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833U -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측 차단벽체 - Google Patents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측 차단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833U
KR20000001833U KR2019980011636U KR19980011636U KR20000001833U KR 20000001833 U KR20000001833 U KR 20000001833U KR 2019980011636 U KR2019980011636 U KR 2019980011636U KR 19980011636 U KR19980011636 U KR 19980011636U KR 20000001833 U KR20000001833 U KR 200000018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air conditioner
barrier wall
windo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왕구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1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833U/ko
Publication of KR200000018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833U/ko

Links

Landscapes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측 차단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커버부가 형성되고, 일면에는 실내측 차단벽의 베리어벽과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봉이 형성되며, 그 타면 일측에는 지지판이 형성되어 냉각팬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되는 실외공기를 상기 통공을 통하여 응축기를 통과시키 뒤 상부케이스의 배기구를 통하여 실외로 다시 배기되도록 안내하여 실내와 열교환을 차단하는 할 수 있도록 베이스판에 설치되는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측 차단벽체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이 형성된 타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에 상기 통공의 외주연과 상응되게 라운딩된 면에 다수의 산과 골이 형성된 비산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측 차단벽체를 제공하므로서,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기 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차단벽체에 냉각팬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비산시킬 수 있도록 비산부를 형성하여 응축기의 열교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측 차단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측 차단벽체(A orifice cover of the window type air-conditioner).
본 고안은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측 차단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기 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차단벽체에 냉각팬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응축기의 열교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측 차단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창문형 에어콘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100)와, 이 압축기(100)에서 이송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방열시켜 점차적으로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키는 응축기(200)와, 이 응축기(200)에서 액체상태로 상변화되어 이송된 냉매를 저온의 액체 및 기체상태로 감압하는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와, 이 팽창밸브에서 이송된 저온의 액체 및 기체 상태의 냉매를 통과시키면서 증발되어 주변열을 빼앗아 외부온도를 낮은 온도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증발된 냉매가스를 다시 압축기(100)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증발기(300)에 의하여 냉매사이클을 구성하여 냉방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냉매사이클을 이용하여 냉방시키는 창문형 에어콘(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베이스판(50) 위에 조립되는 실내·외측 차단벽체(60)(70)와, 이 실내·외측 차단벽체(60)(70)의 내부로 구동모터(82)의 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조립되어 설치되는 송풍팬(62) 및 냉각팬(72)과, 실내측 차단벽체(60)에 조립되어 냉매사이클을 콘트럴하는 콘트럴박스(도시되지 않음)와, 실내측 차단벽체(60)의 전방에 위치되게 조립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냉기를 배출시키는 그릴부(90)와, 각 구성품을 은폐시키기 위하여 베이스판(50)에 조립되는 상부케이스(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
상기 실내측 차단벽체(60)는 실내·외측의 열교환을 차단하도록 함과 동시에 구조물의 기둥역할을 하도록 베이스판(50)에 조립되는 베리어벽(63)과, 베이스판(50) 및 베리어벽(63)에 일체로 조립되어 송풍팬(62)의 흡입력에 의하여 증발기(300)를 통과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실내로 순환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증발기(300)에서 증발된 응축수를 받아서 외부로 배수시키는 응축수받이(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상부에 송풍로가 형성되는 스크롤부(64)와, 이 스크롤부(64)의 전면에 별도로 조립되어 스크롤부(64)에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일정한 압력과 방향으로 모아주는 증발기커버(65)로 구성된다.
상기 실외측 차단벽체(오리피스 커버)(70)는 도 4에서와 같이 중앙에 통공(73)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커버부(75)가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베리어벽(63)과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봉(76)이 형성되며, 그 타면 일측에는 냉각팬(72)이 회전되면서 상기 실내기 측에서 생성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응축수를 비산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78)가 형성된 지지판(79)이 형성되게 구성되어 베이스판(50)에 조립된 후, 냉각팬(72)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되는 실외공기를 상기 통공(73)을 통하여 응축기(200)를 통과시키 뒤 상부케이스의 배기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실외로 다시 배기되도록 안내하여 실내와 열교환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 실외측 차단벽체(70)의 일면으로 형성된 가이드(78)는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냉각팬(72)이 회전되면서 실내기 측에서 생성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응축수를 비산시키는 과정에서 그 전방으로 설치된 응축기(200)에 효과적으로 비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기 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차단벽체에 냉각팬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응축기의 열교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외측 차단벽체를 도시한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를,
도 2는 본 고안 실외측 차단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일반적인 창문형 에어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단면도이고,
도 4는 종래 실외측 차단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창문형 에어콘 10 : 비산가이드부
10a : 비산가이드 12, 12a : 산
14, 14a : 골 16 : 고정턱
18 : 결합홈 70 : 실외측 차단벽체
72 : 냉각팬 73 : 통공
79 : 지지판 200 : 응축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커버부가 형성되고, 일면에는 실내측 차단벽의 베리어벽과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봉이 형성되며, 그 타면 일측에는 지지판이 형성되어 냉각팬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되는 실외공기를 상기 통공을 통하여 응축기를 통과시키 뒤 상부케이스의 배기구를 통하여 실외로 다시 배기되도록 안내하여 실내와 열교환을 차단하는 할 수 있도록 베이스판에 설치되는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측 차단벽체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이 형성된 타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에 상기 통공의 외주연과 상응되게 라운딩된 면에 다수의 산과 골이 형성된 비산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의 내면에 끝단이 절곡된 각각의 고정턱을 형성하고, 이 고정턱에는 이 고정턱에 부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통공의 외주연과 상응되게 라운딩된 면에 다수의 산과 골이 형성된 비산가이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외측 차단벽체를 도시한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로서, 중앙에 통공(73)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커버부(75)가 형성되고, 일면에는 실내측 차단벽의 베리어벽과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봉(76)이 형성되며, 그 타면 일측에는 지지판(79)이 형성되고, 이 지지판(79)에는 상기 통공(73)의 외주연과 상응되게 라운딩된 면에 다수의 산(12)과 골(14)이 형성된 비산가이드부(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실외측 차단벽체(7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 실외측 차단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로서, 중앙에 통공(73)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커버부(75)가 형성되고, 일면에는 실내측 차단벽의 베리어벽과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봉(76)이 형성되며, 그 타면 일측에는 지지판(79)이 형성되고, 이 지지판(79)에는 내면에 끝단이 절곡된 각각의 고정턱(16)을 형성하고, 이 고정턱(16)에는 이 고정턱(16)에 부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결합홈(18)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통공(73)의 외주연과 상응되게 라운딩된 면에 다수의 산(12a)과 골(14a)이 형성된 비산가이드(10a)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실외측 차단벽체(70)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앙에 통공(73)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커버부(75)가 형성되고, 일면에는 실내측 차단벽(60)의 베리어벽(63)과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봉(76)이 형성되며, 그 타면 일측에는 지지판(79)이 형성되고, 이 지지판(79)에는 상기 통공(73)의 외주연과 상응되게 라운딩된 면에 다수의 산(12)과 골(14)이 형성된 비산가이드부(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실외측 차단벽체(70)를 도 3에서와 같이 베이스판(50)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실외측 차단벽체(70)의 설치가 완료되어 창문형 에어콘(1)을 작동시키면 실내기 측의 증발기(300)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응축수받이를 거쳐 실외기 측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지는 데, 이때, 실외기 측의 냉각팬(72)이 회전되면서 상기 외부로 배출되는 응축수를 실외측 차단벽체(70) 내에서 비산시켜 그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응축기(200)에 접촉시키므로서, 응축기(200)의 열교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냉각팬(72)이 회전되면서 응축수를 비산시킬 수 있는 것은 지지판(79)의 일면으로 라운딩된 면에 다수의 산(12)과 골(14)이 형성된 비산가이드부(10)에 냉각팬(72)이 회전됨에 따라 냉각팬(72)의 끝단으로 접촉되는 응축수가 상기 비산가이드부(10)의 산(12)과 골(14)에 부딪치면서 비산되어 지는 것이다.
한편, 도 2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는 비산부를 지지판(79)의 내면에 끝단이 절곡된 각각의 고정턱(16)을 형성하고, 이 고정턱(16)에는 이 고정턱(16)에 부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결합홈(18)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통공(73)의 외주연과 상응되게 라운딩된 면에 다수의 산(12a)과 골(14a)이 형성된 비산가이드(10a)를 필요에 따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종래 실외측 차단벽체(70)의 지지판(79)에 상기와 같은 고정턱(16)를 형성시켜 상기와 같은 비산가이드(10a)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응축기(200)의 열교환 효과를 갖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기 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차단벽체에 냉각팬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비산시킬 수 있도록 비산부를 형성시키크로서, 응축기의 열교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

  1.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커버부가 형성되고, 일면에는 실내측 차단벽의 베리어벽과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봉이 형성되며, 그 타면 일측에는 지지판이 형성되어 냉각팬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되는 실외공기를 상기 통공을 통하여 응축기를 통과시키 뒤 상부케이스의 배기구를 통하여 실외로 다시 배기되도록 안내하여 실내와 열교환을 차단하는 할 수 있도록 베이스판에 설치되는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측 차단벽체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76)이 형성된 타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79)에 상기 통공(73)의 외주연과 상응되게 라운딩된 면에 다수의 산(12)과 골(14)이 형성된 비산가이드부(1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측 차단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79)의 내면에 끝단이 절곡된 각각의 고정턱(16)을 형성하고, 이 고정턱(16)에는 이 고정턱(16)에 부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결합홈(18)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통공(73)의 외주연과 상응되게 라운딩된 면에 다수의 산(12a)과 골(14a)이 형성된 비산가이드(10a)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측 차단벽체.
KR2019980011636U 1998-06-30 1998-06-30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측 차단벽체 KR200000018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636U KR20000001833U (ko) 1998-06-30 1998-06-30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측 차단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636U KR20000001833U (ko) 1998-06-30 1998-06-30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측 차단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833U true KR20000001833U (ko) 2000-01-25

Family

ID=6951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636U KR20000001833U (ko) 1998-06-30 1998-06-30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측 차단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83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000B1 (ko) * 2022-08-25 2023-04-27 오성택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000B1 (ko) * 2022-08-25 2023-04-27 오성택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6016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KR100315774B1 (ko) 창문형슬림에어컨
KR19980085626A (ko) 에어콘의 응축기 냉각장치
KR20000001833U (ko) 창문형 에어콘의 실외측 차단벽체
KR200350192Y1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드레인팬_
KR100399323B1 (ko) 창문형 에어컨
KR100713825B1 (ko) 나선형 응축기의 효율증대 구조
KR10053135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고정장치
KR20000009885U (ko) 보조 차단판이 설치된 창문형 에어컨의 실외측 차단벽체
KR200213719Y1 (ko)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
KR200340245Y1 (ko) 패캐지에어컨실내기의베이스결합장치
KR100743701B1 (ko) 덕트형 공기 조화기
KR100511969B1 (ko) 공기조화기
KR20000014326U (ko) 창문형 에어컨의 냉각팬
KR20000010669U (ko) 창문형 에어컨의 송풍팬
KR200224092Y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KR200307636Y1 (ko) 열펌프 에어컨의 제상구조
KR20010000831U (ko) 창문형 에어컨의 열교환기 냉각구조
KR20010110833A (ko) 창문형 에어컨
KR20000015468U (ko) 창문형 에어콘의 증발기
KR20000003899U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20040020709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232129Y1 (ko) 에어컨 실외기용 베이스 구조
KR20000001845U (ko) 창문형 에어콘의 증발기 커버와 스크롤의 결합장치
KR20000008076U (ko) 창문형 에어컨의 실외측 차단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