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862A - 쇽 업소버 - Google Patents

쇽 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862A
KR20050078862A KR1020040006937A KR20040006937A KR20050078862A KR 20050078862 A KR20050078862 A KR 20050078862A KR 1020040006937 A KR1020040006937 A KR 1020040006937A KR 20040006937 A KR20040006937 A KR 20040006937A KR 20050078862 A KR20050078862 A KR 20050078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rubber
shock absorber
piston rod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3151B1 (ko
Inventor
윤경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40006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151B1/ko
Publication of KR20050078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Abstract

본 발명은 쇽 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및 하부스프링시트(120,130)에 의해 완충스프링(110)의 상단과 하단이 고정되며, 상부스프링시트(120)와 외부관(140)의 캡(141) 사이에 위치하는 범퍼러버(150)가 피스톤로드(160)에 끼워지는 쇽 업소버(100)에 있어서, 상부스프링시트(120)는 범퍼러버(150)가 압축시 범퍼러버(150)의 상단이 안착되도록 하측면에 러버안착부(121)가 형성되고, 피스톤로드(160)가 삽입되도록 러버안착부(121)의 중심에 삽입홀(121a)이 형성되며, 완충스프링(110)의 상단이 스프링패드(180)를 개재하여 고정되도록 러버안착부(121)로부터 외측을 향해 일체로 스프링고정부(122)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부스프링시트에 범퍼러버가 안착되기 위한 러버안착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용접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베어링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스프링패드가 상부스프링시트에 압입됨으로써 스프링패드가 고정된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완충스프링과 정렬된 상태로 조립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며, 스프링패드에 보강부재가 내장됨으로써 스프링패드의 변형을 방지하여 완충스프링 상단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쇽 업소버{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쇽 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스프링시트에 범퍼러버가 안착되기 위한 러버안착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용접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베어링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쇽 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 업소버(shock absorber)는 차축과 차체에 연결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시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 및 충격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승차감을 좋게 하는 방진 및 완충장치로서, 그 내부에는 진동 및 충격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피스톤밸브가 마련되며, 감쇠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피스톤밸브의 외측으로 가스 및 오일 등의 충진물이 채워진다.
도 1은 종래의 쇽 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쇽 업소버(10)는 내부관(미도시) 내측에 오일이 가득 채워짐과 아울러 하단에 바디밸브(미도시)가 설치되고, 내부관(미도시)의 외측에 외부관(11)이 설치되며, 외부관(11) 하단에 차축과 연결될 수 있도록 너클브라켓(12)이 설치되고, 내부관(미도시) 내측으로 삽입되는 피스톤로드(13)의 상단이 외부관(11) 외측으로 연장되며, 내부관(미도시)내의 상.하측의 오일을 유동시키도록 내부관(미도시) 내측에 피스톤밸브(미도시)가 피스톤로드(13)와 결합되고, 외부관(11)은 오일 누설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오일씰(미도시)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단에 캡(14)이 씌워진다.
피스톤로드(13)는 상단에 차체와 결합되기 위하여 연결부재(15)가 마련되고, 연결부재(15)는 차체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볼트(16)가 다수개 설치되며, 연결부재(15)의 하측에 피스톤로드(13)가 하방으로 이동시 피스톤로드(13)를 복원시키는 완충스프링(17)이 상부 및 하부스프링시트(18,19)에 의해 고정된다.
상부스프링시트(18)는 연결부재(15) 하측에서 피스톤로드(13) 상단에 끼워지고, 연결부재(15)와의 사이에 베어링(20)이 설치되며, 하측면에 고무재질의 스프링패드(21)를 개재하여 완충스프링(17)의 상단을 지지 및 고정한다.
하부스프링시트(19)는 외부관(11)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측면에 지지패드(22)를 개재하여 완충스프링(17)의 하단을 지지 및 고정한다.
상부스프링시트(18)와 외부관(11)의 캡(14) 사이에 이들의 충격을 흡수하는 범퍼러버(23)가 피스톤로드(13) 상단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범퍼러버(23) 하측에 연장 형성되는 더스트커버(24)가 외부관(11)의 상측에 끼워짐으로써 외부관(11)과 피스톤로드(13)와의 결합부위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부스프링시트(18) 하측에는 외부관(11)의 캡(14)에 의해 압축되는 범퍼러버(23) 상단이 접하는 컵(25)이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쇽 업소버(10)는 상부스프링시트(18)와 컵(25)간의 접촉면에 엠보싱을 형성한 후 이들을 서로 용접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엠보싱 형성 및 용접 스파터(spatter)에 따른 내구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용접시 이들의 내경부 동심도 불량에 따른 베어링(20) 조립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부스프링시트(18) 하측면에 스프링패드(21)가 유격을 가진 상태로 삽입되므로 스프링패드(21)가 상부스프링시트(19)의 하측면에서 원하는 위치로부터 이탈되어 완충스프링(17) 상단과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조립됨으로써 스프링패드(21)의 변형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스프링시트에 범퍼러버가 안착되기 위한 러버안착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용접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베어링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스프링패드가 상부스프링시트에 압입됨으로써 스프링패드가 고정된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완충스프링과 정렬된 상태로 조립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며, 스프링패드에 보강부재가 내장됨으로써 스프링패드의 변형을 방지하여 완충스프링 상단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쇽 업소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스프링시트에 의해 완충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이 고정되며, 상부스프링시트와 외부관의 캡 사이에 위치하는 범퍼러버가 피스톤로드에 끼워지는 쇽 업소버에 있어서, 상부스프링시트는 범퍼러버가 압축시 범퍼러버의 상단이 안착되도록 하측면에 러버안착부가 형성되고, 피스톤로드가 삽입되도록 러버안착부의 중심에 삽입홀이 형성되며, 완충스프링의 상단이 스프링패드를 개재하여 고정되도록 러버안착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일체로 스프링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상부스프링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100)는 완충스프링(110)의 상단과 하단이 상부 및 하부스프링시트(120,130)에 고정되고, 상부스프링시트(120)와 외부관(140)의 캡(141) 사이에 범퍼러버(150)가 설치되며, 상부스프링시트(120)는 범퍼러버(150)가 안착되는 범퍼러버안착부(121)와 완충스프링(110)의 상단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부(1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완충스프링(110)은 외부관(140) 및 피스톤로드(160)의 상단 외측에 위치한다.
외부관(140)은 오일이 채워진 내부관(미도시)의 외측에 설치되고, 하단에 차축과 연결될 수 있도록 너클브라켓(142)이 설치되며, 하단에 바디밸브(미도시)가 설치되는 내부관(미도시) 내측으로 삽입되는 피스톤로드(160)의 상단이 상측으로 노출된다.
외부관(140)은 피스톤로드(160)의 결합부위로부터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오일씰(미도시)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단에 캡(141)이 씌워진다.
피스톤로드(160)는 내부관(미도시)내에서 상.하측의 오일을 유동시키도록 피스톤밸브(미도시)가 결합되며, 상단에 차체와 결합되기 위하여 연결부재(170)가 마련된다.
연결부재(170)는 차체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볼트(171)가 다수개 설치되며, 하측에 피스톤로드(160)가 하방으로 이동시 피스톤로드(160)를 복원시키는 완충스프링(110)이 상부 및 하부스프링시트(120,130)에 의해 고정된다.
상부스프링시트(120)는 연결부재(170) 하측에서 피스톤로드(160) 상단에 끼워지고, 연결부재(170)와의 사이에 베어링(172)이 설치되며, 하측면에 고무재질의 스프링패드(180)를 개재하여 완충스프링(110)의 상단을 지지 및 고정한다.
상부스프링시트(120)와 외부관(140)의 캡(141) 사이에 이들의 충격을 흡수하는 범퍼러버(150)가 피스톤로드(160)에 끼워져 설치되며, 범퍼러버(150)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는 더스트커버(151)가 외부관(140)의 상측에 끼워짐으로써 외부관(140)과 피스톤로드(160)와의 결합부위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스프링시트(120)는 외부관(140)의 캡(141)에 의해 범퍼러버(150)가 압축시 범퍼러버(150)의 상단이 안착됨으로써 범퍼러버(150)가 제대로 압축되기 위하여 하측면에 컵형상의 러버안착부(121)가 형성되며, 완충스프링(110)의 상단이 스프링패드(180)를 개재하여 고정되도록 러버안착부(121)로부터 외측을 향해 일체로 스프링고정부(122)가 형성된다.
러버안착부(121)는 중심부에 피스톤로드(160)의 상단이 끼워지도록 삽입홀(121a)이 형성된다.
상부스프링시트(120)는 러버안착부(121)와 스프링고정부(122)가 일체로 형성시 이들을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러버안착부(121)와 스프링고정부(122) 사이에 하방으로 돌출됨으로서 이들을 경계지음과 동시에 러버안착부(121)가 하방으로 개방된 컵 형상을 가지도록 접힘부(123)가 형성된다.
스프링패드(180)는 링형상을 가지며, 범퍼러버안착부(121)의 외측, 즉 외주면에 압입된다.
스프링패드(180)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링형상의 보강부재(181)가 내장된다.
보강부재(181)는 어느 정도 휨을 가지도록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며, 몰딩에 의해 형성되는 스프링패드(180)내에 내장된다.
하부스프링시트(130)는 외부관(140)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측면에 지지패드(190)를 개재하여 완충스프링(110)의 하단을 지지 및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쇽 업소버(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부스프링시트(120)가 외부관(140)의 캡(141)에 의해 압축되는 범퍼러버(150)가 안착되어 제대로 압축되기 위한 러버안착부(121)와 완충스프링(110)의 상단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부(122)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용접 등을 할 필요가 없게 되어 용접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부스프링시트(120)의 러버안착부(121)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삽입홀(121a)에 피스톤로드(160)가 삽입되어 상부스프링시트(120) 중심과 피스톤로드(160)중심이 제대로 정렬됨으로써 베어링(171)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스프링패드(180)가 상부스프링시트(120)의 러버안착부(121) 외주면에 압입됨으로써 스프링패드(180)가 고정된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완충스프링(110)과 정렬된 상태로 조립되어 일부분만이 완충스프링(110)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여 변형을 최소화하며,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스프링패드(180)에 보강부재(181)가 내장됨으로써 스프링패드(180)의 변형을 방지하여 완충스프링(110) 상단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는 상부스프링시트에 범퍼러버가 안착되기 위한 러버안착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용접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베어링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스프링패드가 상부스프링시트에 압입됨으로써 스프링패드가 고정된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완충스프링과 정렬된 상태로 조립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며, 스프링패드에 보강부재가 내장됨으로써 스프링패드의 변형을 방지하여 완충스프링 상단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쇽 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상부스프링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완충스프링 120 : 상부스프링시트
121 : 러버안착부 121a : 삽입홀
122 : 스프링고정부 123 : 접힘부
130 : 하부스프링시트 140 : 외부관
141 : 캡 142 : 너클브라켓
150 : 범퍼러버 151 : 더스트커버
160 : 피스톤로드 170 : 연결부재
171 : 체결볼트 172 : 베어링
180 : 스프링패드 181 : 보강부재
190 : 지지패드

Claims (4)

  1. 상부 및 하부스프링시트에 의해 완충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이 고정되며, 상부스프링시트와 외부관의 캡 사이에 위치하는 범퍼러버가 피스톤로드에 끼워지는 쇽 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상부스프링시트는 상기 범퍼러버가 압축시 상기 범퍼러버의 상단이 안착되도록 하측면에 러버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로드가 삽입되도록 상기 러버안착부의 중심에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스프링의 상단이 스프링패드를 개재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러버안착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일체로 스프링고정부가 형성되는 쇽 업소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안착부와 상기 스프링고정부사이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접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패드는,
    상기 범퍼러버안착부의 외측에 압입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패드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링형상의 보강부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
KR1020040006937A 2004-02-03 2004-02-03 쇽 업소버 KR100803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937A KR100803151B1 (ko) 2004-02-03 2004-02-03 쇽 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937A KR100803151B1 (ko) 2004-02-03 2004-02-03 쇽 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862A true KR20050078862A (ko) 2005-08-08
KR100803151B1 KR100803151B1 (ko) 2008-02-14

Family

ID=37265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937A KR100803151B1 (ko) 2004-02-03 2004-02-03 쇽 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1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9908A (zh) * 2011-11-01 2013-05-08 成都红美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和拆卸的汽车减振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9027A (ja) * 1996-03-29 1997-10-14 Toyoda Gosei Co Ltd コイルスプリングインシュレータ
JPH09280298A (ja) * 1996-04-10 1997-10-28 Nissan Motor Co Ltd マウントインシュレータ
JP4634667B2 (ja) * 2001-08-24 2011-02-16 株式会社ショーワ 油圧緩衝器のダストカバー固定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9908A (zh) * 2011-11-01 2013-05-08 成都红美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和拆卸的汽车减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151B1 (ko)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1692B2 (en) Cylinder apparatus
US6776402B2 (en) Liquid-encapsulated damper mount and hydraulic damper mounting structure in suspension of automobile
CA2400971C (en) Dust cover attaching structure for hydraulic damper
JPH01172007A (ja) 二重経路防振を有する空気ばね懸架装置
JP2009024878A (ja) 空気ばね用押嵌め式緩衝器
JP2000185538A (ja) 複合スタビライザ―バ―リンク
AU2003204306A1 (en) Dust cover receiving structure of shock absorber
GB2158549A (en) Suspension strut mounting for motor vehicles
JP2004504559A (ja) 自動車のショックアブソーバ用ストローク制限装置ならびにそのストローク制限装置の製造方法
JP2009029280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803151B1 (ko) 쇽 업소버
KR101089137B1 (ko) 자동차용 축방향 유체봉입형 부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스트러트 마운트
JP3695153B2 (ja) コイルスプリングの防振支持装置
KR20210152696A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KR100778079B1 (ko) 서스펜션의 스트러트
JP4303277B2 (ja) 防振装置
JP4646455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S6332485Y2 (ko)
KR100811722B1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조립체
KR100489424B1 (ko) 가스 쇽 업소버의 가스 주입부 실링장치
KR101786538B1 (ko) 차량용 현가장치
JP2007127172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102654529B1 (ko) 공차 흡수 구조를 갖는 부시
KR102563031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트
KR20060018067A (ko) 에어 서스펜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