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4411A -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411A
KR20050074411A KR1020050055469A KR20050055469A KR20050074411A KR 20050074411 A KR20050074411 A KR 20050074411A KR 1020050055469 A KR1020050055469 A KR 1020050055469A KR 20050055469 A KR20050055469 A KR 20050055469A KR 20050074411 A KR20050074411 A KR 20050074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r
unit
hot water
col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진수
Original Assignee
주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수 filed Critical 주진수
Priority to KR1020050055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4411A/ko
Publication of KR20050074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41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누수감지차단과 정수량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방식의 이온냉온정수기가 각 세대 내에 구비되고, 다수의 동으로 형성된 아파트단지내 관리사무소나 이온냉온정수기가 다수의 객실에 구비된 여관, 호텔의 관리실이나 어느 특정한 장소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단말기를 구비하여 상기 이온냉온정수기를 통합적으로 제어 및 관리하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원격에서 제어하여 이온냉온정수기를 효율적으로 사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Remote management system of a ion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각 이온냉온정수기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의 누수를 감지하고 차단하는 누수감지차단장치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정수량측정부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 각 누수감지차단장치, 각 정수량측정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외부로부터의 명령신호에 응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각 단말기와, 상기 각 단말기와 실시간 접속이 가능한 관리자PC와, 상기 각 단말기와 상기 관리자PC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시켜주기 위한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로 인한 환경오염으로 가정집이나 직장에서 수돗물을 식수로 직접사용하지 않고 수도배관 파이프에 정수기를 직접 연결 설치하여 각종 원인으로 오염된 수돗물을 정수시킨 후 식수로 사용하거나 냉온정수기를 설치하여 정수된 물을 냉수나 온수로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생활여건의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식수 또한 단순 정화된 정수가 아닌 기능수를 선호하게 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기능수 중에서도 최근에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 이온수이며, 여기에 편리함을 더하여 냉온정수기와 이온 정수기를 일체로 결합시켜 사용자가 다양하게 급수를 선택할 수 있는 이온냉온정수기가 활발하게 개발 소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상의 정수기는 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즉, 정수콕크를 잠궈놓았을 경우에도 배수장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정수기 내부에 항시 가해지고 있게 되며 이러한 상태가 장기간동안 지속되게 되면 거의 모든 정수기에서 누수현상이 유발될 우려가 있다.
특히 이러한 누수현상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물을 거의 사용하지 않아 배수장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가중되게 되는 심야에 발생될 우려가 더욱 높으며, 이때의 누수현상 발생시 정수기 사용처에서는 상당한 물적, 심적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정수기에서의 누수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정수기로의 물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된 수동식 개폐밸브가 안출되어 사용된 바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장시간 외출하고자 할 경우나, 수면을 취하고자 할 경우 등 필요할 때마다 직접 밸브를 개폐 작동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정수기는 정수기능을 하는 필터가 매우 중요한데 정수기능을 계속유지하기 위해서는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환해주어야 한다.
현재 대부분의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정수기의 A/S, 필터교환은 사용자가 전화를 해서 신청을 하고 방문일정을 정해서 담당직원이 방문하여 관리를 하는 번거로운 체계로 되어 있다.
또한 필터의 일반적인 교환방식은 정수기로 유입되는 통수량이 아닌 필터의 사용기간을 위주로 교환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필터의 교환 시기에 대한 객관성의 결여로 인하여 사용자와 관리업자간에 의견불일치의 경우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온냉온정수기도 상기 동일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온냉온정수기의 운전상태를 원격에서 실시간 관리를 함으로서 고장발생 시, 사용자가 사전 응급처리하고 연락을 취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온냉온정수기의 사용 중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이를 감지하고 초기에 차단하여 누수에 따른 피해 확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와 사후관리업체는 누수 메시지를 전송받아 신속하게 적절한 조치를 할 수 있는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의 수명과 관계가 있는 이온냉온정수기의 정수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고 이 데이터를 근거로 필터교환시기를 결정할 수 있어서 사용자와 관리자간에 서로 신뢰감을 가질 수 있는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각 이온냉온정수기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의 누수를 감지하고 차단하는 누수감지차단장치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정수량측정부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 각 누수감지차단장치, 각 정수량측정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외부로부터의 명령신호에 응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각 단말기와, 상기 각 단말기와 실시간 접속이 가능한 관리자PC와, 상기 각 단말기와 상기 관리자PC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시켜주기 위한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각 이온냉온정수기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의 누수를 감지하고 차단하는 누수감지차단장치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정수량측정부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 각 누수감지차단장치, 각 정수량측정부의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관리자PC와, 상기 인터페이스와 상기 관리자PC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시켜주기 위한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냉온정수기의 원격관리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은 각 이온냉온정수기(1a…na…ma)(1a'…na'…ma')(1a"…na"…ma")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의 누수를 감지하고 차단하는 누수감지차단장치(1b…nb…mb)(1b'…nb'…mb')(1b"…nb"…mb")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정수량측정부(1c…nc…mc)(1c'…nc'…mc')(1c"…nc"…mc")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 각 누수감지차단장치 및 각 정수량측정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외부로부터의 명령신호에 응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각 단말기(1D…nD…mD)와, 상기 각 단말기와 실시간 접속이 가능한 관리자PC(70)와, 상기 각 단말기와 상기 관리자PC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시켜주기 위한 네트워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대규모 공동주택이나 사무실, 여관 호텔 등의 각 세대 내에 설치된 누수감지차단과 정수량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방식의 이온냉온정수기를 아파트나 여관, 호텔 등의 관리사무소나 관리실 또는 어느 특정한 장소에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하나의 단말기로 통합적으로 제어하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여 이온냉온정수기를 효율적으로 사후관리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도 2를 참조하여 각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아파트단지내 한 세대를 예시하여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냉온정수기(1a)는 디지털 방식으로서 각각의 이온냉온정수기에 구별이 가능한 코드번호가 부여되고, 그 부여된 코드번호와 운전상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12)와; 상기 이온냉온정수기의 연결수도관(미도시)에 정수유입이 차단된 경우, 누수감지차단장치 차단부(22)의 차단밸브를 인위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누름버튼수위치(미도시)와; 과열로 인한 화재를 알리는 열감지센서가 내장된 열감지부(13)와;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와; 상기 이온냉온정수기의 전원, 세정, PH농도기능 등의 표시와 상기 기능들의 조정이 가능한 조정버튼이 있어 사용자가 선택,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표시/선택부(15)와; 상기 각 부 간의 정보전달 및 제어를 위한 제어부(11)와; 통신을 위한 내부인터페이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는 이더넷, 전화선, 전력선 등의 유선망과 HomeRF, 무선랜, 블루투스 등의 무선망을 이용한 전송방식으로 제어와 관리가 가능하다.
누수감지차단장치(1b)는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와 수도관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통수량이 일정량 이상 계속되면 누수 발생으로 인정하여 누수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부(23)와; 상기 감지부의 누수감지신호에 응하여 누수알림신호를 발생하고, 누수를 차단하기 위해 누수차단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부(21)와; 상기 누수차단신호에 응하여 정수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22)와; 상기 제어부(21)에 연결되어 통신을 위한 내부인터페이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수량측정부(1c)는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와 수도관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계량제어신호에 응하여 정수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량부(33)와; 아날로그데이터인 정수사용량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한 계량신호를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2)와; 필터의 수명과 직결되어 필터교환 정보의 자료가 되는 정수사용량표시를 위한 디지털표시기(34)와; 상기 디지털 표시기를 제어하고, 디지털사용량데이터를 인식하여 후술하는 단말기(1D)로 전달하고, 외부로부터의 계량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계량부(33)로 전달하는 제어부(31)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통신을 위한 내부인터페이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기(1D)는 상기 내부인터페이스(40)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54)와;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 상기 누수감지차단장치(1b), 상기 정수량측정부(1c)의 운전상태 정보와 누수감지, 차단신호 및 정수사용량데이터 등 상황변화 정보를 특정데이터베이스형식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52)와; 구동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53)와; 전송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형식으로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52)에 저장하고, 외부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수행하고,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51)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서 데이터를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화면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55)와; 제어명령과 관련된 정보를 변경, 편집, 추가, 삭제 또는 설정할 수 있는 입력부(56)와; 외부로부터 네트워크(6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인터페이스(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온냉온정수기 메모리(12)에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1D)의 요청에 의해 일정주기로 상기 단말기 메모리부(53)의 데이터베이스에 포맷형식으로 저장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1D)는 긴급상황을 상기 관리자PC(70)로 전송하기 위한 마이크로폰과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장치를 갖는다.
그래서 누수, 화재 등과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1D)에서 긴급상황을 알리는 음성신호를 발생하고, 발생과 동시에 상기 관리자PC(70)로 전송하여 관리자와 사용자가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중앙제어부(51)는 상기 관리자PC(70)로부터 전달된 명령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54)를 통해 상기 이온냉온정수기 제어부(11)와 상기 누수감지차단장치 제어부(21)와, 상기 정수량측정부 제어부(31)로 전달하고,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와 상기 누수감지차단장치(1b)의 운전상태와, 상기 정수량측정부(1c)의 계량신호를 외부로 제공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이온냉온정수기의 운전상태를 제어할 수 있고 정수량측정이 가능하다.
관리자PC(70)는 상기 단말기(1D)에 데이터요구 명령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단말기 메모리부(53)의 데이터를 전송 받는 제어명령에 의해 처리될 프로그램이 적재되어 구동되고, 데이터의 변경, 편집, 추가, 삭제가 가능하고,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의 쿼리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로 출력이 가능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60)는 상기 단말기(1D)와 관리자PC(70)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으로 연결시켜주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내부인터페이스(40)와 인터페이스(54)간은 이더넷, 전화선, 전력선 등의 유선망과 HomeRF, 무선랜, 블루투스 등의 무선망으로 연결되고, 네트워크(60)는 공중교환전화망(PSTN), 종합정보통신망(ISDN, xDSL, 케이블), 광케이블 매설을 통한 초고속 인터넷, 전력선을 이용한 가입자망, 무선랜, 위성통신망을 이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통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원격관리시스템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에서 과열로 인한 열감지센서가 작동을 하였을 때를 설명하면,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가 과열이 발생되어 이상이 있으면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는 화재의 위험을 알리는 화재알림신호를 상기 단말기(1D)에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1D)는 화재경보음과 화재경고표시를 발생하고, 상기 관리자PC(70)로 화재경보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관리사무소나 관리실 또는 어느 특정장소에서 사전에 비상사태 대비훈련대로 처리한다.
또한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에서 이상이 발생된 경우, 예를 들어, 전원에 이상이 있어 냉·온수 조절에 이상이 있거나 전해조의 이상으로 이온화과정에 문제가 있는 경우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55)에서 해당 코드번호에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며 신호음을 발생한다. 상술한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1D)는 관리자PC(70)에게 상기 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관리자PC(70) 관리자는 상기 정보를 확인한 후, 이에 대응하는 적절한 조처를 취한다.
또한 상기 누수감지장치 제어부(21)의 제어동작에 의해 자동 차단된 경우에 누름버튼수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차단부(22)를 인위적으로 개방시킴으로서 정수사용이 가능하다.
이제부터는 누수감지차단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통수량이 일정량 이상으로 계속될 경우에 감지부(23)에서는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누수감지신호를 발생하고, 제어부(21)에서는 누수감지신호에 응하여 누수알림신호 및 누수차단신호를 발생하고, 차단부(22)에서는 누수차단신호에 응하여 정수 유입을 차단한다.
상기 단말기(1D)는 상기 누수감지장치 제어부(21)로부터 누수알림신호에 응하여 누수경보신호표시 및 누수경보신호를 발생하고, 누수알림신호를 상기 관리자PC(70)로 제공한다. 상기 관리자PC(70)는 누수알림신호에 응하여 누수경보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가입자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관리자PC(70) 담당자는 상기 단말기(1D) 담당자와 긴급연락을 취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장기외출 상태이거나 외부에서 이온냉온정수기의 사용을 중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 입력부(56) 또는 상기 관리자PC(70)를 통해서 제어명령을 수행하여 해당 사용자의 정수량측정부를 차단하고, 이온냉온정수기의 전원 차단이 가능하다.
다음은 정수사용량을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전에 정해진 정수사용량 측정일에 상기 단말기(1D)는 정수사용량을 검침하기 위한 정수량측정신호를 정수량측정부 제어부(31)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정수량측정신호는 관리자PC(70) 담당자가 측정일에 수동조작으로 인가할 수도 있고, 상기 단말기(1D)에 정수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상기 측정일에 자동으로 상기 정수량측정신호를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제어부(31)는 정수량측정신호를 계량부(33)로 전송하고, 계량부(33)는 정수량측정신호에 응하여 사용된 정수량을 나타내는 정수사용량신호를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2)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출력되는 정수량측정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31)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2)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정수사용량신호를 상기 단말기(1D)로 제공하면, 상기 단말기(1D)는 제공된 정수사용량을 해당데이터베이스형식에 따라 기록한다. 상기 관리자PC(70)의 담당자는 상기 단말기(1D)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를 필터교환시기의 자료로 활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냉온정수기의 원격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은 각 가정에 설치된 이온냉온정수기(1a…na…ma)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의 누수를 감지하고 차단하는 누수감지차단장치(1b…nb…mb)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정수량측정부(1c…nc…mc)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 각 누수감지차단장치, 각 정수량측정부의 인터페이스와 실시간 접속이 가능한 관리자PC(170)와, 상기 인터페이스와 상기 관리자PC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시켜주기 위한 네트워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개별적으로 설치되거나 단독주택의 각 가정에 설치된 이온냉온정수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효율적으로 사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도 4를 참조하여 각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 상세 구성도로서, 도 3에 도시된 한 가정을 예시하여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냉온정수기(1a)는 디지털 방식으로서 각각의 이온냉온정수기에 구별이 가능한 코드번호가 부여되고, 그 부여된 코드번호와 운전상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12)와; 상기 이온냉온정수기의 연결수도관(미도시)에 정수유입이 차단된 경우, 누수감지차단장치 차단부(22)의 차단밸브를 인위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누름버튼수위치(미도시)와; 과열로 인한 화재를 알리는 열감지센서가 내장된 열감지부(13)와;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와; 상기 이온냉온정수기의 전원, 세정, PH농도기능 등의 표시와 상기 기능들의 조정이 가능한 조정버튼이 있어 사용자가 선택,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표시/선택부(15)와; 상기 각 부 간의 정보전달 및 제어를 위한 제어부(11)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는 공중교환전화망(PSTN), 종합정보통신망(ISDN, xDSL, 케이블), 광케이블 매설을 통한 초고속 인터넷, 전력선을 이용한 가입자망, 무선랜, 위성통신망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다.
누수감지차단장치(1b)는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와 수도관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통수량이 일정량 이상 계속되면 누수 발생으로 인정하여 누수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부(23)와; 상기 감지부의 누수감지신호에 응하여 누수알림신호를 발생하고, 누수를 차단하기 위해 누수차단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부(21)와; 상기 누수차단신호에 응하여 정수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22)와; 상기 제어부(21)에 연결되어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수량측정부(1c)는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와 수도관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계량제어신호에 응하여 정수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량부(33)와; 아날로그데이터인 정수사용량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한 계량신호를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2)와; 필터의 수명과 직결되어 필터교환 정보의 자료가 되는 정수사용량표시를 위한 디지털표시기(34)와; 상기 디지털 표시기를 제어하고, 디지털사용량데이터를 인식하여 후술하는 관리자PC(170)에 전달하고, 외부로부터의 계량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계량부(33)를 제어하는 제어부(31)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리자PC(170)는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 상기 누수감지차단장치(1b), 상기 정수량측정부(1c)의 운전상태 정보와 누수감지, 차단신호 및 정수사용량데이터 등 상황변화 정보를 특정데이터베이스형식으로 저장하는 데어터베이스부(152)와; 구동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153)와; 전송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형식으로 처리하여 상기 데어터베이스부(152)에 저장하고, 외부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수행하고,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151)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서 데이터를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화면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155)와; 제어명령과 관련된 정보를 변경, 편집, 추가, 삭제 또는 설정할 수 있는 입력부(156)와; 상기 네트워크(160)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1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인터페이스(1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온냉온정수기 메모리부(12)에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관리자PC(170)의 요청에 의해 일정주기로 상기 관리자PC 메모리부(153)의 데이터베이스에 포맷형식으로 저장된다.
또한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는 긴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마이크로폰과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장치를 갖는다.
그래서 누수, 화재 등과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긴급상황을 알리는 음성신호를 발생하고, 발생과 동시에 상기 관리자PC(170)로 전송하여 관리자와 사용자가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PC 중앙제어부(151)는 상기 입력부(156)로부터 전달된 명령신호를 상기 네트워크(160)를 통해 상기 이온냉온정수기 제어부(11)와 상기 누수감지차단장치 제어부(21)와, 상기 정수량측정부 제어부(31)로 전달하고,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와 상기 누수감지차단장치(1b)의 운전상태와, 상기 정수량측정부(1c)의 계량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이온냉온정수기의 운전상태를 제어할 수 있고, 정수량측정이 가능하다.
상기 관리자PC(170)는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에 데이터요구 명령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이온냉온정수기의 메모리부(12)의 데이터를 전송 받는 제어명령에 의해 처리될 프로그램이 적재되어 구동되고, 데이터의 변경, 편집, 추가, 삭제가 가능하고,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의 쿼리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로 출력이 가능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160)는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와 관리자PC(170)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으로 연결시켜주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네트워크(160)는 공중교환전화망(PSTN), 종합정보통신망(ISDN, xDSL, 케이블), 광케이블 매설을 통한 초고속 인터넷, 전력선을 이용한 가입자망, 무선랜, 위성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통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원격관리시스템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에서 과열로 인한 열감지센서가 작동을 하였을 때를 설명하면,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가 과열이 발생되어 이상이 있으면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는 화재의 위험을 알리는 화재알림신호를 사용자와 상기 관리자PC(170)에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PC는 화재경보음과 화재경고표시와 화재경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에서 고장이 발생된 경우, 예를 들어, 전원에 이상이 있어 냉·온수 조절에 이상이 있거나 전해조의 이상으로 이온화과정에 문제가 있는 경우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관리자PC 디스플레이부(155)에서 해당 코드번호에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며 신호음을 발생하고, 상기 관리자PC(170) 관리자는 상기 정보를 확인한 후, 이에 대응하는 적절한 조처를 취한다.
또한 상기 누수감지장치 제어부(21)의 제어동작에 의해 자동 차단된 경우에 누름버튼수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차단부(22)를 인위적으로 개방시킴으로서 정수사용이 가능하다.
이제부터는 누수감지차단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통수량이 일정량 이상으로 계속될 경우에 감지부(23)에서는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누수감지신호를 발생하고, 제어부(21)에서는 누수감지신호에 응하여 누수알림신호 및 누수차단신호를 발생하고, 차단부(22)에서는 누수차단신호에 응하여 정수 유입을 차단한다.
상기 관리자PC(170)는 상기 누수감지장치 제어부(21)로부터 누수알림신호에 응하여 누수경보신호표시 및 누수경보신호와 누수알림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가입자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관리자PC(170) 관리자는 상기 이온냉온정수기(1a)의 사용자와 긴급연락을 취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장기외출 상태이거나, 외부에서 이온냉온정수기의 사용을 중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관리자PC(170)를 통해서 제어명령을 수행하여 해당 사용자의 정수량측정부를 차단하고, 이온냉온정수기의 전원 차단이 가능하다.
다음은 정수사용량을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전에 정해진 정수사용량 측정일에 상기 관리자PC(170)는 정수사용량을 검침하기 위한 정수량측정신호를 정수량측정부 제어부(31)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정수량측정신호는 관리자PC(170) 관리자가 측정일에 수동조작으로 인가할 수도 있고, 상기 관리자PC(170)에 정수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상기 측정일에 자동으로 상기 정수량측정신호를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제어부(31)는 정수량측정신호를 계량부(33)로 전송하고, 계량부(33)는 정수량측정신호에 응하여 사용된 정수량을 나타내는 정수사용량신호를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2)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출력되는 정수량측정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31)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2)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정수사용량신호를 상기 관리자PC(170)에 제공하면, 상기 관리자PC는 제공된 정수사용량을 해당데이터베이스형식에 따라 기록하고, 상기 관리자PC(170) 관리자는 데이터를 필터교환시기의 자료로 활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누수 발생시 이를 초기에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 즉시 자동적으로 밸브를 차단하고, 이 사실을 자동적으로 관리업체에게 전송하여 애프터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서 누수 발생시 사용자가 사전 응급처리하고, 연락을 취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실시간 고객서비스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누수 발생시 누수를 발견하여 밸브를 제어할 때까지에는 이미 누수가 진행된 후인 경우이며, 이 때에는 이미 상당한 피해를 커지게 되는 데, 이러한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필터의 수명과 관계가 있는 이온냉온정수기의 정수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고, 이 데이터를 근거로 필터교환시기를 결정할 수 있어서 사용자와 관리자간에 서로 신뢰감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온냉온정수기의 통제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음용수에 대하여 최상의 만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일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na…ma, 1a'…na'…ma', 1a"…na"…ma" : 이온냉온정수기
11 : 제어부 12 : 메모리부 13 : 열감지부 14 : 디스플레이부 15. 표시/선택부
1b…nb…mb, 1b'…nb'…mb', 1b"…nb"…mb" : 누수감지차단장치
21 : 제어부 22 : 차단부 23 : 감지부
1c…nc…mc, 1c'…nc'…mc', 1c"…nc"…mc" : 정수량측정부
31 : 제어부 32 : A/D 변환부 33 : 계량부 34 : 디지털표시기 40, : 내부인터페이
140 : 인터페이스 1D…nD…mD : 단말기
51, 151 : 중앙제어부 52, 152 : 데이터베이스부 53, 153 : 메모리부
54 : 인터페이스 55, 155 : 디스플레이부 56, 156 : 입력부
57, 157 : 네트워크인터페이스 60, 160 : 네트워크 70, 170 : 관리자PC

Claims (14)

  1. 각 이온냉온정수기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의 누수를 감지하고 차단하는 누수감지차단장치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정수량측정부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 각 누수감지장치, 각 정수량측정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외부로부터의 명령신호에 응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각 단말기와; 상기 각 단말기와 실시간 접속이 가능한 관리자PC와; 상기 각 단말기와 상기 관리자PC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시켜주기 위한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이온냉온정수기는 디지털 방식으로서 각각의 이온냉온정수기에 구별이 가능한 코드번호가 부여되고, 그 부여된 코드번호와 운전상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상기 이온냉온정수기의 연결수도관(미도시)에 정수유입이 차단된 경우, 누수감지차단장치 차단부의 차단밸브를 인위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누름버튼수위치(미도시)와; 과열로 인한 화재를 알리는 열감지센서가 내장된 열감지부와;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이온냉온정수기의 전원, 세정, PH농도기능 등의 표시와 상기 기능들의 조정이 가능한 조정버튼이 있어 사용자가 선택,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표시/선택부와; 상기 각 부간의 정보전달 및 제어를 위한 제어부와; 통신을 위한 내부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냉온정수기는 이더넷, 전화선, 전력선 등의 유선망과 HomeRF, 무선랜, 블루투스 등의 무선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한 제어가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냉온정수기 원격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차단장치는 상기 이온냉온정수기와 수도관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통수량이 일정량 이상 계속되면, 누수 발생으로 인정하여 누수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누수감지신호에 응하여 누수알림신호를 발생하고, 누수를 차단하기 위해 누수차단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누수차단신호에 응하여 정수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통신을 위한 내부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량측정부는 상기 이온냉온정수기와 수도관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계량제어신호에 응하여 정수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량부와; 아날로그 데이터인 정수사용량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한 계량신호를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필터의 수명과 직결되어 필터교환 정보의 자료가 되는 정수사용량표시를 위한 디지털표시기와; 상기 디지털 표시기를 제어하고, 디지털사용량데이터를 인식하여 단말기로 전달하고, 외부로부터의 계량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계량부로 전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통신을 위한 내부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내부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와; 상기 이온냉온정수기, 상기 누수감지차단장치, 상기 정수량측정부의 운전상태 정보와 누수감지, 차단신호 및 정수사용량데이터 등 상황변화 정보를 특정데이터베이스형식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구동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전송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형식으로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외부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수행하고,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서 데이터를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화면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명령과 관련된 정보를 변경, 편집, 추가, 삭제 또는 설정할 수 있는 입력부와; 외부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와; 긴급상황 발생시 이를 상기 관리자PC에게 전송하고 사운드 출력을 위한 마이크로폰과 스피커장치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이더넷, 전화선, 전력선 등의 유선망과 HomeRF, 무선랜, 블루투스 등의 무선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PC는 각 단말기에 데이터요구 명령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각 단말기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전송 받는 제어명령에 의해 처리될 프로그램이 적재되어 구동되고, 데이터의 변경, 편집, 추가, 삭제가 가능하고,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의 쿼리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로 출력이 가능한 컴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9. 각 이온냉온정수기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의 누수를 감지하고 차단하는 누수감지차단장치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정수량측정부와; 상기 각 이온냉온정수기, 각 누수감지차단장치, 각 정수량측정부의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관리자PC와, 상기 인터페이스와 상기 관리자PC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시켜주기 위한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이온냉온정수기는 디지털 방식으로서 각각의 이온냉온정수기에 구별이 가능한 코드번호가 부여되고, 그 부여된 코드번호와 운전상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상기 이온냉온정수기의 연결수도관(미도시)에 정수유입이 차단된 경우, 누수감지차단장치 차단부의 차단밸브를 인위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누름버튼수위치(미도시)와; 과열로 인한 화재를 알리는 열감지센서가 내장된 열감지부와;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이온냉온정수기의 전원, 세정, PH농도기능 등의 표시와 상기 기능들의 조정이 가능한 조정버튼이 있어 사용자가 선택,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표시/선택부와; 상기 각 부간의 정보전달 및 제어를 위한 제어부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차단장치는 상기 이온냉온정수기와 수도관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통수량이 일정량 이상 계속되면, 누수 발생으로 인정하여 누수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누수감지신호에 응하여 누수알림신호를 발생하고, 누수를 차단하기 위해 누수차단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누수차단신호에 응하여 정수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량측정부는 상기 이온냉온정수기와 수도관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계량제어신호에 응하여 정수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량부와; 아날로그 데이터인 정수사용량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한 계량신호를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필터의 수명과 직결되어 필터교환 정보의 자료가 되는 정수사용량표시를 위한 디지털표시기와; 상기 디지털 표시기를 제어하고, 디지털사용량데이터를 인식하여 관리자PC에 전달하고, 외부로부터의 계량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계량부로 전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PC는 상기 이온냉온정수기, 상기 누수감지차단장치, 상기 정수량측정부의 운전상태 정보와 누수감지, 차단신호 및 정수사용량데이터 등 상황변화 정보를 특정데이터베이스형식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구동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전송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형식으로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외부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수행하고,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서 데이터를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화면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명령과 관련된 정보를 변경, 편집, 추가, 삭제 또는 설정할 수 있는 입력부와;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페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와; 긴급상황 발생시 이를 상기 관리자PC에게 전송하고 사운드 출력을 위한 마이크로폰과 스피커장치와;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의 쿼리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로 출력이 가능한 컴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14. 제 1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공중교환전화망(PSTN), 종합정보통신망(ISDN, xDSL, 케이블), 광케이블 매설을 통한 초고속 인터넷, 전력선을 이용한 가입자망, 무선랜, 위성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KR1020050055469A 2005-06-27 2005-06-27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KR20050074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469A KR20050074411A (ko) 2005-06-27 2005-06-27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469A KR20050074411A (ko) 2005-06-27 2005-06-27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411A true KR20050074411A (ko) 2005-07-18

Family

ID=3726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469A KR20050074411A (ko) 2005-06-27 2005-06-27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441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128B1 (ko) * 2005-04-25 2007-06-04 (주)실비토스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정보변경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0057A (ko) * 2006-12-21 2009-01-07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정수기의 동작상태 및 관리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정수기 및 정보 제공 방법
KR100887584B1 (ko) * 2008-06-20 2009-03-10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통신망을 이용한 정수기 통합 관리시스템
KR101354569B1 (ko) * 2013-10-16 2014-02-07 김병문 정수기의 필터교체 알람 및 원격제어 시스템
US10501343B1 (en) 2018-08-08 2019-12-10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thod of treating water with an ion exchange bed in a water treatment system
KR102218788B1 (ko) 2020-10-20 2021-02-19 황광용 매설배관 원격관리 수단 구축시스템
CN113359588A (zh) * 2021-07-08 2021-09-07 成都思为交互科技有限公司 净水器监测控制系统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128B1 (ko) * 2005-04-25 2007-06-04 (주)실비토스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정보변경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0057A (ko) * 2006-12-21 2009-01-07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정수기의 동작상태 및 관리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정수기 및 정보 제공 방법
KR100887584B1 (ko) * 2008-06-20 2009-03-10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통신망을 이용한 정수기 통합 관리시스템
WO2009154361A2 (ko) * 2008-06-20 2009-12-23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통신망을 이용한 정수기 통합 관리시스템
WO2009154361A3 (ko) * 2008-06-20 2010-03-11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통신망을 이용한 정수기 통합 관리시스템
KR101354569B1 (ko) * 2013-10-16 2014-02-07 김병문 정수기의 필터교체 알람 및 원격제어 시스템
US10501343B1 (en) 2018-08-08 2019-12-10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thod of treating water with an ion exchange bed in a water treatment system
US10611650B2 (en) 2018-08-08 2020-04-07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System for providing treated water
US11447404B2 (en) 2018-08-08 2022-09-20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of deionization of water
KR102218788B1 (ko) 2020-10-20 2021-02-19 황광용 매설배관 원격관리 수단 구축시스템
CN113359588A (zh) * 2021-07-08 2021-09-07 成都思为交互科技有限公司 净水器监测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5960B2 (en) Water meter and leak detection system having communication with a intelligent central hub listening and speaking apparatus, wireless thermostat and/or home automation system
AU2020291441B2 (en) Smart water valve
KR20050074411A (ko)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CA3000003C (en) Fluid monitoring system
KR101219205B1 (ko)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 방법
CA2842816A1 (en) System automation via an alarm system
KR10188713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장치
US20120041603A1 (en) System for the central control of operational devices
US20170009432A1 (en) Wireless Autom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uid Pressure in a Building
CN113295227A (zh) 一种家庭用水状态的监测方法以及监测系统
CN116075699A (zh) 可远程控制的水表、相关监控系统和控制方法
KR200300278Y1 (ko) 냉온정수기 누수차단 및 원격관리시스템
JP2010041921A (ja) 灌水監視方法、灌水監視システム及び灌水監視装置
US20240003774A1 (en) Periodic water leak detection
KR20050074410A (ko) 냉온정수기 누수차단 및 원격관리시스템
JPH10255183A (ja) 生活異常通報システム
US20210164860A1 (en) Water leak detection device and integration platform
KR20070097901A (ko)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정수기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JP2008085608A (ja) 集中検針システム及び集中検針装置
CN209196566U (zh) 一种智能管道安全监控装置及系统
JP2004363880A (ja)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086944A (ja) 情報端末装置、サーバ、情報処理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09832B1 (ja) 安否監視機能を有する水道量集中検針装置
JP2000088624A (ja) ガス集中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有効期限管理方法並びに有効期限管理システム及び有効期限管理装置
JP3813316B2 (ja) 集中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