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4617A -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 및 분리판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 및 분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617A
KR20050074617A KR1020057008592A KR20057008592A KR20050074617A KR 20050074617 A KR20050074617 A KR 20050074617A KR 1020057008592 A KR1020057008592 A KR 1020057008592A KR 20057008592 A KR20057008592 A KR 20057008592A KR 20050074617 A KR20050074617 A KR 20050074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metal plate
plate
di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스트 프리크 시스-잔 마틴 레이제르제
바트 다니엘 칼리어
마리아 젬마 오씰드 크라아쎈
Original Assignee
코루스 테크날러지 베.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루스 테크날러지 베.뷔. filed Critical 코루스 테크날러지 베.뷔.
Publication of KR20050074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6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01M8/0228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06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06Metals or alloys
    • H01M8/0208Alloys
    • H01M8/021Alloys based on ir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01M8/0254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corrugated or undul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01M8/026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characterised by grooves, e.g. their pitch or dep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354Nonplanar, uniform-thickness material having symmetrical channel shape or reverse fold [e.g., making acute angl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돌출부(projecting section)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separator plate)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를 구비하는 분리판을 얻기 위해, 분리판의 돌출부는 금속판을 다수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다이 위로 가압 유체에 의해 프레스되거나 다이를 가압 유체의 의해 지지된 금속판 위로 프레스됨으로써 형성되며, 다이 내의 오목부는 금속판에 형성될 돌출부에 부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분리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 및 분리판{METHOD FOR FORMING A SEPARATOR PLATE FOR A FUEL CELL, AND SEPARATOR PLATE}
본 발명은 다수의 돌출부(projecting section)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separator plate)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리판에 관한 것이다.
분리판은 연료 전지에 사용된다. 연료 전지의 한 예는 PEM 연료전지이며, 이는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수소/산소 반응을 하고 생성되는 폐기물은 단지 물뿐이다. 따라서 PEM 연료 전지는 매우 환경친화적이다. PEM 연료 전지는 양 측면에 촉매제가 구비된 다수의 박막(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므로 수소가 산소와 반응할 수 있다. 각 전지는 단지 약 0.7 볼트의 전압만을 발생시킬수 있으므로, 자동차 등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전지가 필요하다. 특히 수소를 산소와 분리시키고, 수소와 산소 그리고 물의 공급 및 배출 통로를 만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분리판이 각각의 박막 쌍 사이에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연료 전지는 적어도 박막과 같은 수의 많은 분리판을 포함한다.
분리판에는 높은 수준의 요구 사항이 부과된다. 분리판은 생성되는 반응물인 물에 의한 부식을 견딜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수소에 대해 내성이 있어야 한다. 매우 많은 분리판이 필요하기 때문에, 연료 전지가 너무 크거나 너무 무겁지 않도록 분리판은 얇아야 하고 가벼워야 하며, 또한 연료 전지를 경제적으로 매력있게 만들기 위해 분리판은 낮은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어야 한다.
우선 첫째로 분리판은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솔리드 카본 판재(solid carbon plate)로 밀링 작업 등을 통해 만들어 진다. 현재, 연료 전지용 분리판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으로도 만들어 지며 상기 분리판에는 돌출부를 얻기 위해 딥 드로윙이나 프레스 작업 등을 통해 그루브(groove)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비용으로 분리판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리판을 간단한 방법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향상된 분리판을 생산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지 기술을 이용해 생산된 분리판보다 값이 싼 분리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향상된 분리판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분리판의 돌출부는 금속판을 다수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다이 위에서 가압 유체에 의해 프레스하거나 다이를 가압 유체에 의해 지지된 금속판 위에서 프레스함으로써 형성되며, 돌출부를 구비하는 분리판을 얻기 위해 다이의 오목부는 금속판 내에 형성될 돌출부에 부합한다.
종래의 딥 드로윙이나 프레스 작업을 능가하는 많은 장점이 상기 방법에 의해 분리판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며, 또한 이는 하이드로포밍(hydroforming)이라는 용어로 인용된다. 하이드로포밍은 금속판에서 비교적 균일한 재료신장을 일으키며 이로써 분리판의 돌출부는 비교적 상당한 깊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금속판의 기계적 변형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금속판의 표면은 유체와의 접촉에 의해서는 손상되지 않는데 반하여, 기계적 변형이 사용되면 손상될 위험이 있다. 통상적으로 물, 기름 또는 물/기름 혼합액이 유체로 선택된다. 그러나 폴리머, 래커(lacquer), 전해질, 유리 또는 염도 선택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유체를 코팅 또는 코팅 작업 전의 전처리에도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체의 압력은 금속판의 전체 표면이 다이 위에서 프레스되기에 충분히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분리판의 형상이 금속판으로 전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기계적 변형은 항상 어느 정도의 스프링 백(spring-back) 현상을 겪는다.
교정(calibration) 압력은 유체의 압력에 의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교정 압력이라는 용어는 금속판이 잔류 응력이 상당히 감소할 정도로 높은 부하를 겪는 압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그 결과 분리판은 그 내부에 오목부가 구비되도록 다이의 오목부의 형상을 정밀하게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의 압력은 250에서 6000 bar(25에서 600 MPa) 사이의 압력에서 설정된다. 설정 압력은 당연히 금속판의 두께 및 금속판의 돌출부의 형상에 좌우될 것이며 특히 형성될 폭과 라운딩에 대한 돌출부의 깊이에 좌우된다. 또한 설정 압력은 변형될 재료의 형태에 좌우될 것이며, 일부 재료는 500에서 1000 bar(50에서 100 MPa) 사이의 압력에서 변형될 수 있고 다른 재료는 적어도 1000 bar(100 MPa)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0 bar(150 MPa)의 압력이 요구되거나 적어도 2000 bar(200 MPa) 까지도 요구된다.
본 방법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 금속판이 다이에 놓여진 다음 상기 금속판은 가압 유체에 의해 다이 위에서 프레스된다. 이는 금속판이 코일로 공급될 수 있는 방법의 간단한 실시예이며, 그 결과 분리판은 연속적인 공정에서 생산될 수 있다.
본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 금속판이 유체에 의한 예압 하에 놓여진 다음 다이가 상기 금속 위에서 프레스되어지고, 상기 유체는 가압된다. 예압 하에 금속판을 놓는 초기의 작업은 금속판이 초기 예비 신장을 겪게 하여 금속판의 더 좋은 신장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금속판이 다이와 접촉하기 전이므로 분리판에서 더 균일한 신장을 얻을 수 있고 더 성공적으로 다이의 형상을 따를 수 있다.
유익한 실시예에 따르면, 박막이 금속판과 유체 사이에 놓여지며, 상기 박막은 상기 금속판을 동시에 코팅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코팅으로 처리된다. 박막은 분리판의 오염을 방지한다. 코팅을 동시에 입히는 것은 분리판에 코팅이 필요한 경우에 유익하다. 상기 코팅은 금속, 유기 또는 무기 코팅이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판은 저탄소강, 초저탄소강,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또는 티타늄과 같은 쉽게 변형되는 금속을 선택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금속들은 쉽게 변형되어 분리판용 금속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은 판재의 인장 시험에 대한 ASTM E6 규격에서 적어도 20%에서 파단되는 균일한 신장에 대응하는 변형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변형성을 가짐으로써, 하이드로포밍에 의한 분리판의 원하는 형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기계적 변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보다 더 우수한 돌출부 폭에 대한 깊이를 얻을 수 있다.
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은 실온 하에서 프레스 작업한다. 이는 상기 방법이 실시되는 동안 금속판을 가열시키기 위한 특별한 수단이 불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은 고온에서 프레스 작업하며, 예를 들면 탄소강은 500-1000℃, 알루미늄은 100-550℃ 그리고 스테인레스강은 600-1300℃이다. 비록 이는 상기 방법이 더 복잡하게 실시되게 하지만, 상기 방법이 실시되는 동안 상기 판, 다이 및 유체가 가열되기 때문에 상기 금속판은 가열된 만큼 더 변형성이 좋아지고, 결과적으로 오목부의 폭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가 증가될 수 있다. 가장 좋은 결과가 바람직한 값으로 주어진 온도에서 얻어진다.
변형 전의 금속판의 두께는 0.05에서 0.40 mm 사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5에서 0.20 mm 사이가 더 바람직하다. 금속판의 이와 같은 두께는 분리판의 돌출부의 깊이가 충분한 깊이로 형성되면서도 성공적인 하이드로포밍이 가능하게 한다. 분리판을 더 얇고 가볍게 만들기 위해서는 0.05에서 0.20 mm 사이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판은 돌출부가 금속판 내로 프레스되는 것과 동시에 원하는 형상과 크기로 절단된다. 이는 특히 금속판이 스트립 재료로 공급되면 이와 같은 방법에서 분리판은 동시에 원하는 크기로 절단될 수 있으므로 실용적이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한 분리판을 제공하며, 상기 분리판은 저탄소강, 초저탄소강,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또는 티타늄으로 제조된 판재와 같은 변형가능한 금속판으로부터 쉽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조에 이용되는 금속판이 쉽게 변형가능하다면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분리판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기계적 변형 방법을 사용하여 가능한 것보다 돌출부의 폭에 비해 더 깊은 깊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금속은 판재의 인장 시험에 대한 ASTM E6 규격에서 적어도 20%에서 파단되는 균일한 신장에 대응하는 변형성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금속판은 하이드로포밍에 의해 돌출부의 폭에 대한 원하는 깊이를 얻기에 충분한 변형성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되지 않은 부분에서 분리판의 두께는 0.05에서 0.40 mm, 바람직하게는 0.05 에서 0.20 mm 사이이다. 이와 같은 두께를 갖는 분리판은 하이드로포밍에 의해 성공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료 전지의 분리판의 사용에 요구되는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분리판의 변이부(transition)의 라운딩 반경은 적어도 변형되지 않은 부분의 상기 판의 두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라운딩 직경이 이와 같은 두께보다 작게 설정되면, 상기 판을 특유의 라운딩 반경을 갖는 각으로 밀어넣기 위해 더 높은 유체 압력이 요구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는 피치(w)와 깊이(p)를 갖는 반복 패턴으로 구성되며, 이는 상기 판이 실온에서 변형되는 경우에는 0.03 < d/w < 1.2, 바람직하게는 0.1 < d/w < 0.5,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d/w < 0.5, 상기 판이 고온에서 변형되는 경우에는 0.03 < d/w < 2.4, 바람직하게는 0.2 < d/w <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 d/w < 1.0의 조건을 갖는다. 반복 돌출부의 깊이와 피치 사이의 이와 같은 특유의 비율은 특히 바람직한 값이 기계적 변형 방법에 의해서는 쉽게 가능하지 않은 반면, 분리판이 하이드로포밍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에는 현저하게 가능해 진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분리판에 관한 것이며, 상기 돌출부는 분리판의 평탄부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돌출부는 0.25 < d/w < 2.4 조건의 피치(w)와 깊이(p)를 갖는 반복 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둘러싸는 부분은 수소, 산소 및 물이 공급되고 방출될 수 있는 공급 통로와 방출 통로로부터 떨어져 평탄하다. 피치(w)와 깊이(p) 사이의 비율은 종래의 기계적 제조 방법을 이용해서는 만들어 질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 변형되지 않은 부분의 판의 두께는 0.05에서 0.40 mm, 바람직하게는 0.05에서 0.20 mm이다.
본 발명은 예시적 실시예에 기초하고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제 1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제 2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분리판 내의 돌출부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 및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리판의 치수가 주어지지 않은 단면도이다.
도 1은 분리판을 형성하는 금속판(1)을 하이드로포밍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금속판(1)은 바닥면(3)에 오목부(4)를 구비한 상부 다이(2)와 중앙부에 리세스부(recess)(7)를 구비한 하부 다이(5) 사이에 놓여지고, 상부 다이(2)는 힘 "F"에 의해 금속판(1) 위에서 프레스되어지며, 상기 리세스부에는 하부 다이(5)를 관통하는 유로(6)를 통해 압력 "P"를 갖는 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상부 다이는 장치 외부로의 유체의 누출이 불가능하도록 힘 "F"에 의해 금속판(1) 위에서 프레스되어지며, 적합하다면 분리 밀봉(도시안됨)이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힘 "F"는 리세스부(7) 내의 유체의 압력(P)에 의해 금속판(1) 상에 전해진 힘을 견딜만큼 충분히 높아야 한다. 압력(P)은 금속판(1)이 변형되어 상부 다이(2)의 오목부(4) 벽면을 누르게 될 정도로 충분히 높게 설정된다. 압력(P)의 레벨은 금속판의 두께, 오복부(4)의 형상 및 설정된 재료에 의해 좌우된다. 압력(P)이 제거된 후, 분리판의 변형된 부분에 스프링백 현상이 조금 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압력이 바람직하다. 유체로는 일반적으로 물, 기름 또는 물/기름 혼합액을 사용한다.
도 2는 분리판을 형성하는 금속판(1)을 하이드로포밍하기 위한 다른 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와 상부 다이(2)가 고정 다이(9)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많은 부분에서 유사하다. 상부 다이(2)가 아직 금속판(1)위에서 프레스되지 않았을 때, 상기 고정 다이(9)는 장치의 외부로 유체의 누출이 불가능하도록 힘 "F1"에 의해 금속판(1) 위에서 프레스되어진다. 이로인해 금속판(1)은 하부 다이(5) 내의 리세스부(7)의 유체에 의한 예압 상태에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금속판(1)은 예비 신장을 겪어 볼록 부위(convex position)를 받아들일 것이고, 상기 판이 더 성공적으로 상부 다이의 형상을 따르도록 상기 판의 길이는 더 길어질 것이다. 그 후, 상부 다이(2)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고 최종 압력(P)이 가해지며, 그 결과 금속판(1)은 변형되어 상부 다이(2)의 오목부(4)의 벽면을 누르게 된다. 금속판(1)의 예비 신장은 금속판에 더 균일한 신장이 발생하게 한다.
금속판으로 종종 스테인레스 강판이 채택되며, 이는 ASTM 규격에 따른 등급 304, 316 및 904가 좋은 변형성을 가지므로 적합하다. 또한 저탄소강 또는 초저탄소강이 채택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탄소의 양은 0.3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이하여야 한다. 망간의 양은 1.5 중량% 이하, 실리콘의 양은 0.5 중량% 이하여야 한다. 이는 탄소강이 쉽게 변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알루미늄판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들의 예로는 AA1050과 같은 AA1000 시리즈, 3003나 3105와 같은 AA3000 시리즈, 5018, 5052, 5182, 5186나 5754와 같은 AA5000 시리즈 또는 6016과 같은 AA6000 시리즈의 알루미늄이 있다. 또한 분리판이 티타늄으로 만들어 지는 것도 가능하다.
원하는 방법으로 판을 변형하기 위한 압력(P)은 상기 방법이 상술한 두 장치에서 이용되는 경우 250에서 6000 bar(25에서 600MPa) 사이 정도로 높아야 한다. 알루미늄과 같은 연한 재료에서의 압력은 500에서 1000 bar(50에서 100MPa) 사이가 일반적으로 적당하다. 강한 재료에서의 압력은 적어도 1000 bar(100MPa),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0 bar(150MPa) 또는 2000 bar(200MPa)까지도 요구된다. 또한, 요구되는 압력은 분리판의 두께와 분리판의 단면의 복잡성 정도에 좌우되는 것은 명백하다.
분리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박막(도시안됨)이 금속판(1)과 하부 다이(5) 사이에 놓여지는 것이 가능하다. 금속판을 동시에 코팅하도록 상기 박막은 코팅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래커, 폴리머, 전해질, 유리 또는 염이 유체로 선택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방법에 의해 금속판이 변형되는 것과 동시에 코팅 또는 코팅을 위한 전처리가 분리판 위에서 달성된다.
도 3은 분리판 내의 돌출부의 가능한 패턴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패턴은 구부러진 모양(serpentine)이므로 서로 평행한 부분이 형성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패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돌출부의 반복 패턴은 피치(w)를 갖는다. 도 4의 아래 쪽의 돌출부는 깊이 "d"와 평균 폭 "a"를 갖는다. 돌출부 사이의 부분은 a + b = w가 되도록 폭 "b"를 갖는다. 돌출부 사이의 변형되지 않은 부분은 폭 "e"를 가지며 오목부는 폭 "f"의 평탄부를 구비한다. 변형되지 않은 부분을 연결하는 라운딩부는 라운딩 반경 "R3"를 가지며, 돌출부의 평탄부를 연결하는 라운딩부는 라운딩 반경 "R4"를 갖는다. 전체 구부러진 모양의 패턴은 "R1"의 내부 라운딩 반경과 "R2"의 외부 라운딩 반경을 갖는 반원형상의 전이부를 구비하며, 평행한 돌출부의 단부에서 R1 = R2 + a 이다.
대부분의 경우, 분리판은 양측이 대칭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a"는 "b"와 같고 "e"는 "f"와 같고 "R3"는 "R4"와 같다. 판 두께가 0.1 mm이고 재료가 316 스테인레스강인 경우, a = b = 1 mm로 설정되므로 w = 2 mm, e = f = 0.75 mm, R3 = R4 = 0.1 mm, d = 0.25 mm, R2 = 0.5 mm 그리고 R1 = 1.5 mm이다. 평행한 돌출부의 길이는 약 250 mm이다.
또한 다른 판 두께가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관련하여 0.05에서 04 mm 사이의 두께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초)저탄소강, 알루미늄 또는 티타늄과 같은 다른 재료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과 도 4의 매개 변수 "a, b, w, d, e, f, R1, R2, R3 및 R4"가 다른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더 또는 덜한 사인모양(sinusoidal) 단면이나 더 또는 덜한 반원형의 돌출부의 단면과 같은 분리판에 다른 패턴 또는 다른 단면이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20)

  1.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분리판 내의 돌출부는 금속판이 다수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다이 위에서 가압 유체에 의해 프레스되어지거나 다이가 가압 유체에 의해 지지된 금속판 위에서 프레스됨으로써 형성되며,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분리판을 얻기 위해 상기 다이의 오목부는 상기 금속판에 형성될 돌출부에 부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유체의 압력은 금속판 전체 표면이 다이 위에서 프레스되기에 충분히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교정 압력은 유체의 압력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유체의 압력은 250에서 6000 bar(25에서 600 MPa) 사이, 바람직하게는 500에서 1000 bar(50에서 100 MPa) 사이 또는 1000에서 6000 bar(100에서 600 MPa)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1500에서 6000 bar(150에서 600 MPa) 사이,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2000에서 6000 bar(200에서 600 MPa) 사이의 압력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먼저 금속판이 다이에 놓여진 다음, 상기 금속판이 가압 유체에 의해 다이 위에서 프레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먼저 금속판이 유체에 의한 예압 하에 놓여진 다음, 다이가 상기 금속판 위에서 프레스되고 상기 유체는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박막이 금속판과 유체 사이에 놓여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막은 상기 금속판을 동시에 코팅하도록 코팅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판은 저탄소강, 초저탄소강,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또는 티타늄과 같은 쉽게 변형되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적어도 20%에서 파단되는 균일한 신장에 대응하는 변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판의 프레스 작업이 실온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판의 프레스 작업은 예컨대 탄소강은 500-1000℃, 알루미늄은 100-550℃ 그리고 스테인레스강은 600-1300℃의 고온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 전의 금속판의 두께는 0.05에서 0.40 mm 사이, 바람직하게는 0.05에서 0.20 mm 사이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출부가 금속판 위로 프레스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금속판은 원하는 형상과 크기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
  14.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리판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저탄소강, 초저탄소강,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또는 티타늄과 같은 쉽게 변형되는 금속판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15. 제 14 항에 있어서,
    금속은 적어도 20%에서 파단되는 균일한 신장에 대응하는 변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변형되지 않은 부분에서 분리판의 두께가 0.05에서 0.40 mm, 바람직하게는 0.05 에서 0.20 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판의 변이부의 라운딩 반경은 적어도 상기 판의 변형되지 않은 부분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피치(w)와 깊이(p)를 갖는 반복 패턴으로 구성되며, 이는 상기 판이 실온에서 변형되는 경우에는 0.03 < d/w < 1.2, 바람직하게는 0.1 < d/w < 0.5,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d/w < 0.5, 상기 판이 고온에서 변형되는 경우에는 0.03 < d/w < 2.4, 바람직하게는 0.2 < d/w <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 d/w < 1.0의 조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19. 돌출부가 분리판의 평탄부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돌출부는 0.25 < d/w < 2.4 조건의 피치(w)와 깊이(p)를 갖는 반복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20. 제 19 항에 있어서,
    변형되지 않은 부분에서 분리판의 두께는 0.05에서 0.40 mm, 바람직하게는 0.05에서 0.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KR1020057008592A 2002-11-15 2003-11-13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 및 분리판 KR200500746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21932 2002-11-15
NL1021932A NL1021932C2 (nl) 2002-11-15 2002-11-15 Werkwijze voor het vormen van een separator plaat voor een fuel cell, en separator pla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617A true KR20050074617A (ko) 2005-07-18

Family

ID=3232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592A KR20050074617A (ko) 2002-11-15 2003-11-13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 및 분리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60121330A1 (ko)
EP (1) EP1563561A2 (ko)
JP (1) JP2006506788A (ko)
KR (1) KR20050074617A (ko)
CN (1) CN1316664C (ko)
AU (1) AU2003284835A1 (ko)
CA (1) CA2503642A1 (ko)
HK (1) HK1086668A1 (ko)
NL (1) NL1021932C2 (ko)
WO (1) WO200404720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519B1 (ko) * 2006-05-03 2007-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금속 분리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분리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3511B2 (ja) * 2010-09-02 2014-08-2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成形体の製造方法
DE102010052741B4 (de) 2010-11-26 2023-12-28 Cellcentric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auelementen für eine elektrochemische Zelle, insbesondere eine Brennstoffzelle, oder einen elektrochemischen Energiespeicher
DE102010052738A1 (de) 2010-11-26 2012-05-31 Daim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auelementen für eine elektrochemische Zelle, insbesondere eine Brennstoffzelle, oder einen elektrochemischen Energiespeicher
DE102010052739B4 (de) 2010-11-26 2023-12-28 Cellcentric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auelementen für eine elektrochemische Zelle, insbesondere eine Brennstoffzelle, oder einen elektrochemischen Energiespeicher
DE102010052742B4 (de) 2010-11-26 2023-11-30 Cellcentric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auelementen für eine elektrochemische Zelle, insbesondere eine Brennstoffzelle, oder einen elektrochemischen Energiespeicher
DE102011017489A1 (de) 2011-04-19 2012-10-25 Daiml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teils mit einem Umformwerkzeug
DE102011017488B4 (de) 2011-04-19 2023-12-07 Cellcentric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Umformwerkzeuges und Umformwerkzeug
JP6061702B2 (ja) * 2013-01-30 2017-01-1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燃料電池セパレータ用材料および燃料電池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US10020519B2 (en) 2013-06-04 2018-07-10 Nissan Motor Co., Ltd. Molding method for removing separator distortion and molding device for removing separator distortion
CN103894470A (zh) * 2014-03-27 2014-07-02 华南理工大学 一种燃料电池双极板的制造方法
JP7040131B2 (ja) * 2018-03-02 2022-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NL2022069B1 (en) * 2018-11-23 2020-06-05 Hyet Holding B V Solid-state compressor
CN110496890A (zh) * 2019-08-14 2019-11-26 浙江锋源氢能科技有限公司 金属双极板成型装置
CN114713699B (zh) * 2022-06-09 2022-09-30 太原理工大学 一种基于脉冲电流辅助的金属双极板气胀成形装置及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6496A (en) * 1961-07-07 1966-11-22 Siemens Elektrogeraete Gmbh Apparatus for hydraulic deep-drawing of sheet metal
US5813266A (en) * 1995-10-31 1998-09-29 Greenville Tool & Die Company Method of forming and piercing a tube
IT1292033B1 (it) * 1996-05-31 1999-01-25 Samsung Heavy Ind Metodo di trattamento anticorrosivo per un separatore di cella a combustibile di carbonato fuso
JP2000517466A (ja) * 1996-09-04 2000-12-26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2つの部材を熱的、電気的および機械的に結合するための中間部材
GB9727063D0 (en) * 1997-12-23 1998-02-18 Gkn Sankey Ltd A hydroforming process
US6376815B1 (en) * 1998-01-12 2002-04-23 Furukawa Electric Co., Ltd. Highly gas tight substrate hol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1999046112A1 (en) * 1998-03-10 1999-09-16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a dome-shaped extrusion die
US6410178B1 (en) * 1998-05-08 2002-06-25 Aisin Takaoka Co., Ltd. Separator of fuel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21075C (zh) * 1998-07-22 2003-09-10 大连新源动力股份有限公司 质子交换膜燃料电池的双极板
JP4019554B2 (ja) * 1998-08-03 2007-1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セパレータ用多連凹凸板の製造方法
US6322919B1 (en) * 1999-08-16 2001-11-27 Alliedsignal Inc. Fuel cell and bipolar plate for use with same
JP4366872B2 (ja) * 2000-03-13 2009-1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ガスセパレータおよび該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並びに燃料電池
JP3663413B2 (ja) * 2000-03-23 2005-06-22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表面に多数の凸部を有する薄肉金属板の製造方法
JP3756399B2 (ja) * 2000-11-28 2006-03-15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ハイドロフォーミング装置
JP3569491B2 (ja) * 2000-12-05 2004-09-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燃料電池
JP2002206148A (ja) * 2001-01-09 2002-07-26 Nisshin Steel Co Ltd 加工割れ感受性が低い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85726B1 (ko) * 2001-01-31 2005-04-2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 및 그 전해질막-가스켓 조립체
JP2002373673A (ja) * 2001-06-15 2002-12-26 Toyo Kohan Co Ltd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を用いた燃料電池
EP1561253A2 (en) * 2002-09-30 2005-08-10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for regeneration of performance in a fuel ce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519B1 (ko) * 2006-05-03 2007-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금속 분리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분리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6664C (zh) 2007-05-16
AU2003284835A1 (en) 2004-06-15
EP1563561A2 (en) 2005-08-17
JP2006506788A (ja) 2006-02-23
WO2004047209A3 (en) 2004-09-23
US20060121330A1 (en) 2006-06-08
HK1086668A1 (en) 2006-09-22
NL1021932C2 (nl) 2004-06-11
CN1711658A (zh) 2005-12-21
WO2004047209A2 (en) 2004-06-03
CA2503642A1 (en) 200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74617A (ko)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형성하는 방법 및 분리판
AU709198B2 (en) Method for the fabrication of electrochemical cells
Peng et al. Design and manufacturing of stainless steel bipolar plates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Mahabunphachai et al. Effect of manufacturing processes on formability and surface topography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metallic bipolar plates
EP1615282A4 (en) SOLI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EMBRANE ELECTRODE FOR SOLID POLYMER FUEL CELL, AND PROCESS FOR PRODUCING SOLI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US6866272B2 (en) Sealing resin-metal assembly
EP1552573A2 (en) Electrochemical system
US7178374B2 (en) Press forming apparatus for fuel cell metal separator
US89452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tal separator for fuel cell
Khatir et al. Evaluation of effective parameters on stamping of metallic bipolar plates
US6454978B1 (en) Process for making fuel cell plates
CN107112551B (zh) 用于在电化学反应器部件上产生密封部的方法
CN112993301A (zh) 一种质子交换膜燃料电池金属双极板的制备方法
JP5163028B2 (ja) 燃料電池用金属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169480B2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製造装置
JP2019114515A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装置及び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EP1306915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räger-Dichtung
JP2022502825A (ja) 燃料電池を密封する方法
KR102610603B1 (ko) 연료전지셀용 다공형플레이트,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연료전지셀용 다공체, 이를 이용하여 내구수명을 향상시킨 수소연료전지용 스택 및 수소연료전지
CN117836984A (zh) 用于双极板表面破坏的方法和系统及双极板在氧化还原液流电池中的后续使用
Turan et al. Corrosion, contact resistance, and surface characteristics of stamped and hydroformed metallic bipolar plates for PEMFC
KR20240060636A (ko)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채널 구조체를 엠보싱하는 방법
FR2830207A1 (fr) Tole de structure sandwich composee d&#39;une ame inseree entre deux peaux metalliques formant chacune une face du sandwi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