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7472A - 공기조화기 컨트롤박스의 인쇄회로기판 커버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컨트롤박스의 인쇄회로기판 커버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7472A
KR20020007472A KR1020000040337A KR20000040337A KR20020007472A KR 20020007472 A KR20020007472 A KR 20020007472A KR 1020000040337 A KR1020000040337 A KR 1020000040337A KR 20000040337 A KR20000040337 A KR 20000040337A KR 20020007472 A KR20020007472 A KR 20020007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ver
control box
circuit board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치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40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7472A/ko
Publication of KR20020007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47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체결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컨트롤박스 내에 고정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의 인쇄회로기판 커버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면 하부에 걸림턱 및 지지단이 형성된 삽입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반대쪽 타측면 하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면이 형성된 체결부가 돌출형성되며, 내측에 취부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보호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커버와; 저면에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삽입부걸이와, 상기 체결부가 체결되는 체결부걸이가 돌출형성된 컨트롤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커버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재료비가 절감되고, 체결구 체결작업이 생략되어 작업성이 개선되며, 필요한 경우 체결구를 이용할 수도 있어 다양한 모델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컨트롤박스의 인쇄회로기판 커버 고정구조{The fixing structure of PCB on control box in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구를 이용하지않고도 컨트롤박스 내에 고정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의 인쇄회로기판 커버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조절하고,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열교환사이클의 수행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며, 공기조화기의 내부에는 열교환사이클을 수행하는 실내측열교환기, 압축기, 실외측열교환기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일체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구성요소들에 의한 열교환사이클의 수행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냉방의 경우, 먼저 압축기(미도시)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는 실외측열교환기(미도시)를 통과하면서 흡입그릴(G)을 통해 유입된 실외의 공기와 열교환하며 방열되어, 점차적으로 액체상태로 상변화하게 된다. 상기 액체상태의 냉매는 팽창밸브(미도시)에 의하여 저온의 액체 및 기체상태로 감압되고, 실내측열교환기(H)를 거치며 증발되면서 주변의 열을 빼앗아 실내측열교환기(H)의 주변온도를 낮은 온도로 유지하게 된다. 이 때, 냉매와 열교환하며 저온화된 실내측열교환기(H)의 주변공기는 블로워(B)에 의해 토출부(D)로 유도되어 실내측으로 토출되게 되고, 상기 실내측열교환기(H)를 거친 냉매는 다시 압축기(미도시)로 유입되어 상기와 같은 열교환사이클을 반복하게 된다.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는, 상기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들과 연결된 제어장치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와 같은 냉매사이클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형태의 컨트롤박스(1) 내에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에 삽입, 체결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구성요소들과 공기조화기 내측에서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실내를 냉방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전원을 연결한 후, 실내기측에 형성된 컨트롤박스(1)의 전면에 결합된 조절손잡이를 조작하여 설정온도 및 운전시간 등을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조건의 냉방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에는 냉매사이클제어장치 외에, 실외측열교환기(미도시)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제상운전제어장치도 설치된다. 공기조화기가 난방을 수행할 때, 실외의 환경이 결빙점 이하의 온도이고 습기가 많은 상태라면, 실외의 환경에 노출된 실외측 열교환기에는 이슬이 맺히면서 결빙으로 진전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을 지속하게 되면, 실외측열교환기의 열교환면이 결빙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결빙은 실내측열교환기(H)를 통한 취출공기의 온도를 떨어뜨려 난방의 기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빙을 제거하고, 결빙점 이하의 실외환경에서도 난방운전을 지속시키기 위해 일정간격의 제상운전 수행이 필요하며, 상기 제상운전제어장치의 제어하에 제상운전이 수행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기 컨트롤박스 내 제어장치의 설치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종래의 인쇄회로기판 커버와 컨트롤박스의 체결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상기 커버와 컨트롤박스가 체결된 상태의 측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 커버(2)는 컨트롤박스(1)에 설치되는 제어장치 등의 인쇄회로기판(3, 도 3참조)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바닥면 면적이 상기 회로기판(3)의 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3)이 커버(2) 내부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2)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지지부(2a)가 형성되어 회로기판(3) 안착시, 상기 회로기판(3)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되는 곳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또 양측면 상부에는 상기 커버(2) 내측으로 돌출된 체결턱(2b)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턱(2b) 좌우가 하방으로 절개되어, 상기 체결턱(2b)이 커버(2) 내외측으로 일정간격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3)을 상기 커버(2) 상에 놓고 위에서 누르면, 상기 체결턱(2b)이 외측으로 밀렸다가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회로기판(3)의 하면이 상기 지지부(2a)에 의해 지지되고, 상면이 상기 체결턱(2b)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도 3참조).
상기 커버(2)의 일측면 하부에는 삽입부(4)가, 타측면 하부에는 체결부(5)가 상기 커버(2) 바닥면과 평행하게 돌출형성된다. 상기 삽입부(4)는 후술할 컨트롤박스(1)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1a)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5) 상에는 체결구(6)가 통과하는 체결공(5a)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1) 저면에는 상기 커버(2)의 삽입부(4)에 대응하여 삽입홈(1a)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a)은 상기 커버(2)의 삽입부(4)가 삽입되었을 때 좌우유동이 없도록 양측면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1)의 저면에는, 상기 삽입부(4)와 삽입홈(1a)의 결합시 상기 체결부(5)의 체결공(5a)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공(1b)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인쇄회로기판 커버(2)의 체결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의 삽입부(4)를 컨트롤박스(1)의 삽입홈(1a)에 삽입후, 상기 체결부(5)의 체결공(5a)과 컨트롤박스(1)의 체결공(1b)을 통해 체결구(6)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커버(2)를 상기 컨트롤박스(1)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커버(2)를 컨트롤박스(1)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체결구(6)를 이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번거로운 체결구(6) 체결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전체적인 조립공정이 복잡해지게 된다.
또한 체결구(6)를 사용하기 때문에 조립부품이 증가되어, 필연적으로 그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공정이 단순화된 공기조화기 컨트롤박스의 인쇄회로기판 커버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의 수가 최소화된 공기조화기 컨트롤박스의 인쇄회로기판 커버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박스 체결구조도.
도 2는 종래의 인쇄회로기판 커버의 고정구조도.
도 3은 종래의 인쇄회로기판 커버가 컨트롤박스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 1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커버 및 컨트롤박스 저면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 제 1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커버가 컨트롤박스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 2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커버의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커버를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커버의 고정구조는, 일측면 하부에 걸림턱 및 지지단이 형성된 삽입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반대쪽 타측면 하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면이 형성된 체결부가 돌출형성되며, 내측에 취부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보호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커버와; 저면에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삽입부걸이와, 상기 체결부가 체결되는 체결부걸이가 돌출형성된 컨트롤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박스 상에 상기 인쇄회로기판 커버를 체결함에 있어서, 각각의 재질의 탄성을 이용하여 유동없이 체결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커버는 상면이 형성되고 바닥면이 개방됨을 특징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삽입부와 삽입부걸이의 체결시, 상기 삽입부의 걸림턱은 상기 삽입부걸이 단부에 걸리고, 상기 삽입부의 지지단은 상기 삽입부걸이 사이에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와 체결부 걸이의 체결시, 상기 체결부걸이의 양측단이 상기 지지면 사이에서 상기 지지면과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의 체결부 및 삽입부 상에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바닥면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의 경우, 상기 체결부는 지지면의 좌우가 바닥면으로부터 일부 절개되고, 상기 커버 바닥면은 체결부측 일부가 절개, 분리되어, 상기 체결부가 커버의내측, 외측으로 미는 힘을 받게되면 일정간격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구를 이용함이 없이 컨트롤박스 상에 인쇄회로기판 커버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간단하게 조립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커버 및 컨트롤박스의 저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커버(12)는 종래와 달리 상면이 형성되고 바닥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컨트롤박스(11) 상에 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을 놓고 상기 커버(12)로 회로기판을 덮어 상기 커버(12)와 컨트롤박스(11)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커버(12)의 일측면 하부에는 상기 커버(12)의 상면과 평행하게 삽입부(14)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4)의 상면 중앙부에는 지지단(14a)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4)를 후술할 컨트롤박스(11)의 삽입부걸이(11a)에 삽입시, 상기 지지단(14a)이 상기 삽입부걸이(11a) 사이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 지지단의 폭(w1)은 상기 삽입부걸이 사이의 간격(w1)과 동일하게 설정하여, 삽입부걸이(11a) 사이에 위치할 경우 지지단(14a)의 양측면이 상기 삽입부걸이(11a)의 측단과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단(14a) 외에 지지면을 두 개 형성하여 상기 지지단(14a)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토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단(14a) 양측의 삽입부(14) 선단부에는 상면에 대해 돌출된 형상의 걸림턱(14b)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4b)은 상기 삽입부(14)를 삽입부걸이(11a)에 삽입시 상기 삽입부걸이(11a)의 단부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림턱(14b)의 단부는 내측으로 상향경사지게 경사면(도 5참조)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걸이(11a)에 삽입시, 상기 삽입부걸이(11a)의 단부가 상기 경사면을 타고 상향이동함으로써 용이하게 삽입될 것이다. 또 상기 지지단(14a) 양측의 삽입부(14) 상면에는 각각 체결공(14c)이 형성되어 필요시 체결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2)의 삽입부(14)와 반대되는 측면 하부에는 상기 커버(12)의 상면과 평행하게 체결부(15)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5)의 상면에는 체결부(15)에 수직하게 복수개의 지지면(15a)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면(15a)의 내측면 사이의 폭(w2)은 후술할 컨트롤박스(11)의 체결부걸이(11b)의 좌우폭(w2)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체결부(15)와 체결부걸이(11b) 결합시 상기 체결부걸이(11b)의 양측단이 상기 지지면(15a) 사이에서 상기 지지면(15a)과 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의 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성형되어(도 5참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박스(11)의 체결부걸이(11b)와 체결시 마찰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 상면에도 체결구를 채우기 위한 체결공(15b)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박스(11)에는, 상기 커버(12)의 삽입부(14)에 대응하여, 저면 일측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삽입부걸이(11a)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삽입부걸이는 양측면이 개방된 상태, 즉 측면이 조성되지 않은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14)와 삽입부걸이(11a)의 체결시, 상기 삽입부(14)의 지지단(14a)이 상기 삽입부걸이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지지단(14a)을 제외한 삽입부(14)가 상기 삽입부걸이(11a)의 폭에 제한받지 않고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부걸이(11a)는 상기 컨트롤박스(11)의 저면 일부를 절개하여 상방으로 절곡하고, 다시 라운딩지도록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박스(11)의 저면 타측에는 상기 삽입부(14)와 삽입부걸이(11a)의 결합시, 상기 체결부(15)와 대응하게 되는 위치에 체결부걸이(11b)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체결부(15)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걸이(11b)와 체결부(15)의 체결은, 상기 체결부(15)를 상기 체결부걸이(11b)의 상면에 놓고 누르면 상기 체결부걸이(11b)가 외측으로 밀렸다가 탄성복원되어 체결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15)를 체결부걸이(11b)에 놓고 누를 때, 상기 체결부(15)가 쉽게 밀려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걸이(11b)는 큰 곡률을 갖도록 형성하고, 외측으로 쉽게 밀릴 수 있도록 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체결부걸이(11b)의 좌우폭(w2)은 상기 체결부(15)의 지지면(15a)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w2)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체결부(15)와 체결시, 상기 체결부걸이(11b)가 상기 체결부(15) 상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지지면(15a)과 상기체결부걸이(11b)의 양측단이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걸이(11b)도 컨트롤박스(11)의 저면 일부를 절개하고 상방으로 절곡후 다시 라운딩지도록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제 1실시예의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박스(11) 상에 인쇄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을 놓고, 상기 커버(12)를 덮는다. 상기 컨트롤박스(11)의 삽입부걸이(11a)에 상기 커버(12)의 삽입부(14)를 밀어 삽입한다.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부걸이(11a)의 단부가 상기 삽입부(14)의 걸림턱(14b)에 형성된 경사면을 타고 상향이동하였다가 탄성복원되어 쉽게 체결될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부(14)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단(14a)은 상기 삽입부걸이(11a)의 사이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체결후 상기 삽입부걸이(11a)의 단부가 상기 삽입부(14)의 상면을 누르고, 상기 삽입부(14)의 지지단(14a)이 상기 삽입부걸이(11a)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커버(12)의 상하 이동은 상기 삽입부걸이(11a)에 의해 구속되고, 좌우유동은 상기 삽입부걸이(11a) 사이에 위치한 지지단(14a)에 의해 구속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2)의 체결부(15)를 상기 컨트롤박스(11)의 체결부걸이(11b) 상면에 위치시키고 하방으로 눌러 체결한다. 이 때, 상기 체결부(15)는, 상기 커버(12)의 바닥면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일정정도 탄성변형이 일어나 내측으로 밀리고, 상기 체결부걸이(11a)는 상기 체결부(15)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게 되므로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15)의 단부는 라운드 형상이므로 상기 체결부걸이(11b)의 상면에서 누르면 하측으로 쉽게 미끄러지게 된다.
또 상기 체결부걸이(11b)의 양측단이 상기 체결부(15)의 지지면(15a) 사이에서 상기 지지면(15a)과 밀착되므로, 상기 삽입부(14)와 마찬가지로, 커버(12)의 상하유동은 상기 체결부걸이(1ab)의 단부에 의해 구속되고, 좌우유동은 상기 체결부(15)의 지지면(15a)과 상기 체결부걸이(11b)의 양측단에 의한 간섭으로 구속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12)가 상기 컨트롤박스(11)에 고정되면, 상기 삽입부(14)와 삽입부걸이(11a), 삽입부걸이(11a)와 지지단(14a) 및, 체결부(15)와 체결부걸이(11b), 체결부걸이(11b)와 지지면(15a)의 상호간섭으로 인해 커버(12)의 유동이 저지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다른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 제 2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형상과 컨트롤 박스의 저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2)는 종래와 동일하게, 바닥면(22c)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구조로 되어있다. 즉, 상기 커버(22)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지지부(22a)가 형성되어 기판을 일정높이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양측면 상부에는 체결턱(22b)이 커버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체결턱(22b)이 커버 내외측으로일정간격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턱(22b) 좌우가 하측으로 일정길이 절개된다.
상기 커버(22)의 삽입부(24)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삽입부(24)의 형성위치 및 걸림턱(22b), 체결공(22c)의 형성구조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6에서는 제 1실시예의 지지단(14a) 대신 두 개의 지지면(24a)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단(14a)과 동일한 효과를 얻도록 한 구조를 도시하였다. 즉, 상기 지지단 외측면 사이의 거리(w1)는 상기 컨트롤박스(11) 저면의 삽입부걸이(11a) 사이의 거리(w1)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22)의 체결부(25) 또한 제 1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단, 제 1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체결부(25)의 지지면(25a) 좌우가 바닥면까지 일부 절개되고, 상기 커버 바닥면(22c)은 체결부측 일부가 절개, 분리되어, 상기 체결부(25)가 커버(22)의 내측, 외측으로 미는 힘을 받게되면 일정간격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제 1실시예에서는 개방된 바닥면으로 인해 상기 체결부(15)가 내측으로 밀릴 시 탄성변형이 가능했지만, 제 2실시예에서는 바닥면(22c)이 형성되므로 상기 체결부(25)가 내측으로 미는 힘을 받을 때 바닥면(22c)으로 인한 간섭없이 내측으로 밀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와 같이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 2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컨트롤박스(11)에 상기 커버(22)를 놓고 체결한다. 상기 컨트롤박스(11)의 삽입부걸이(11a)에 상기 커버(22)의 삽입부(24)를 밀어 삽입한다. 삽입되는 과정 및 체결후 구조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며 상기 삽입부(24)에 형성된 지지면(24a)은 상기 삽입부걸이(11a) 사이에서 상기 삽입부걸이(11a)의 측단면과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2)의 체결부(25)를 상기 컨트롤박스(11)의 체결부걸이(11b) 상면에 위치시키고 하방으로 눌러 체결한다. 이 때, 상기 체결부(25)는 상기 커버(22)에 형성된 절개부에 의해 바닥면(22c)에 의한 간섭없이 내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체결부(25)의 단부가 라운딩형상의 체결부걸이(11b) 상면을 타고 내려와 체결되게 된다. 상기 체결부(25)의 체결후 구조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인쇄회로기판 커버를 컨트롤박스 상에 유동없이 고정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체결구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어떠한 변형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일반적인 일체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한 체결구조는 컨트롤박스가 구성되는 어떠한 공기조화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체결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박스와 인쇄회로기판 커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체결이 필요한 모든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인쇄회로기판 커버를 컨트롤박스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체결구 사용에 따른 비용발생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체결구를 체결하는 과정 대신 단순히 작업자가 손으로 누르는 것 만으로 고정작업이 완료되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걸이는 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단을 제외한 삽입부의 폭이 제한받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지지단의 폭과 삽입부걸이 사이의 간격, 상기 지지면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과 체결부걸이의 폭만 규격화시키면, 다양한 모델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삽입부 및 체결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체결구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일측면 하부에 걸림턱 및 지지단이 형성된 삽입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반대쪽 타측면 하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면이 형성된 체결부가 돌출형성되며, 내측에 취부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보호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커버와;
    저면에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삽입부걸이와, 상기 체결부가 체결되는 체결부걸이가 돌출형성된 컨트롤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박스 상에 상기 인쇄회로기판 커버를 체결함에 있어서, 각각의 재질의 탄성을 이용하여 유동없이 체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컨트롤박스의 인쇄회로기판 커버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삽입부걸이의 체결시, 상기 삽입부의 걸림턱은 상기 삽입부걸이 단부에 걸리고, 상기 삽입부의 지지단은 상기 삽입부걸이 사이에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컨트롤박스의 인쇄회로기판 커버 고정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와 체결부 걸이의 체결시, 상기 체결부걸이의 양측단이 상기 지지면 사이에서 상기 지지면과 밀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컨트롤박스의 인쇄회로기판 커버 고정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체결부 및 삽입부 상에는 체결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컨트롤박스의 인쇄회로기판 고정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면이 형성되고 바닥면이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컨트롤박스의 인쇄회로기판 고정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컨트롤박스의 인쇄회로기판 고정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지지면의 좌우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절개되고, 상기 커버 바닥면은 체결부측 일부가 절개,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컨트롤박스의 인쇄회로기판 고정구조.
KR1020000040337A 2000-07-13 2000-07-13 공기조화기 컨트롤박스의 인쇄회로기판 커버 고정구조 KR20020007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337A KR20020007472A (ko) 2000-07-13 2000-07-13 공기조화기 컨트롤박스의 인쇄회로기판 커버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337A KR20020007472A (ko) 2000-07-13 2000-07-13 공기조화기 컨트롤박스의 인쇄회로기판 커버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472A true KR20020007472A (ko) 2002-01-29

Family

ID=1967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337A KR20020007472A (ko) 2000-07-13 2000-07-13 공기조화기 컨트롤박스의 인쇄회로기판 커버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747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99071C (zh) * 2002-11-26 2007-02-0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气调节器的控制盒组件
CN100346113C (zh) * 2003-12-19 2007-10-31 三星电子株式会社 空调器
KR101105755B1 (ko) * 2004-04-23 2012-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2444956A (zh) * 2010-09-30 2012-05-0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的控制盒结构
CN106989565A (zh) * 2017-05-26 2017-07-28 广州美的华凌冰箱有限公司 主控盒及冰箱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99071C (zh) * 2002-11-26 2007-02-0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气调节器的控制盒组件
CN100346113C (zh) * 2003-12-19 2007-10-31 三星电子株式会社 空调器
KR101105755B1 (ko) * 2004-04-23 2012-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2444956A (zh) * 2010-09-30 2012-05-0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的控制盒结构
CN102444956B (zh) * 2010-09-30 2016-03-3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的控制盒结构
CN106989565A (zh) * 2017-05-26 2017-07-28 广州美的华凌冰箱有限公司 主控盒及冰箱
CN106989565B (zh) * 2017-05-26 2019-09-17 广州美的华凌冰箱有限公司 主控盒及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07472A (ko) 공기조화기 컨트롤박스의 인쇄회로기판 커버 고정구조
US4367635A (en) Combination control box and service cord strain relief for an air conditioning unit
KR200181350Y1 (ko) 에어컨의 패널 조립체
JP2007155225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100188398B1 (ko) 분리형 에어컨 실외기의 커버구조
KR200346771Y1 (ko) 에어컨 실외기의 지지패널 구조
KR1002679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KR100612098B1 (ko) 공기조화기
KR200312148Y1 (ko) 분리형 에어컨의 서비스밸브 장착구조
CN213300268U (zh) 空调器及其室内机
KR100924565B1 (ko) 모터의 위치조절 장치
KR200282154Y1 (ko) 실외기의 서비스 밸브 조립구조
KR100424104B1 (ko) 컨트롤박스 커버를 겸비한 리모컨 홀더 구조
KR0120521Y1 (ko) 에어컨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KR0129644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379794Y1 (ko) 실내기용 컨트롤박스의 결합구조
KR0159174B1 (ko) 분리형 에어컨용 실내기의 디스챠지그릴조립구조
KR200356004Y1 (ko) 에어컨 실외기의 응축기 고정구조
KR200184560Y1 (ko) 에어컨디셔너의 프런트패널 결합구조
KR200156388Y1 (ko) 공조기기
KR0128732Y1 (ko) 창문형 에어콘의 콘트롤박스 취부구조
KR950001057Y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고정장치
KR0128730Y1 (ko) 창문형 에어콘의 콘트롤박스 구조
KR200297818Y1 (ko) 룸에어컨의 실내기용 고정구조
KR200211347Y1 (ko) 증발기의 센서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