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952A -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 - Google Patents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952A
KR20050075952A KR1020040003695A KR20040003695A KR20050075952A KR 20050075952 A KR20050075952 A KR 20050075952A KR 1020040003695 A KR1020040003695 A KR 1020040003695A KR 20040003695 A KR20040003695 A KR 20040003695A KR 20050075952 A KR20050075952 A KR 20050075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support
fitting portion
tension
shaped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석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영이엔지
배석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영이엔지, 배석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영이엔지
Priority to KR1020040003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5952A/ko
Publication of KR20050075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95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확대기초에 설치되는 말뚝에 X자형 좌대부를 설치하여, 이 X자형 좌대부의 양단부를 보에 지지하여 보의 처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 X자형 좌대부와 보의 상부를 수직으로 인장함으로써 보의 처짐을 이중으로 방지하는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는, 2개의 말뚝 상부에 끼워지는 끼움부와 끼움부를 서로 연결하는 가로대와 끼움부 상부에 위치하여 말뚝 상부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구와 고정구를 서로 연결하는 가로대 및 끼움부와 고정구에 결합되며 끼움부와 고정구 사이에 교차부가 형성되도록 연장되어 보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X자형 좌대부와, 보의 상부와 지지대의 교차부 하부를 서로 연결하여 인장하는 인장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는 X자형 좌대부의 지지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와 X자형 좌대부와 보의 상부를 수직으로 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를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보의 처짐을 이중으로 방지하여 극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보의 강성을 크게 하고 이에 따라 보조거더를 더 설치할 수 있어 경간을 더 길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경간을 길게 함으로써, 말뚝의 설치개소를 줄여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Deflection of Beam by Vertical Tension at Post}
본 발명은 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확대기초에 설치되는 말뚝에 X자형 좌대부를 설치하여, 이 X자형 좌대부의 양단부를 보에 지지하여 보의 처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 X자형 좌대부와 보의 상부를 수직으로 인장함으로써 보의 처짐을 이중으로 방지하는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 사용되는 보(Beam)는 말뚝(기둥) 사이에 설치되며, 보의 중앙에서 처짐이 발생된다. 이러한 보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구조로 되어 처짐을 방지하였다.
종래에 사용된 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도 1a, 도 1b, 도 2 및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1a에 도시된 구조는 보(100)의 양단 하부에 강선(101)을 고정하여 이 강선의 인장력에 의해 보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며, 도 1b에 도시된 구조는 보(100)의 양단 상부와 보의 중앙 하부를 강선(101)으로 고정하여 강선의 인장력에 의해 보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보의 처짐방지구조는 강선의 하중한계가 있어 경간의 길이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보에 작용하는 반복하중에 의해 강선이 늘어나게 되어 보의 처짐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 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184631호(명칭; 보의 처짐방지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100)의 양단 상부에 지지선부재(102)를 고정하고 보의 하단에 설치된 프레임(103)과 지지선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04)로 이루어져 조임틀(105)을 조임으로써 보의 하단을 상부로 올리도록 하중을 주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보의 처짐방지구조는 보의 중앙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되어 경간을 넓히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보의 양단 상부에 고정된 지지선부재가 견딜수 있는 하중의 한계가 있어 경간의 길이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구조와 마찬가지로, 보에 작용하는 반복하중에 의해 지지선부재가 늘어나게 되어 보의 처짐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에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79265호(명칭; 임시도로용 가교의 처짐 방지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100)의 상부에 지지대(106)가 설치되며, 가교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강선(107)이 설치되어 가교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서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가교의 처짐방지구조는 보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조조 되어 경간을 넓히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강선이 견딜 수 있는 하중의 한계가 있어 경간의 길이가 제한되며,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강선이 도 1a, 도 1b 및 도 2의 구조보다 길기 때문에, 보에 작용하는 반복하중에 대하여 늘어나는 정도가 더 심하게 되어 보의 처짐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의 처짐을 방지하고 경간을 길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2개의 말뚝 상부에 끼워지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를 서로 연결하는 가로대와 상기 끼움부 상부에 위치하여 말뚝 상부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를 서로 연결하는 가로대 및 상기 끼움부와 상기 고정구에 결합되며 상기 끼움부와 상기 고정구 사이에 교차부가 형성되도록 연장되어 보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X자형 좌대부와, 보의 상부와 상기 지지대의 교차부 하부를 서로 연결하여 인장하는 인장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X자형 좌대부는 2개 이상이며 상기 X자형 좌대부들의 끼움부 끼리와 상기 X자형 좌대부들의 고정구 끼리를 연결대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며, 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X자형 좌대부의 지지대가 보의 하중에 대하여 벌어짐을 방지하는 좌대부 고정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는 확대기초에 박혀 고정되는 말뚝의 상부에 끼워져 보를 지지하는 X자형 좌대부(10)와 X자형 좌대부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좌대부 고정구(20) 및 좌대부와 보의 상부 사이를 인장하는 인장봉(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X자형 좌대부는 끼움부(11)와 고정구(12)와 가로대(13,14) 및 지지대(15)가 일체로 형성되어 보(1)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끼움부(11)는 2개의 말뚝(2) 상부에 끼워지며, 상기 가로대(1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고정구(12)는 상기 끼움부(11)의 상부에 위치하여 말뚝(2) 상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12)는 상기 가로대(1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지지대(15)는 상기 끼움부(11)와 상기 고정구(12)에 결합되며, 상기 끼움부(11)와 상기 고정구(12) 사이에 교차부(15a)가 형성되도록 연장되어 보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교차부(15a)와 상기 가로대(14)는 상기 인장봉이 삽입되도록 삽입공(15a', 1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대부 고정구(20)는 상기 X자형 좌대부(10)의 지지대(15)가 보의 하중에 대하여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보(1)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X자형 좌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자형 좌대부(10) 3개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X자형 좌대부(10)는 2개 이상이 연결되어 사용되며, 연결대(16)로 상기 X자형 좌대부들의 끼움부(11) 끼리와 상기 X자형 좌대부들의 고정구(12) 끼리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봉(30)은 보(1)의 상부와 상기 지지대(15)의 교차부(15a) 하부를 서로 연결하여 인장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의 확대도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인장봉(30)은 상기 지지대(15)의 교차부(15a) 하부에 볼트머리부(31)가 설치되고, 보(1)의 상부에 나사부(32)가 설치되어 보(1)의 상부에서 너트(33)로 조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32)에 너트(33)를 조임으로써 상기 인장봉(30)이 좌대부(10)와 보(1)를 당기게 되며, 이 인장봉(30)은 인장력이 작용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 인장봉(30)으로 인해 좌대부(10)의 지지대(15)의 양단에서 밖으로 내민거더(3)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내민거더(3)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에 보조거더가 설치된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로 지지하는 보의 내민거더들 사이에 보조거더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X자형 좌대부(10)가 좌대부의 지지대 사이에 위치한 보(1)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인장봉(30)이 내민거더(3)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의 처짐을 이중으로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강선에 의해 지지되는 보의 처짐방지구조보다 보의 강성을 크게 할 수 있어 내민 거더(3, 3')들 사이에 보조거더(4)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간의 길이는 X자형 좌대부의 지지대 사이의 거리(L1)와 내민거더의 길이(L2, L2')와 보조거더의 거리(L3)를 합한 값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X자형 좌대부(10)와 인장봉(30)에 의해 보의 처짐을 이중으로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보의 처짐을 극소화시킬 수 있으며, 보의 강성을 크게 하고 이에 따라 보조거더(4)를 더 설치할 수 있어 경간을 더 길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X자형 좌대부의 지지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와 X자형 좌대부와 보의 상부를 수직으로 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를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보의 처짐을 이중으로 방지하여 극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보의 강성을 크게 하고 이에 따라 보조거더를 더 설치할 수 있어 경간을 더 길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경간을 길게 함으로써, 말뚝의 설치개소를 줄여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도 1b, 도 2 및 도 3은 종래에 사용된 보의 처짐방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X자형 좌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에 보조거더가 설치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보 101: 강선
102: 지지선부재 103: 프레임
104: 연결부재 105: 조임틀
106: 지지대 107: 강선
1: 보 2: 말뚝
3, 3': 내민거더 4: 보조거더
10: X자형 좌대부 11: 끼움부
12: 고정구 13, 14: 가로대
15: 지지대 15a: 교차부
16: 연결대 20: 좌대부 고정구
30: 인장봉 31: 볼트머리부
32: 나사부 33: 너트

Claims (3)

  1. 2개의 말뚝 상부에 끼워지는 끼움부(11)와,
    상기 끼움부(11)를 서로 연결하는 가로대(13)와,
    상기 끼움부(11) 상부에 위치하여 말뚝(2) 상부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구(12)와,
    상기 고정구(12)를 서로 연결하는 가로대(14), 및
    상기 끼움부(11)와 상기 고정구(12)에 결합되며 상기 끼움부(11)와 상기 고정구(12) 사이에 교차부(15a)가 형성되도록 연장되어 보(1)를 지지하는 지지대(15)가 일체로 형성된 X자형 좌대부(10)와;
    상기 보(1)의 상부와 상기 지지대(15)의 교차부(15a) 하부를 서로 연결하여 인장하는 인장봉(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자형 좌대부(10)는 2개 이상이며 상기 X자형 좌대부(10)들의 끼움부(11) 끼리와 상기 X자형 좌대부(10)들의 고정구(12) 끼리를 연결대(16)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보(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X자형 좌대부(10)의 지지대(15)가 보의 하중에 대하여 벌어짐을 방지하는 좌대부 고정구(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
KR1020040003695A 2004-01-19 2004-01-19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 KR20050075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695A KR20050075952A (ko) 2004-01-19 2004-01-19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695A KR20050075952A (ko) 2004-01-19 2004-01-19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624U Division KR200347039Y1 (ko) 2004-01-20 2004-01-20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952A true KR20050075952A (ko) 2005-07-26

Family

ID=3726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695A KR20050075952A (ko) 2004-01-19 2004-01-19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59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888B1 (ko) * 2006-04-15 2007-10-18 (주)스틸엔콘크리트 기초부를 생략하고, 파일기둥을 기둥연결부재로 연결하여교각코핑부로 활용한 조립식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CN105780664A (zh) * 2016-04-25 2016-07-20 周汉林 新式桥墩施工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888B1 (ko) * 2006-04-15 2007-10-18 (주)스틸엔콘크리트 기초부를 생략하고, 파일기둥을 기둥연결부재로 연결하여교각코핑부로 활용한 조립식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CN105780664A (zh) * 2016-04-25 2016-07-20 周汉林 新式桥墩施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629B1 (ko) 교량의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강형보의 연결장치 및 그연결장치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강형보의 연결방법
KR20200061327A (ko)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
KR100760435B1 (ko) 신축조절 가능한 가설 지주
JP4392462B1 (ja) 梁型枠ユニット、梁型枠ユニット用横締付け枠および場所打ち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施工方法
KR100579597B1 (ko) 가시설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931317B1 (ko) 스트럿 및 타이부재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347039Y1 (ko)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
KR20050075952A (ko)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
JP2005002771A (ja) 親綱支柱
KR101833784B1 (ko) 상부플랜지를 구비한 원형고정브라켓을 이용한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27860A (ko)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
KR19990046597A (ko) 프리스트레스트박스형교량
KR102137126B1 (ko) 알루미늄 트러스 거더
JP3267585B2 (ja) 移動柵の支柱
KR200256850Y1 (ko) 조립식 교각 비계동바리 구조
KR102322585B1 (ko) 거푸집용 멍에재
KR20020025131A (ko)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교량의 보수보강장치 및 방법
KR200452100Y1 (ko)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
KR102032086B1 (ko) 기둥지주 삽입 고정형 교각을 갖는 보행교
KR200406524Y1 (ko) 가시설 시스템
KR200278091Y1 (ko) 사장 외부케이블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에서의 보수보강장치
KR20020028984A (ko) 안전작업대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13956B1 (ko) 교량설치를 위한 까치발 구조체
JP2019105074A (ja) 天井下地構造
KR102633364B1 (ko) 하중전이방지장치를 이용한 전체 탈부착 유지보수형 투명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