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709A - 흡입 공간을 차단하는 방호 스크린 - Google Patents

흡입 공간을 차단하는 방호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709A
KR20050077709A KR1020040025797A KR20040025797A KR20050077709A KR 20050077709 A KR20050077709 A KR 20050077709A KR 1020040025797 A KR1020040025797 A KR 1020040025797A KR 20040025797 A KR20040025797 A KR 20040025797A KR 20050077709 A KR20050077709 A KR 20050077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ction
wall
wall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4820B1 (ko
Inventor
키엘보위츠스타니스로
Original Assignee
체체이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체체이 아게 filed Critical 체체이 아게
Publication of KR20050077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18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01D35/303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the housings being modular, e.g. standard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elf-supporting
    • B01D29/03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elf-supporting with corrugated, fold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31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 B01D29/35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Circuit Breaker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 시스템 내의 흡입 공간(3), 및 상기 흡입 공간에 연결된 흡입관(5)을 차단하는 방호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호 스크린은 흡입측(12) 및 배출측(13)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벽 부재(2)를 포함한다. 스크린 벽 부재(2)는 흡입측(12)을 향하여 개방된 복수의 흡입 포켓(17)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형 직사각형 카세트부(2)로 제작되고, 스크린 포켓은 배출측(13)을 향하여 개방되는 배출 갭(21, 22)에 의하여 둘러 싸여있다.

Description

흡입 공간을 차단하는 방호 스크린 {PROTECTIVE SCREEN FOR THE SCREENING OFF OF A SUCTION SPACE}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흡입 공간(suction space) 및 상기 흡입 공간에 연결된 흡입관(suction duct)을 차단하는 방호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의 반응로는 콘크리트 및 강철로 된 안전 용기, 이른바 안전 격납체(containment)로 둘러싸여 있다. 또한, 반응로에는 고장이나 사고 발생 시 반응로 코어를 냉각시키기 위한 비상 냉각 시스템(Emergency Core Cooling: ECC)이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물이 비상 냉각 펌프에 의하여 흡입관을 거쳐 안전 용기의 최하측부, 이른바 수조(sump)로부터 흡입되어 반응로 코어를 순환하게 된다.
비상 냉각 시스템을 설계할 때, 사고 시에 생기는 단열재 찌꺼기 및 콘크리트 덩어리가 수조 내로 흘러 들게 되거나 또는 하측방향으로 흐르는 물에 의하여 수조 내로 밀려 들게 된다는 점을 고려하게 된다. 찌꺼기가 소정의 스크린 부재를 동작시키는 비상 냉각 시스템의 성능을 열화시키지 않도록, 이른바 방호 스크린이 비상 냉각 펌프로 안내되는 흡입관의 유입구 전방에 제공된다. 이들 방호 스크린은 사고로 인해 생긴 찌꺼기가 걸러지도록 하는 동시에 물이 적당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 점에 있어서 찌꺼기로 인한 압력 강하는 허용가능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압력수 반응로(pressure water reactor: PWR)가 설비된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방호 스크린은, 단지 소형 스크린 표면만을 갖고 있고 섬유질 찌꺼기로 오염된 경우에 압력이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크게 강하되는 편평한 그리드 세그멘트로서 주로 형성된다. 파형 시트 금속 및 천공된 시크 금속으로 된 방호 스크린 부재가 보다 큰 유효 스크린 영역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스크린 부재의 치수를 제한하는 압력 하중을 받게 되면 변형된다. EP 0 818 227 A1에 기재된 원통형 흡입 스크린은 매우 큰 유효 스크린 영역을 갖는 것이 분명하지만, 흡입관의 유입구가 원통형 흡입 스크린을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도록 바로 주위로 노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PWR 원자력 발전소의 수조 영역에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적합한 스크린 영역을 갖는 방호 스크린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흡입 공간은 흡입관의 유입구 전방에 주로 제공된다.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PWR 원자력 발전소의 수조 영역 내 흡입 공간은 대체적으로 비교적 얕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 스크린 영역이 외부 치수 영역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예를 들면 수십배 더 크고, PWR 원자력 발전소 수조 영역의 흡입 공간 및 상기 흡입 공간에 연결된 흡입관을 차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방호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정의된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스크린에 의하여 충족된다. 흡입 공간 및 상기 흡입 공간에 연결된 흡입관, 특히 원자력 발전소의 비상 냉각 시스템의 흡입 공간 및 흡입관을 차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스크린은 흡입측 및 배출측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벽 부재를 포함한다. 스크린 벽 부재는 흡입측을 향하여 개방된 복수의 흡입 포켓(suction pocket)을 각각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형 직사각형(또는 4개의 모서리를 가진) 카세트부로 구성되고, 스크린 포켓은 배출 갭(outflow gap)으로 둘러싸이며, 상기 배출 갭은 배출측에 연결되거나 또는 배출측을 향하여 개방된다.
카세트부는 스크린 벽 부재를 원하는 치수로 조립하기 위하여 일렬로, 예를 들면 한쪽 방향으로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 포켓은 배출 갭에 의하여 사방이 각각 둘러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카세트부는 이격된 벽 및/또는 중간 벽과 만곡되고 천공된 벽 세그멘트, 특히 흡입 포켓을 형성하기 위하여 벽 및/또는 중간 벽 사이의 U자 형상의 만곡되고 천공된 벽 세그멘트를 포함한다. 복수의 U자 형상의 만곡된 벽 섹션은 기다란 사행 형상부(elongate, meander shaped part)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카세트부의 벽 및/또는 중간 벽은 이중 벽 및/또는 배출 갭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 포켓은 깊이가 0.1m 이상, 특히 0.2m 이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카세트부의 벽 및/또는 중간 벽은, 예를 들면, 볼트 또는 핀 등의 연결 부재에 의하여 서로 맞대어 클램프된다. 두 개의 벽 및/또는 중간 벽 사이의 공간 및/또는 이중 벽의 두 측면 사이의 공간은 스페이서 부재에 의하여 경계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벽 및/또는 중간벽 및/또는 U자 형상의 만곡된 벽 세그멘트는 천공된 시트 금속, 바람직하기로는 피어싱된 시트 금속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스크린은 비교적 영역이 크고 상당히 얕은 스크린 벽 부재가 카세트부와 조립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즉, 스크린 벽 부재의 길이 및 폭은 광범위하게 선택될 수 있는 반면, 두께는 길이 및/또는 폭에 비하여 현저하게 더 작은 경우가 일반적이다. 또한, 복수의 스크린 벽 부재를 보다 큰 방호 스크린 및/또는 복잡한 형상을 가진 방호 스크린 내에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스크린은 PWR 원자력 발전소의 수조 영역의 흡입 공간 및 상기 흡입 공간에 연결된 흡입관을 차단하는데 특히 적합하며, 치수가 상이한 흡입 공간이 차단되어야 하고 이용가능한 높이가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스크린은 불충분한 스크린 영역을 가진 방호 스크린의 교체를 필요로 하거나 또는 보다 큰 유효 스크린 영역을 가진 방호 스크린으로 교체해야 하는 기존의 발전소 개조에 특히 적합하다. 스크린 표면을 포켓형으로 설계함으로써 유입 흐름이 5개의 방향으로 흘러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외측 치수에 대응하는 평면 스크린 표면으로 구성되는 방호 스크린보다 5배 내지 20배 더 큰 유효 스크린 영역을 갖는다. 유효 스크린 영역이 크기 때문에, 스크린 영역을 덮는 찌꺼기 및 이물질과 물의 유입 속도가 실질적으로 관통 흐름 저항을 더 낮추게 되고, 이로써 방호 스크린에 걸쳐 발생되는 압력 강하가 이에 상응하여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스크린의 다른 장점은 카세트부로 조립된 스크린 벽 부재의 가압성(pressure loadability)이다. 응력으로 지지되는 카세트부 각각의 벽 및 중간 벽과 U자 형상으로 만곡된 벽 세그멘트가 그리드형의 보강 리브 네트워크를 형성하므로 카세트부는 고도의 형상 안정성을 갖고, 예를 들면, 대응하는 치수를 가진 파형 시트 금속보다 더 높은 압력을 받을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 및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냉각수 흡입 위치, 구체적으로는 원자력 발전소, 특히 PWR 발전소의 수조 영역 내의 흡입 위치에 대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스크린(1)은 흡입관(5)에 의하여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펌프에 연결되는 흡입 공간(3) 상측에 배열된다. 펌프에 의하여 흡입 공간(3)으로부터 배출된 흡입 흐름(7)은 흡입 공간에 배열된 흡입관(5)의 유입구(6) 내를 통과한다. 흡입 공간(3)은 방호 스크린(1)에 의하여 상단 쪽으로 경계를 이루고, 예를 들면, 콘크리트로 구성될 수 있는 벽(4)에 의하여 다른 방향으로 경계를 이룬다. 방호 스크린(1)은 흡입 공간(3)을 상단으로부터 차단하고, 냉각수를 따라 반송되는 예를 들면 단열재 조각 등의 찌꺼기 및 이물질이 흡입 공간(3) 및 흡입관(5)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앵글 섹션, T-섹션 또는 H-섹션과 같은 강철 섹션을 포함할 수 있는 지지 부재(1a)가 방호 스크린(1)이 배열되어 있는 흡입 공간(3)의 상단부에 제공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방호 스크린(1) 및 흡입 공간(3)은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안전 용기의 수조 영역을 덮는 수위(8) 하측에 배열된다. 실시예에서는 방호 루프(protective roof)(9)가 방호 스크린(1) 상측에 상기 방호 스크린과 이격되어 제공된다. 방호 루프는 방호 스크린이 기계적인 손상을 입지 않도록 방호 스크린을 지나 측면으로 보호한다. 또한, 찌꺼기 레이크(debris rake)(9a)가 보다 큰 찌꺼기 조각을 걸를 수 있도록 방호 루프(9)와 벽(4) 사이의 방호 스크린(1) 쪽으로 유입 영역에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스크린의 스크린 벽 부재를 가진 흡입 위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스크린 벽 부재(2)는 한쪽 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히 배열된 4개의 모듈형 직사각형 카세트부(11.1 - 11.4)로 제조된다. 원하는 치수의 스크린 벽 부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당연히 카세트부의 개수 및 배열은 변경시킬 수 있다. 카세트부(11.1 - 11.4)의 배치는 다음 섹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크린 벽 부재(2)는 흡입측(12), 및 본 발명의 사시도에서는 보이지 않는 배출측을 갖는다. 스크린 벽 부재(2)는, 한쪽은 스크린 벽 부재(2)에 의하여 형성되고 반대쪽은 예를 들면 콘크리트 플레이트일 수 있는 벽 부재(4)에 의하여 형성되는 흡입 공간(3) 상측에 배열된다. 안전 용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상이한 구조부를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 용기 내에 벽 부재(4)로서 사용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평행으로 배열된 빔 및/또는 스페이서 부재(1a)가 스크린 벽 부재(2)가 고정되는 벽 부재(4) 상에 배열된다. 예를 들면, H-형 강철 섹션으로 제작될 수 있는 빔 부재 또는 스페이서 부재는 흡입 공간(3)용 횡방향 경계로서 동시에 기능한다.
도 2에는 흡입 공간(3)이 2개의 잔여 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므로, 흡입 위치의 구조를 더 잘 알아볼 수 있다. 구조를 완성하기 위하여 흡입 공간(3)은 개방된 쪽이 벽 부재에 의하여 폐쇄되어야 하고, 또한 흡입관의 유입구가 도시된 영역 외측에 위치되는 경우 이에 상응하여 길게 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흡입 공간의 복수개의 경계면은 스크린 벽 부재에 의하여 차단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조 환경에 맞는 예를 들면 홉입 몸체, 또는 스크린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카세트부의 사시도이다. 카세트부(11)는 흡입측(12) 및 배출측(13)을 갖고, 필요에 따라 외벽(14.1, 14.2) 및 하나 이상의 중간 벽(15.1, 15.2)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 및 중간 벽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또한, 카세트부(11)는 흡입 포켓(17.1, 17.2)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벽(14.1, 14.2)과 중간 벽(15.1, 15.2) 사이에 만곡되고 천공된 벽 세그멘트(16.1, 16.2)를 포함한다. 만곡된 벽 세그멘트는, 예를 들면, U자 형상, V자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렬로 배열된 벽 세그멘트(16.1, 16.2)는 기다란 사행부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14.1, 14.2) 및/또는 중간 벽(15.1, 15.2) 및/또는 만곡된 벽 세그멘트(16, 16.1, 16.2)는 천공된 시트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공된 구멍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1 내지 10mm 범위 이내이고, 2 내지 5mm가 바람직하다. 흡입 포켓(17.1, 17.2)은 0.1mm 이상, 특히 0.2mm 이상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14.1, 14.2) 및/또는 중간 벽(15.1, 15.2)은 실시예에서는 연결 부재(18.1, 18.2)에 의하여 연결되고 함께 클램프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카세트부의 실시예의 단면을 확대시킨 사시도이다.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 카세트부(11)의 벽 및/또는 중간 벽은 천공되고 이중 벽(14.1', 14.1", 14.2', 14.2", 15.1', 15.1", 15.2', 15.2")으로서 형성된다. 이중 벽은 배출 갭(21, 21.1, 21.2)을 형성하도록 흡입측을 향하여 개방되고 배출측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 벽 때문에, 흡입 포켓(17)은 상기 배출 갭(21, 21.1, 21.2)에 의하여 적어도 2개의 측면 상에서 둘러싸이고, 흡입 포켓으로부터 이중 벽 내로 흐르는 물이 상기 배출 갭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2개의 흡입 포켓이 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단면도이다. 벽 및 중간 벽은 상기 변형예에서 이중 벽(14.1', 14.1", 14.2', 14.2", 15.1', 15.1")으로서 또한 제작된다. 이중 벽은, 예를 들면, 상기 이중 벽이 흡입측을 향하여 폐쇄되는 반면, 배출측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설계되는 2개의 천공되고 이격된 벽 부분으로 각각 형성된다. 천공된 U자 형상의 만곡된 벽 세그멘트(16.1, 16.2)는 각각 이중 벽(14.1', 14.1", 14.2', 14.2", 15.1', 15.1")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이중 벽과 함께 흡입 포켓(17.1, 17.2)을 형성한다. 이중 벽은 상기 배열에서는 횡방향 배출 갭(21, 21.1, 21.2)으로서 기능하고, 상기 배출 갭을 통해 횡방향으로 유입되는 흐름이 흡입 포켓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도면 부호(25)는 흡입측 유입 방향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26)는 배출 방향을 나타낸다. 흡입 포켓으로부터 배출되는 추가의 배출 흐름은 천공된 U자 형상의 만곡된 벽 세그멘트(16.1, 16.2)를 통해 흐른다. 이중 벽(14.1', 14.1", 14.2', 14.2", 15.1', 15.2") 및/또는 이중 벽의 벽 부분은, 예를 들면, 스크루, 나사산을 가진 볼트 또는 핀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 연결 부재(18.1, 18.2)에 의하여 연결되고, 서로 맞대어 클램프될 수 있다. 이중 벽 중 벽 부분의 상호 공간은, 예를 들면, 스페이서 부재(24, 24.1, 24.2)에 의하여 고정되는 반면, 이중 벽 사이의 거리는 천공된 U자 형상의 만곡된 벽 세그멘트(16.1, 16.2)에 의하여 경계가 정해진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변형예에 따른 일렬로 배열된 흡입 포켓의 종단면도이다. 일렬로 배열된 천공된 U자 형상의 만곡된 벽 세그멘트가 기다란 형상의 사행부(16) 내에 형성된다. 상기 사행부는, 예를 들면, 천공된 시트 금속을 벤딩 작업에 의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행부(16)에는 배출 갭(22, 22.1)이 흡입측을 향하여 폐쇄되고 배출측을 향하여 개방되는 U자 형상의 만곡된 벽 세그멘트 사이에 형성된다. 도면 부호(25)는 흡입측 유입 방향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26)는 배출 방향을 나타낸다. U자 형상의 만곡된 벽 세그멘트는, 벽 또는 이중 벽(15.1)과 함께, 흡입 포켓(17.1, 17.2, 17.n)을 형성한다.
도 5a 및 도 5b의 변형예에 따른 흡입 포켓은 이들 흡입 포켓이 배출 갭(22, 22.1, 22.2, 22, 22.1)에 의하여 사방이 둘러싸인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흡입 포켓의 베이스를 통해 흡입되는 유입 흐름은 배출측으로 바로 배출될 수 있고, 즉 흡입 포켓으로부터의 유입 흐름은 방해 저항없이 모든 측면으로 배출된다. 도 5c는 유입 흐름의 배출 방향(26, 26.1, 26.2, 26.3, 26.4)이 표시된 흡입 포켓(17)의 사시도이다.
종래 구조의 평면형 방호 스크린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스크린은 동일한 길이 및 폭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더 큰 유효 영역을 갖는다. 따라서 흡입 표면을 덮는 찌꺼기 및 이물질이 통과 흐름 저항을 실질적으로 더 낮추므로, 본 발명의 방호 스크린에 걸쳐 발생되는 압력 강하가 이에 상응하여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스크린의 다른 장점은 형상 안정성 및 압력이 로드되는 성능이 비교적 높을 뿐만 아니라 설치 작업 및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한 단단한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스크린을 가진 흡입 위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 스크린의 스크린 벽 부재를 가진 흡입 위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카세트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카세트부의 변형예의 확대도이다.
도 5a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두 개의 인접하여 배치된 흡입 포켓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변형예에 따른 일렬로 배열된 흡입 포켓의 종단면도이다.
도 5c는 유입되는 흐름의 배출 방향이 표시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변형예에 따른 흡입 포켓의 사시도이다.

Claims (9)

  1. 흡입 공간(3) 및 상기 흡입 공간에 연결된 흡입관(5), 특히 원자력 발전소의 비상 냉각 시스템의 흡입 공간 및 흡입관을 차단하는 방호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방호 스크린(1)은, 흡입측(12) 및 배출측(13)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벽 부재(2)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벽 부재(2)는, 하나 이상의 모듈형 직사각형 카세트부(11, 11.1 - 11.4)로 제작되며,
    상기 카세트부(11, 11.1 - 11.4) 각각은, 상기 흡입측(12)을 향하여 개방되는 복수의 스크린 포켓(17, 17.1, 17.2)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포켓(17, 17.1, 17.2)은, 상기 배출측(13)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배출측(13)을 향하여 개방되는 배출 갭(21, 21.1, 21.2, 22, 22.1)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방호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부(11, 11.1 - 11.4)는 상기 스크린 벽 부재(2)를 원하는 치수로 조립하기 위하여 일렬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스크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포켓(17, 17.1, 17.2)은 배출 갭(21, 21.1, 21.2, 22, 22.1)에 의하여 4면이 각각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스크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부(11, 11.1 - 11.4)는 이격된 벽(14.1, 14.2, 14.1', 14.1", 14.2', 14.2") 및/또는 중간벽(15.1, 15.2, 15.1', 15.1", 15.2', 15.2")과, 상기 흡입 포켓(17, 17.1, 17.2)을 형성하도록 상기 벽 및/또는 중간벽 사이에 배열된 만곡되고 천공된 벽 세그멘트(16, 16.1, 16.2), 특히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만곡되고 천공된 벽 세그멘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스크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포켓(17, 17.1, 17.2)은 0.1m 이상, 특히 0.2m 이상의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스크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부(11, 11.1 - 11.4)의 상기 벽(14.1, 14.2, 14.1', 14.1", 14.2', 14.2") 및/또는 상기 중간벽(15.1, 15.2, 15.1', 15.1", 15.2', 15.2")은 이중 벽 및/또는 배출 갭(21, 21.1, 21.2, 22)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스크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부(11, 11.1 - 11.4)의 상기 벽(14.1, 14.2, 14.1', 14.1", 14.2', 14.2") 및/또는 상기 중간벽(15.1, 15.2, 15.1', 15.1", 15.2', 15.2")은 연결 부재(18.1, 18.2)에 의하여 서로 맞대어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스크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벽(14.1, 14.2, 14.1', 14.1", 14.2', 14.2") 및/또는 중간벽(15.1, 15.2, 15.1', 15.1", 15.2', 15.2") 사이의 공간, 및/또는 이중벽의 두 개의 측면(14.1', 14.1", 14.2", 15.1', 15.1", 15.2', 15.2") 사이의 공간은 스페이서 부재(24, 24.1, 24.2)에 의하여 경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스크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14.1, 14.2, 14.1', 14.1", 14.2', 14.2") 및/또는 중간벽(15.1, 15.2, 15.1', 15.1", 15.2', 15.2") 및/또는 상기 천공되고 만곡된 벽 세그멘트(16, 16.1, 16.2)는 천공된 시트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 스크린.
KR1020040025797A 2004-01-29 2004-04-14 흡입 공간을 차단하는 방호 스크린 KR100684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405055A EP1559467B1 (de) 2004-01-29 2004-01-29 Schutzsieb zum Abschirmen eines Saugraums
EP04405055.7 2004-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709A true KR20050077709A (ko) 2005-08-03
KR100684820B1 KR100684820B1 (ko) 2007-02-20

Family

ID=3463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797A KR100684820B1 (ko) 2004-01-29 2004-04-14 흡입 공간을 차단하는 방호 스크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22164B1 (ko)
EP (1) EP1559467B1 (ko)
JP (1) JP3854291B2 (ko)
KR (1) KR100684820B1 (ko)
AT (2) ATE316413T1 (ko)
DE (2) DE502004000263D1 (ko)
ES (2) ES2257730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5665A1 (ko) * 2010-06-07 2011-12-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5673B2 (ja) * 2008-07-31 2012-02-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原子炉格納容器用ストレーナ
JP2010271147A (ja) * 2009-05-20 2010-12-02 Mitsubishi Heavy Ind Ltd 原子炉格納構造
US9266045B2 (en) * 2009-10-13 2016-02-23 Control Components, Inc. Increased efficiency strainer system
US9233324B2 (en) * 2009-10-13 2016-01-12 Control Components, Inc. Increased efficiency strainer system
KR101016549B1 (ko) * 2010-08-12 2011-02-24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KR101719863B1 (ko) 2011-06-01 2017-04-04 트랜스코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핵발전소의 비상 코어 냉각 시스템용 고성능 흡입 스트레이너
US9997264B2 (en) * 2012-02-14 2018-06-12 Control Components, Inc. Enhanced nuclear sump strainer system
US9416920B2 (en) * 2012-04-19 2016-08-16 Edgar Veinbergs Adjustable liquid strainer
CN103047196A (zh) * 2012-12-20 2013-04-17 济南裕兴化工有限责任公司 风机进风口空气过滤器
WO2015169752A1 (de) 2014-05-08 2015-11-12 Cci Ag Filtereinrichtung zur anordnung an und/oder in einer flüssigkeitsfördereinrichtung
JP2017116351A (ja) 2015-12-22 2017-06-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再循環サンプスクリーンのバイパス異物量の評価方法
CA3078556A1 (en) * 2017-10-06 2019-04-11 Candu Ener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fluid in nuclear power generation
CA3077753A1 (en) * 2019-04-12 2020-10-12 Cameron Farms Hutterite Colony Fluid pump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6382A (en) * 1964-08-19 1967-06-20 Rosaen Filter Co Filter element
US4049406A (en) * 1976-04-23 1977-09-20 American Air Filter Company, Inc. Fluid filter housing and assembly
DE2751640A1 (de) * 1977-11-17 1979-05-23 Delbag Luftfilter Gmbh Austauschbares filterelement, insbesondere fuer kerntechnische anlagen, zur reinigung von mit toxischen oder radioaktiven bestandteilen beladenen luft- oder gasstroemen und verfahren zum austausch und zur beseitigung von volumenverringerbaren verseuchten filterelementen in abfallbehaelter
US4376091A (en) * 1979-04-02 1983-03-08 Zurn Industries, Inc. Mechanical strainer unit
DE3004682C2 (de) * 1980-02-08 1986-03-27 Siegfried 6073 Egelsbach Ruhnke Verfahren zur Schlammaufbereitung mit einem Schlammförder- und -transportfahrzeug, sowie Fahrzeu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S60179310U (ja) 1984-05-09 1985-11-28 山下新日本汽船株式会社 ストレ−ナ
US5080699A (en) * 1990-11-20 1992-01-14 Trion, Inc. Filter apparatus
FR2682213B1 (fr) * 1991-10-04 1994-01-07 Framatome Embout inferieur d'un assemblage combustible pour reacteur nucleaire refroidi a l'eau.
US5483564A (en) * 1993-04-12 1996-01-09 General Electric Company Lower tie plate strainers including double corrugated strainers for boiling water reactors
US5611936A (en) * 1994-12-23 1997-03-18 Research Corporation Technologies, Inc. Dechlorination of TCE with palladized iron
CH689687A5 (de) * 1995-01-20 1999-08-31 Hug Eng Ag Russfilteranlage.
US5696801A (en) * 1995-08-24 1997-12-09 Performance Contracting, Inc. Suction strainer with a internal core tube
WO1997036664A1 (en) 1996-04-01 1997-10-09 Continuum Dynamics, Inc. High capacity, low head loss, suction strainer for nuclear reactors
US5759399A (en) * 1997-01-08 1998-06-02 Continuum Dynamics, Inc. High capacity, low head loss, suction strainer for nuclear reactors
JPH09329683A (ja) * 1996-06-07 1997-12-22 Hitachi Ltd 原子炉圧力抑制装置及びその冷却水スプレー系補修方法
DE59609126D1 (de) * 1996-07-12 2002-05-29 Cci Ag Winterthur Saugsieb zum Abschirmen einer Eintrittsöffnung einer Saugleitung einer Pumpe
US5705054A (en) * 1996-08-08 1998-01-06 Imatran Voima Oy Filtering system
JP3044338B2 (ja) * 1996-09-13 2000-05-22 原子燃料工業株式会社 Pwr燃料集合体
US7282142B2 (en) * 2002-04-22 2007-10-16 Kraft Wayne J Fluid strainer assembly
EP1559468B1 (de) * 2004-01-29 2008-03-12 Cci Ag Siebwand zum Abschirmen eines Saugrau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5665A1 (ko) * 2010-06-07 2011-12-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004006486D1 (de) 2008-04-24
JP3854291B2 (ja) 2006-12-06
ES2301958T3 (es) 2008-07-01
DE502004000263D1 (de) 2006-04-13
JP2005214960A (ja) 2005-08-11
ES2257730T3 (es) 2006-08-01
US7822164B1 (en) 2010-10-26
ATE316413T1 (de) 2006-02-15
EP1559467B1 (de) 2006-01-25
KR100684820B1 (ko) 2007-02-20
EP1559467A1 (de) 2005-08-03
ATE388746T1 (de) 200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820B1 (ko) 흡입 공간을 차단하는 방호 스크린
KR100707410B1 (ko) 흡입 공간을 차폐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US8475659B2 (en) Strainers for emergency core cooling systems—ECCS
EP2031599B1 (en) Debris shield for upper tie plate in a nuclear fuel bundle and method for filtering debris
FI94682B (fi) Jätesietoinen polttoainesovitelma
KR101016549B1 (ko)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스트레이너 벽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JP5253467B2 (ja) 濾過管を含むストレーナ濾過装置
EP1291883B1 (en) Foreign matter filter for fuel assembly in pressurized water reactor
EP2487690B1 (en) Debris exclusion and retention device for a fuel assembly
EP1647995A1 (en) Floor tile debris interceptor and transition plenum in a nuclear power plant
CN111095431A (zh) 核反应堆燃料组件
JP2006113066A5 (ko)
US8517053B2 (en) Cartridge type vortex suppression device
CN110914920B (zh) 具有保护性上部结构的核电站
EP1371065B1 (en) Filter and fuel assembly for a light-water nuclear reactor
RU2795981C1 (ru) Активная зона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EP1653479B1 (en) Trash rack arrangement for drywell connecting v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