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966Y1 - 에어컨용 증발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용 증발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966Y1
KR200323966Y1 KR2019980027626U KR19980027626U KR200323966Y1 KR 200323966 Y1 KR200323966 Y1 KR 200323966Y1 KR 2019980027626 U KR2019980027626 U KR 2019980027626U KR 19980027626 U KR19980027626 U KR 19980027626U KR 200323966 Y1 KR200323966 Y1 KR 200323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top plate
fixing
refrigerant pip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6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323U (ko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20199800276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96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3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3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9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냉매파이프에 냉각핀 확관전 탑플레이트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냉각핀의 삽입 후 탑플레이트를 통한 고정작업을 이루도록 하여 탑플레이트와 증발기 상부 고정시 별도의 볼트 조립공정을 삭제하므로서, 작업공정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컨용 증발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탑 플레이트의 하면 양측을 절곡하여 체결편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편으로는 냉매파이프으로 삽입되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탑 플레이트를 냉매파이프에 삽입시킨 후 확관공정을 실시하므로서, 종래서와 같이 확관공정 후 고정볼트를 통해 탑 플레이트와 앤드 플레이트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작업을 증발기 조립공정에서 삭제할 수 있어 작업공정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Description

에어컨용 증발기 고정장치(an apparatus for fixing the eva of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냉매파이프에 냉각핀 확관전 탑플레이트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냉각핀의 삽입 후 탑플레이트를 통한 고정작업을 이루도록 하여 탑플레이트와 증발기 상부 고정시 별도의 볼트 조립공정을 삭제하므로서, 작업공정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컨용 증발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의 냉동사이클에 따른 냉매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즉, 압축기가 냉매를 압축하여 포화압력까지 냉매의 압력을 상승시키면 응축기가 공기를 이용하여 고압의 냉매가 갖고 있는 열을 흡수하여 냉매를 액화시킨다. 이와같이 액화된 냉매는 팽창밸브의 교축작용에 의해 압력이 낮아지고, 이 냉매가 증발기에서 증발하면서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켜 실내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도 3은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일반적인 에어컨의 일형태인 패키지형 에어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에어컨 본체(100)의 하부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110)의 내측에는 흡입된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켜 냉각시키는 증발기(150)가 상부는 탑 플레이트(160)에 의해 하부는 드레인팬(170)에 고정,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증발기(150)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컨 본체(100)의 내측 중앙에는 흡입구(110)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증발기(150)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토출구(120)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는 송풍팬(130)이 장착되어 있으며, 본체(10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에어컨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판(14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판(140)을 통해 에어콘을 구동시키면 본체(100)의 내측에 장착된 송풍팬(130)이 구동하여 실내공기를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하는데, 이때 흡입된 실내공기는 증발기(150)에서 열교환되어 토출구(120)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의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도 4는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증발기의 고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냉매파이프(151) 및 다수의 냉각핀(152)으로 형성된 증발기(150)와 상기 증발기(150)의 상부를 고정하는 것으로 일단이 절곡되어 측면(161)과 하면(162)을 갖는 탑 플레이트(16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150)의 화관(냉각핀 삽입공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증발기(150)의 좌,우를 고정하는 각각의 앤드 플레이트(end plate)(18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증발기(150)는 냉매파이프(151)에 다수의 냉각핀(152)을 삽입시키는 확관공정을 실시하고, 이어 상기 냉각핀(152)이 삽입된 냉매파이프(151)을 고정하기 위해 냉매파이프(151)의 양측으로 각각 앤드 플레이트(180)가 삽입,고정되어 진다.
한편, 상기 앤드 플레이트(180)가 삽입,고정된 증발기(150)의 상부로 탑 플레이트(160)의 하면(162)이 안착되어 지고, 이 상태에서 탑 플레이트(160)의 양끝단으로 형성된 체결공(163)과 앤드 플레이트(180)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181)을 상호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190)를 통해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고정된 증발기(150)를 에어컨 본체(100)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흡입구(110)의 후면으로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증발기의 확관 및 고정작업시 증발기의 확관이 완료된 상태에서 탑플레이트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탑플레이트 고정을 위해서 고정볼트를 통해 앤드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작업공정이 추가되므로서, 이에 따른 작업공수 증가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탑 플레이트의 하면 양측을 절곡하여 체결편 및 냉매파이프으로의 삽입가능하도록 체결공을 형성하여 증발기의 냉매파이프에 냉각핀 확관전 탑 플레이트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냉각핀의 삽입 후 탑 플레이트를 통한 고정작업을 이루도록 하여 탑 플레이트와 증발기 상부 고정시 별도의 볼트 조립공정을 삭제하므로서, 작업공정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컨용 증발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냉매파이프 및 다수의 냉각핀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절곡되어 측면과 하면을 갖는 탑 플레이트와 앤드 플레이트에 의해 고정되는 통상의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 양측을 절곡하여 체결편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편으로는 냉매파이프으로 삽입되는 체결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증발기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고안의 수단이 구비된 패키지형 에어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일반적인 에어컨의 일형태인 패키지형 에어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종래의 증발기 고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증발기 51 : 냉매파이프
52 : 냉각핀 60 : 탑 플레이트
61 : 측면 62 : 하면
63 : 체결편 64 : 체결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증발기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냉매파이프(51) 및 다수의 냉각핀(52)으로 형성된 증발기(50)와 이 증발기(50)의 상부를 고정하는 것으로 일단이 절곡되어 측면(61)과 하면(62)을 갖는 탑 플레이트(6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탑 플레이트(60)의 하면(62) 양측은 절곡되어 체결편(63)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체결편(63)으로는 증발기(50)의 냉매파이프(51)에 삽입가능하도록 체결공(6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증발기(50)를 에어컨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증발기(50)의 조립을 완료하여야 하며, 그 조립과정은 탑 플레이트(60)의 체결편(63)에 형성된 체결공(64)을 증발기(50)의 냉매파이프(51)의 상부로 삽입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다시 냉각핀(52)을 냉매파이프(51)에 삽입하는 확관공정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증발기(5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앤드 플레이트(80)를 삽입,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증발기(50)의 상부 고정을 위해 확관공정 후 고정볼트를 통해 탑 플레이트(60)와 앤드 플레이트(80)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작업을 증발기(50) 조립공정에서 삭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수단이 구비된 패키지형 에어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탑 플레이트(60)와 앤드 플레이트(80)를 통해 조립이 완료된 증발기(50)가 에어컨 본체(10)의 하부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1)의 후면으로 상부는 탑 플레이트(60)에 전면판넬에 지지, 고정되어 지며, 증발기(50) 하부는 드레인팬(70)의 일측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고정, 설치된 증발기(50)는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켜 토출구(12)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탑 플레이트를 냉매파이프에 삽입시킨 후 확관공정을 실시하므로서, 종래서와 같이 확관공정 후 고정볼트를 통해 탑 플레이트와 앤드 플레이트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작업을 증발기 조립공정에서 삭제할 수 있어 작업공정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냉매파이프(151) 및 다수의 냉각핀(152)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절곡되어 측면(161)과 하면(162)을 갖는 탑 플레이트(160)와 앤드플레이트(180)에 의해 고정되는 통상의 증발기(150)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60)의 하면(62) 양측을 절곡하여 체결편(63)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편(63)으로는 냉매파이프(51)으로 삽입되는 체결공(6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증발기 고정장치.
KR2019980027626U 1998-12-30 1998-12-30 에어컨용 증발기 고정장치 KR200323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626U KR200323966Y1 (ko) 1998-12-30 1998-12-30 에어컨용 증발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626U KR200323966Y1 (ko) 1998-12-30 1998-12-30 에어컨용 증발기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323U KR20000014323U (ko) 2000-07-25
KR200323966Y1 true KR200323966Y1 (ko) 2003-10-17

Family

ID=4941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626U KR200323966Y1 (ko) 1998-12-30 1998-12-30 에어컨용 증발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9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323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8877B2 (en) Air conditioner having fan module with installation space and stabilizer modifier spaced apart from the fan module
KR200323966Y1 (ko) 에어컨용 증발기 고정장치
KR200350192Y1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드레인팬_
KR100743701B1 (ko) 덕트형 공기 조화기
KR200323965Y1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드레인팬_
KR100308382B1 (ko) 에어콘실외기
KR200340245Y1 (ko) 패캐지에어컨실내기의베이스결합장치
KR0128729Y1 (ko) 거치형 에어콘의 실내기구조
KR200175101Y1 (ko)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기 냉각공기 순환구조
KR200161190Y1 (ko) 분리형 에어컨용 실내기
KR20000014307U (ko) 에어컨 증발기
KR200219556Y1 (ko) 공기 조화기
KR20000010654U (ko) 에어컨의 냉각팬 결합장치
KR200249513Y1 (ko) 실외기 없는 냉난방기의 열교환용 공기 공급 장치
KR20000021348U (ko) 창문형 에어컨의 블레이드 고정장치
KR200264492Y1 (ko) 냉장고의기계실방열장치
KR200164943Y1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200297818Y1 (ko) 룸에어컨의 실내기용 고정구조
KR20000021347U (ko) 창문형 에어컨의 블레이드 고정장치
KR20030000174A (ko) 덕트형 공기 조화기
KR20020064032A (ko) 에어컨의 응축수를 이용한 실외열교환기 냉각장치
KR20000008076U (ko) 창문형 에어컨의 실외측 차단벽체
KR20000014332U (ko) 창문형 에어컨의 캐비넷
KR20000001833U (ko)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측 차단벽체
KR20000044709A (ko) 창문형 에어컨의 결빙방지용 증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