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4118A -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118A
KR20050074118A KR1020040002344A KR20040002344A KR20050074118A KR 20050074118 A KR20050074118 A KR 20050074118A KR 1020040002344 A KR1020040002344 A KR 1020040002344A KR 20040002344 A KR20040002344 A KR 20040002344A KR 20050074118 A KR20050074118 A KR 20050074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case
air conditioner
fix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2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4118A/ko
Publication of KR20050074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11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01Q15/16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curved in two dimensions, e.g. paraboloid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표시부에 설치되는 미러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미러와; 상기 미러를 고정시키는 미러홀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억지 끼움방식에 의해 상기 미러홀더 밀착되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서, 미러를 끼움방식에 의한 마찰력으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작업자가 미러를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손쉽게 미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바, 공기조화기의 케이스를 조립하는 생산 수율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케이스{Case of air-conditioner}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크게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arate type 또는 split type)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송풍기를 하나의 캐비닛에 장착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에 위치하는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증발기 혹은 응축기) 및 송풍기를 설치하고, 실외에 위치하는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응축기 혹은 증발기)와 압축기와 및 송풍기를 설치하며,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팽창기구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개의 실내기를 연결한 것으로, 실외기를 공용으로 사용하면서 복수개의 실내기 각각을 냉방기 또는 난방기로 사용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와 실외기(2)와, 상기 실내기(1) 및 상기 실외기(2)를 연결하여 냉매를 유동시키는 냉매배관(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실외기(2)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4)와, 상기 압축기(4)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실외열교환기(5) 또는 실내열교환기(6)에 공급하는 사방밸브(미도시)와, 냉방사이클로 구동될 경우 상기 압축기(4)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5)와, 상기 실외열교환기(5)에 의해 열교환된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6)와, 상기 팽창장치에 의해 팽창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켜 냉매를 증발시키는 실내열교환기(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사이클로 구동될 경우 상기 사방밸브는 냉매를 상기 실내열교환기(7)로 보내 냉매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켜 응축시켜 실내 공기를 가열시키고, 상기 실내열교환기(7)에 응축된 냉매는 상기 팽창장치(6)에 의해 저온저압으로 팽창되며, 상기 실외열교환기(5)는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냉매를 증발시킨다.
도 5는 실내기 케이스 중 디스플레이 커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0)가 실내기 케이스(9)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10)는 다이오드나 발광램프 또는 LCD의 표현을 가중시키기 위하여 발광체의 배면에 미러(12)를 설치한다.
상기 표시부(10)는 실내기 케이스(9)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실내기 케이스(9)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커버(14)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4)의 배면에 위치되는 미러(12)와, 상기 미러(12)를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4)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미러홀더(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에 미러(12)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미러(12)를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4)와 상기 미러홀더(16)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4)에 형성된 돌기(14a)를 상기 미러홀더(16)의 홀(16a)에 끼운 후 체결수단인 세트나사(18)를 체결하여 상기 미러(12)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미러(12)를 고정하기 위하여 번거롭게 여러 가지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케이스에 보다 간편하게 미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미러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러와; 상기 미러를 고정시키는 미러홀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억지 끼움방식에 의해 상기 미러홀더 밀착되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중 케이스의 표시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50)와, 상기 케이스(50) 내부에 장착되어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40)와, 상기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유동시키는 송풍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50)는 전면케이스(60)와, 후면케이스(70)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케이스(60)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80)가 설치되고, 특히 상기 표시부(80)는 상기 전면케이스(60)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케이스(65)에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표시부(80)는 미러(82)와, 상기 미러(82)를 고정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65)에 고정되는 미러홀더(84)와, 상기 미러홀더(84)와 상기 미러(82)의 가장자리를 감싸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65)에 고정시키는 커버(8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미러홀더(84)는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65)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놉(85)과, 상기 놉(85)과 결합되어 미러(82)를 고정시키는 고정블럭(8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블럭(86)은 단(86a)을 형성시키는 삽입부(86b)가 형성되고, 상기 놉(85)은 상기 삽입부(86b)가 밀착되어 끼워지도록 홈(85a)이 형성된다.
상기 미러(82)는 가장자리에 턱(82a)이 형성되고, 상기 미러(82)의 하측 끝단 (82b)은 상기 고정블럭(86)의 단(86a)에 안착되며, 상기 미러(82)의 하측에 형성된 턱(82a)은 상기 고정블럭(86)의 턱(86a)에 걸쳐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65)는 상기 놉(85)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홈(65a)이 형성되고, 상기 미러(82)의 턱(82a)과 상기 미러홀더(84)의 가장자리를 감싸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65)에 고정시키는 커버(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래서 상기 커버(90)는 상기 미러(82) 및 상기 미러홀더(84)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홀(90a)이 형성되고, 체결수단인 세트나사(92)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65)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65)는 상기 전면케이스(60)에 장착되기 위하여 일측에 후크(65b)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65)를 상기 전면케이스(60)에 밀어서 끼움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65)를 장착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도 3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공기조화기의 케이스(50)를 조립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65)를 상기 전면케이스(60)에 설치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65)를 설치하기 위하여 미러홀더(84)를 조립하는 바 작업자는 미러(82)의 하측 끝단(82b)을 고정블럭(86)의 단(86a)에 안착시키게 된다. 상기 단(86a)이 고정블럭(86)에 안착되면 상기 미러(82)의 턱(82a)은 상기 고정블럭(86)의 상면(86c)에도 안착되어 상기 미러(8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고정블럭(86)의 삽입부(86b)를 상기 놉(85)의 홈(85a)에 끼운 후 상기 고정블럭(86)을 놉(85) 쪽으로 밀어 이동시키고, 상기 삽입부(86b)는 상기 홈(85a)에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블럭(86)의 단(86a)에 안착된 미러(82)를 상기 놉(85)에 밀착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과정에 의해서 미러(82)가 미러홀더(84)에 고정되고, 상기와 같이 고정된 미러(82)와 미러홀더(84)는 다시 디스플레이케이스(65)에 고정된다. 그래서 상기 미러홀더(84)를 디스플레이케이스(65)에 고정시키기 이하여 작업자는 상기 놉(85)의 삽입부(85b)를 디스플레이케이스(65)의 홈(65a)에 일치시킨 후 상기 미러홀더(84)를 밀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65)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미러(82)가 고정된 미러홀더(84)는 디스플레이케이스(65)에 고정되고, 상기 미러(82)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미러(82)를 미려하게 보이게 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커버(9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커버(90)를 디스플레이케이스(65)에 장착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커버(90)의 홀(90a) 가장자리를 상기 미러(82)의 가장자리인 턱(82a)와 일치시키고 고정블럭(86)의 하단(86d)을 상기 홀(90a)의 하단(90d)과 일치시키면 상기 커버(90)가 상기 미러(82) 및 고정블럭(86)의 가장자리를 정확하게 감싸게 되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커버(90)를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65)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커버(90)에 형성된 홀(90b)에 세트나사(92)를 체결하여 상기 커버(90)를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65)에 고정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미러(82)가 장착된 디스플레이케이스(65)를 전면케이스(60)에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65)에 형성된 후크(65b)를 전면케이스(60)에 형성된 단(미도시)에 결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65)의 장착을 완료한다.
이와같이 고정블럭(86)과 놉(85)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미러(82)는 종래 기술과 같이 체결수단인 세트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끼움방식에 의해 미러(82)를 고정할 뿐만 아니라 상기 미러(82)를 고정시킨 미러홀더(84)도 디스플레이케이스(65)에 끼움방식에 의해 고정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케이스는 미러를 끼움방식에 의한 마찰력으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작업자가 미러를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손쉽게 미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바, 공기조화기의 케이스를 조립하는 생산 수율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 중 케이스의 표시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는 실내기 케이스 중 디스플레이 커버의 배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케이스 60 : 전면케이스
65 : 디스플레이케이스 65a : 홈
65b : 후크 70 : 후면케이스
80 : 표시부 82 : 미러
82a : 턱 84 : 미러홀더
85 : 놉 85a : 홈
85b : 삽입부 86 : 고정블럭
86a : 단 86b : 삽입부
86c : 상면 86d : 하면
90 : 커버 90a : 홀
92 : 세트나사

Claims (8)

  1. 미러와; 상기 미러를 고정시키는 미러홀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상기 미러홀더 밀착되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홀더는 상기 미러가 고정되도록 상기 미러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미러를 지지하는 놉과;
    상기 미러의 타측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미러의 일단이 안착되는 단이 형성되고, 상기 단에 안착된 미러를 상기 놉에 밀착시켜 상기 미러를 고정시키는 고정블럭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놉은 상기 고정블럭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은 단을 형성시키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놉의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케이스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의 가장자리는 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케이스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놉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케이스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미러가 고정된 미러홀더의 가장자리를 감싸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케이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케이스
KR1020040002344A 2004-01-13 2004-01-13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KR20050074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344A KR20050074118A (ko) 2004-01-13 2004-01-13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344A KR20050074118A (ko) 2004-01-13 2004-01-13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118A true KR20050074118A (ko) 2005-07-18

Family

ID=3726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344A KR20050074118A (ko) 2004-01-13 2004-01-13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41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417B1 (ko) 2007-01-31 2008-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1609477A (zh) * 2020-04-30 2020-09-01 张贤博 一种空调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417B1 (ko) 2007-01-31 2008-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1609477A (zh) * 2020-04-30 2020-09-01 张贤博 一种空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4797U (ko)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
KR20050074118A (ko)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CN212618663U (zh) 可拆洗的空调室内机
CN100532988C (zh) 空调器的机箱
KR100319690B1 (ko) 열교환기의 온도센서 고정구조
KR200282154Y1 (ko) 실외기의 서비스 밸브 조립구조
KR20020007472A (ko) 공기조화기 컨트롤박스의 인쇄회로기판 커버 고정구조
KR100795606B1 (ko) 공조기기
CN221005261U (zh) 立式空调室内机
AU2018451233B2 (en) Decorative panel and indoor unit
CN215490273U (zh) 一种室内空调器
CN217082747U (zh) 空调室外机
CN219550773U (zh) 风管机
KR100743701B1 (ko) 덕트형 공기 조화기
KR200346771Y1 (ko) 에어컨 실외기의 지지패널 구조
WO2023029131A1 (zh) 吊装式空调室内机
KR200181350Y1 (ko) 에어컨의 패널 조립체
KR100432686B1 (ko) 회전이 가능한 분리형 에어컨의 서비스 밸브
KR200356004Y1 (ko) 에어컨 실외기의 응축기 고정구조
KR200252544Y1 (ko) 평행흐름식 콘덴서 장착구조
KR200323966Y1 (ko) 에어컨용 증발기 고정장치
KR100413071B1 (ko) 에어컨 토출그릴용 모터 장착구조
KR200282155Y1 (ko) 실외기의 서비스 밸브 조립구조
KR20050074115A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KR100565513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밸브서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