관로에 피해를 입히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절개하여 새로운 관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불량 통신관로 교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2조 2단, 3조 3단과 같이 여러 개의 관이 다발로 포설된 통신관로 중에서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로서, 불량 통신관로를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하는 다수개의 롤러 블레이드가 다수열로 일정 간격을 두고 둘레를 따라 배열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절개된 관로를 점점 벌려 그 크기를 크게 하는 확장부와, 상기 확장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확장된 절개관로에 새로운 관을 설치하기 위해 새로운 관을 연결하는 관 연결부, 및 상기 절개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견인에 사용되는 견인봉을 연결하는 봉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를 이용한 불량 통신관로 교체방법으로서, 상기 다수개의 롤러 블레이드를 90°이하 간격으로 2열로 상기 절개부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관로의 배열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롤러 블레이드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봉 연결부에 연결된 견인봉을 외부에서 당겨 불량 통신관로를 상기 다수개의 롤러 블레이드를 통해 점진적으로 절개하고 상기 확장부를 통해 그 크기를 확장하는 단계, 및 상기 관 연결부에 연결된 관을 통해 절개관로의 내부에 새로운 관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불량 통신관로 교체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관로절개장치를 선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로절개장치(200)는 통신관로와 같이 2조 2단, 3조 3단 등과 같이 여러 개의 관이 다발로 포설된 다관(多管)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다. 즉, 관로절개장치(200)는 불량 통신관로를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하는 다수개의 롤러 블레이드(210)가 다수열로 일정 간격을 두고 둘레를 따라 배열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절개부(220)와, 이 절개부(220)의 후방에 설치되어 절개된 관로를 점점 벌려 그 크기를 크게 하는 확장부(230)와, 이 확장부(230)의 후방에 형성되어 확장된 절개관로에 새로운 관을 설치하기 위해 새로운 관을 연결하는 관 연결부(240), 및 상기 절개부(220)의 전방에 설치되어 견인에 사용되는 견인봉을 연결하는 봉 연결부(250)로 구성된다.
상기 롤러 블레이드(210)는 다수개 바람직하기로는 3개 내지 5개가 1열로 구성되어 절개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또한 롤러 블레이드(210)는 절개부(220)의 둘레를 따라 다수열 바람직하기로는 2열 또는 4열로 배열되지만, 각 열간에 90°이하 혹은 정확히 90°각도를 갖도록 배열된다. 이 때, 각각의 롤러 블레이드(210)는 절개부(220)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절개부(220)에는 90°이하 혹은 정확히 90°둘레 간격으로 롤러 블레이드(210)를 설치하기 위한 돌출라인(221)이 형성되고, 이러한 돌출라인(221)의 중심라인을 따라 홈(도시안됨)이 형성된다. 상기 롤러 블레이드(210)는 돌출라인(221)의 홈에 그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절개부(2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롤러 블레이드(210)는 절개부(220)의 돌출라인(22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롤러 블레이드(210)는 그 중심축이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라인(221)의 양 쪽에서 고정 또는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롤러 블레이드(210)는 절개부(220)에서 착탈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절개부(220)는 그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함으로써 견인시에 직진성을 유지하고, 길이방향으로 테이퍼지게 구성함으로써 견인력이 최소로 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관로절개장치(200)는 인접하는 2개의 돌출라인(221)에 롤러 블레이드(210)를 각각 설치하여 불량 통신관로를 절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관로절개장치(200)를 이용하여 불량 통신관로를 절개할 경우에는 통신관로의 배열상태를 고려하여 롤러 블레이드(210)의 위치를 설정한 후 견인봉을 당겨 불량 통신관로를 절개하고 확장하면서 그 내부에 새로운 관을 설치하여 관을 교체하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은 롤러 블레이드(210)가 90°이하 혹은 정확히 90°각도로 2열로 설치되기 때문에, 불량 통신관로를 절개함에 있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불량 통신관로가 항상 일직선으로 절개된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관로절개장치를 이용하여 불량 통신관로를 교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관로절개장치를 이용하여 불량 통신관로를 교체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인접하는 2개의 돌출라인(221)에 롤러 블레이드(210)를 각각 설치한다. 그런 다음, 통신관로의 배열상태를 고려하여 롤러 블레이드(210)의 위치를 설정한 후 봉 연결부(250)에 연결된 견인봉(300)을 강한 힘으로 당긴다. 이 때, 견인봉(300)은 유압장치(320)에 연결된 견인장치(310)를 통해 당겨진다. 그러면 불량 통신관로(330)가 롤러 블레이드(210)에 의해 점진적으로 절개되고, 확장부(230)에 의해 그 크기가 확장된다. 또한 확장부(230)의 후단에 위치하는 관 연결부(240)에 연결된 PE 관(340)이 절개된 통신관로의 내부를 따라 점진적으로 설치되어 새로운 관을 구성하게 된다.
도 4는 도 2a에 도시된 관로절개장치를 이용하여 불량 통신관로 절개시에 롤러 블레이드의 배열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통신관로가 3조 2단으로 포설된 경우를 일례로 나타낸 것으로서, 절개하고자 하는 통신관로의 포설위치에 따라 롤러 블레이드의 위치를 달리하여 절개함으로써, 절개 통신관로에 인접하는 인접 통신관로에 전혀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절개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상된 불량 통신관로를 땅을 파지 않고 새로운 관으로 교체함에 있어 원하는 위치만을 연속적으로 절개할 수 있으므로 절개 관로에 인접하는 인접관로에 피해를 입히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절개하여 새로운 관으로 교체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불량 통신관로 교체방법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불량 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관로절개장치를 선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관로절개장치를 이용하여 불량 통신관로를 교체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2a에 도시된 관로절개장치를 이용하여 불량 통신관로 절개시에 롤러 블레이드의 배열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관로절개장치 210 : 롤러 블레이드
220 : 절개부 221 : 돌출라인
230 : 확장부 240 : 관 연결부
250 : 봉 연결부 300 : 견인봉
310 : 견인장치 320 : 유압장치
330 : 불량 통신관로 340 : PE 관

Claims (6)

  1. 2조 2단, 3조 3단과 같이 여러 개의 관이 다발로 포설된 통신관로 중에서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로서,
    불량 통신관로를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하는 다수개의 롤러 블레이드가 다수열로 일정 간격을 두고 둘레를 따라 배열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절개된 관로를 점점 벌려 그 크기를 크게 하는 확장부와, 상기 확장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확장된 절개관로에 새로운 관을 설치하기 위해 새로운 관을 연결하는 관 연결부, 및 상기 절개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견인에 사용되는 견인봉을 연결하는 봉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블레이드는 90°간격으로 2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블레이드는 90°간격으로 4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길이방향으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
  5. 제1항에 기재된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를 이용한 불량 통신관로 교체방법으로서,
    상기 다수개의 롤러 블레이드를 90°이하 간격으로 2열로 상기 절개부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관로의 배열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롤러 블레이드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봉 연결부에 연결된 견인봉을 외부에서 당겨 불량 통신관로를 상기 다수개의 롤러 블레이드를 통해 점진적으로 절개하고 상기 확장부를 통해 그 크기를 확장하는 단계, 및 상기 관 연결부에 연결된 관을 통해 절개관로의 내부에 새로운 관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통신관로 교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길이방향으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통신관로 교체방법.
KR1020040007653A 2004-02-05 2004-02-05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 및 이를 이용한불량 통신관로 교체방법 KR200500794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653A KR20050079405A (ko) 2004-02-05 2004-02-05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 및 이를 이용한불량 통신관로 교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653A KR20050079405A (ko) 2004-02-05 2004-02-05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 및 이를 이용한불량 통신관로 교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405A true KR20050079405A (ko) 2005-08-10

Family

ID=37266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653A KR20050079405A (ko) 2004-02-05 2004-02-05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 및 이를 이용한불량 통신관로 교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94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159B1 (ko) * 2011-08-26 2013-09-03 (주)재재에이치와이 Led 조명모듈 조립용 지그 및 조립방법
KR102042743B1 (ko) * 2018-11-29 2019-11-08 (주)몰크리켓 파이프 버스팅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159B1 (ko) * 2011-08-26 2013-09-03 (주)재재에이치와이 Led 조명모듈 조립용 지그 및 조립방법
KR102042743B1 (ko) * 2018-11-29 2019-11-08 (주)몰크리켓 파이프 버스팅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9408B (fi) Foerfarande foer aoterstaellning av underjordsroerlinjer
US20110150577A1 (en) Tool for longitudinally subdividing sewer pipes
EP1303895B1 (en) Method for installing a duct in the ground and device for perfoming this method
KR20050079405A (ko) 불량 통신관로 교체를 위한 관로절개장치 및 이를 이용한불량 통신관로 교체방법
CN115596491A (zh) 一种矿井安全生产用矿井通风装置
US10274106B2 (en) Pullhead device and method of use
JP2002369326A (ja) パイプ布設用圧送ヘッド及びこれを用いたパイプ布設方法
EP2372424A1 (en) Clearing blockages in a pipe by blowing air through a duct moved in the same pipe prior to fibre installation
GB2386169A (en) Method for lining a pipe or main
CN218563690U (zh) 一种矿井安全生产用矿井通风装置
GB2440626A (en) Apparatus for use in renewing or replacing drain pipes or service ducts
KR100362205B1 (ko) 포설용 케이블
EP1803892B1 (en) Fast laying method for pipes/infrastructures/cables for underground services
KR20010064958A (ko) 내경 측정용 가변 맨드릴
CN220647231U (zh) 一种管道非开挖修复的裂管装置
AU688527B2 (en) Transmission line installation
JPH0361792A (ja) 下水管渠等地下管路の故障修正装置を用いた非開削による故障修正工法
KR0136296B1 (ko) 지중 파이프 라인의 교체방법 및 장치
JP4318139B2 (ja) 既設管路の更新工法
CN221002622U (zh) 一种非开挖铺设管线用扩孔器
KR100305200B1 (ko) 지중파이프라인의교체방법및그장치
JP3708043B2 (ja) 下水道本管補修方法
JP2003319520A (ja) ケーブル敷設用インナーパイプとこのケーブル敷設用インナーパイプにケーブルを挿入する方法とケーブルの敷設方法
CN216248464U (zh) 一种光纤多点气吹排管及光纤多点气吹接头
JP6025200B2 (ja) 管の更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