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190Y1 - 분리형 에어컨용 실내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에어컨용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190Y1
KR200161190Y1 KR2019970028972U KR19970028972U KR200161190Y1 KR 200161190 Y1 KR200161190 Y1 KR 200161190Y1 KR 2019970028972 U KR2019970028972 U KR 2019970028972U KR 19970028972 U KR19970028972 U KR 19970028972U KR 200161190 Y1 KR200161190 Y1 KR 200161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air
heat exchanger
indoor
blow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687U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2019970028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190Y1/ko
Publication of KR199900156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6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1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형 에어컨용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실내기(100)는, 후면판넬(11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송풍팬(117)과, 이 송풍팬(117)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어 열교환되도록 설치된 실내측열교환기(111)와, 이 실내측열교환기(1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응축수(500)를 응집시키도록 된 응축수받이(119)와, 상기 후면판넬(113)에 결합되도록 된 양 측면판넬(114)(115)과, 이 측면판넬(114)(115)에 결합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송풍팬(117)에 의해 유입/토출되도록 흡입구(112a)와 토출구(112b)가 설치된 전면판넬(112) 및, 상기 흡입구(112a)와 토출구(112b)의 공기를 분리함은 물론 송풍팬(117)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된 스페이서드레인(118)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상측에는, 상기 송풍팬(117)과 더불어 회동가능한 보조송풍팬(60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넬(112)과 더불어 상기 후면판넬(113)과 양 측면판넬(114)(115)의 상측부에도, 상기 실내측열교환기(111)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보조송풍팬(600)에 의해 실내에 골고루 토출될 수 있도록 블라인더(420)(430)(440)가 갖춰진 토출구(113b)(114b)(115b)가 각각 더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내측열교환기(111)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실내기(100)를 중심으로 사방(四方)으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냉방성능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형 에어컨용 실내기
본 고안은 분리형 에어컨용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기의 상측내부에 회동가능한 보조송풍팬이 설치됨은 물론, 상기 실내기의 상측부에는 상기 실내기가 사방(四方)으로 개구되도록 토출구가 각각 설치되어져, 실내의 냉방성능이 향상되도록 된 분리형 에어컨용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 설치되도록 된 실내기(100)와, 실외로 설치되도록 된 실외기(200)로 이루어져 있으며, 필요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에는 압축기(210)로 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실외측열교환기(220)에서 냉각되어 응축되면서 열교환되고, 액화된 고압의 냉매는 모세관(230)내로 유입되며, 이 모세관(230)내로 유입된 고압의 냉매액은 감압되어 실내측열교환기(111)내로 유입되고, 이 실내측열교환기(111) 내에서 냉매액은 증발되면서 실내공기와 열교환되어 냉매가스로 열교환됨과 더불어, 이 냉매가스는 상기 압축기(210)로 다시 유입되어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로 변환되는 냉매사이클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에는 전술한 냉방 운전시에 순환되는 냉매사이클의 반대방향으로 순환되어 실내측열교환기(111)에서 냉매가스가 응축되면서 열교환되어 실내를 난방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내기(100)는 외관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넬(112)과 후면판넬(112; 도 3에 도시됨)과 양 측면판넬(114)(115)과 상부판넬(115) 및 하부판넬(도시되어있지 않음)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112)에는, 상기 실내기(100)를 운전시키기 위한 조작부(300)가 설치되어 있고, 도 3에 도시된 송풍팬(117)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12a) 및 토출되는 토출구(11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112b)에는, 토출되는 공기를 실내로 골고루 토출시키기 위한 블라인더(41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내기(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판넬(11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송풍팬(117)과, 이 송풍팬(117)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어 열교환되도록 설치된 실내측열교환기(111)와, 이 실내 측 열교환기(1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응축수(500)를 응집시키도록 된 응축수받이(119)와, 상기 후면판넬(113)에 결합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송풍팬(117)에 의해 유입/토출되도록 흡입구(112a)와 토출구(112b)가 설치된 전면판넬(112) 및, 상기 흡입구(112a)와 토출구(112b)의 공기를 분리함은 물론 송풍팬(117)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된 스페이서드레인(118)으로 이루어져, 상기 실내측열교환기(111)에 의한 열교환시 실내측열교환기(111)의 하단부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응축수(500)가 생성되는 바, 이때 생성된 응축수(500)는 응축수받이(119)에 응집되어 배수통로(도시되어있지 않음)를 통해 자유배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실내기(100)에 의하면, 실내측열교환기(111)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112b)가 전면판넬(112)의 상부측에만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실내기(100)에서 토출된 냉기가 실내에 골고루 토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기의 상측내부에 송풍팬과 더불어 회동가능한 보조송풍팬을 설치함은 물론, 상기 보조송풍팬이 설치된 실내기의 양 측면판넬 및 후면판넬에도 토출구를 더 설치하여, 실내측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실내기를 중심으로 사방(四方)으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냉방성능이 향상되도록 된 분리형 에어컨용 실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후면판넬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송풍팬과, 이 송풍팬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어 열교환되도록 설치된 실내측열교환기와, 이 실내측열교환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응집시키도록 된 응축수받이와, 상기 후면판넬에 결합되도록 된 양 측면판넬과, 이 측면판넬에 결합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입/토출되도록 흡입구와 토출구가 설치된 전면판넬 및,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의 공기를 분리함은 물론 송풍팬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된 스페이서드레인으로 이루어진 분리형 에어컨용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과 더불어 회동가능한 보조송풍팬이 상기 실내기의 내부상측에 설치됨은 물론, 상기 전면판넬과 더불어 상기 후면판넬 및 양 측면판넬에도 상기 실내측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보조송풍팬에 의해 실내에 골고루 토출될 수 있도록 블라인더가 갖춰진 토출구가 각각 더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냉매사이클을 도시한 냉매사이클도,
도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송풍팬이 실내기의 상측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5는 도4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실내기 111 : 실내측열교환기
112 : 전면판넬 112a : 흡입구
112b, 113b, 114b, 115b : 토출구 113 : 후면판넬
114, 115 : 측면판넬 117 : 송풍팬
118 : 스페이서드레인 119 : 응축수받이
410, 420, 430, 440 : 블라인더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송풍팬이 실내기의 상측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냉매사이클이과 실내기의 외관에 대한 설명은 도1과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종래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의 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의 보조송풍팬이 설치되는 실내기의 내부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 실내기(100)의 내부구조는 도 3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후면판넬(11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송풍팬(117)과, 이 송풍팬(117)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어 열교환되도록 설치된 실내측열교환기(111)와, 이 실내 측열교환기(1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응축수(500)를 응집시키도록 된 응축수받이(119)와, 상기 후면판넬(113)에 결합되도록 된 양 측면판넬(114)(115)과, 이 측면판넬(114)(115)에 결합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송풍팬(117)에 의해 유입/토출되도록 흡입구(112a)와 토출구(112b)가 설치된 전면판넬(112) 및, 상기 흡입구(112a)와 토출구(112b)의 공기를 분리함은 물론 송풍팬(117)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된 스페이서드레인(118)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상측에는, 상기 송풍팬(117)과 더불어 회동가능한 보조송풍팬(60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넬(112)과 더불어 상기 후면판넬(113)과 양 측면판넬(114)(115)의 상측부에도, 상기 실내측열교환기(111)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보조송풍팬(600)에 의해 실내에 골고루 토출될 수 있도록 블라인더(420)(430)(440)가 갖춰진 토출구(113b)(114b)(115b)가 각각 더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부(300)의 작동으로 실내기(100)의 운전(運轉)이 시작되면,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117)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구(112a)를 통해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실내측열교환기(111)에 의해 열교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측열교환기(111)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117)에 의해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상측으로 이동됨과 더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상측에 설치된 보조송풍팬(600)에 의해 송풍되어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송풍팬(600)에 의해 송풍된 냉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넬(112)에 설치된 토출구(112b)와 후면판넬(113)에 설치된 토출구(113b) 및 양 측면판넬(114)(115)에 설치된 토출구(114b)(115b)로 각각 토출되어, 실내에 골고루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00)의 내부상측에 보조송풍팬(600)가 더 설치됨은 물론 전면판넬(112)과 후면판넬(113) 및 양 측면판넬(114)(115)의 상측부에 각각 토출구(112b)(113b)(114b)(115b)가 설치된 본 고안의 실내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00)의 내부에 한 개의 송풍팬(117)이 설치됨은 물론 전면판넬(112)에만 토출구(112b)가 설치된 종래의 실내기(100)보다,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성능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실내기의 상측내부에 송풍팬과 더불어 회동가능한 보조송풍팬이 설치됨은 물론, 전면판넬과 더불어 상기 보조송풍팬이 설치된 실내기의 후면판넬 및 양 측면판넬에도 토출구가 더 설치되어져, 실내측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실내기를 중심으로 사방(四方)으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냉방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품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구동수단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후면판넬에 설치된 송풍팬과, 이 송풍팬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어 열교환되도록 설치된 실내측열교환기와, 이 실내측열교환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응집시키도록 된 응축수받이와, 상기 후면판넬에 결합되도록 된 양 측면판넬과, 이 측면판넬에 결합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입/토출되도록 흡입구와 토출구가 설치된 전면판넬 및,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의 공기를 분리함은 물론 송풍팬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된 스페이서드레인으로 이루어진 분리형 에어컨용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과 더불어 회동가능한 보조송풍팬이 상기 실내기의 내부상측에 설치됨은 물론, 상기 전면판넬과 더불어 상기 후면판넬 및 양 측면판넬에도 상기 실내측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보조송풍팬에 의해 실내에 골고루 토출될 수 있도록 블라인더가 갖춰진 토출구가 각각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컨용 실내기.
KR2019970028972U 1997-10-18 1997-10-18 분리형 에어컨용 실내기 KR200161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972U KR200161190Y1 (ko) 1997-10-18 1997-10-18 분리형 에어컨용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972U KR200161190Y1 (ko) 1997-10-18 1997-10-18 분리형 에어컨용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687U KR19990015687U (ko) 1999-05-15
KR200161190Y1 true KR200161190Y1 (ko) 1999-11-15

Family

ID=1951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972U KR200161190Y1 (ko) 1997-10-18 1997-10-18 분리형 에어컨용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19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484B1 (ko) * 2000-05-22 2002-07-26 엘지전자주식회사 멀티 토출구를 가진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687U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2263A (en) Window mounted air conditioner
KR20050077041A (ko) 공기흐름전환식 공기조화기
US8261571B2 (en) Multifunctional ventilating fan
KR200161190Y1 (ko) 분리형 에어컨용 실내기
JPH0719514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3855393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321115Y1 (ko) 공기 조화기
KR10054768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767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767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218154535U (zh) 空调室外机
KR100229645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365401B1 (ko) 2차 열교환기능을 가진 열교환장치
KR100296243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CN215765420U (zh) 空调室内机
CN217109789U (zh) 空调室内机
KR200191341Y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장치
KR200171604Y1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0128729Y1 (ko) 거치형 에어콘의 실내기구조
KR0135808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흡입장치
KR200187777Y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장치
JP2007107843A (ja) 室外機用排気フード
KR20040054297A (ko) 환기겸용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
KR017088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229646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