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508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508A
KR20230062508A KR1020230054586A KR20230054586A KR20230062508A KR 20230062508 A KR20230062508 A KR 20230062508A KR 1020230054586 A KR1020230054586 A KR 1020230054586A KR 20230054586 A KR20230054586 A KR 20230054586A KR 20230062508 A KR20230062508 A KR 20230062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board
main board
auxiliar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국
박민규
김대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54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2508A/ko
Publication of KR20230062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508A/ko
Priority to KR1020230185624A priority patent/KR20240001091A/ko
Priority to KR1020230185625A priority patent/KR20240001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4Arrangements for porta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32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72Modules for easy installation 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열교환기가 배치되고, 공기유입구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공기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이 고정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창틀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키트를 포함하고, 상기 키트는,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메인보드; 상기 메인보드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보조보드; 상기 메인보드와 상기 보조보드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홈을 형성하는 랙; 및 상기 메인보드와 상기 보조보드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보드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도록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돌기가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여, 랙에 형성된 복수개의 홈 중 어느 하나에 홀더의 돌기를 삽입함으로써, 메인보드와 보조보드가 중첩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키트의 높낮이가 쉽게 조절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에 배치되어 배출관을 고정시키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케이스 내부에 압축기와 2개의 열교환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히트펌프가 배치된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케이스 내부에 하나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다른 하나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이 배치된다. 배출관은, 이동형 공기조화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도록, 긴 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창틀에는 배출관을 통해 실외공간으로의 공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배출관을 고정시키는 키트가 배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키트는, 키트를 창틀에 고정시킴에 있어서, 창틀의 다양한 높이에 맞춰 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조가 부재하여, 창문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키트는, 키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하더라도, 키트와 창틀 사이의 틈을 제대로 실링하지 못하여, 상기 틈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스크류의 체결을 통해 키트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외력에 의해 키트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문헌 20-2008-0004797은, 스크류의 체결을 통해 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외력에 의해 스크류가 쉽게 손상되어 키트의 수명이 짧고, 키트와 창틀 사이의 틈을 실링하는 구조가 부재하여, 상기 틈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87575 한국공개문헌 20-2008-000479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높낮이의 조절이 용이한 키트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강화된 키트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수명이 증대된 키트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키트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키트의 형합성이 개선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열교환기가 배치되고, 공기유입구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공기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이 고정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창틀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키트를 포함하고, 상기 키트는,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메인보드와, 상기 메인보드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보조플레이트, 상기 보조플레이트의 후방에 이격되는 리어플레이트 및 상기 보조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향해 함몰된 리세스를 구비한 보조보드와,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리세스에 배치되는 랙과,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보드의 배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복수의 홈 중 하나에 삽입되는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와, 상기 메인보드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돌기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립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메인보드의 외측면과 내측면 각각에 접촉되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메인보드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1지지리브와, 상기 메인보드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2지지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메인보드의 상단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1지지리브와 상기 제2지지리브를 연결하는 연결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보드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리브에는 상기 고정홈으로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배치된다.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지지부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길이는 상기 지지부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의 절반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는, 상기 그립과 상기 돌기가 이어지는 부분에서 상기 그립과 상기 돌기 각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팁을 더 포함한다.
상기 돌기는, 상기 랙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 중 하나의 홈에 삽입되는 제1돌기와 상기 그립과 상기 제1돌기를 연결하는 제2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기의 두께는 상기 제1돌기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돌기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2돌기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두께가 상기 제1돌기 방향으로 갈수로 줄어드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랙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랙프레임과, 상기 랙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구획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복수의 구획돌기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돌기가 상기 랙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 중 하나에 삽입될 때, 상기 돌기의 단부와 상기 랙의 랙프레임 사이에는 일정간격의 틈이 형성된다.
상기 키트는, 상기 메인보드와 상기 보조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메인보드와 상기 보조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창틀이 삽입되는 창틀홈이 형성된 제 1지지바디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로부터 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메인보드와 상기 보조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가 삽입되는 보드홈이 형성된 제 2지지바디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랙에 형성된 복수개의 홈 중 어느 하나에 홀더의 돌기를 삽입함으로써, 메인보드와 보조보드가 중첩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키트의 높낮이가 쉽게 조절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홀더와 랙의 결합을 통해 메인보드와 보조보드 간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키트의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증대되는 장점도 있다.
셋째, 지지부와 그립과 돌기를 포함하는 홀더의 구조 및 복수개의 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구속방식에 의하여, 키트의 수명이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넷째, 서포터와 가스켓을 통해 창틀과의 형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키트가 외기의 유입을 완전하게 차단하는 장점도 있다.
다섯째, 보조보드가 메인보드의 내측에 형성된 중첩공간에서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키트의 형합성이 증대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설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트의 제 1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트의 제 2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트의 제 3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트의 횡단면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트의 전방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트의 종단면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트의 절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종단면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가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가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 전 키트의 횡단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 후 키트의 횡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보드와 가스켓의 연결구조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보드와 가스켓의 연결구조를 설명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의 설치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케이스(10), 배출관(20) 및 키트(100)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열교환기(미도시)가 배치되고 공기유입구(11)와 공기토출구(12, 13)가 형성된 케이스(10)와, 공기토출구(13)와 연통되고 케이스(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출관(20)과, 배출관(20)이 고정되는 배출구(100s)가 형성되고 창틀(40)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키트(1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공기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제 1열교환기(미도시) 및 제 2열교환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열교환기(미도시)와 제 2열교환기(미도시)는 서로 냉매배관(미도시)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냉매배관(미도시)에는 팽창장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제 1열교환기(미도시)를 거쳐 열교환된 뒤 제 1토출구(12)를 통해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로 유입된 공기 중 나머지는, 제 2열교환기(미도시)를 거쳐 열교환된 뒤 제 2토출구(13)를 통해 배출관(20)으로 유동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에는, 공기유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로 유입된 공기가 제 1열교환기(미도시)를 거쳐 제 1토출구(12)를 향해 유동하는 제 1유로(미도시)와, 공기유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로 유입된 공기가 제 2열교환기(미도시)를 거쳐 제 2토출구(13)를 향해 유동하는 제 2유로(미도시)가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20)은, 제 2토출구(13)와 연통되고, 실외공간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토출구(13)를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토출된 공기는, 배출관(20)을 통해 실외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키트(100)는, 창틀(40)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고, 배출관(20)과 연결될 수 있다. 키트(100)는, 배출관(20)이 움직이지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배출관(20)은, 키트(100)에 개구된 배출구(100s)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배출관(20)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배출구(100s)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창틀(40)은, 전체적인 외형이 사각형일 수 있다. 창틀(40)은, 창문(30)의 상부와 연결되는 어퍼프레임(41)과, 창문(30)의 하부와 연결되는 로어프레임(42)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어퍼프레임(41)과 로어프레임(42)을 연결하는 사이드프레임(43)을 포함할 수 있다.
창문(30)은, 전체적인 외형이 사각형일 수 있고, 창틀(40)의 내측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창문(30)은, 어퍼프레임(41)과 연결되는 제 1창문프레임(31)과, 로어프레임(42)과 연결되는 제 2창문프레임(32)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창문프레임(31)과 제 2창문프레임(32)을 연결하는 제 3창문프레임(33)을 포함할 수 있다.
키트(100)는, 사이드프레임(43)과 제 3창문프레임(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어퍼프레임(41) 및 로어프레임(42)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메인보드(110)와 보조보드(120, 130)의 연결관계를 설명한다. 도 2는 제 1보조보드(120)가 메인보드(110)의 상측으로 노출된 제 1상태도이고, 도 3은 제 1보조보드(120)가 메인보드(110)의 내측에 은닉된 제 2상태도이고, 도 4는 제 1보조보드(120)가 메인보드(110)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제 2보조보드(130)가 메인보드(110)의 하측으로 노출된 제 3상태도이다.
키트(100)는, 배출구(100s)가 형성된 메인보드(110)와, 적어도 일부가 메인보드(1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보조보드(120)와, 적어도 일부가 메인보드(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보조보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보조보드(120)와 제 2보조보드(130)는, “보조보드”로 이름될 수 있다. 보조보드(120, 130)는, 메인보드(1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배출구(100s)는, 제 1보조보드(120)보다 제 2보조보드(130)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00s)는, 메인보드(110)의 보드상단(110a)보다 보드하단(110b)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키트(100)는, 메인보드(110)와 보조보드(120, 13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홀더(140, 160)와, 메인보드(110)와 보조보드(120, 130)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랙(150, 17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140, 160)는, 메인보드(110)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40, 160)는, 제 1보조보드(120)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제 1홀더(140)와, 제 2보조보드(130)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제 2홀더(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홀더(140)는, 메인보드(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홀더(160)는, 메인보드(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홀더(140)와 제 2홀더(160)는, 메인보드(110)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홀더(140)는, 메인보드(110)의 보드상단(110a)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홀더(160)는, 메인보드(110)의 보드하단(110b)에 배치될 수 있다.
랙(150, 170)은, 보조보드(120, 130)에 배치될 수 있다. 랙(150, 170)은, 제 1보조보드(120)에 배치되는 제 1랙(150)과, 제 2보조보드(130)에 배치되는 제 2랙(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랙(15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 1보조보드(12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랙(17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 2보조보드(13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키트(100)는, 메인보드(110)와 보조보드(120, 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되는 서포터(18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180)는, 메인보드(110), 제 1보조보드(120) 및 제 2보조보드(130)에 선택적으로 탈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상태에서 제 1보조보드(120)는, 메인보드(110)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 1상태에서 제 2보조보드(130)는 메인보드(110)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홀더(140)는, 제 1랙(150)과 결합되어 제 1보조보드(120)를 구속할 수 있다. 제 1홀더(140)는, 제 1보조보드(120)의 상하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 1상태에서 키트(100)의 높이는, 메인보드(110)만이 배치될 때에 비해, 메인보드(110)의 상측으로 노출된 제 1보조보드(120)의 높이만큼 증가될 수 있다.
제 1상태에서 서포터(180)는, 메인보드(110)와 제 1보조보드(12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서포터(18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서포터(180) 중 어느 하나는 제 1보조보드(12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메인보드(11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보조보드(120)의 상측에 연결된 서포터(180)는, 제 1보조보드(120)와 어퍼프레임(41) 사이를 실링할 수 있고, 메인보드(110)의 하측에 연결된 서포터(180)는, 메인보드(110)와 로어프레임(42)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상태에서 제 1보조보드(120)는, 메인보드(110)의 내측에 은닉될 수 있다. 제 2상태에서 제 2보조보드(130)는 메인보드(110)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홀더(140)는, 제 1랙(150)과 결합되어 제 1보조보드(120)를 구속할 수 있다. 제 1홀더(140)는, 제 1보조보드(120)의 상하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 2상태에서 키트(100)의 높이는, 메인보드(110)만이 배치될 때에 비해, 메인보드(110)의 상측으로 노출된 제 1보조보드(120)의 높이만큼 증가될 수 있다. 다만, 제 1보조보드(120)의 전부가 메인보드(110)의 내측에 은닉되는 경우, 키트(100)의 높이는 메인보드(110)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 2상태에서 서포터(180)는, 메인보드(110)에 연결될 수 있다. 서포터(18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서포터(180) 중 어느 하나는 메인보드(11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메인보드(11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보드(110)의 상측에 연결된 서포터(180)는, 메인보드(110)와 어퍼프레임(41) 사이를 실링할 수 있고, 메인보드(110)의 하측에 연결된 서포터(180)는, 메인보드(110)와 로어프레임(42)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3상태에서 제 1보조보드(120)는, 메인보드(110)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 3상태에서 제 2보조보드(130)는 메인보드(110)에 연결되어 메인보드(110)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 1홀더(140)는, 제 1랙(150)과 결합되어 제 1보조보드(120)를 구속할 수 있다. 제 1홀더(140)는, 제 1보조보드(120)의 상하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 2홀더(160)는, 제 2랙(170)과 결합되어 제 2보조보드(130)를 구속할 수 있다. 제 2홀더(160)는, 제 2보조보드(130)의 상하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 3상태에서 키트(100)의 높이는, 메인보드(110)만이 배치될 때에 비해, 메인보드(110)의 상측으로 노출된 제 1보조보드(120)의 높이에 메인보드(110)의 하측으로 노출된 제 2보조보드(130)의 높이를 더한만큼 증가될 수 있다.
제 3상태에서 서포터(180)는, 제 1보조보드(120)와 제 2보조보드(13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서포터(18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서포터(180) 중 어느 하나는 제 1보조보드(12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제 2보조보드(13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보조보드(120)의 상측에 연결된 서포터(180)는, 제 1보조보드(120)와 어퍼프레임(41) 사이를 실링할 수 있고, 제 2보조보드(130)의 하측에 연결된 서포터(180)는, 제 2보조보드(130)와 로어프레임(42)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제 1보조보드(120)의 길이(H1)는, 제 2보조보드(130)의 길이(H2)보다 짧을 수 있다. 제 1보조보드(120)와 제 2보조보드(130)의 길이비는 1:2일 수 있다.
제 1보조보드(120)의 길이(H1)는, 메인보드(110)의 길이(H0)보다 짧을 수 있다. 제 1보조보드(120)는, 메인보드(110)의 내측에 완전하게 은닉될 수 있다.
메인보드(110)의 길이(H0)는, 제 2보조보드(130)의 길이(H2)보다 짧을 수 있다. 제 2보조보드(130)는, 메인보드(110)의 내측에 일부만이 은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조보드(120, 130)가 메인보드(110)의 내측에서 상하이동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도 5는 도 6에 도시된 A-A’선도로 키트(100)를 절개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키트(100)를 정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보드(110)는, 배출구(100s)가 형성된 메인플레이트(111)와, 메인플레이트(11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제 1사이드플레이트(118)와, 메인플레이트(11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제 1사이드플레이트(118)와 이격되는 제 2사이드플레이트(119)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보드(120, 130)는, 제 1사이드플레이트(118)와 제 2사이드플레이트(119)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사이드플레이트(118)와 제 2사이드플레이트(119)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사이드플레이트(118)와 제 2사이드플레이트(119)는, 메인플레이트(111)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플레이트(118, 119)는, 메인플레이트(11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제 1벽(112)과, 제 1벽(112)으로부터 메인보드(110)의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2벽(113)과, 제 2벽(113)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제 1압착돌기(114)와, 제 2벽(113)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제 3벽(115)과, 제 3벽(115)으로부터 메인보드(110)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 4벽(116)과, 제 4벽(116)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제 2압착돌기(1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벽(113)과 제 4벽(116)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제 1압착돌기(114)와 제 2압착돌기(117)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보조보드(120)와 제 2보조보드(130)는, 횡단면의 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1보조보드(120)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제 1보조보드(120)에 대한 설명은 제 2보조보드(1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 1보조보드(120)는, 메인플레이트(111)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보조플레이트(121)와, 보조플레이트(12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제 1보조사이드플레이트(122)와, 보조플레이트(12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제 1보조사이드플레이트(122)와 이격되는 제 2보조사이드플레이트(123)와, 제 1보조사이드플레이트(122)와 제 2보조사이드플레이트(123)를 연결하고 보조플레이트(121)의 후방에 이격되는 리어플레이트(124)와, 리어플레이트(12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보강플레이트(125)와, 랙(150)이 배치되는 리세스(129)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플레이트(121)는, 메인플레이트(111)와 밀착될 수 있고, 메인플레이트(111)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조플레이트(121)는, 제 1보조사이드플레이트(122)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제 1리메인더(121a)와, 제 2보조사이드플레이트(123)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제 2리메인더(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리메인더(121a)는 제 1사이드플레이트(118)에 삽입될 수 있고, 제 2리메인더(121b)는 제 2사이드플레이트(119)에 삽입될 수 있다. 제 1리메인더(121a)와 제 2리메인더(121b)는, 메인플레이트(111)와 제 2벽(113)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제 1벽(112)에 의해 외측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제 1보조사이드플레이트(122)는, 제 1사이드플레이트(118)에 의해 외측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제 1보조사이드플레이트(122)는, 제 3벽(115)에 의해 외측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제 2보조사이드플레이트(123)는, 제 2사이드플레이트(119)에 의해 외측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제 2보조사이드플레이트(123)는, 제 3벽(115)에 의해 외측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24)는, 제 1보조사이드플레이트(122)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제 3리메인더(124a)와, 제 2보조사이드플레이트(123)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제 4리메인더(124b)와, 제 3리메인더(124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제 1마운팅돌기(124c)와, 제 4리메인더(124b)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제 2마운팅돌기(124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리메인더(124a)는, 제 1사이드플레이트(118)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 4벽(116)은, 제 1리메인더(124a)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제 4벽(116)은, 제 1마운팅돌기(124c)에 의해 외측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제 2리메인더(124b)는, 제 2사이드플레이트(119)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 4벽(116)은, 제 2리메인더(124b)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제 4벽(116)은, 제 2마운팅돌기(124d)에 의해 외측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보강플레이트(125)는, 리어플레이트(12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리세스(129)와 연결될 수 있다.
리세스(129)는, 보조플레이트(12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제 1리세스벽(126)과, 보조플레이트(12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제 1리세스벽(126)과 이격되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 2리세스벽(127)과, 제 1리세스벽(126)과 제 2리세스벽(127)을 연결하는 지지벽(1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리세스벽(126)은, 보조플레이트(12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제 1경계벽(126a)과, 제 1경계벽(126a)으로부터 보조보드(120)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된 제 2경계벽(126b)과, 제 2경계벽(126b)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제 3경계벽(126c)과, 제 3경계벽(126c)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제 4경계벽(126d)과, 제 4경계벽(126d)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제 5경계벽(126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리세스벽(127)은, 랙(150)을 기준으로 제 1리세스벽(126)와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리세스벽(127)은, 제 1리세스벽(126)과 동일하게, 제 1경계벽(127a), 제 2경계벽(127b), 제 3경계벽(127c), 제 4경계벽(127d) 및 제 5경계벽(127e)을 가질 수 있다.
랙(150)은, 제 1리세스벽(126)과 제 2리세스벽(127)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벽(128)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후술할 복수의 구획돌기(152)(도 8참조)는, 제 1리세스벽(126)과 제 2리세스벽(127)에 의해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구획돌기(152)는, 한 쌍의 제 3경계벽(127c)에 의해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후술할 랙프레임(151)(도 8참조)은, 제 1리세스벽(126)과 제 2리세스벽(127)에 의해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고, 지지벽(128)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랙프레임(151)은, 적어도 일부가 제 4경계벽(127d)과 지지벽(128)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제 5경계벽(127e)에 의해 외측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홀더(160)의 적어도 일부는, 제 1리세스벽(126)과 제 2리세스벽(127)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리세스벽(126)과 제 2리세스벽(127)에 의해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홀더(160)의 적어도 일부는, 한 쌍의 제 1경계벽(126a, 127a)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제 1경계벽(126a, 127a)에 의해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홀더(160)의 적어도 일부는, 한 쌍의 제 2경계벽(126b, 127b)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보조보드(120)는, 메인보드(110)의 후방에 형성된 중첩공간(110S)(도 13a 참조)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중첩공간(110s)은, 제 1사이드플레이트(118)와 제 2사이드플레이트(119)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메인플레이트(111)와 제 1사이드플레이트(118)와 제 2사이드플레이트(119)는, 보조보드(120)가 상하이동될 때, 보조보드(120)가 메인보드(110)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보조보드(12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보조보드(120)는, 중첩공간(110s)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적어도 일부가 메인보드(110)의 내측에 은닉될 수 있다.
홀더(140)는, 랙(150)과의 결합을 통해, 보조보드(120)가 더 이상 상하이동되지 않도록 보조보드(120)를 구속할 수 있다.
보조보드(120)는, 구속된 상태에서, 메인보드(110)의 상측으로 노출된 제 1파트(120a)와 메인보드(110)의 내측으로 은닉된 제 2파트(120b)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파트(120a)에 위치된 랙(150)은, 메인보드(110)의 상측에 노출될 수 있고, 제 2파트(120b)에 위치된 랙(150)은, 메인보드(110)의 내측에 은닉될 수 있다.
키트(100)는, 홀더(140)와 랙(150)과의 결합을 통해, 제 1파트(120a)가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제 1파트(120a)의 높이만큼 키트(100)의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홀더(140)와 랙(150)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B’선도로 키트(100)를 절개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도 7을 상측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홀더(140)는, 메인보드(110)에 고정되는 지지부(141)와, 지지부(141)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립(142)과, 그립(142)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지지부(141)와 상하로 이격된 돌기(143)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140)가 보조보드(120)에 고정되는 경우, 지지부(141)는 보조보드(1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홀더(140)는, 그립(142)이 지지부(14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돌기(143)는 지지부(14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홀더(160)는, 그립(142)이 지지부(14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돌기(143)는 지지부(141)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홀더(140)와 제 2홀더(160) 각각에서 지지부(141)가 배치되는 부분의 방향 또는 단부를 일측 또는 일단으로 설명하고, 돌기(143)가 배치되는 부분의 방향 또는 단부를 타측 또는 타단으로 설명한다.
제 1홀더(140)를 기준으로볼 때, 제 1홀더(140)의 일측 또는 일단이 제 1홀더(140)의 상측 또는 상단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제 2홀더(160)는 제 1홀더(140)와 반대로 배치되므로, 제 2홀더(160)의 일측 또는 일단이 제 2홀더(160)의 하측 또는 하단으로 설명될 수 있다.
지지부(141)와 그립(142)과 돌기(143)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지지부(141)는, 메인보드(11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그립(142)은, 탄성변형되어 지지부(141)를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립(142)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돌기(143)는, 그립(142)이 전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그립(142)과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지지부(141)는, 리세스(129)에 의해 좌우방향 및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지지부(141)는 메인보드(110)의 외측면과 내측면 각각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41)는, 메인보드(110)의 외측면에 접촉하게 배치되는 제1지지리브(141a)와, 메인보드(110)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배치되는 제2지지리브(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41)는 제1지지리브(141a)와 제2지지리브(141b)를 연결하는 연결리브(14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리브(141a)는 메인보드의 외측면에 접촉하고, 제2지지리브(141b)는 메인보드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연결리브(141c)는 메인보드(110)의 상단면에 접촉한다.
제1지지리브(141a)는 그립(142)으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1지지리브(141a)와 제2지지리브(141b) 각각의 일측에는 지지부(141)를 메인보드(110)에 고정시키는 고정돌기(141a1, 141b1)가 배치된다. 제1지지리브(141a)에는 제1고정돌기(141a1)가 배치되고, 제2지지리브(141b)에는 제2고정돌기(141b1, 또는 ‘고정돌기’)가 배치된다. 제2고정돌기(141b1)은 메인보드(110)에 형성되는 고정홈(110a)에 삽입될 수 있다.
제2고정돌기(141b1)이 메인보드(110)의 고정홈(110a)에 삽입되어 지지부(141)가 메인보드(110)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고정돌기(141b1)가 지지부(141)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길이(L2)는 지지부(141)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L1)의 절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지지리브(141a)와 제2지지리브(141b)가 메인보드(110)에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면적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제1지지리브(141a)의 하단부(141a2)는 메인보드(110)와 접촉하는 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메인보드(11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밴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41)가 메인보드(110)로 장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홀더(140)의 타단부에는 팁(144)이 배치된다. 팁(144)은, 그립(142)과 돌기(143)가 이어지는 부분에서 배치될 수 있다. 팁(144)은 상측방향과 메인보드(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팁(144)은 그립(142)과 돌기(143) 각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잇다. 팁(144)은 이하에서 설명할 랙(150)의 홈(153)에 삽입된 돌기(143)를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돌기(143)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랙(150)의 홈(153)에 삽입되는 제1돌기(143b)와 그립(142)과 제1돌기(143b)를 연결하는 제2돌기(143a)를 포함한다. 제2돌기(143a)의 두께는 제1돌기(143b)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돌기(143b)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돌기(143a)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두께가 제1돌기(143b) 방향으로 갈수로 줄어드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돌기(143b)가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두께는 이하에서 설명할 랙(150)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153) 각각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폭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돌기(143a)가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두께는 랙(150)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153) 각각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폭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143)가 랙(150)에 형성되는 홈(153)으로 삽입될 때, 제1돌기(143b) 단부와 랙프레임(151) 사이의 접촉에 의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돌기(143)가 랙(150)의 홈(153)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기(143)의 단부와 랙(150)의 랙프레임(151) 사이에는 일정간격의 틈(153a)이 형성된다. 이는, 돌기(143)의 단부와 랙프레임(151) 사이의 접촉에 의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돌기(143b)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143bL)는, 제2돌기(143a)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길이(143aL)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랙(15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랙프레임(151)과, 랙프레임(15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구획돌기(152)와, 복수의 구획돌기(152)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홈(15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획돌기(152)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홈(153)은, 복수의 구획돌기(152) 사이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돌기(143)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홈(153)에 삽입될 수 있고, 전방으로 이동되어 홈(153)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그립(142)이 제 1방향(P)으로 잡아당겨지면, 돌기(143)는 홈(153)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돌기(143)가 홈(153)으로부터 빠져나오면, 보조보드(120)는 메인보드(110)에 구속되지 않고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립(142)이 제 2방향(Q)으로 밀어지면, 돌기(143)는 홈(153)에 삽입될 수 있다. 돌기(143)가 홈(153)에 삽입되면, 보조보드(120)는 메인보드(110)에 구속되어 상하로의 이동을 제한받는다.
돌기(143)는, 복수개의 홈(153) 중, 전후방으로 돌기(143)와 대응되는 홈(153)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보조보드(120)를 메인보드(1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켜 돌기(143)에 대응되는 홈(153)을 변경함으로써, 키트(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제 1홀더(140)와 제 1랙(150)의 결합구조는, 제 2홀더(160)와 제 2랙(170)의 결합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제 2홀더(160)는, 제 1홀더(140)와는 달리, 그립과 돌기가 지지부의 하측에 위치되므로,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이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제 2홀더(160)의 경우, 그립과 돌기가 메인보드(110)의 전방으로 이동되면 돌기가 랙의 홈으로부터 빠져나오고, 그립과 돌기가 메인보드(110)의 후방으로 이동되면 돌기가 랙의 홈으로 삽입된다고 표현할 수 있다.
랙(150)은, 보조보드(120)의 단부(120c)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랙프레임(151)의 최상단(150a)은, 보조보드(120)의 상단부(120c)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랙프레임(151)의 최상단(150a)은, 보조보드(120)의 상단부(120c)보다 하측으로 소정거리(D) 이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서포터(180)의 배치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서포터(180)가 배치된 키트(10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서포터(180)가 배치된 키트(100)를 도 9에 도시된 C-C’선도로 절개하여 도시한 것이다.
서포터(180)는, 보조보드(120)에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181)와, 지지플레이트(18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창틀(40)이 삽입되는 창틀홈(182c)이 형성된 제 1지지바디(182)와, 지지플레이트(18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보조보드(120)의 일부가 삽입되는 보드홈(183c)이 형성된 제 2지지바디(18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81)와 제 1지지바디(182)와 제 2지지바디(183)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180)는, 제 1보조보드(120)의 상측에 탈착될 수 있고, 제 2보조보드(130)의 하측에 탈착될 수 있다.
제 1보조보드(120)의 리어플레이트(124)는, 보드홈(183c)에 삽입될 수 있고, 제 2지지바디(183)를 리어플레이트(124)에 끼움으로써, 서포터(180)를 제 1보조보드(12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서포터(180)가 제 1보조보드(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지지플레이트(181)는, 제 1보조보드(12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서포터(180)는, 제 1보조사이드플레이트(122)와 제 2보조사이드플레이트(123)와 리어플레이트(124)와 리세스(129)에 의해 하중이 지지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81)는, 보조플레이트(121)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81)와 보조플레이트(121) 사이에는, 틈(G)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81)는, 제 3리메인더(124a)와 제 4리메인더(124b)에 의해 하중이 지지될 수 있고, 제 1마운팅돌기(124c)와 제 2마운팅돌기(124d)보다 보조보드(120)의 중심부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81)는, 제 1마운팅돌기(124c)와 제 2마운팅돌기(124d)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마운팅돌기(124c)와 제 2마운팅돌기(124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81)는, 제 1지지바디(182)가 돌출된 부위인 제 1베이스플레이트(181a)와, 제 2지지바디(183)가 돌출된 부위인 제 2베이스플레이트(18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베이스플레이트(181a)와 제 2베이스플레이트(181b)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지지바디(182)는, 제 1베이스플레이트(181a)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 2지지바디(183)는, 제 2베이스플레이트(181b)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지지바디(182)와 제 2지지바디(183)는 상하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지지바디(182)는, 지지플레이트(18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 1창틀홀더(182a)와, 지지플레이트(18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제 1창틀홀더(182a)의 후방에 이격된 제 2창틀홀더(182b)와, 제 1창틀홀더(182a)와 제 2창틀홀더(182b) 사이에 형성된 창틀홈(18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창틀홀더(182a)는, 지지플레이트(18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 1홀딩플레이트(182a1)와, 제 1홀딩플레이트(182a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제 1홀딩돌기(182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창틀홀더(182b)는, 지지플레이트(18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 2홀딩플레이트(182b1)와, 제 2홀딩플레이트(182b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제 2홀딩돌기(182b2)를 포함할 수 있다.
창틀홈(182c)은,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어퍼프레임(41)은, 횡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프레임(41a)과, 베이스프레임(41a)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고정프레임(41b)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41b)은, 창틀홈(182c)에 삽입되어 키트(100)를 창틀(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프레임(41b)은, 제 1홀딩플레이트(182a1)와 제 2홀딩플레이트(182b1)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홀딩돌기(182a2)와 제 2홀딩돌기(182b2)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제 2지지바디(183)는, 지지플레이트(18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제 1보드홀더(183a)와, 지지플레이트(18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제 1보드홀더(183a)의 후방에 이격된 제 2보드홀더(183b)와, 제 1보드홀더(183a)와 제 2보드홀더(183b) 사이에 형성된 보드홈(18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보드홀더(183a)는, 지지플레이트(18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 3홀딩플레이트(183a1)와, 제 3홀딩플레이트(183a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제 1보강돌기(183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홀딩플레이트(183a1)는, 하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보드홀더(183b)는, 지지플레이트(18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 4홀딩플레이트(183b1)와, 제 4홀딩플레이트(182b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제 2보강돌기(183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홀딩플레이트(183b1)는,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드홈(183c)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24)는, 보드홈(183c)에 삽입되어 보조보드(120)를 서포터(18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24)는, 제 3홀딩플레이트(183a1)와 제 4홀딩플레이트(183b1)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 3홀딩플레이트(183a1)와 제 4홀딩플레이트(183b1)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가스켓(191, 192)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a는 창문(30)에 삽입되는 제 1가스켓(191)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창틀(40)에 삽입되는 제 2가스켓(192)의 사시도이다.
키트(100)는, 메인보드(110) 및 보조보드(120, 130) 각각의 측면과 창틀(40)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19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190)은, 메인보드(110) 및 보조보드(120, 130) 각각의 측면과 창문(3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가스켓(190)은, 메인보드(110) 및 보조보드(120, 130) 각각의 측면과 창문(3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가스켓(191)과, 메인보드(110) 및 보조보드(120, 130) 각각의 측면과 창틀(40) 사이에 배치되는 제 2가스켓(1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가스켓(191)은, 제 3창문프레임(33)에 삽입될 수 있고, 제 2가스켓(192)은, 사이드프레임(43)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 1가스켓(191)은, 메인보드(110) 및 보조보드(120, 130)에 삽입되는 제 1키트실러(191a)와, 제 1키트실러(191a)에 상하로 개구된 제 1실러홀(191b)과, 제 1키트실러(191a)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된 제 1창문실러(191c)와, 제 1키트실러(191a)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고 제 1창문실러(191c)와 이격되는 제 2창문실러(191d)와, 제 1창문실러(191c)로부터 제 2창문실러(191d)를 향해 돌출되는 제 1실러돌기(191e)와, 제 2창문실러(191d)로부터 제 1창문실러(191c)를 향해 돌출되는 제 2실러돌기(191f)와, 제 1창문실러(191c)와 제 2창문실러(191d) 사이에 형성된 창문삽입홈(191g)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제 2가스켓(192)는, 메인보드(110) 및 보조보드(120, 130)에 삽입되는 제 2키트실러(192a)와, 제 2키트실러(192a)에 상하로 개구된 제 2실러홀(192b)과, 제 2키트실러(192a)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 1리브(192c)와, 제 2키트실러(192a)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 1리브(192c)와 대향되는 제 2리브(192d)와, 제 1리브(192c) 및 제 2리브(192d)를 기준으로 제 2키트실러(192a)와 대향되는 창틀실러(192e)와, 창틀실러(192e)에 상하로 개구된 창틀실러홀(192f)과, 창틀실러(192e)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 3리브(192g)와, 창틀실러(192e)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 3리브(192g)와 대향되는 제 4리브(192h)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가스켓(190)을 통한 실링구조를 설명한다. 도 12a는 가스켓(190)에 의해 실링되기 전의 키트(100)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b는 가스켓(190)에 의해 실링된 후의 키트(100)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제 1사이드플레이트(118)에는, 제 2가스켓(192)이 삽입되는 제 1가스켓홈(118s)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사이드플레이트(119)에는, 제 1가스켓(191)이 삽입되는 제 2가스켓홈(119s)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가스켓홈(118s)과 제 2가스켓홈(119s)은, “가스켓홈”으로 이름될 수 있다.
제 3창문프레임(33)은, 창문삽입홈(191g)에 삽입될 수 있고, 제 1실러돌기(191e) 및 제 2실러돌기(191f)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제 1가스켓(191)은, 제 2가스켓홈(119s)에 삽입될 수 있고, 제 1압착돌기(114) 및 제 2압착돌기(117)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제 1키트실러(191a)는, 제 2가스켓홈(119s)에 삽입되어 메인보드(110) 및 보조보드(120, 130)와 제 3창문프레임(33)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창틀실러(192e)는, 사이드프레임(43)에 삽입될 수 있고, 제 3리브(192g)와 제 4리브(192h)는 사이드프레임(43)에 압착될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43)은, 제 1리브(192c) 및 제 2리브(192d)와 밀착될 수 있다.
제 2가스켓(192)은, 제 1가스켓홈(118s)에 삽입될 수 있고, 제 1압착돌기(114) 및 제 2압착돌기(117)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제 2키트실러(192a)는, 제 1가스켓홈(118s)에 삽입되어 메인보드(110) 및 보조보드(120, 130)와 사이드프레임(43)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가스켓(190)의 밀착구조를 설명한다. 도 13a는 메인보드(110)와 가스켓(190)의 밀착구조를 설명하는 도이고, 도 13b는 보조보드(120, 130)와 가스켓(190)의 밀착구조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제 1가스켓(191)은 제 2사이드플레이트(119)에 밀착될 수 있고, 제 2가스켓(192)은 제 1사이드플레이트(118)에 밀착될 수 있다.
제 1키트실러(191a)는, 제 3벽(115)에 밀착될 수 있고, 제 1압착돌기(114)와 제 2압착돌기(11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창문실러(191c)는, 제 2벽(113)에 밀착될 수 있고, 제 2창문실러(191d)는, 제 4벽(116)에 밀착될 수 있다. 제 1창문실러(191c)는, 제 1압착돌기(114)보다 외측에 위치될 수 있고, 제 2창문실러(191d)는, 제 2압착돌기(117)보다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키트실러(192a)는, 제 3벽(115)에 밀착될 수 있고, 제 1압착돌기(114)와 제 2압착돌기(11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리브(192c)는, 제 1벽(112)에 밀착될 수 있고, 제 2리브(192d)는 제 4벽(116)의 외측에 이격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제 1가스켓(191)은 제 2보조사이드플레이트(123)에 밀착될 수 있고, 제 2가스켓(192)은 제 1보조사이드플레이트(122)에 밀착될 수 있다.
제 1가스켓(191)은, 제 2가스켓홈(119s)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2마운팅돌기(124d)에 밀착될 수 있다. 제 2창문실러(191d)는, 제 2마운팅돌기(124d)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 2가스켓(192)은, 제 1가스켓홈(118s)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마운팅돌기(124c)에 밀착될 수 있다. 제 2리브(192d)는, 제 1마운팅돌기(124c)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 1마운팅돌기(124c)와 제 2마운팅돌기(124d)는, 리어플레이트(12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가스켓파지부”로 이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다.
10: 케이스 20: 배출관
30: 창문 40: 창틀
100: 키트 110: 메인보드
120: 제 1보조보드 130: 제 2보조보드
140: 제 1홀더 143: 돌기
150: 제 1랙 153: 홈
160: 제 2돌기 170: 제 2랙
180: 서포터 190: 가스켓

Claims (12)

  1. 내부에 열교환기가 배치되고, 공기유입구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공기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이 고정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창틀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키트를 포함하고,
    상기 키트는,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메인보드;
    상기 메인보드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보조플레이트, 상기 보조플레이트의 후방에 이격되는 리어플레이트 및 상기 보조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향해 함몰된 리세스를 구비한 보조보드;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리세스에 배치되는 랙; 및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보드의 배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복수의 홈 중 하나에 삽입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와, 상기 메인보드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돌기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립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메인보드의 외측면과 내측면 각각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메인보드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1지지리브와,
    상기 메인보드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2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메인보드의 상단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1지지리브와 상기 제2지지리브를 연결하는 연결리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리브에는 상기 고정홈으로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지지부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길이는 상기 지지부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의 절반 이상으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그립과 상기 돌기가 이어지는 부분에서 상기 그립과 상기 돌기 각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팁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랙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 중 하나의 홈에 삽입되는 제1돌기와 상기 그립과 상기 제1돌기를 연결하는 제2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기의 두께는 상기 제1돌기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2돌기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두께가 상기 제1돌기 방향으로 갈수로 줄어드는 형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랙프레임과,
    상기 랙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구획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복수의 구획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상기 랙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 중 하나에 삽입될 때, 상기 돌기의 단부와 상기 랙의 랙프레임 사이에는 일정간격의 틈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상기 메인보드와 상기 보조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되는 서포터(180)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메인보드와 상기 보조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창틀이 삽입되는 창틀홈이 형성된 제 1지지바디;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로부터 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메인보드와 상기 보조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가 삽입되는 보드홈이 형성된 제 2지지바디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230054586A 2021-02-17 2023-04-26 공기조화기 KR20230062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586A KR20230062508A (ko) 2021-02-17 2023-04-26 공기조화기
KR1020230185624A KR20240001091A (ko) 2021-02-17 2023-12-19 공기조화기
KR1020230185625A KR20240001092A (ko) 2021-02-17 2023-12-19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303A KR20220117668A (ko) 2021-02-17 2021-02-17 공기조화기
KR1020230054586A KR20230062508A (ko) 2021-02-17 2023-04-26 공기조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303A Division KR20220117668A (ko) 2021-02-17 2021-02-17 공기조화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5625A Division KR20240001092A (ko) 2021-02-17 2023-12-19 공기조화기
KR1020230185624A Division KR20240001091A (ko) 2021-02-17 2023-12-19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508A true KR20230062508A (ko) 2023-05-09

Family

ID=82801098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303A KR20220117668A (ko) 2021-02-17 2021-02-17 공기조화기
KR1020230054586A KR20230062508A (ko) 2021-02-17 2023-04-26 공기조화기
KR1020230185625A KR20240001092A (ko) 2021-02-17 2023-12-19 공기조화기
KR1020230185624A KR20240001091A (ko) 2021-02-17 2023-12-19 공기조화기
KR1020240067642A KR20240085222A (ko) 2021-02-17 2024-05-24 공기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303A KR20220117668A (ko) 2021-02-17 2021-02-17 공기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5625A KR20240001092A (ko) 2021-02-17 2023-12-19 공기조화기
KR1020230185624A KR20240001091A (ko) 2021-02-17 2023-12-19 공기조화기
KR1020240067642A KR20240085222A (ko) 2021-02-17 2024-05-2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2013132B2 (ko)
KR (5) KR20220117668A (ko)
CN (1) CN217235873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575Y1 (ko) 2002-05-29 2002-08-30 주식회사 쿨텍 개방된 창문 공간의 밀폐장치
KR20080004797U (ko) 2007-04-18 2008-10-22 헵시바주식회사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6424B2 (en) * 2005-09-29 2007-11-20 Whirlpool Corporation Mounting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n air conditioner
US8578728B2 (en) * 2008-06-03 2013-11-12 Lg Electronics Inc. Movable air conditioner
CN109312934B (zh) 2016-05-27 2021-07-27 伊莱克斯电器股份公司 具有窗连接的空调器
KR102381534B1 (ko) 2018-03-28 2022-03-31 김우진 창틀 장착형 환기시스템
KR102039071B1 (ko) 2019-03-26 2019-11-01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설치 및 탈결합이 용이한 창틀거치형 공기청정기
KR102273125B1 (ko) 2019-05-24 2021-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공기조화기
CN110793106A (zh) * 2019-12-16 2020-02-1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密封板组件及空调器
CN110878970A (zh) * 2019-12-16 2020-03-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密封板组件及空调器
KR20200022402A (ko) 2020-02-04 2020-03-03 주식회사 아이지 슬라이드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창틀 스크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575Y1 (ko) 2002-05-29 2002-08-30 주식회사 쿨텍 개방된 창문 공간의 밀폐장치
KR20080004797U (ko) 2007-04-18 2008-10-22 헵시바주식회사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092A (ko) 2024-01-03
US12013132B2 (en) 2024-06-18
CN217235873U (zh) 2022-08-19
KR20220117668A (ko) 2022-08-24
KR20240001091A (ko) 2024-01-03
US20220260261A1 (en) 2022-08-18
KR20240085222A (ko) 2024-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415B2 (en) Air conditioner with multi-level refrigerant tube support
KR20090040791A (ko) 천정형 에어컨
KR20230062508A (ko) 공기조화기
KR100238513B1 (ko) 공기조화기
KR101498283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CN211177102U (zh) 落地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4035364B2 (ja) 換気扇
JP2006038380A (ja) 吹出グリル装置、吹出チャン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機
CN106052059B (zh) 空调室内机的格栅组件和空调室内机
JP3361172B2 (ja) 天井埋込形空調機のパネル枠取付装置
CN216620035U (zh) 空调器
CN217764003U (zh) 分配器、换热器及空调
CN217737511U (zh) 一种接水盘的安装结构及风管机
EP0287546A2 (en) Radiating and convection element
CN212108694U (zh) 立柜式空调器
WO2023103117A1 (zh) 空调器
CN216892994U (zh) 一种可调节淋浴隔断
CN217490263U (zh) 气水分离过滤器
CN219995433U (zh) 一种具有防变形导风门的壁挂式空调
CN211854212U (zh) 天花机
CN211903089U (zh) 空调器
CN211650501U (zh) 窗式空调器
CN220229370U (zh) 一种分体式风管机及空调器
CN210832287U (zh) 移动空调
JPH0612418Y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