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258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258A
KR20080075258A KR1020070014156A KR20070014156A KR20080075258A KR 20080075258 A KR20080075258 A KR 20080075258A KR 1020070014156 A KR1020070014156 A KR 1020070014156A KR 20070014156 A KR20070014156 A KR 20070014156A KR 20080075258 A KR20080075258 A KR 20080075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indow
frame
fastening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5748B1 (ko
Inventor
이종호
김문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4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748B1/ko
Publication of KR20080075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안내수단이 창틀에 고정되도록 하는 설치구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다수 부품이 수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프레임(100) 및 후방프레임(300)과; 실내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는 다수 열교환기(510, 860)와; 상기 다수 열교환기(510, 860) 중 어느 하나와 열교환된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배기안내수단(400)과;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일단부와 연통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창문(W) 및 창틀(B)에 고정되는 바디(920)와, 상기 바디(920)의 좌/우측에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장프레임(940)으로 이루어진 설치구(9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배기안내수단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 배기안내수단, 설치구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후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요부 구성인 설치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요부 구성인 설치구에 의해 배기안내수단이 창틀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전방프레임 110. 토출루버
200. 전면판넬 210. 토출구
300. 후방프레임 302. 외기유입구
304. 필터프레임 310. 흡입그릴
320. 프리필터 330. 하부그릴
340. 손잡이 400. 배기안내수단
500. 베이스팬 502. 이동바퀴
510. 제1열교환기 520. 압축기
530. 어큐뮬레이터 540. 응축수감지장치
550. 응축수펌프 560. 응축수배관
570. 브레이스 580. 지지앵글
600. 하부오리피스 620. 하부에어가이드
630. 하부팬 640. 하우징홈
650. 배기가이드 660. 하부모터
670. 하모터지지대 700. 메인드레인팬
750. 보조드레인팬 800. 상부에어가이드
810. 상부팬하우징 820. 상부모터
830. 상모터지지대 840. 상부팬
850. 상부오리피스 860. 제2열교환기
900. 설치구 920. 바디
922. 노즐연결부 923. 토출구멍
923'.결합구멍 923".체결공
924. 상부체결부 925. 창문체결공
926. 하부체결부 927. 창틀체결공
940. 연장프레임 942. 차폐부
944. 슬라이딩부 946. 결합공
B . 창틀 S . 씰링부재
W . 창문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안내수단이 창틀에 고정되도록 하는 설치구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팽창밸브, 실내열교환기 등의 구성부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주로, 실내 공간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여 실내 공간을 쾌적한 환경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즉, 공기조화기는 차량이나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이며, 압축기-실외열교환기-팽창밸브(모세관)-실내열교환기로 이루어진 일련의 냉동사이클 또는 냉매의 역방향 순환에 의한 난방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동식 공기조화기(이하 '공기조화기'라 칭함)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후면 사 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전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프레임(10)과 전면판넬(20) 그리고, 후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프레임(3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개략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0)은 전반부의 골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며, 상면에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판넬(12)이 구비된다.
상기 후방프레임(30)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후면 외관은 물론,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동시에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후방프레임(30)에는 열교환 된 공기를 외부(특히,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안내수단(40)이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안내수단(40)의 단부에는 배기안내수단(40)이 창틀(B)에 설치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설치구(50)가 구비된다. 상기 설치구(50)는 사각판을 닫수회 절곡하여 좌측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7012536019-PAT00001
' 모양의 종단면을 가지며, 상단부는 창문(W)의 하면과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고, 하단부는 창틀(B)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설치구(50)의 상/하면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삽입되도록 천공된 체결구멍(52)이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구(50)의 대략 중앙부에는 배기안내수단(40)의 선단부와 밀폐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배기안내수단(4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설치구(50)의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구멍(54)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설치구(50)는 대략 '
Figure 112007012536019-PAT00002
' 모양의 종단면을 가지며, 내측에서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체결구멍(52)에 삽입된 체결부재가 창문(W)의 하면 및 창틀(B)의 상면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설치구(50)는 창문(W)과 창틀(B)에 체결되는 체결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전방으로 당겨지는 힘이 가해졌을 때 실외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설치구(50)는 체결부재가 높이 방향 상/하로 체결되므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체결시 설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구의 일측에 상부체결부와 하부체결부가 구비되며, 바디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연장프레임은 상부체결부와 하부체결부에 의해 전방향 유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체결부와 하부체결부에 다수 체결공을 형성하고, 다수 체결공은 노즐연결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체결시 공구와 설치구의 간섭이 해지되도록 함으로써 설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내부 에 다수 부품이 수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과; 실내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는 다수 열교환기와; 상기 다수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와 열교환된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배기안내수단과; 상기 배기안내수단의 일단부와 연통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창문 및 창틀에 고정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좌/우측에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장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설치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는, 상기 배기안내수단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배기안내수단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관통하는 노즐연결부와, 상기 노즐연결부의 선단 일측에 직립되게 결합되어 창문과 체결되는 상부체결부와, 상기 노즐연결부의 선단 일측에서 절곡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창틀과 체결되는 하부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체결부의 일측에는, 천공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상부체결부가 창문 전면과 접촉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는 창문체결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체결부의 일측에는, 천공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하부체결부가 창틀 상면과 접촉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는 창틀체결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창문체결공과 창틀체결공은, 천공된 방향의 연장선이 서로 직교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프레임의 선단부는, 상기 상부체결부 및 하부체결부의 후면과 선접 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구의 설치성이 향상되며 이탈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방과 후방 외관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전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프레임(100)과 전면판넬(200) 그리고, 후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프레임(30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개략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은 전반부의 골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며, 상면에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판넬(120)이 구비된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후면 외관은 물론,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동시에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후방프레임(300)에는 열교환 된 공기를 외부(특히,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안내수단(400)이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단부에는 배기안내수단(400)이 창틀(B) 및 창문(W)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구(900)가 구비된다. 상기 설치구(900)는 공기조화기 내부로부터 배기안내수단(400)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실외로 토출되 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배기안내수단(400) 및 설치구(900)의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전방프레임(10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프레임(100)은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프레임(100)은 측방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상단 부근에는 그릴설치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설치구(102)는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루버(11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상면은 전방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전방프레임(100)의 상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조작판넬(120) 등이 설치되는 판넬구(104)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판넬구(104)는 아래에서 설명할 조작판넬(120)의 형상과 대응되는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에서 설명한 전면판넬(200)은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져,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전방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전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같이 중앙부가 상단 및 하단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라운드진 형상(원호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그릴설치구(102)에는 공기조화(냉방 또는 난방)가 이루어진 공기의 외부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루버(110)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루버(110)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다수의 토출루버 등이 구비되어 공기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판넬구(104)에는 조작판넬(120)이 설치된다. 상기 조작판넬(120)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다수의 버튼 등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조작판넬(120)의 하측에는 한 쌍의 버튼조립체(122)가 구비되며, 이러한 버튼조립체(122)에 구비되는 다수의 버튼이 상기 조작판넬(120)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버튼조립체(122)의 하측에는 조작피시비(PCB)(124)가 설치된다. 상기 조작피시비(124)는 상기 버튼조립체(122)의 버튼 동작을 신호로 변경하여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달하는 것으로, 이러한 조작피시비(124)는 조작프레임(126)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이러한 조작피시비(124)의 외측은 직사각 박스 형상의 피시비케이스(128)가 감싸게 된다.
상기 전면판넬(200)의 상단 부근에는 토출구(210)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10)는 공기조화(냉방 또는 난방)가 이루어진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토출루버(110)과 대응되는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선단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우 측면 선단부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좌우 측면 후 단부와 대응되게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도록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라운드지게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상반부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외기유입구(302)가 형성된다. 상기 외기유입구(302)는 외부(실내)의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것이며,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기유입구(302)의 중앙부에는 상기 외기유입구(302)와 대응되는 사각 형상의 필터프레임(304)이 더 형성된다. 상기 필터프레임(304)은 상기 외기유입구(30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탈취필터(322)와 같은 특수필터가 설치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외기유입구(302)는 흡입그릴(310)에 의해 차폐된다. 외기(실내의 공기)는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과하여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310)에는 다수의 홀(hole)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310)은, 상기 외기유입구(302)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외기유입구(302)의 테두리에는 프리필터(320)가 설치된다. 상기 프리필터(320)는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으로, 상기 외기유입구(302)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리필터(320)의 전방에는 탈취필터(322)가 더 구비된다. 상기 탈취필터(322)는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의 냄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필터프레임(304)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필터프 레임(304)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에는 하부그릴(33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그릴(330)은 공기조화기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에는 손잡이(34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우 측면 상단부 근처에는 손잡이공(342)이 관통 형성되고, 이러한 손잡이공(342)에 손잡이(34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340)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쉽게 들어올려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에는 배기안내수단(400)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열교환이 일어난 공기를 외부(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에 연결되고, 타단은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 내측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배기덕트(410)와, 배기노즐(420) 그리고 프레임커넥터(430)와 노즐커넥터(4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기덕트(410)는 원통 형상의 긴 관으로 이루어져 배기의 유동을 안내하며, 상기 배기노즐(420)은 상기 배기덕트(410)를 통해 유동되는 배기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끝단부이다. 상기 배기덕트(410)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벤딩(bend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커넥터(430)는 상기 후방프레임(300)과 상기 배기덕 트(4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덕트(410) 하단이 상기 후방프레임(300)에 장착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노즐커넥터(440)는 상기 배기덕트(410)와 배기노즐(4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덕트(410) 상단에 상기 배기노즐(420)이 체결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상단부에는 앞서 언급한 설치구(900)가 결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배기노즐(420)의 상단부는 설치구(900)와 결합되며, 이를 위해 상기 배기노즐(420)의 상단부 외측으로는 설치구(900)의 일측과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기 위한 다수 체결구멍(422)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 하부 외관은 베이스팬(50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후방프레임(300) 하단과 결합하고,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저면에는 다수의 이동바퀴(502)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바퀴(502)는 공기조화기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 형상의 상기 베이스팬(500) 각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 중앙부에는 제1열교환기(51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베이스팬(500)의 중앙부분에 제1열교환기(510)가 전후로 설치된다. 상기 제1열교환기(510)는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매를 냉각(또는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면서 제1열교환기(5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을 하게 되고,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을 통해 외부(실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에는 압축기(52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520)는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 부분 후단부에 설치되며, 삼각 형상의 압축프레임(522)에 의해 지지되고, 이러한 압축프레임(522)이 상기 베이스팬(500)에 장착된다.
상기 압축기(520)의 옆에는 어큐뮬레이터(530)가 설치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530)는 액 냉매를 걸러내어 기체상태의 냉매만이 상기 압축기(5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축기(520)의 전방에는 응축수감지장치(540)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감지장치(540)는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에 고이는 응축수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이를 감지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 선단부에는 응축수펌프(55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펌프(550)는 상기 베이스팬(500)에 고인 응축수를 펌핑(pumping)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드레인팬(750)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응축수펌프(550)에는 응축수배관(560)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배관(560)은 상기 응축수펌프(550)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응축수를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드레인팬(750)으로 안내하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응축수배관(560)의 하단은 상기 응축수펌프(550)에 연결되고, 상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 드레인팬(750)에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단에는 브레이스(57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스(570)는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레이스(570)는, 하단이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 우측단에 고정되고, 상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단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팬(500)의 선단에는 지지앵글(580)이 더 설치되기도 한다. 즉, 상기 베이스팬(500)의 선단 우측 부분에는 지지앵글(580)이 상하로 설치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지지앵글(580)은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좌우에 쌍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좌측에는 하부오리피스(60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오리피스(600)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오리피스(850) 및 상부에어가이드(800)와 같은 다수의 부품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열교환기(510)을 통과한 공기를 좌측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의 중앙 부분에는 원형의 하오리피스공(60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의 좌측에는 하부에어가이드(62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는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와 더불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한다.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와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하부팬(630)이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와 하부에어 가이드(620)에는 상기 하부팬(63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하우징홈(640)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의 좌측면과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우측면에 각각 서로 대칭되는 하우징홈(640)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팬(6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홈(640)은 상기 하부팬(630)의 외경 크기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팬(630)을 감싼다.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와 하부에어가이드(620)의 후단부에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배기가이드(65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배기가이드(650)는 상기 하우징홈(640)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단은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배기가이드(650) 내측 상단부에는 원형의 배기그릴(652)이 삽입 장착된다. 상기 배기그릴(652)은 상기 배기가이드(650)의 하측으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중앙부분에는 하모터공(622)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하모터공(622)에 하부모터(660)가 관통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부모터(66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하부팬(63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하부팬(630)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좌측에는 하모터지지대(670)가 더 설치된다. 상기 하모터지지대(670)는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에 장착되는 상기 하부모터(660)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은 상기 베이스팬(500)에 접한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중앙 후측에는 메인드레인팬(700)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2열교환기(86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며, 공기조화기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역할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외측과 실내측으로 구획되는데,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이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내부를 실외측과 실내측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을 중심으로 하측에는 실외기(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에 해당하는 실외측(방열측)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실내기(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에 해당하는 실내측(흡열측)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에는 보조드레인팬(750)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 및 상기 응축수펌프(550)에 의해 공급되는 응축수가 집수되어 분배되는 부분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은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상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 고이는 응축수가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내려와 집수되며, 상기 베이스팬(500)에 고이는 응축수도 상기 응축수배관(560)을 통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공급된 응축수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 상단에 골고루 뿌려져 증발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에는 상부에어가이드(80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팬(84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에 좌우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에는 상부팬하우징(81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은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팬(840)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팬(840)에 의해 강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에 의해 안내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안내구(814)로 유동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의 중앙 부분에는 상모터공(81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모터공(812)에는 상부모터(82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상부모터(820)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팬(84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의 상단부에는 토출안내구(814)가 관통 설치된다. 상기 토출안내구(814)는 상기 토출루버(110)와 대응되는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가 상기 토출안내구(814)를 통해 전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모터(820)의 하측에는 상모터지지대(8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상모터지지대(830)는 상기에서 설명한 하모터지지대(670)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상부모터(82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모터지지대(830)의 하단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상면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상부팬하우징(810) 내측에는 상부팬(840)이 수용 설치된다. 상기 상부팬(840)은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강제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모터(820)의 후단에 체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의 후측에는 상부오리피스(85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오리피스(850)는 사각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는 공기가 유동 가능한 원형의 상오리피스공(85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상부오리피스(850)의 후측에는 제2열교환기(860)가 설치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860)는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반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 선단부에는 컨트롤박스(87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박스(870)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장되는 곳으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즉, 상기 컨트롤박스(870)의 상반부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반부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설치구(9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5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요부 구성인 설치구(9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구(900)는 배기노즐(420)이 결합되는 바디(920)와, 상기 바디(920)의 좌/우측에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장프레임(9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연장프레임(94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연장프레임(940)은 사각판의 상/하부를 길이 방향으로 절곡하여 우측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7012536019-PAT00003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바디(920) 내부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연장프레임(940)은 상기 바디(920)의 길이만으로 창문(W)과 창틀(B)이 이격된 좌/우폭을 모두 차폐할 수 없을 때 선택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구성으로, 창문(W)의 크기에 따라 한개 또는 다수개가 상기 바디(9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프레임(940)은 크게 실내/외의 공기 유동이 차단되도록 세로로 직립된 사각판 모양의 차폐부(942)와, 상기 차폐부(942)의 상/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절곡 형성된 슬라이딩부(9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폐부(942)는 바디(920)의 후반부 내측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며, 어떠한 천공부도 형성되어 있지 않게 되어 전/후 방향의 공기 유동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폐부(942)가 바디(920)의 후반부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삽입되면 상기 차폐부(942)는 바디(920)의 길이만으로 차폐하지 못하는 창문(W)과 창틀(B)의 틈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부(944)는 차폐부(942)의 상/하단부에서 동일한 폭을 가지고 전방으로 절곡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바디(920) 내부에 슬라이딩되었을 때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체결부재에 의해 바디(92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연장프레임(940)과 바디(920)의 분리를 제한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부(944)에는 등간격으로 동그랗게 천공된 결합 공(946)이 다수 구비되며, 상기 결합공(946)은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체결공(923")과 체결되어 상기 바디(920)와 연장프레임(940)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속력을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바디(920)는 설치구(900)의 요부 구성으로서 상기 연장프레임(940)이 좌/우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슬라이딩 수용되도록 하며,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을 통해 공기조화기 외부로 유동하는 공기가 실외로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바디(920)는 크게 바디(920)의 후반부에서 대략 '
Figure 112007012536019-PAT00004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는 노즐연결부(922)와, 상기 노즐연결부(922)의 상단부에서 직립되게 설치되어 창문(W)과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상부체결부(924)와, 상기 노즐연결부(922)의 하단부에서 절곡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하부체결부(9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즐연결부(922)는 연장프레임(940)의 차폐부(942)와 같이 실내/외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노즐연결부(922)의 전면 좌측부에는 대략 사다리꼴 모양을 가지고 전/후 방향으로 천공된 토출구멍(923)이 구비된다.
상기 토출구멍(923)은 배기노즐(420)의 개구된 상단부(도 4에서 볼 때)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며, 상기 배기노즐(420)과 결합됨으로써 배기안내수단(400)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다시 실내로 누설되지 않은 상태로 실외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멍(923)의 외측에는 결합구멍(923')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멍(923')은 전술한 체결구멍(422)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상기 배기노즐(420)이 토출구멍(923)과 공기 누설이 차단된 상태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체결부재와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연결부(922)의 상/하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 체결공(923")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923")은 노즐연결부(922)의 좌/우측에서 내부 중심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된 연장프레임(940)이 바디(920)와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술한 결합공(946)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공(946)은 체결부와 대응되는 크기 및 간격을 가지도록 천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연결부(922)의 상단부에는 좌/우로 긴 사각판 모양의 상부체결부(924)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체결부(924)는 상/하 폭의 중앙부가 상기 노즐연결부(922)의 상부 선단과 선접촉한 상태로 결합되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상부체결부(924)의 좌/우측에는 창문(W)과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기 위한 창문체결공(925)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연결부(922)의 상면에 창문(W)의 하면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창문체결공(925)에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창문(W)의 하부 전면에 체결하게 되면 상기 바디(920)의 상부는 창문(W)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노즐연결부(922)의 하부선단에는 우측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7012536019-PAT00005
'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는 하부체결부(926)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체결부(926)는 바디(920)의 하 부가 창틀(B)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체결부(926)의 상면 좌/우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천공된 창틀체결공(927)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연결부(922)의 하면이 창틀(B)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창틀체결공(927)에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창틀(B)과 체결시키게 되면 상기 바디(920)의 하부는 창틀(B)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체결부(924)와 하부체결부(926)는 노즐연결부(922) 내부에 삽입되는 연장프레임(940)의 전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상부체결부(924)는 후면 중앙부가 노즐연결부(922)의 상부 선단과 선접촉하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상부체결부(924)의 하부는 연장프레임(940)의 상단에 형성된 슬라이딩부(944)의 선단을 간섭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체결부(926)는 지면에 대하여 직립되게 설치된 후면이 상기 연장프레임(940)의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딩부(944)의 선단을 간섭하게 되므로, 상기 노즐연결부(922) 내부에 삽입된 연장프레임(940)의 하부는 전방으로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상부체결부(924)와 하부체결부(926)에 의해 상기 노즐연결부(922)는 바디(920)의 좌/우측에서 바디(920)의 중심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짐은 자명하게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노즐연결부(922)의 상/하측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씰링부재(S)가 더 구비된다. 상기 씰링부재(S)는 설치구(900)와 창문(W) 및 창틀(B) 사이의 이격된 틈으로 공기 누설이 발생되지 않도 록 하는 것으로 상기 창틀(B) 및 창문(W)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설치구(900)를 이용하여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을 창문(W) 및 창틀(B)에 고정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요부 구성인 설치구(900)에 의해 배기안내수단(400)이 창틀(B)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설치구(900)를 설치하기에 앞서 상기 창문(W)의 하면과 창틀(B)의 상면에는 씰링부재(S)가 부착된다.
이후 도 5와 같이 분리된 설치구(900)를 서로 결합하여 상기 창문(W)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가 되도록 한다. 즉, 상기 노즐연결부(922) 내부로 연장프레임(940)을 슬라이딩 삽입하여 좌측의 연장프레임(940) 좌측단으로부터 우측의 연장프레임(940) 우측단까지의 거리가 창문(W)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한 다음, 상기 결합공(946)과 체결공(923")에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상기 바디(920)와 연장프레임(940)을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노즐연결부(922) 내부로 연장프레임(940)이 삽입되면, 상기 상부체결부(924)와 하부체결부(926)의 우측면은 상기 연장프레임(940)의 상/하부 좌측단을 간섭하게 되어 상기 연장프레임(940)의 좌측방향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씰링부재(S)가 안착된 창틀(B) 상면에 상기 노즐연결부(922)의 하 면이 접촉하도록 안착한 다음 창문(W)을 내려 창문(W)의 하면이 상기 노즐연결부(922)의 상면과 면접촉하도록 한다.(도 6 참조)
이때, 상기 창문(W) 하면에 구비된 씰링부재(S)의 하면은 상기 연장프레임(940)의 상면과 면접촉하게 되고, 상기 창틀(B) 상면에 구비된 씰링부재(S)의 상면은 상기 연장프레임(940)의 하면과 면접촉하게 되어, 실내 공기는 상기 토출구멍(923)을 통해서만 외부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이후 상기 창문체결공(925)에 체결부재를 삽입한 후 창문(W)에 체결하게 되면, 상기 설치구(900)의 상부는 창문(W)에 고정되어 유동이 제한되며, 상기 창틀체결공(927)에 체결부재를 삽입한 후 창틀(B)에 체결하게 되면, 상기 설치구(900)의 하부는 창틀(B)에 고정되어 유동이 제한된다.
상기한 과정으로 설치구(900)는 창문(W) 및 창틀(B)에 설치 완료된다.
이후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을 길게 연장하여 상기 배기노즐(420)의 개구된 단부와 토출구멍(923)을 일치시킨 다음 상기 체결구멍(422)과 결합구멍(923')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부재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내부는 토출구멍(923)을 통해 실외와 연통되어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열교환되어 토출되는 공기는 실외로 토출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냉매와 공기의 유동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해 사용 가능하나, 여기서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가 냉방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때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는 응축기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860)는 증발기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520)와 제1열교환기(510) 및 제2열교환기(860) 사이에는 냉매배관(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어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520)로부터 기체 냉매가 압축되어 고온고압의 상태로 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510)로 유입되면, 상기 제1열교환기(510)에서는 외측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매는 응축된다.
그런 다음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을 통과하면서 팽창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860)로 유입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860)로 유입된 냉매는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증발한다. 따라서, 냉매는 기체상태가 되는데, 이때 액체상태의 냉매도 잔류하게 되어 실제로는 2상의 냉매가 혼재한다.
이러한 냉매는 상기 어큐뮬레이터(530)를 통과한 후에 다시 상기 압축기(520)에 보내져 냉매의 순환사이클(cycle)을 완성하게 된다.
한편, 공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 및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우선 방열측(메인드레인팬의 하측 부분)에서의 공기 유동(도면에서는 '
Figure 112007012536019-PAT00006
'로 표시됨)을 살펴본다. 이때의 공기 유동은 기본적으로 상기 하부팬(630)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하부모터(660)가 구동하게 되면, 이러한 하부모터(660)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하부팬(630)이 회전하면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후방의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전방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방향을 전환하여 좌측으로 유동하게 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한다.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는 공기는 온도가 상승한다. 즉, 상기 제2열교환기(860)는 응축기 역할을 하게 되므로, 이러한 제1열교환기(5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공기는 고온 상태가 된다.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는 상기 하오리피스공(602)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팬(630) 중앙부로 유입된다. 상기 하부팬(630) 중앙부로 유입된 공기는 하부팬(630)의 회전에 의해 방사상으로 유동되어 상기 배기가이드(650)에 의해 안내되어 상방으로 토출된다.
상기 배기가이드(650)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되는 고온의 공기는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을 통해 공기조화기 외부로 배출된 후 상기 토출구멍(923)을 통해 건물의 외부로 완전히 배출된다.
다음으로, 흡열측(메인드레인팬의 상측 부분)에서 일어나는 공기의 유동(도면에서는 '
Figure 112007012536019-PAT00007
'로 표시됨)을 살펴본다. 이때의 공기 유동은 기본적으로 상기 상부팬(840)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상부모터(820)가 구동하게 되면, 이러한 상부모터(820)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상부팬(840)이 회전하면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외측(실내공간)의 공기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상반부에 형성된 흡입그릴(310)을 통해 내부(전방)로 유입된다.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프리필터(320)와 탈취필터(322)를 차례로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나 악취가 제거된다.
상기 프리필터(320)와 탈취필터(32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열교환이 일어난다. 즉, 상기 제2열교환기(860)는 증발기로 작용하므로, 상기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한 저온의 공기는 상기 상오리피스공(852)을 통해 전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상부팬(840) 중앙으로 유입된다. 상기 상부팬(840) 중앙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부팬(840)의 회전에 의해 방사상으로 토출되며, 이러한 공기는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에 의해 안내되어 상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의 토출안내구(814)를 통해 전방으로 나와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한다.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하는 저온의 공기는 상기 토출구(210)의 전방으로 배출되어 실내공간을 냉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하는 공기는 토출루버(110)에 형성된 다수의 리브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기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설치구가 창문과 창틀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창문의 개방 방향이 좌/우인 경우 세로로 직립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는, 설치구의 일측에 상부체결부와 하부체결부가 구비되며, 바디 내부로 슬라이딩삽입되는 연장프레임은 상부체결부와 하부체결부에 의해 전방향 유동이 제한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바디와 연장프레임의 구속력이 향상되어 설치구의 이탈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부체결부와 하부체결부에 다수 체결공을 형성하고, 다수 체결공은 노즐연결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부재를 체결시에 설치구와의 간섭이 해지되므로 설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내부에 다수 부품이 수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과;
    실내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는 다수 열교환기와;
    상기 다수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와 열교환된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배기안내수단과;
    상기 배기안내수단의 일단부와 연통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창문 및 창틀에 고정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좌/우측에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장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설치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배기안내수단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배기안내수단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관통하는 노즐연결부와,
    상기 노즐연결부의 선단 일측에 직립되게 결합되어 창문과 체결되는 상부체결부와,
    상기 노즐연결부의 선단 일측에서 절곡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창틀과 체결되는 하부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결부의 일측에는,
    천공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상부체결부가 창문 전면과 접촉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는 창문체결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결부의 일측에는,
    천공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하부체결부가 창틀 상면과 접촉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는 창틀체결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체결공과 창틀체결공은,
    천공된 방향의 연장선이 서로 직교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프레임의 선단부는,
    상기 상부체결부 및 하부체결부의 후면과 선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70014156A 2007-02-12 2007-02-12 공기조화기 KR101335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156A KR101335748B1 (ko) 2007-02-12 2007-02-12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156A KR101335748B1 (ko) 2007-02-12 2007-02-12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258A true KR20080075258A (ko) 2008-08-18
KR101335748B1 KR101335748B1 (ko) 2013-12-02

Family

ID=3987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156A KR101335748B1 (ko) 2007-02-12 2007-02-12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74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63330A1 (en) * 2015-06-10 2016-12-15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conditioner
CN106247475A (zh) * 2015-06-10 2016-12-21 Lg电子株式会社 便携式空气调节器
KR20170000832A (ko) * 2015-06-10 201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공기조화기
KR20180034867A (ko) * 2016-09-28 2018-04-05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의 창틀설치용 설치대
KR20190013750A (ko) * 2016-05-27 2019-02-11 일렉트로룩스 어플라이언스 아크티에볼레그 윈도우 연결부를 구비한 에어컨
CN109595397A (zh) * 2019-01-18 2019-04-0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密封板组件、移动空调及其安装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493B1 (ko) * 2018-01-08 2022-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관부 설치키트 결합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7131U (ko) * 1989-12-21 1991-09-04
JP2632108B2 (ja) * 1992-01-29 1997-07-23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63330A1 (en) * 2015-06-10 2016-12-15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conditioner
CN106247476A (zh) * 2015-06-10 2016-12-21 Lg电子株式会社 便携式空气调节器
CN106247475A (zh) * 2015-06-10 2016-12-21 Lg电子株式会社 便携式空气调节器
KR20170000409A (ko) * 2015-06-10 201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공기조화기
KR20170000832A (ko) * 2015-06-10 201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공기조화기
US10184673B2 (en) 2015-06-10 2019-01-22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conditioner
US10415838B2 (en) 2015-06-10 2019-09-17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conditioner
CN106247476B (zh) * 2015-06-10 2020-11-17 Lg电子株式会社 便携式空气调节器
CN106247475B (zh) * 2015-06-10 2020-11-24 Lg电子株式会社 便携式空气调节器
KR20190013750A (ko) * 2016-05-27 2019-02-11 일렉트로룩스 어플라이언스 아크티에볼레그 윈도우 연결부를 구비한 에어컨
KR20180034867A (ko) * 2016-09-28 2018-04-05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의 창틀설치용 설치대
CN109595397A (zh) * 2019-01-18 2019-04-0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密封板组件、移动空调及其安装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748B1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182B1 (ko) 공기조화기
KR101335748B1 (ko) 공기조화기
EP1876399B1 (en) Air conditioner
KR20080041065A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66A (ko) 공기조화기
KR20080075259A (ko) 이동식 공기조화기
KR20090010420A (ko) 공기조화기의 배기안내수단
KR100654999B1 (ko) 공기조화기
KR101235930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62A (ko) 공기조화기
KR101314915B1 (ko) 공기조화기
KR101308339B1 (ko) 공기조화기
KR10166704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80689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60A (ko) 공기조화기
CN218820663U (zh) 立式空调室内机
KR20080038729A (ko) 공기조화기
CN217482872U (zh) 空调室内机
CN215637652U (zh) 空调室外机
US20230390683A1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and make-up air filter tray
KR20090009603A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77A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74A (ko) 공기조화기
KR100553049B1 (ko) 공기조화기
KR100553045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