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975A - 부드러움이 개선된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부드러움이 개선된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975A
KR20050075975A KR1020040003728A KR20040003728A KR20050075975A KR 20050075975 A KR20050075975 A KR 20050075975A KR 1020040003728 A KR1020040003728 A KR 1020040003728A KR 20040003728 A KR20040003728 A KR 20040003728A KR 20050075975 A KR20050075975 A KR 20050075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flame retardant
weight
parts
polypropyle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중
Original Assignee
선일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일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일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3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5975A/ko
Priority to CNB2004100434469A priority patent/CN100422255C/zh
Publication of KR20050075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9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61H2205/125Foot reflex z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드러움이 개선된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본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특정 비율의 폴리프로필렌 이외의 부가수지 및 특정 비율의 저비중 탄산칼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드러움이 개선된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난연성 및 난드립성을 지니며,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연신사는, 종래의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연신사에 비하여 개선된 부드러움을 갖는다.

Description

부드러움이 개선된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FLAME RETARDANT AND NONDRIPPING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EXTENSIBLE FIBER HAVING ENHANCED SOFTNESS}
본 발명은 부드러움이 개선된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본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특정 비율의 폴리프로필렌 이외의 부가수지 및 특정 비율의 저비중 탄산칼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드러움이 개선된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우수한 가공특성, 내약품성, 내후성, 기계적 강도 등으로 인해 가정용 전기제품, 건축자재, 내부장식재, 자동차 부품 등의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본래 인화성 물질이므로, 일반적으로 각종 유기계 또는 무기계 난연제와 같은 통상의 난연제를 첨가하므로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난연특성을 부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전기적인 절연특성, 제조상의 편리함을 위한 기계적 특성 및 내화학적 특성 등이 우수하여, 전선 및 통신용 케이블 등의 개재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난연제의 첨가에 의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성형성이 저하되어 가공성이 나빠지고, 이차 가공 또는 연소시에 유독성 기체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할로겐 화합물과 같은 통상의 난연제를 사용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로 성형된 제품은, 화재시 유독성 가스 및 짙은 연기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온에서도 신율이 낮아 연신사 등과 같은 제품에 적용하기 매우 곤란하였다. 또한, 종래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로 제조된 연신사의 경우, 화재시 연신사로부터 드립(dripping)이 발생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저비중의 탄산칼슘을 포함시키므로써, 난연성 및 난드립성이 부여된 연신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대한민국공개특허 2002-7757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연신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연신사의 경우, 난연성 및 난드립성은 갖게 되나, 연신사 자체가 상당히 뻣뻣해지게 되어, 가발사 등과 같이 특히 부드러움이 요구되는 용도로는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난연성 및 난드립성이 우수하면서도, 보다 개선된 부드러움을 갖는 연신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갖는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난연성 및 난드립성을 가지면서도, 부드러움이 개선된 연신사를 제조할 수 있는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본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 폴리프로필렌 이외의 부가수지 5~40중량부 및 비중이 0.9 이하인 탄산칼슘 30~20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는 통상의 연신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기본수지로서 사용가능하고, 호모 폴리머, 랜덤 코폴리머 및 임팩트 코폴리머 중에서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용도에 따라서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부가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및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프로필렌 기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40중량부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연신사의 부드러움이 충분치 않게 되고, 40중량부를 초과하면, 그 수지 조성물의 인장강도 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부가수지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수지가 부가수지로서 사용가능하고, 용도에 따라서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의 용융지수(Melt Index, MI)는 3g/10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데, 용융지수가 3g/10분을 초과하면, 연신사 제조시 작업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부가수지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로는, 연신사의 제조에 쓰이는 수지 조성물에 적합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라면,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에 특별한 제한이 없이 부가수지로서 사용가능하나,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너무 높으면 제조된 연신사에서 초산 냄새가 강하게 나서 상품성이 낮아질 염려가 있으므로,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30중량% 이하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부가수지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지로는, 연신사의 제조에 쓰이는 수지 조성물에 적합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지라면, 아크릴레이트 함량에 특별한 제한이 없이 부가수지로서 사용가능하나, 아크릴레이트 함량이 너무 높으면 제조된 연신사가 점착성을 띠게 될 염려가 있으므로, 아크릴레이트 함량이 30중량% 이하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탄산칼슘으로는, 그 비중이 0.9 이하, 바람직하게는 0.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이하인 것이 사용가능하다. 또한, 그 입도는 400메쉬~1㎛, 바람직하게는 2,000메쉬~1㎛의 범위인 것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탄산칼슘은 폴리프로필렌 기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30~200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150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칼슘의 함량이 30중량부 미만이면, 원하는 수준의 난연성 및 난드립성을 얻을 수 없고, 200중량부를 초과하면, 난연성 및 난드립성이 더 이상 향상되지 않고 물성만 하락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카올린 점토, 활석(talc), 플라이-애쉬(fly-ash) 등과 같은 무기 충전재를 하나 또는 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재에 있어서, 상기 카올린 점토는 내약품성이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이 산과 접촉하는 용도에 사용될 경우, 탄산칼슘의 취약한 내산성을 보완하는 용도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활석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연신사의 열변형 온도를 보다 향상시키는 용도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플라이-애쉬는 수지 조성물의 난드립성을 보다 개선시키는 용도로 사용가능하며, 1000메쉬 이상의 입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환경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더 포함되는 상기 무기 충전재의 총함량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탄산칼슘 함량과의 중량비로 탄산칼슘:무기 충전재=1:0.05~1:0.7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칼슘 함량에 대한 무기 충전재의 총함량의 상기 함량비가 0.05 미만이면, 무기 충전재를 첨가하므로써 의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0.7을 초과하면, 수지 조성물의 가공특성이 나빠진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 기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계 난연제 5~25중량부, 브롬계 난연제 5~25중량부, 삼산화 안티몬 2~10중량부 및 수산화 마그네슘 30~10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인계 난연제로는 통상의 적인 또는 적인을 페놀 수지 등으로 코팅한 인계 난연제가 사용될 수 있고, 그 함량은 5~25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인계 난연제의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난연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고, 25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성 및 난드립성이 나빠지고, 수지 조성물의 연소시 다량의 유독성 기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브롬계 난연제로는 통상의 유기계 및 무기계 브롬계 난연제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브로미네이티드 디페닐 옥사이드계, 더욱 바람직하게는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Ph2Br10O)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그 함량은 5~25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브롬계 난연제의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난연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고, 25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성 및 난드립성이 나빠지고, 수지 조성물의 연소시 다량의 유독성 기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삼산화 안티몬 및 수산화 마그네슘으로는, 난연조제로서 판매되는 통상의 제품이 사용될 수 있고, 그 함량은 각각 2~10중량부 및 30~1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삼산화 안티몬 및 수산화 마그네슘의 함량이 상기한 각각의 하한값 미만이면, 난연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고, 각각의 상한값을 초과하면, 가공성이 나빠진다.
상기한 것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공 특성 또는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통상의 산화방지제 또는 스테아린산과 같은 가공 조제 등과 같은 각종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일축압출기, 이축압출기, 반바리믹서, 롤믹서 등의 혼련기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통상 압출기 등으로 혼련하여 펠렛상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부드러움이 개선된 난연성 및 난드립성 연신사가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및 난드립성 연신사는 통상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시트상으로 혼련 및 압출하는 단계, 상기 수지 조성물 시트를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는 단계 및 이를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로 인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기본수지로서 용융지수(D1238)가 2.0g/10분인 호모 폴리프로필렌(PP) 수지 100중량부, 부가수지로서 용융지수(D1238)가 2.0g/10분인 폴리에틸렌(PE) 수지 20중량부, 비중이 0.4이고 입도가 2,000메쉬인 탄산칼슘(CaCO3) 100중량부, 용제 10중량부 및 통상의 첨가제를 5분동안 교반·혼합시켰다. 본 실시예 및 이하의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서 제조되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주요성분들 및 그 조성비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생성된 혼합물을 통상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고, 물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인장하중) 및 신장율의 측정은 KS M 3001-96의 시험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난연성은 KS M 3030-95의 시험법에 의해 측정하였다(난연성: 2급 - 우수, 3급 - 양호). 또한, 얻어진 펠렛으로 시편을 제조한 뒤, 이를 가열하면서 육안 관찰하므로써, 난드립성을 측정 및 평가하였다(난드립성: O - 있음, X - 없음).
또한, 상기에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시트상으로 혼련 및 압출하고 일정한 폭으로 절단한 다음, 이를 연신하여 연신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연신사를 30cm 길이로 절단한 다음, 절단된 연신사 100가닥을 모아 관능평가용 시험재료를 만들고, 이에 대하여 남자 10명 및 여자 10명으로 구성된 관능평가단이 촉감 관능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평균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 연신사의 부드러움을 측정하였다(부드러움: 1 - 매우 부족, 2 - 부족, 3 - 보통, 4 - 우수, 5 - 매우 우수). 측정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부가수지로서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5중량%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수지 20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성분들을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고, 물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렛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사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연신사의 부드러움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부가수지로서 아크릴레이트 함량이 18중량%인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EMA) 공중합체 수지 20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성분들을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고, 물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렛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사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연신사의 부드러움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부가수지로서 용융지수(D1238)가 2.0g/10분인 폴리에틸렌 수지 20중량부,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5중량%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10중량부 및 아크릴레이트 함량이 18중량%인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지 10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성분들을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고, 물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렛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사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연신사의 부드러움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부가수지로서 용융지수(D1238)가 2.0g/10분인 폴리에틸렌 수지 2중량부,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5중량%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2중량부 및 아크릴레이트 함량이 18중량%인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지 1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성분들을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고, 물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렛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사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연신사의 부드러움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부가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비중이 0.4이고 입도가 2,000메쉬인 탄산칼슘을 25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성분들을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고, 물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렛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사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연신사의 부드러움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부가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성분들을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고, 물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렛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사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연신사의 부드러움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부가수지로서 용융지수(D1238)가 2.0g/10분인 폴리에틸렌 수지 50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성분들을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고, 물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렛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사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연신사의 부드러움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6
비중이 0.4이고 입도가 2,000메쉬인 탄산칼슘을 70중량부 사용하고 카올린 점토 30중량부를 더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성분들을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고, 물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렛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사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연신사의 부드러움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7
비중이 0.4이고 입도가 2,000메쉬인 탄산칼슘을 60중량부 사용하고, 카올린 점토 20중량부 및 활석 20중량부를 더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성분들을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고, 물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렛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사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연신사의 부드러움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4
부가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성분들을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고, 물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렛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사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연신사의 부드러움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인계 난연제 10중량부,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DBPO) 10중량부, 삼산화 안티몬(SbO3) 5중량부 및 수산화 마그네슘(Mg(OH)2) 40중량부를 더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성분들을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고, 물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렛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사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연신사의 부드러움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5
부가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성분들을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고, 물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렛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사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연신사의 부드러움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인계 난연제 10중량부,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 10중량부, 삼산화 안티몬 5중량부 및 수산화 마그네슘 40중량부를 더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성분들을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고, 물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렛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사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연신사의 부드러움을 측정하였다.
[표 1] (단위:중량부)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8 9 1 2 3 4 5
PP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PE 20 - - 20 2 20 20 20 20 - - 50 - -
EVA - 20 - 10 2 - - - - - - - - -
EMA - - 20 10 1 - - - - - - - - -
CaCO3 100 100 100 100 100 70 60 100 60 25 100 100 60 100
카올린점토 - - - - - 30 20 - 20 - - - 20 -
활석 - - - - - - 20 - 20 - - - 20 -
인계난연제 - - - - - - - 10 10 - - - - 10
DBPO - - - - - - - 10 10 - - - - 10
SbO3 - - - - - - - 5 5 - - - - 5
Mg(OH)2 - - - - - - - 40 40 - - - - 40
[표 2]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8 9 1 2 3 4 5
인장하중(kgf) 8.3 8.2 8.2 8.1 8.4 8.2 8.2 9.6 9.6 7.6 8.4 7.8 8.3 9.7
신장율(%) 16 17 17 18 15 16 16 12 12 23 15 20 15 11
난연성(급) 3 3 3 3 3 3 3 2 2 완전연소 3 3 3 2
난드립성 O O O O O O O O O X O O O O
부드러움 4.6 4.7 4.7 4.9 4.1 4.4 4.5 4.4 4.3 2.7 1.7 4.7 1.9 1.4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종래의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과 동등한 수준의 기계적 특성, 난연성 및 난드립성을 유지하면서도, 부드러움이 보다 개선된 연신사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난연성 및 난드립성을 지니며,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연신사는, 종래의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연신사에 비하여 개선된 부드러움을 갖는다.

Claims (11)

  1. 기본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 폴리프로필렌 이외의 부가수지 5~40중량부 및 비중이 0.9 이하인 탄산칼슘 30~20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및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되고, 용융지수가 3g/10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는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3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지는 아크릴레이트 함량이 3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칼슘의 비중은 0.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무기 충전재의 총함량이 상기 탄산칼슘 함량과의 중량비로 탄산칼슘:무기 충전재=1:0.05~1:0.7이 되도록 무기 충전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재는 카올린 점토, 활석 및 플라이-애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계 난연제 5~25중량부, 브롬계 난연제 5~25중량부, 삼산화 안티몬 2~10중량부 및 수산화 마그네슘 30~10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시트상으로 혼련 및 압출하는 단계, 상기 수지 조성물 시트를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는 단계 및 이를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난연성 및 난드립성 연신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인계 난연제 5~25중량부, 브롬계 난연제 5~25중량부, 삼산화 안티몬 2~10중량부 및 수산화 마그네슘 30~10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및 난드립성 연신사.
KR1020040003728A 2004-01-19 2004-01-19 부드러움이 개선된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050075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728A KR20050075975A (ko) 2004-01-19 2004-01-19 부드러움이 개선된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B2004100434469A CN100422255C (zh) 2004-01-19 2004-05-12 柔软度改善的用作拉伸丝的阻燃性和防滴性聚丙烯树脂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728A KR20050075975A (ko) 2004-01-19 2004-01-19 부드러움이 개선된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975A true KR20050075975A (ko) 2005-07-26

Family

ID=34880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728A KR20050075975A (ko) 2004-01-19 2004-01-19 부드러움이 개선된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50075975A (ko)
CN (1) CN100422255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838B1 (ko) * 2007-08-07 2008-09-29 다이나믹(주) 인조대리석의 폐기물을 이용한 난연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4284A (zh) * 2019-11-11 2020-01-14 南通新帝克单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聚丙烯膜裂丝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56A (zh) * 1988-06-16 1990-01-03 中山大学 增韧型碳酸钙填充聚丙烯的制备方法
JP3254021B2 (ja) * 1992-12-14 2002-02-04 三菱化学株式会社 色相の改良された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US6364988B1 (en) * 1999-09-13 2002-04-02 Nan Ya Plastics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 3-layer co-extruded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synthetic paper of thickness 25-250 μm
CN1191300C (zh) * 2002-01-28 2005-03-02 四川大学 聚丙烯/弹性体/无机填料三元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838B1 (ko) * 2007-08-07 2008-09-29 다이나믹(주) 인조대리석의 폐기물을 이용한 난연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22255C (zh) 2008-10-01
CN1644614A (zh) 200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35955B (zh) 无卤阻燃热塑性弹性体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1268138B (zh) 阻燃性聚合组合物
EP1130054B1 (en)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CN103351525B (zh) 一种高光泽阻燃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111617A (zh) 铝塑板阻燃芯层以及铝塑板
AU740250B2 (en) Flame retardant polyolefin compositions
CN102863691A (zh) 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982182A (zh) 一种高分子环保弹性隔音材料及其制备方法
JPH08239516A (ja) 耐寒性、ハロゲンフリーの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US20080161466A1 (en) Composition For Production Flame Retardant Insulating Material of Halogen Free Type Using Nano-Technology
JPH02265969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難燃剤
JP2007056150A (ja)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US6753372B1 (en) Flame retardant polyolefin compositions
KR100997052B1 (ko) 폴리프로필렌용 난연 가요전선관 마스터벳치 조성물
JP3955765B2 (ja) カラーマスターバッチ組成物、それを用いた着色難燃性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KR20050075975A (ko) 부드러움이 개선된 연신사용 난연성 및 난드립성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415481B1 (ko) 난드립성 연신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0796730B1 (ko) 내 블루밍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11621081A (zh) 一种抗菌环保阻燃弹性体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S645063B2 (ko)
KR920003229B1 (ko)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20100000984A (ko) 기계적 물성 향상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저감된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KR100624253B1 (ko) 비할로겐계 고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KR101081557B1 (ko) 난드립성이 개선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미드 연신사
JP3801657B2 (ja)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