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797U -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797U
KR20080004797U KR2020070006341U KR20070006341U KR20080004797U KR 20080004797 U KR20080004797 U KR 20080004797U KR 2020070006341 U KR2020070006341 U KR 2020070006341U KR 20070006341 U KR20070006341 U KR 20070006341U KR 20080004797 U KR20080004797 U KR 200800047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d
fixing
duct
air condition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형
김성복
Original Assignee
헵시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헵시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헵시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6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797U/ko
Publication of KR200800047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7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4Arrangements for porta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72Modules for easy installation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식 에어컨의 흡입 및 배기 덕트를 창문에 설치할 때 창문의 크기 및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덕트를 편리하게 설치 및 보수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필터와 그릴이 체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가 체결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되며 일측에 덕트가 체결되는 덕트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몸체는 필터가 소정의 깊이로 삽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단턱과, 그릴이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는 삽착부와;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내측에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을 통하여 볼트로써 고정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그릴은 몸체에 형성된 삽착부에 체결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 등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삽착부에 체결되며 일측면에 상기 삽착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체결부재와, 설치하였을 때 외부의 먼지나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선으로 형성되는 격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필터와 그릴이 체결된 몸체가 체결되며, 일측을 연장하여 절곡한 후 하기 고정판에 체결되어 슬라이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연장편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용 돌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되 어 몸체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고정용 구멍과, 중앙을 기점으로 상·하부에 상기 몸체에 형성된 삽착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하기 덕트플랜지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 및 배기 되는 구멍과, 상기 흡입 및 배기 구멍의 주위에 형성되며 덕트플랜지가 체결되는 덕트플랜지 고정용 구멍이 구비된 체결판과; 창문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체결판이 체결되어 슬라이딩 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을 연장한 후 절곡하여 형성한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고정구멍과, 상기 체결판이 체결될 수 있도록 정면에 형성된 구멍이 구비된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터, 그릴, 덕트, 고정부재

Description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Device linking Duct for portable Air Conditioner}
도 1은 종래의 덕트 연결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몸체 110 : 삽착부
150 : 고정용 돌기 300 : 필터
500 : 그릴 510 : 체결부재
520 : 격판
700 : 고정부재 710 : 체결판
711 : 연장편 713 : 몸체 고정용 구멍
715 : 구멍 717 : 덕트플랜지 고정용 구멍
750 : 고정편 751 : 연장편
900 : 덕트플랜지
본 고안은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식 에어컨의 흡입 및 배기 덕트를 창문에 설치할 때 창문의 크기 및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덕트를 편리하게 설치 및 보수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각사이클(cooling cycle)을 이용한 에어컨은 압축기(compressor)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를 응축기(condenser)에서 액화시키고, 액상의 냉매를 팽창밸브(expansion valve)에서 저온, 저압으로 변화시킨 뒤 증발기(evaporator)에서 기화시켜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에어컨의 종류는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첫째는 분리형으로 실내에 설치된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된 실외기가 따로 분리되어 설치되어 구성된 것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를 거쳐 냉각·제습된 공기를 팬(fan)으로 다시 실내로 불어내는 방식이고, 둘째는 창문형으로 흡입그릴을 통해 들어온 외부 공기가 내부에 구비된 열교환기의 응축기(condenser) 및 증발 기(evaporator)를 거쳐서 한쪽은 더운 바람으로 실외로 유출되고, 다른 쪽은 냉각·제습되어 팬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게 끔 한 구성이며, 셋째는 에어컨을 이루는 각구성품이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며 일정장소에 설치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에어컨이 있다.
상기 에어컨 중 이동식 에어컨은 실외기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강제로 순환시키면서, 열교환기의 작용에 의해 실내의 더운 공기를 소정 온도로 냉각시켜 만든 차가운 공기를 다시 실내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에어컨의 일측에 덕트를 구비하게 되며, 상기 덕트를 창문에 설치하여 공기를 순환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창문을 개방하여 개방된 공간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창의 일정부분을 절단하여 덕트를 위치시키는 방법으로 덕트가 단순히 놓여지는 것으로, 안정적이지 못하여 경미한 본체의 요동에도 건물 내부로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덕트를 설치할 때 창의 일정부분을 절단하여 설치함으로써 에어컨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면 상기 창문을 교체하거나 수리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식 에어컨의 흡입 및 배기 덕트를 창문에 설치할 때 창문을 절개하지않고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동식 에어컨의 흡입 및 배기 덕트를 창문에 설치할 때 창문의 크기 및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덕트를 편리하게 설치 및 보수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동식 에어컨의 흡입 및 배기 덕트를 창문에 설치할 때 창문을 절개하지 않고 편리하게 설치 및 보수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작업효율을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설치비용 및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는 필터와 그릴이 체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가 체결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되며 일측에 덕트가 체결되는 덕트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의 상기 몸체는 필터가 소정의 깊이로 삽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단턱과, 그릴이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는 삽착부와;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내측에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을 통하여 볼트로써 고정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고 정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의 상기 그릴은 몸체에 형성된 삽착부에 체결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 등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삽착부에 체결되며 일측면에 상기 삽착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체결부재와, 설치하였을 때 외부의 먼지나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선으로 형성되는 격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필터와 그릴이 체결된 몸체가 체결되며, 일측을 연장하여 절곡한 후 하기 고정판에 체결되어 슬라이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연장편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용 돌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몸체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고정용 구멍과, 중앙을 기점으로 상·하부에 상기 몸체에 형성된 삽착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하기 덕트플랜지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 및 배기 되는 구멍과, 상기 흡입 및 배기 구멍의 주위에 형성되며 덕트플랜지가 체결되는 덕트플랜지 고정용 구멍이 구비된 체결판과; 창문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체결판이 체결되어 슬라이딩 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을 연장한 후 절곡하여 형성한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고정구멍과, 상기 체결판이 체결될 수 있도록 정면에 형성된 구멍이 구비된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의 결합관계 및 작용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는 몸체(100)와 필터(300)와 그릴(500)과 고정부재(700)와 덕트플랜지(9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0)는 하기 설명할 필터(300)와 그릴(500)이 삽착되는 삽착부(110)와 하기 설명할 고정부재(700)에 체결하기 위한 고정용 돌기(150)를 포함한다.
상기 삽착부(110)의 내측에는 상기 필터(300)가 소정의 깊이로 삽착될 수 있도록 단턱(1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착부(110)에는 상기 그릴(500)이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홈(1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용 돌기(150)는 상기 몸체(10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를 하기 설명할 고정부재(700)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멍(151)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151)을 통하여 볼트로써 상기 몸체(100)를 고정한다.
상기 필터(300)는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삽착부(110)에 체결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 등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그릴(500)은 상기 필터(300)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삽착부(110)에 체결되는데, 상기 일측면에는 상기 삽착부(110)에 형성되어 있 는 체결홈(115)과 대응되도록 하여 체결부재(510)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체결부재(510)는 그릴(500)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본 원물품을 가로 또는 세로로 설치할 때 상기 그릴(500)의 내측에 사선으로 형성된 격판(520)이 항상 아래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격판(520)은 본원물품을 설치하였을 때 상기 그릴(500)을 통하여 외부의 먼지나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격판(520)이 사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700)는 몸체(100)가 체결되는 체결판(710)과 창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750)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판(710)은 상기 필터(300)와 그릴(500)이 체결된 몸체(100)가 체결되는 것으로, 일측을 연장하여 절곡한 연장편(7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연장편(711)은 하기 고정판(750)에 체결되어 슬라이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판(710)의 정면에는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용 돌기(150)와 대응되어 몸체 고정용 구멍(7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 고정용 구멍(713)을 통하여 상기 몸체(100)가 상기 볼트로써 체결판(710)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체결판(710)에는 중앙을 기점으로 상·하부에 구멍(71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구멍(715)은 몸체(100)에 형성된 삽착부(110)와 대응되며, 하기 설명할 덕트플랜지(900)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 및 배기 되는 것이다.
상기 흡입 및 배기 구멍(715)의 주위에는 상기 덕트플랜지 고정용 구멍(717)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덕트플랜지 고정용 구멍(717)을 통하여 덕트플랜지(900)가 체결된다.
상기 고정판(750)은 본원물품을 창문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체결판(710)이 체결되어 슬라이딩 되어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창문의 크기에 따라 본원물품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판(750)은 일측을 연장한 후 절곡하여 형성한 연장편(751)이 구비되는데, 상기 연장편(751)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고정구멍(753)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구멍(753)을 통하여 창문에 볼트로써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750)의 정면에는 다수의 체결판 고정용 구멍(757)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판 고정용 구멍(757)을 통하여 상기 체결판(710)이 고정판(750)에 체결된다.
상기 덕트플랜지(900)는 이동식 에어컨에 형성된 흡입용 덕트와 배기용 덕트를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체결판(710)에 형성된 덕트플랜지 고정용 구멍(717)을 통하여 상기 체결판(710)에 고정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우선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삽착부(110)에 필터(300)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필터(300)는 삽착부(110)에 형성된 단턱(111)에 밀착되도록 하여 고정한다.
상기 필터(300)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300)의 전방에 그릴(500)을 체결한다.
상기 그릴(500)은 일측에 사선으로 형성된 격판(520)이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체결부재(510)을 삽착부(110)에 형성된 체결홈(115)에 끼워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300)와 드릴(500)이 체결된 상태에서 몸체(100)를 고정부재(700)의 체결판(710)에 체결한다.
이때 상기 몸체(100)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용 돌기(150)에 형성된 구멍(151)과 상기 체결판(710)에 형성된 몸체고정용 홈(711)과 일치되도록 한 후 볼트로서 체결한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체결판(710)을 고정판(750)에 고정한다.
상기 과정이 끝나면 상기 고정부재(700)를 창문에 고정하게 되는데, 창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체결판(710)을 고정판(750)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길이를 맞춘 후 상기 고정판(750)의 연장부(751)에 형성된 구멍(753)을 통하여 볼트로서 창문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창문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판(710)에 덕트 플랜지(900) 을 체결한다.
상기 덕트 플랜지(900)를 고정부재의 체결판(710)에 고정한 후 상기 덕트 플랜지(900)에 이동식 에어컨에 형성된 덕트를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가 끝나면 이동식 에어컨을 작동시켜 에어컨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본원물품을 창문에 설치할 때 창문의 높이가 낮은 경우는 본원물품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설치하고, 창문의 높이가 높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설치함으로써 창문의 크기에 따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고안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는 이동식 에어컨의 흡입 및 배기 덕트를 창문에 설치할 때 창문의 크기 및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덕트를 편리하게 설치 및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는 이동식 에어컨의 흡입 및 배기 덕트를 손쉽게 설치 및 보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설치비용 및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필터와 그릴이 체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가 체결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되며 일측에 덕트가 체결되는 덕트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필터가 소정의 깊이로 삽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단턱과, 그릴이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는 삽착부와;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내측에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을 통하여 볼트로써 고정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은 몸체에 형성된 삽착부에 체결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 등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삽착부에 체결되며 일측면에 상기 삽착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체결부재와,
    설치하였을 때 외부의 먼지나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선으로 형성되는 격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
KR2020070006341U 2007-04-18 2007-04-18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 KR200800047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341U KR20080004797U (ko) 2007-04-18 2007-04-18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341U KR20080004797U (ko) 2007-04-18 2007-04-18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797U true KR20080004797U (ko) 2008-10-22

Family

ID=4150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341U KR20080004797U (ko) 2007-04-18 2007-04-18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797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8728B2 (en) 2008-06-03 2013-11-12 Lg Electronics Inc. Movable air conditioner
KR20200111006A (ko) 2019-03-18 2020-09-28 김정필 이동식 에어컨 덕트설치용 창문밀봉구조체
KR20200144970A (ko) * 2019-06-20 2020-12-30 신진호 실외기-외부 창 구조물 연결조립체
IT202000010294A1 (it) * 2020-05-08 2021-11-08 De Longhi Appliances Srl Organo di supporto per tubi d’aria di condizionatori portatili
KR20220117668A (ko) 2021-02-17 2022-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24058348A1 (ko) * 2022-09-14 2024-03-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공기 조화기 및 창문형 공기 조화기의 설치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8728B2 (en) 2008-06-03 2013-11-12 Lg Electronics Inc. Movable air conditioner
KR20200111006A (ko) 2019-03-18 2020-09-28 김정필 이동식 에어컨 덕트설치용 창문밀봉구조체
KR20200144970A (ko) * 2019-06-20 2020-12-30 신진호 실외기-외부 창 구조물 연결조립체
IT202000010294A1 (it) * 2020-05-08 2021-11-08 De Longhi Appliances Srl Organo di supporto per tubi d’aria di condizionatori portatili
EP3907438A1 (en) * 2020-05-08 2021-11-10 De' Longhi Appliances S.r.l. Con Unico Socio Support member for air pipes of portable air conditioners
KR20220117668A (ko) 2021-02-17 2022-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30062508A (ko) 2021-02-17 202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40001091A (ko) 2021-02-17 202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40001092A (ko) 2021-02-17 202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24058348A1 (ko) * 2022-09-14 2024-03-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공기 조화기 및 창문형 공기 조화기의 설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22351A (ja) ヒ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20080004797U (ko)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
CN107076433B (zh) 室外机
KR20150011556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냉매관을 연결하는 방법
CN110657520A (zh) 一种厨房空调系统
KR20080075258A (ko) 공기조화기
KR102466274B1 (ko) 공기조화기
KR100964362B1 (ko) 공기조화기
KR200245713Y1 (ko) 패키지에어콘의실내기
KR100350439B1 (ko)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용 전장품 고정장치
CN213480383U (zh) 一种室内空调器
KR20130100427A (ko) 에어컨 및 냉동장치용 실외기의 전면커버
KR100748163B1 (ko) 공기조화기
CN114222892B (zh) 吹出格栅以及使用该吹出格栅的空调装置的室内机
CN218627080U (zh) 空调室内机
CN217057752U (zh) 换热器及空调室内机
KR200181350Y1 (ko) 에어컨의 패널 조립체
KR100743702B1 (ko) 덕트형 공기 조화기
JP2023008314A (ja) 空気調和装置
KR20060124393A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압축기설치구조
AU2008100094A4 (en) Airconditioning arrangement
KR100607675B1 (ko) 공조기기의 실외기
KR20040020709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710296B1 (ko) 실내 공기조화장치
KR200249513Y1 (ko) 실외기 없는 냉난방기의 열교환용 공기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