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4115A -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115A
KR20050074115A KR1020040002341A KR20040002341A KR20050074115A KR 20050074115 A KR20050074115 A KR 20050074115A KR 1020040002341 A KR1020040002341 A KR 1020040002341A KR 20040002341 A KR20040002341 A KR 20040002341A KR 20050074115 A KR20050074115 A KR 20050074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air conditioner
fixing structure
bracke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2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4115A/ko
Publication of KR20050074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11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열교환기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측과 하측으로 경사지게 위치되는 복수개의 열교환기와,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기가 일체를 이루도록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기를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측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상기 하측 열교환기를 따라 흐르도록, 상기 상측 열교환기와 상기 하측 열교환기에 단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측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상기 하측 열교환기로 흐르게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단을 형성시킴으로서 응축수가 캐비닛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상/하측 열교환기를 지지하여 상기 상/하측 열교환기의 위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A heat exchanger fix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크게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arate type 또는 split type)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송풍기를 하나의 캐비닛에 장착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에 위치하는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증발기 혹은 응축기) 및 송풍기를 설치하고, 실외에 위치하는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응축기 혹은 증발기)와 압축기와 및 송풍기를 설치하며,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팽창기구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최근에는 실내기가 차지하는 공간 때문에, 상기 실내기를 천장, 벽면, 베란다 등에 장착하거나 옥상 등의 실외에 장착하고 별도의 흡입덕트와 배출덕트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배출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 중 실내 열교환기의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와 실외기(2)와, 상기 실내기(1) 및 상기 실외기를 연결하여 냉매를 유동시키는 냉매배관(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실외기(2)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4)와, 상기 압축기(4)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실외열교환기(5) 또는 실내열교환기(6)에 공급하는 사방밸브(미도시)와, 냉방사이클로 구동될 경우 상기 압축기(4)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5)와, 상기 실외열교환기(5)에 의해 열교환된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미도시)와, 상기 팽창장치에 의해 팽창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켜 냉매를 증발시키는 실내열교환기(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사이클로 구동될 경우 상기 사방밸브는 냉매를 상기 실내열교환기(7)로 보내 냉매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켜 응축시켜 실내 공기를 가열시키고, 상기 실내열교환기(7)에 응축된 냉매는 상기 팽창장치(6)에 의해 저온저압으로 팽창되며, 상기 실외열교환기(5)는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냉매를 증발시킨다.
한편 도시된 것과 같은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매의 양이 많다보니 실내열교환기(7)가 하나로 구성되지 않고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상기 복수개의 실내열교환기(7a)(7b)는 결합수단인 브래킷(8)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실내열교환기(7a)(7b)를 고정시키는 종래의 브래킷(8)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7a)(7b)의 측면에 설치되고, '??'자 형태로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브래킷(8)은 복수개의 구성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7a)(7b)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상기 브래킷(8)이 느슨하게 결합되거나,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되지 않을 경우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실내열교환기(7a)(7b)의 경계(7c)에 응축수가 모여 하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렇게 실내열교환기(7a)(7b)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실내기(1)의 캐비닛(9)으로 직접 낙하될 경우 상기 응축수에 의해 상기 캐비닛(9) 부식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열교환기를 보다 견고하게 연결시켜 열교환기의 경계부분에서 응축수가 낙하되지 않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과 하측으로 경사지게 위치되는 복수개의 열교환기와,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기가 일체를 이루도록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기를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측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상기 하측 열교환기를 따라 흐르도록, 상기 상측 열교환기와 상기 하측 열교환기에 단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중 열교환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 중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10a) 및 배출구(10b)를 형성시키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 설치되어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30)와, 상기 열교환기(30)의 상측에서 상기 열교환기(3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유동시키는 송풍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덕트형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흡입구(10a) 및 상기 배출구(10b)에 덕트(12)가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2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가이드한다.
상기 열교환기(30)는 복수개가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교환기(30)는 상측 열교환기(32)와 하측열교환기(34)로 구성되며, 상기 열교환기(30)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받기 위하여 상기 하측 열교환기(34) 하부에 응축수받이(4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하측 열교환기(32)(34)는 고정수단인 브래킷(5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브랫킷(50)은 상기 상/하측 열교환기(32)(34)에 단(30a)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하측 열교환기(32)(34)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측 열교환기(32)(34)는 상면(32a)(34a), 하면(32b)(34b), 측면(32c)(34c)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32c)(34c)에 냉매가 이동되는 배관(31)이 돌출된다.
상기 브래킷(50)은 상기 상/하측 열교환기(32)(34)의 측면(32c)(34c)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배관(31)을 지지하면서 단(30a)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래서 상기 브래킷(50)은 상기 상측 열교환기(32)의 배관(31)을 지지하는 상측 지지면(52)과, 상기 하측 열교환기(34)의 배관(33)을 지지하는 하측 지지면(54)이 형성되고, 체결수단인 세트나사(60)가 체결되기 위한 홀(56)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상기 브래킷(50)은 상기 배관(31)(33)들과 접촉되어 상기 상/하측 열교환기(32)(34)를 지지하면서 상기 세트나사(6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상측 열교환기(32)의 상면(32a)이 상기 하측 열교환기(34a)의 상면보다 위쪽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상측 열교환기(32)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상기 단(30a)을 따라 상기 하측 열교환기(34)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도 3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상측 열교환기(32)의 상면(32a)이 상기 하측 열교환기(34)의 상면(34a) 보다 위쪽에 위치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50)을 상기 상/하측 열교환기(32)(34) 사이에 끼워 밀착시킨 다음, 상기 홀(56)에 세트나사(60)를 체결하여 상기 브래킷(50)을 상기 상/하측 열교환기(32)(34)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세트나사(60)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된 상기 상/하측 열교환기(32)(34)는 배관(31)(33)이 상기 브래킷(50)의 지지면(52)(54)과 밀착됨으로서 상기 브래킷(50)의 상기 상/하측 열교환기(32)(34)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상측 열교환기(32)를 지지하는 역할까지도 담당함으로서, 상기 상측 열교환기(32)에 소정의 외력이 가해져도 상기 열교환기(32)(34)의 위치가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상측 열교환기(32)의 상면(32a)이 상기 하측 열교환기(34)의 상면(34a)보다 위쪽에 위치됨으로서, 종래 기술과 같이 응축수가 상기 단을 통해 캐비닛(10)으로 낙하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해 의도적으로 형성된 단(30a)을 통해 상기 하측 열교환기(34)로 흘러내리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는 상측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상기 하측 열교환기로 흐르게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단을 형성시킴으로서 응축수가 캐비닛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상/하측 열교환기를 지지하여 상기 상/하측 열교환기의 위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 중 열교환기의 측면도
도 3은 도 2 중 A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4 중 실내 열교환기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설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닛 10a : 흡입구
10b : 배출구 12 : 덕트
20 : 송풍기 30 : 열교환기
30a : 단 32 : 상측 열교환기
34 : 하측 열교환기 32a, 34a : 상면
32c, 34c : 측면 40 : 응축수받이
50 : 브래킷 52 : 상측 지지면
54 : 하측 지지면 56 : 홀
60 : 세트나사

Claims (7)

  1. 상측과 하측으로 경사지게 위치되는 복수개의 열교환기와,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기가 일체를 이루도록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기를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측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상기 하측 열교환기를 따라 흐르도록, 상기 상측 열교환기와 상기 하측 열교환기에 단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열교환기는 측면에 냉매가 이동되는 배관이 돌출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하측의 배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상측 열교환기를 지지하며 단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측 열교환기의 상면이 상기 하측 열교환기의 상면보다 위쪽에 위치되어 단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상/하측 열교환기에 고정되는 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상측 열교환기의 배관을 지지하는 상측 지지면과; 상기 하측 열교환기의 배관을 지지하는 하측 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세트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KR1020040002341A 2004-01-13 2004-01-13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KR20050074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341A KR20050074115A (ko) 2004-01-13 2004-01-13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341A KR20050074115A (ko) 2004-01-13 2004-01-13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115A true KR20050074115A (ko) 2005-07-18

Family

ID=3726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341A KR20050074115A (ko) 2004-01-13 2004-01-13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41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5886B2 (en) 2016-01-28 2019-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t exchanger fix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5886B2 (en) 2016-01-28 2019-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t exchanger fix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5513B2 (en) Low profile evaporator coil
US8001802B2 (en) Air conditioner
US6446455B1 (en) Personal air conditioner
JP5123018B2 (ja) 空調装置
JP5028927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50074115A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KR100606733B1 (ko) 멀티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4605725B2 (ja) 増設凝縮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増設凝縮システム付冷凍サイクル装置
JP3619533B2 (ja) 冷凍装置
CN217131392U (zh) 空调器
KR100529914B1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1604006B2 (en) Makeup air parallel flow energy recovery system atop air conditioner
KR20050064963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배관 지지구조
KR101419827B1 (ko) 실내외 일체형 수열원 히트펌프
CN220728370U (zh) 一种多联式恒温恒湿中央空调系统
CN217604421U (zh) 空调器装置
JP2006002949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0565513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밸브서포트
KR100239560B1 (ko) 공기조화기의 능력보상장치
KR20050049954A (ko) 응축기에 저온냉매유로가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40020709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161182Y1 (ko) 분리형 룸에어컨의 실외기 구조
KR20030037042A (ko) 응축수를 이용한 성능향상 에어컨
CN101307849A (zh) 空调器防漏水卡件
CN115419952A (zh) 一种不降温连续抽湿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