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125B1 - 이동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이동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125B1
KR102273125B1 KR1020190061513A KR20190061513A KR102273125B1 KR 102273125 B1 KR102273125 B1 KR 102273125B1 KR 1020190061513 A KR1020190061513 A KR 1020190061513A KR 20190061513 A KR20190061513 A KR 20190061513A KR 102273125 B1 KR102273125 B1 KR 102273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xing
fixing rib
coupling part
pane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5085A (ko
Inventor
김대혁
박종훈
정대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1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12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5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72Modules for easy installation 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Abstract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패널부재와 결합되며 가이드레일과 결합되어 패널부재를 창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부재는, 패널부재와 가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부재와 결합되는 패널결합부, 및 가이드레일과 결합되는 레일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 또는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 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것을 반복하는 작용에 의해 시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실외 열교환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크게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구성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는 실외 열교환기(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가 설치되고, 실내기(실내 열교환기)에는 증발기가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결합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가 하나의 본체에 구비되어 전체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하나의 본체에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창문 또는 창문틀 등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식 공기조화기와, 필요한 공간에 본체를 위치시키고 배기 안내수단을 통해 외부로 열교환된 공기 일부를 배출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로 분류될 수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실외기가 별도로 구비되는 일반적인 공조장치에 비하여 설치가 간편하여 소비자가 스스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동 설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대표적인 구성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25975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와 윈도우 키트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본체(1)는 전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 프레임(10)과 전면 판넬(11) 그리고, 후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 프레임(12)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개략적으로 형성된다.
전방 프레임(10)은, 전반부의 골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전방 프레임(1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부(13)가 구비된다.
후방 프레임(12)은, 공기조화기의 후면 외관은 물론,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동시에 형성한다. 이러한 후방 프레임(12)에는,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특히,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안내수단(20)이 연결된다.
배기 안내수단(20)은, 공기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배기관(21)과, 상기 배기관(21)의 단부에서 윈도우 키트(30)와 연결되는 노즐(22)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관(21)은, 중공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마련되며, 배기 안내수단(20)이 설치될 창문(W)의 위치 및 높이에 따라 휘어질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진다. 따라서 배기관(21)은, 길이의 연장이 가능하며 유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관(21)은, 구부려졌을 때에도 내부가 원형을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즐(22)은, 윈도우 키트(30)와 결합되어 배기 안내수단(20)을 고정시킴으로써, 배기 안내수단(2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온전히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노즐(22)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윈도우 키트(30)에 밀착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 안내수단(20)의 단부에는, 배기 안내수단(20)이 창틀(B)에 설치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윈도우 키트(30)가 구비된다. 윈도우 키트(30)는, 상단과 하단이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배기판넬(31) 및 차폐판(32)을 포함한다.
배기판넬(31)에는 노즐(22)과 결합되는 배기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차폐판(32)은, 배기판넬(31)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처럼 슬라이딩할 수 있게 마련된 배기판넬(31)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윈도우 키트(30)의 길이를 창틀 크기에 맞출 수 있다.
상기 윈도우 키트(30)의 상/하단부는, 창문(W) 또는 창틀(B)에 상기 윈도우 키트(30)의 상/하부가 고정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3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홀(33)의 둘레에는, 노즐(22)과 배기판넬(31)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류(S)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구(3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에 따르면, 배기 안내수단(20)과 윈도우 키트(30)의 결합 및 분해를 위해서는 반드시 스크류(S)가 체결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설치 이전 등의 작업시 스크류(S) 체결 및 분리를 위한 도구가 필요하게 되어 이동 또는 서비스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울 뿐 아니라, 설치 이전 등의 작업시마다 복수개의 스크류(S)를 각각 체결하여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발생된다.
또한 미닫이 형태의 창문이 설치되는 창틀에는, 통상적으로 가이드레일이 마련되는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윈도우 키트(30)는 가이드레일이 마련된 창틀에 제대로 설치되기 어렵다.
만약 상기와 같은 구조의 윈도의 키트(30)가 가이드레일이 마련된 창틀에 설치될 경우, 윈도우 키트(30)가 창틀의 상부에 마련된 가이드레일과 창틀의 하부에 마련된 가이드레일 사이에 설치되어야 하는데, 가이드레일의 돌출 높이로 인해 윈도우 키트(30)가 의도하지 않게 창틀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함 없이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고, 쉽고 빠른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한 윈도우 키트를 구비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창틀에 설치가 가능한 윈도우 키트를 구비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는, 패널부재와 결합되며 가이드레일과 결합되어 패널부재를 창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부재는, 패널부재와 가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부재와 결합되는 패널결합부, 및 가이드레일과 결합되는 레일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고정부재에 패널부재와 가이드레일을 끼움 결합하는 단순하고 쉬운 작업만으로 윈도우 키트가 창틀에 쉽고 빠르게 설치될 수 있고, 고정부재로부터 패널부재와 가이드레일을 빼내는 것만으로 창틀로부터의 윈도우 키트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도구를 사용함 없이 윈도우 키트의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고, 윈도우 키트의 쉽고 빠른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한 이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패널부재의 측부에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패널부재의 측부를 감싸며 패널부재의 측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패널부재의 양측부에 실링부재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윈도우 키트의 모서리에 형성된 틈을 효과적으로 덮을 수 있고, 이로써 그 틈을 통해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거나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는, 고정부재가 패널부재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고정부재의 측방향 외측과 패널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 사이에 형성된 틈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실링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는, 패널결합부와 레일결합부가 패널부재의 두께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고정리브와 제2고정리브 및 제3고정리브가 상기 패널부재의 두께방향으로 배열되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고정부재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부품 보관 및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윈도우 키트의 모서리 부분에 생길 수 있는 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배기구 및 토출부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하여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유닛과; 일측이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의 타측과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이 내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설치대상물에 상기 배기관을 고정시키는 윈도우 키트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키트는, 상기 배기관의 타측과 결합되며, 설치대상물의 내측에 배치되는 패널부재; 및 설치대상물의 가이드레일과 맞물리며 설치대상물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부재를 설치대상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패널부재와 설치대상물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부재와 결합되는 패널결합부; 및 설치대상물의 가이드레일과 맞물려 결합되는 레일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결합부와 상기 레일결합부가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패널결합부와 상기 레일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결합부는,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고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결합부는,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상기 제1고정리브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고정리브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제1고정리브 사이에는, 상기 패널이 끼워지는 패널끼움홈이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제2고정리브 사이에는, 설치대상물의 가이드레일이 끼워지는 레일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고정리브와 상기 중간판 및 상기 제2고정리브가 상기 패널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며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제1고정리브는, 상기 중간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패널부재의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제2고정리브는, 상기 중간판을 사이에 두고 설치대상물의 가이드레일의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상기 제1고정리브 간의 간격이 상기 패널부재의 두께보다 좁은 제1협폭부, 및 한 쌍의 상기 제2고정리브 간의 간격이 설치대상물의 가이드레일보다 좁은 제2협폭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상기 제1고정리브 및 상기 제2고정리브는, 상기 패널부재의 두께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상기 중간판과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먼 단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고정리브 간의 간격이 멀어지는 제1확장부, 및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먼 단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고정리브 간의 간격이 멀어지는 제2확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확장부 또는 상기 제2확장부로부터 상기 패널부재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패널부재의 측부에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에는, 끼움홈이 상기 패널부재의 측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상기 패널부재의 측부를 감싸며 상기 패널부재와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널부재는, 소정의 상하방향 길이와 소정의 좌우방향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패널부재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널부재와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된 결합체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부재의 측부에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패널부재의 측부에 배치되는 제1실링부와, 상기 패널부재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실링부와 연결되는 제2실링부, 및 상기 패널부재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실링부와 연결되는 제3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2실링부 및 상기 제3실링부가 상기 고정부재의 측방향 외측과 상기 패널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 사이에 형성된 틈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널결합부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서로 간의 사이에 제1개구가 형성되도록 서로 연결되는 제1고정리브와 제2고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결합부는, 상기 제2고정리브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2고정리브와의 사이에 제2개구가 형성되도록 서로 연결되는 제3고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구가 상기 제1고정리브의 일측과 상기 제2고정리브의 일측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제1고정리브의 타측과 상기 제2고정리브의 타측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개구가 상기 제2고정리브의 타측과 상기 제3고정리브의 타측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제2고정리브의 일측과 상기 제3고정리브의 일측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고정리브와 상기 제2고정리브 및 상기 제3고정리브가 상기 패널부재의 두께방향으로 배열되며 일체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흡입구와 배기구 및 토출부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하여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유닛과; 일측이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의 타측과 결합되어 상기 배기관을 가이드레일이 돌출되게 형성된 창틀에 고정시키는 윈도우 키트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키트는, 상기 배기관의 타측과 결합되며, 창틀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관을 창틀에 고정시키는 패널부재; 및 창틀의 가이드레일과 맞물리며 창틀과 결합되어 상기 패널부재를 창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배기구와 연결된 배기관과 결합되며, 가이드레일이 내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설치대상물의 내측에 배치되는 패널부재; 및 설치대상물의 가이드레일과 맞물리며 설치대상물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부재를 설치대상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공기조화기 및 이에 구비되는 윈도우 키트에 따르면, 별도의 도구를 사용함 없이 배기관을 패널부재에 끼우고 회전시키거나 패널부재에 결합된 배기관을 회전시켜 빼내는 단순한 작업으로 배기관과 패널부재 간의 결합 및 결합 해제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에 패널부재와 가이드레일을 끼움 결합하는 단순하고 쉬운 작업만으로 창틀에 쉽고 빠르게 설치될 수 있고, 고정부재로부터 패널부재와 가이드레일을 빼내는 것만으로 창틀로부터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도구를 사용함 없이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고, 쉽고 빠른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부재를 가이드레일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창틀에도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재는 한 종류의 부품으로 제1패널과 제2패널 모두에 설치될 수 있으면서 상부에 배치된 제1가이드레일과 하부에 배치된 제2가이드레일에 모두 설치될 수 있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윈도우 키트는, 이와 같이 호환성이 높은 고정부재를 이용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제공됨으로써, 부품의 제조 및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부재의 양측부에 실링부재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윈도우 키트의 모서리에 형성된 틈을 효과적으로 덮을 수 있게 제공됨으로써, 윈도우 키트의 모서리에 형성된 틈을 통해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거나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와 윈도우 키트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키트가 구비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정면측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키트가 구비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배후측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커버 제거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윈도우 키트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3에 도시된 윈도우 키트에 배기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이 결합된 윈도우 키트의 배면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고정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키트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Ⅹ"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실링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ⅩⅣ-Ⅹ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키트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고정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키트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키트가 구비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정면측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키트가 구비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배후측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커버 제거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케이스(1000)와, 베이스플레이트(100) 및 제1,2열교환기(500,8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케이스(1000)의 내부에는 제1,2열교환기(500,800) 등을 포함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0)는, 전후방 및 측방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나의 케이스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제품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할 수 있도록 전방측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케이스와 후방측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케이스로 분리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케이스(1000)의 하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100)가 마련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이동식 공기조화기(1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며, 케이스(10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케이스(1000)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지지한다.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냉매가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에서 유동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가 주변의 공기와 두 차례 열교환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냉매와 주변의 공기가 열교환을 이룰 수 있도록,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의 수용공간에는, 제1,2열교환기(500,800)가 구비된다.
이때 제1열교환기(500)와 제2열교환기(800)가 모두 하나의 공간에 인접되게 설치된다면, 제1열교환기(50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제2열교환기(800)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반대로 제2열교환기(80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제1열교환기(800)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제1,2열교환기(500,800)의 열교환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제1,2열교환기(500,800)의 열교환 성능이 제대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제1열교환기(500)와 제2열교환기(800)가 서로 충분히 멀리 이격되게 배치되거나, 서로 분리된 공간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1열교환기(500)와 제2열교환기(800)가 멀리 이격되게 배치되기 위해서는 케이스(1000) 내부 공간의 크기가 커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크기가 대형화될 수밖에 없게 된다. 공기조화기(10)의 크기가 대형화된다면, 설치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면서도 이동이 가능한 공기조화기(10)의 설계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의 수용공간을 구획하여 복수개의 수용공간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각각의 수용공간에 제1,2열교환기(500,800)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냉방 또는 난방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열교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케이스(1000) 및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의해 규정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10) 내부의 수용공간은, 케이스(10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획플레이트(600)에 의해 상측의 제2수용공간 및 하측의 제1수용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2수용공간에는 제2열교환기(800)와 이에 인접하는 제2송풍유닛이 설치되고, 제2열교환기(800)와 제2송풍유닛은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수용공간에는 제1열교환기(500)와 이에 인접하는 제1송풍유닛(300)이 설치되고, 제1열교환기(500)와 제1송풍유닛(300)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장착된 제1열교환기(500)와 제1송풍유닛(300)의 상단면이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을 지지하고, 이로써 구획플레이트(600) 및 이에 장착되는 제2열교환기(800)와 제2송풍유닛과 같은 부품들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케이스(1000)에는, 외부의 공기가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구와,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기구(1180) 및 토출부(104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구는, 제2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2흡입구(1120) 및 제1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1흡입구(1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하부로 구획된 수용공간에서, 각각 냉매의 응축과 증발이 구분되어 일어나며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 가령, 제1열교환기(500)는 응축기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제1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제2열교환기(800)는 증발기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제2수용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등의 구성부품이 단일 제품에 일체로 구성되면,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이동 설치가 용이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케이스(1000)의 상부에는, 토출부(1040)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1040)에는 토출부(1040)의 내부를 관통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토출구는, 토출부(1040)가 케이스(1000)에 장착되었을 때, 케이스(1000)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케이스의 상부에는, 조작유닛(1020)이 마련될 수 있다. 바닥에 배치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조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조작유닛(1020)은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유닛(1020)은, 사용자가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작동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조작유닛(1020)에는 다수의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작유닛(1020)은 외관상 노출되는 조작판넬과 조작판넬 하부에 설치되는 PCB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작유닛(1020)은, 케이스(100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지만, 조작유닛(1020)을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케이스에 장착되어 하나의 모듈로서 케이스(10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토출부(1040)와 조작유닛(1020)이 이동형 공기조화기(10) 상부에 배치되는 점을 고려하면, 토출부(1040)와 조작유닛(1020)은 케이스(100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는 하나의 프레임에 구성될 수도 있다.
후방케이스(1100)의 후면 상부에는, 제2수용공간의 내외부를 관통시키는 제2흡입구(1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흡입구(1120)는, 실내의 공기가 제2수용공간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제2흡입구(1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제2흡입구(1120)의 충분한 면적확보를 위하여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케이스(1100)의 후면 하부에는 제1흡입구(1140)가 형성되며, 이러한 제1흡입구(1140)는, 실내 공기가 제1수용공간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구획플레이트(600)의 일측에는 컨트롤박스(900)가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90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장되는 곳이다.
컨트롤박스(900)는, 구획플레이트(600)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박스(900)의 상부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부는 구획플레이트(600)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와 윈도우 키트 간의 관계]
배기관(210) 및 윈도우 키트(220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1000)의 후방케이스(1100)에는, 윈도우 키트(2200)를 이동형 공기조화기(100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키트 고정부(11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0)에는, 외부의 공기가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구와,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기구(1180) 및 토출부(1040)가 마련될 수 있다.
후방케이스(1100)에는 연결덕트(1120)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1180)는 연결덕트(1120)를 통해 케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 연결덕트(1120)에는 배기관(210)이 연결될 수 있다.
키트 고정부(1110)에는, 윈도우 키트(22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홈(1111)이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 키트(2200)는, 사용되지 않을 때 키트 고정부(1110)에 고정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으며, 일부분,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단이 수용홈(1111)에 삽입된 형태로 키트 고정부(11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덕트(112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00)의 내부에서 발생된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로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덕트(1120)에는, 배기관(210)이 연결된다.
이동형 공기조화기(1000)의 실외 열교환기에서는, 압축기를 통과하면서 고온, 고압의 상태가 된 냉매가 응축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된 고온의 공기는 연결덕트(1120)를 통해 이동형 공기조화기(10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이동형 공기조화기(10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기관(210)이 연결덕트(1120)에 연결된다. 즉 배기관(210)은, 연결덕트(1120)를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배출로로 이용된다.
또한 연결덕트(1120)의 내주면은, 배기관(210)이 연결덕트(11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배기관(21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덕트(1120)에는, 배기관(210)을 연결덕트(11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배기관(210)에는, 하우징 결합부(2110)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결합부(2110)는, 연결덕트(1120)에 마련된 결합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결합부(2110)는, 연결덕트(1120)의 결합부가 삽입, 고정되는 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기관(210)에는, 키트 결합부(2120)가 마련될 수 있다. 키트 결합부(2120)는, 배기관(210)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윈도우 키트(22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키트 결합부(2120)는, 배기관(210)의 상단부, 즉 하우징 결합부(2110)가 배치된 측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관(210)의 상단부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배기관(2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메쉬부(21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기관(210)은, 주름관 또는 복수개의 관이 연결된 연결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관(210)은, 그 길이방향 일측이 이동형 공기조화기(1000)에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측이 창틀에 설치되는 윈도우 키트(2200)까지 연장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키트의 전반적인 구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윈도우 키트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3에 도시된 윈도우 키트에 배기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이 결합된 윈도우 키트의 배면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윈도우 키트(2200)는 패널부재(2210,2220) 및 고정부재(2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패널부재(2210,2220)는, 창틀(B)에 장착될 수 있게 마련되며, 제1패널(2210)과 제2패널(2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패널(2210)은, 소정의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패널(2210)의 폭방향(x) 양측에는, 제1패널(2210)의 측부로부터 제1패널(2210)의 두께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1측판(221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길이방향(y)은 제1패널(2210)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인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폭방향(x)은 제1패널(2210)의 폭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이고, 두께방향(z)은 제1패널(2210)의 제1측판(2215)이 제1패널(221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인 것으로 정의된다.
상기 제1패널(2210)은, 창틀(B)에 배치되어 창틀(B)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을 수 있게 마련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패널(2210)은 창틀(B) 내부의 공간에 배치되되, 창틀(B)에 설치된 창문(W)과 창틀(B) 사이의 공간(이하, "설치 대상 공간"이라 한다)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제1패널(2210)은, 설치 대상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을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제1패널(2210)이 설치되는 설치 대상 공간은, 제1패널(2210)에 의해 덮인 공간과 제1패널(2210)에 의해 덮이지 않은 공간이 상하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2210)의 길이는, 창틀(B)의 길이와 대략 유사한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패널(2210)의 폭은, 패널부재(2210,2220)에 결합되는 배기관(210)의 직경보다 긴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제2패널(2220)은, 제1패널(2210)과 유사한 형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패널(2220)의 폭방향 양측에도, 제2패널(2220)의 측부로부터 제2패널(2220)의 두께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2측판(222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패널(2220)은, 제1패널(22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패널(2220)은 제2측판(2225)이 제1측판(2215)과 마주보며 맞닿은 상태로 제1패널(22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패널(2220)은, 제1패널(2210)에 길이방향(y)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패널부재(2210,2220)는, 길이방향(y)으로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줄어들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패널(2220)은, 제1패널(2210)에 의해 덮이지 않은 창틀(B)의 나머지 부분, 즉 설치 대상 공간의 나머지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즉 창틀(B)의 상하방향 길이와 제1패널(2210)의 길이를 고려하여 제2패널(2220)의 길이방향(y) 위치를 조절하면, 설치 대상 공간 전체가 패널부재(2210,2220)에 의해 덮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측판(2115) 및 제2측판(2215)에는, 체결홀(2116,2216)이 각각 패널부재(2210,2220)의 폭방향(x)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측판(2115)에는 복수개의 체결홀(2116)이 길이방향(y)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으며, 제2측판(2215)에도 복수개의 체결홀(2216)이 제1측판(2115)의 체결홀(2116)들과 동일한 방향 및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체결홀(2116,2216)들을 통해 별도의 체결부재가 패널부재(2210,222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체결부재는, 제2패널(2210)을 제1패널(221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패널부재(2210,2220)에 형성된 체결홀(2116,2216)과 이를 통해 패널부재(2210,2220)에 끼움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패널부재(2210,2220)를 원하는 길이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널부재(2210,2220)가 제1패널(2210)과 제2패널(2220), 즉 두 개의 패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패널부재(2210,2220)는 3개 이상의 패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윈도우 키트(2200)는, 배기관(210)과 연결된 상태로 창틀(B)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패널(2210)에는, 배기관 장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배기관 장착부는, 배기관 연통홀(2211)과 결합부 삽입홀(2212) 및 결합부 고정홈(22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배기관 연통홀(2211)은, 제1패널(2210)에 두께방향(z)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배기관 연통홀(2211)은 배기관(2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기관 연통홀(2211)의 직경은 배기관(210)의 직경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결합부 삽입홀(2212)은, 제1패널(2210)에 두께방향(z)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배기관 연통홀(2211)의 지름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결합부 삽입홀(2212)은, 배기관(210)의 키트 결합부(2120)가 제1패널(2210)에 삽입될 수 있게 마련된 것이다.
결합부 고정홈(2213)은, 제1패널(2210)에 두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배기관 연통홀(2211)의 지름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결합부 고정홈(2213)은, 결합부 삽입홀(2212)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결합부 삽입홀(2212)과 연결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키트 결합부(2120)는 배기관(210)의 외주면에 돌출된 플랜지(2140)에 형성되되, 배기관(21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키트 결합부(2120)는, 플랜지(2140)로부터 "ㄱ"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키트 결합부(212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140)로부터 배기관(21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2121) 및 제1돌출부(2121)의 단부로부터 배기관(210)의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2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2140)와 마주보는 제2돌출부(2122)의 일측면에는 고정돌기(2123)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2121)와 플랜지(2140) 간의 간격은, 대략 제1패널(2210)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키트 결합부(2120)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배기관(210)이 제1패널(2210)의 일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부 삽입홀(2212)을 통해 배기관(210)의 키트 결합부(2120)의 일부분을 제1패널(2210)의 타측면측으로 통과시킨 다음, 배기관(210)을 회전시키면, 제1패널(2210)이 배기관(210)의 플랜지(2140)와 키트 결합부(2120) 사이에 끼워진다.
이때 제1패널(2210)의 일측면은 배기관(210)의 플랜지(2140)와 맞닿고, 제1패널(2210)의 타측면은 제2돌출부(2122)의 일측면과 맞닿게 되며, 고정돌기(2123)가 결합부 고정홈(2213)에 끼워진 상태로 배기관(210)과 제1패널(2210) 간의 착탈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배기관(210)을 패널부재(2210,2220)에 끼우고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배기관(210)과 패널부재(2210,2220)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배기관(210)과 패널부재(2210,222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배기관(210)을 회전시켜 패널부재(2210,2220)로부터 빼내는 단순한 작업으로 배기관(210)과 패널부재(2210,2220) 간의 결합 해제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고정부재의 구조]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고정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키트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윈도우 키트(2200)는 고정부재(2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2230)는, 패널부재(2210,2220)와 결합되며, 가이드레일(R)과 결합되어 패널부재(2210,2220)를 창틀(B)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미닫이 형태의 창문(W)이 설치되는 창틀(B)에는 가이드레일(R)이 마련된다. 그리고 창문(W)에는, 가이드레일(R)과 맞물리며 가이드레일(R)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문바퀴(미도시)가 설치된다. 가이드레일(R)과 문바퀴는, 창문(W)이 이동 궤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창문(W)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R)은, 제1가이드레일(R)과 제2가이드레일(R)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가이드레일(R)은 창틀(B)의 상단 내측, 즉 창문(W)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2가이드레일(R)은 창틀(B)의 하단 내측, 즉 창문(W)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고정부재(2230)는, 이러한 제1가이드레일(R) 또는 제2가이드레일(R)에 결합되는 한편 패널부재(2210,2220)와 결합됨으로써, 패널부재(2210,2220)를 창틀(B)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재(2230)는 패널부재(2210,22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2230)는, 패널부재(2210,2220)와 제1가이드레일(R) 사이, 패널부재(2210,2220)와 제2가이드레일(R)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가령, 제1패널(2210)보다 제2패널(2220)이 상부에 배치된 형태로 패널부재(2210,2220)가 창틀(B)에 설치되었을 때, 패널부재(2210,2220)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부재(2230)는 제2패널(2220)에 설치되고, 패널부재(2210,2220)의 하부에 배치되는 고정부재(2230)는 제1패널(2210)에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부재(2230)는, 중간판(c)과 패널결합부(2231) 및 레일결합부(22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판(c)은, 고정부재(2230)의 상하방향 중심, 즉 상하"?항으?* 배치된 패널결합부(2231)와 레일결합부(2235) 사이에 배치된다. 중간판(c)은 가이드레일(R)의 상부면과 대략 나란한 면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패널결합부(2231)와 레일결합부(2235)는 중간판(c)을 공유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패널결합부(2231)는, 패널부재(2210,2220)와 제1가이드레일(R) 사이, 또는 패널부재(2210,2220)와 제2가이드레일(R)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패널결합부(2231)는, 고정부재(2230) 중에서 패널부재(2210,2220)와 결합되는 요소로 마련된다.
가령, 제1패널(2210)보다 제2패널(2220)이 상부에 배치된 형태로 패널부재(2210,2220)가 창틀(B)에 설치되었을 때, 패널부재(2210,2220)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부재(2230)의 패널결합부(2231)는 제2패널(2220)과 결합되고, 패널부재(2210,2220)의 하부에 배치되는 고정부재(2230)의 패널결합부(2231)는 제1패널(2210)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결합부(2235)는, 고정부재(2230) 중에서 가이드레일(R)과 결합되는 요소로 마련된다.
가령, 제1패널(2210)보다 제2패널(2220)이 상부에 배치된 형태로 패널부재(2210,2220)가 창틀(B)에 설치되었을 때, 패널부재(2210,2220)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부재(2230)의 레일결합부(2235)는 제1가이드레일(R)과 결합되고, 패널부재(2210,2220)의 하부에 배치되는 고정부재(2230)의 레일결합부(2235)는 제2가이드레일(R)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부(2231)와 레일결합부(2235)는, 서로 결합된 형태로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널결합부(2231)와 레일결합부(2235)가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로 고정부재(2230)가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고정부재(2230)에서는, 패널결합부(2231)가 패널부재(2210,2220)와 결합되고 레일결합부(2235)가 가이드레일(R)과 결합됨으로써, 고정부재(2230)가 윈도우 키트(2200)를 창틀(B)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패널결합부(2231)는, 한 쌍의 제1고정리브(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제1고정리브(a)는, 중간판(c)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리브(a)가 중간판(c) 및 레일결합부(223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길이방향(y)과 대략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패널결합부(2231)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1고정리브(a)는, 대략 제1패널(2210) 또는 제2패널(2220)의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패널결합부(2231)의 내부에는, 한 쌍의 제1고정리브(a)와 중간판(c)으로 둘러싸인 "∪ 형상의 패널끼움홈(d)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패널끼움홈(d)에는 제1패널(2210) 또는 제2패널(2220)이 끼워질 수 있다.
레일결합부(2235)는, 한 쌍의 제2고정리브(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제2고정리브(b)는, 중간판(c)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고정리브(b)가 중간판(c) 및 제1고정리브(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길이방향(y)과 대략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레일결합부(2235)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2고정리브(b)는, 대략 가이드레일(R)의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레일결합부(2235)의 내부에는, 한 쌍의 제2고정리브(b)와 중간판(c)으로 둘러싸인 "∩ 형상의 레일끼움홈(e)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레일끼움홈(e)에는 제1가이드레일(R) 또는 제2가이드레일(R)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230)는 각 구성이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고정리브(a)와 중간판(c) 및 제2고정리브(b)가 길이방향(y)으로 배열되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제1고정리브(a) 및 제2고정리브(b)는, 패널부재(2210,2220) 또는 가이드레일(R)의 두께방향(z)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중간판(c)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2230)는, 제1고정리브(a)와 제2고정리브(b)가 일체로 형성되되, 각각의 제1고정리브(a) 및 제2고정리브(b)가 각각 두께방향(z)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부재와 패널부재(2210,2220) 간의 끼움 결합 구조]
또한 도 10은 도 9의 "Ⅹ"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패널결합부(2231)는 제1협폭부(2232)와 제1확장부(2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협폭부(2232)는, 한 쌍의 제1고정리브(a) 간의 간격이 패널부재(2210,22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패널(2210) 또는 제2패널(2220)의 두께보다 좁은 영역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제1협폭부(2232)는, 제1고정리브(a)의 일부분이 중간판(c)으로부터 먼 단부측으로 갈수록 마주보는 다른 제1고정리브(a)와 점차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형성되는 영역이다.
제1확장부(2233)는, 한 쌍의 제1고정리브(a) 간의 간격이 점차 넓어지는 영역으로 제공된다. 제1확장부(2233)는, 제1고정리브(a)의 일부분이 중간판(c)으로부터 먼 단부측으로 갈수록 마주보는 다른 제1고정리브(a)와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형성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제1확장부(2233)는, 제1협폭부(2232)보다 중간판(c)으로부터 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1확장부(2233)에 의해, 제1패널(2210) 또는 제2패널(2220)이 삽입되는 패널끼움홈(d)의 입구가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패널(2210) 또는 제2패널(2220)은 좀 더 용이하게 패널끼움홈(d)에 삽입될 수 있고, 이로써 고정부재(2230)와 패널부재(2210,2220) 간을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작업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패널(2210) 또는 제2패널(2220)의 삽입이 다소 부정확한 위치에서 이루어지더라도, 제1확장부(2233)에 의해 제공되는 경사진 가이드면에 의해 제1패널(2210) 또는 제2패널(2220)의 패널끼움홈(d)으로의 삽입이 안내될 수 있으므로, 고정부재(2230)와 패널부재(2210,2220) 간을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협폭부(2232)에서는 패널끼움홈(d)에 끼워진 제1패널(2210) 또는 제2패널(2220)과 패널결합부(2231)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제1협폭부(2232)에서는, 한 쌍의 제1고정리브(a)가 제1패널(2210) 또는 제2패널(2220)을 양측에서 압박하는 형태로 제1패널(2210) 또는 제2패널(2220)과 패널결합부(2231)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제1확장부(2233)와 제1협폭부(2232) 간의 연결 부위가 곡면으로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패널(2210) 또는 제2패널(2220)이 제1협폭부(2232) 내부로 매끄럽게 끼워져 들어갈 수 있게 되며, 이로써 고정부재(2230)와 패널부재(2210,2220) 간을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고정부재와 가이드레일 간의 끼움 결합 구조]
패널결합부(2231)와 마찬가지로, 레일결합부(2235)는 제2협폭부(2236)와 제2확장부(22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협폭부(2236)는, 한 쌍의 제2고정리브(b) 간의 간격이 가이드레일(R),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가이드레일(R) 또는 제2가이드레일(R)의 두께보다 좁은 영역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제2협폭부(2236)는, 제2고정리브(b)의 일부분이 중간판(c)으로부터 먼 단부측으로 갈수록 마주보는 다른 제2고정리브(b)와 점차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형성되는 영역이다.
제2확장부(2237)는, 한 쌍의 제2고정리브(b) 간의 간격이 점차 넓어지는 영역으로 제공된다. 제2확장부(2237)는, 제2고정리브(b)의 일부분이 중간판(c)으로부터 먼 단부측으로 갈수록 마주보는 다른 제2고정리브(b)와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형성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제2확장부(2237)는, 제2협폭부(2236)보다 중간판(c)으로부터 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2확장부(2237)에 의해, 제1가이드레일(R) 또는 제2가이드레일(R)이 삽입되는 레일끼움홈(e)의 입구가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가이드레일(R) 또는 제2가이드레일(R)은 좀 더 용이하게 레일끼움홈(e)에 삽입될 수 있고, 이로써 고정부재(2230)와 가이드레일(R) 간을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작업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가이드레일(R) 또는 제2가이드레일(R)의 삽입이 다소 부정확한 위치에서 이루어지더라도, 제2확장부(2237)에 의해 제공되는 경사진 가이드면에 의해 제1가이드레일(R) 또는 제2가이드레일(R)의 레일끼움홈(e)으로의 삽입이 안내될 수 있으므로, 고정부재(2230)와 가이드레일(R) 간을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협폭부(2236)에서는 레일끼움홈(e)에 끼워진 제1가이드레일(R) 또는 제2가이드레일(R)과 레일결합부(2235)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제2협폭부(2236)에서는, 한 쌍의 제2고정리브(b)가 제1가이드레일(R) 또는 제2가이드레일(R)을 양측에서 압박하는 형태로 제1가이드레일(R) 또는 제2가이드레일(R)과 레일결합부(2235)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이때 제2확장부(2237)와 제2협폭부(2236) 간의 연결 부위가 곡면으로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가이드레일(R) 또는 제2가이드레일(R)이 제2협폭부(2236) 내부로 매끄럽게 끼워져 들어갈 수 있게 되며, 이로써 고정부재(2230)와 가이드레일(R) 간을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패널결합부(2231)와 레일결합부(22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2234)와 강화부(2238) 중 어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널결합부(2231)에 돌출부(2234)가 마련되고, 레일결합부(2235)에 강화부(2238)가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돌출부(2234)는, 제1확장부(2233)로부터 패널부재(2210,2220)의 두께방향(z)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2234)는, 각각의 제1고정리브(a)의 단부 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강화부(2238)는, 제2확장부(2237) 영역에서 제2고정리브(b)의 두께가 다른 영역보다 두꺼워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창문(W)의 하부에 배치된 제2가이드레일(R)에 결합되는 고정부재(2230)에서는, 제2확장부(2237) 영역, 즉 제2고정리브(b)의 단부에 하중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제2확장부(2237) 영역에서는 돌출부(2234)와 같은 구조물이 마련되더라도 제2고정리브(b)의 강성이 강화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창틀(B)에서는 창틀(B)을 구성하는 다른 구조물들로 인해 가이드레일(R) 주변 공간이 넉넉하지 않기 때문에, 제2확장부(2237) 영역에 돌출부(2234)가 마련될 경우, 가이드레일(R) 주변 다른 구조물과 돌출부(2234) 간의 간섭이 발생되어 고정부재(2230)의 설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2확장부(2237) 영역에 돌출부(2234)가 마련되는 대신 제2고정리브(b)의 단부 두께를 증가시킨 형태로 형성되는 강화부(2238)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강화부(2238)는, 각각의 제2고정리브(b)의 단부 강성을 향상시키고, 고정부재(2230)가 패널부재(2210,22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윈도우 키트의 작용,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윈도우 키트(2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도구를 사용함 없이 배기관(210)과 쉽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배기관(210)을 패널부재(2210,2220)에 끼우고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배기관(210)과 패널부재(2210,2220)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배기관(210)과 패널부재(2210,222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배기관(210)을 회전시켜 패널부재(2210,2220)로부터 빼내는 단순한 작업으로 배기관(210)과 패널부재(2210,2220) 간의 결합 해제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윈도우 키트(220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230)에 패널부재(2210,2220)와 가이드레일(R)을 끼움 결합하는 단순하고 쉬운 작업만으로 창틀(B)에 쉽고 빠르게 설치될 수 있고, 고정부재(2230)로부터 패널부재(2210,2220)와 가이드레일(R)을 빼내는 것만으로 창틀(B)로부터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도구를 사용함 없이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고, 쉽고 빠른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윈도우 키트(2200)는, 패널부재(2210,2220)를 가이드레일(R)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2230)를 구비함으로써, 가이드레일(R)이 구비된 창틀(B)에도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부재(2230)는, 한 종류의 부품으로 제1패널(2210)과 제2패널(2220) 모두에 설치될 수 있으면서 상부에 배치된 제1가이드레일(R)과 하부에 배치된 제2가이드레일(R)에 모두 설치될 수 있게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윈도우 키트(2200)는, 이와 같이 호환성이 높은 고정부재(2230)를 이용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제공됨으로써, 부품의 제조 및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윈도우 키트의 제2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실링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4는 도 12의 "ⅩⅣ-ⅩⅣ"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키트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키트(2300)는 실링부재(2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2340)는, 패널부재(2210,2220)의 측부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널부재(2210,2220)의 양측부에 실링부재(2340)가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각각의 실링부재(2340)는, 소정의 상하방향 길이와 소정의 좌우방향 폭, 즉 소정의 길이방향(y) 길이와 소정의 폭방향(x)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실링부재(234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링부재(2340)가 스펀지 재질 또는 연성의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실링부재(2340)는, 맞닿는 다른 부재에 큰 충격이나 압력을 주지 않으면서 맞닿는 다른 부재 사이의 틈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실링부재(2340)는, 패널부재(2210,2220)와 고정부재(2230)가 결합된 결합체(이하, "키트 결합체"라 한다)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패널부재(2210,2220)의 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키트 결합체의 길이는, 키트 결합체가 설치 대상 공간을 완전히 덮었을 때의 키트 결합체의 길이로서, 창틀(B)의 상단 내측과 하단 내측 간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라고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링부재(2340)는 길이방향(y)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다른 예로서, 실링부재(2340)는 원기둥, 타원기둥, 또는 삼각기둥이나 오각기둥 등과 같은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링부재(2340)에는, 끼움홈(2434)이 패널부재(2210,2220)의 측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홈(2434)이 형성된 실링부재(2340)는, 끼움홈(2434)에 끼워진 패널부재(2210,2220)의 측부를 감싸며 패널부재(2210,2220)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부재(2340)는, 제1실링부(2341)와 제2실링부(2342) 및 제3실링부(23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실링부재(2340)는 제1실링부(2341)와 제2실링부(2342) 및 제3실링부(2343)가 "ㄷ" 형상으로 연결되고, 제1실링부(2341)와 제2실링부(2342) 및 제3실링부(2343)에 의해 둘러싸인 실링부재(2340)의 내부에는 끼움홈(2434)이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2340)가 패널부재(2210,2220)의 측부와 끼움 결합되었을 때, 제1실링부(2341)는 패널부재(2210,222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2실링부(2342)는 패널부재(2210,22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실링부(2343)는 패널부재(2210,22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패널부재(2210,2220)의 전방은 제2패널(2220)을 기준으로 하는 제1패널(2210)의 배치 방향인 것으로, 패널부재(2210,2220)의 후방은 제1패널(2210)을 기준으로 하는 제2패널(2220)의 배치 방향인 것으로 정의된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실링부재(234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B)에 설치되는 패널부재(2210,2220)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패널부재(2210,2220)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실링부재(2340)는, 패널부재(2210,2220)와 창틀(B) 사이에 배치되어 패널부재(2210,2220)와 창틀(B) 사이의 틈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패널부재(2210,2220)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실링부재(234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재(2210,2220)와 창문(W) 사이에 배치되어 패널부재(2210,2220)와 창문(W) 사이의 틈을 차폐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2230)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재(2210,22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패널(2210)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2230)가 패널부재(2210,2220)와 결합되면, 고정부재(2230)의 폭방향 외측과 패널부재(2210,2220)의 상부 사이, 그리고 고정부재(2230)의 폭방향 외측과 패널부재(2210,2220)의 하부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틈이 형성되면, 이 틈을 통해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거나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온도 조절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정부재(2230)가 제1패널(2210)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은, 고정부재(2230)의 호환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제1패널(2210)에 제2패널(2220)과 같은 다른 패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패널부재(2210,2220)의 특성 상, 제2패널(2220)은 제1패널(2210)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밖에 없다. 만약 제2패널(2220)에 다른 패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패널(2210) 및 제2패널(2220)과 연결된다면, 다른 패널은 제2패널(2220)보다 더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만약 고정부재(2230)가 제1패널(2210)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면, 고정부재(2230)가 제2패널(2220)이나 그보다 더 좁은 폭으로 형성된 다른 패널에 설치되었을 때, 고정부재(2230)가 패널부재(2210,2220)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버린다.
이렇게 되면, 이와 같이 돌출된 고정부재(2230)로 인해 윈도우 키트(2300)와 창틀(B) 사이, 또는 윈도우 키트(2300)와 창문(W) 사이가 벌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2230)가 제1패널(2210)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2230)가 제2패널(2220)이나 그보다 더 좁은 폭으로 형성된 다른 패널에 설치되어도 고정부재(2230)가 패널부재(2210,2220)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고, 이로써 고정부재(2230)로 인해 윈도우 키트(2300)와 창틀(B) 사이, 또는 윈도우 키트(2300)와 창문(W)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그로 인해 고정부재(2230)의 폭방향 외측과 패널부재(2210,2220)의 상부 사이, 그리고 고정부재(2230)의 폭방향 외측과 패널부재(2210,2220)의 하부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는 실링부재(2340)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부재(2340)는 제2실링부(2342) 및 제3실링부(2343)가 고정부재(2230)의 폭방향 외측과 패널부재(2210,2220)의 상부 사이, 그리고 고정부재(2230)의 폭방향 외측과 패널부재(2210,2220)의 하부 사이, 즉 키트 결합체의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틈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패널부재(2210,2220)의 양측부에 실링부재(2340)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키트 결합체의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틈을 효과적으로 덮을 수 있고, 이로써 그 틈을 통해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거나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2340)는, 접착 등의 방식이 아닌 끼움 결합 방식으로 설치되므로, 별도의 도구나 접착제 없이 실링부재(2340)를 패널부재(2210,2220)에 끼워주는 것만으로 쉽고 빠르게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패널부재(2210,2220)에 결합된 실링부재(2340)를 패널부재(2210,2220)로부터 빼내기만 하면 실링부재(2340)를 패널부재(2210,2220)로부터 쉽고 빠르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실링부재(2340)의 분리 또는 교체 또한 용이하다.
아울러 실링부재(2340)는, 별도의 체결부재나 접착제 없이 패널부재(2210,2220)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실링부재(2340)의 탈거가 용이할 뿐 아니라, 실링부재(2340) 탈거시 패널부재(2210,2220)에 접착 잔여물 등이나 체결부재의 관통 흔적 등이 남지 않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윈도우 키트의 제3실시예]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고정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키트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키트(2400)와 이전 실시예들에서 예시된 윈도우 키트들 간의 차이점은 고정부재(2430)의 구조, 형상에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키트(2400)에 구비되는 고정부재(2430)는, 패널결합부(2431)와 레일결합부(24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패널결합부(2431)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고정리브(f)와 제2고정리브(g)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고정리브(f)와 제2고정리브(g)는, 대략 제1패널(2210) 또는 제2패널(2220)의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리브(f)와 제2고정리브(g)는, 서로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고정리브(f)와 제2고정리브(g)는, 서로 간의 사이에 제1개구가 형성되되, 제1개구가 제1고정리브(f)의 일측과 제2고정리브(g)의 일측 사이에 형성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고정리브(f)의 타측과 제2고정리브(g)의 타측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패널결합부(2431)는, 제1고정리브(f)와 제2고정리브(g)가 "∪" 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1고정리브(f)의 하측 단부와 제2고정리브(g)의 하측 단부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제1고정리브(f)의 상측 단부와 제2고정리브(g)의 상측 단부 사이에 제1개구가 형성되고, 이러한 제1개구는 제1고정리브(f)와 제2고정리브(g) 사이의 공간을 상부를 향해 개방할 수 있다. 그 결과, 패널결합부(2431)의 내부에는, 제1고정리브(f)와 제2고정리브(g)로 둘러싸인 패널끼움홈(2434)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결합부(2435)는, 제3고정리브(h)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3고정리브(h)는, 제1고정리브(f)보다 제2고정리브(g)에 인접되게 배치되되, 제2고정리브(g)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고정리브(g)와 제3고정리브(h)는, 대략 제1가이드레일(R) 또는 제2가이드레일(R)의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리브(g)와 제3고정리브(h)는, 서로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고정리브(g)와 제3고정리브(h)는, 서로 간의 사이에 제2개구가 형성되되, 제2개구가 제2고정리브(g)의 타측과 제3고정리브(h)의 타측 사이에 형성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고정리브(g)의 일측과 제3고정리브(h)의 일측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레일결합부(2435)는, 제2고정리브(g)와 제3고정리브(h)가 "∩" 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2고정리브(g)의 상측 단부와 제3고정리브(h)의 상측 단부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제2고정리브(g)의 하측 단부와 제3고정리브(h)의 하측 단부 사이에 제2개구가 형성되고, 이러한 제2개구는 제2고정리브(g)와 제3고정리브(h) 사이의 공간을 상부를 향해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430)는, 각 구성이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고정리브(f)와 제2고정리브(g) 및 제3고정리브(h)가 패널부재(2210,2220)의 두께방향(z)으로 배열되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리브(f)와 제2고정리브(g) 및 제3고정리브(h)는, 패널부재(2210,2220) 또는 가이드레일(R)의 두께방향(z)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2430)는, 제1고정리브(f)와 제2고정리브(g) 및 제3고정리브(h)가 일체로 형성되되, 제1고정리브(f)와 제2고정리브(g) 및 제3고정리브(h)가 각각 두께방향(z)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부재(2430)가 이전 실시예들에서 예시된 고정부재와 다른 점은, 제1고정리브(f)와 제2고정리브(g) 및 제3고정리브(h)가 패널부재(2210,2220)의 두께방향(z)으로 배열된다는 점, 즉 패널결합부(2431)와 레일결합부(2435)가 패널부재(2210,2220)의 두께방향(z)으로 배열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패널결합부(2431)와 레일결합부(2435)는, 제2고정리브(g)를 서로 공유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패널결합부(2431)는 제1고정리브(f)와 제2고정리브(g)를 포함한 형태로 형성되고, 레일결합부(2435)는 제2고정리브(g)와 제3고정리브(h)를 포함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2430)의 전체 높이가 이전 실시예들에서 예시된 고정부재보다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고정부재(2430)는 이전 실시예들에서 예시된 고정부재보다 적은 개수의 고정리브(4개→3개)를 포함한 형태로 형성되므로, 고정부재들이 두께방향(z)으로 배열되더라도 고정부재(2430) 전체의 두께는 그리 증가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의 고정부재(2430)는, 이전 실시예들에서 예시된 고정부재보다 두께는 별로 증가되지 않으면서 높이가 절반 가까이 감소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고정부재(2430)는, 크기가 작아 부품 보관 및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윈도우 키트(2400)의 네 모서리 부분에 생길 수 있는 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이동형 공기조화기
100 : 베이스플레이트
1000 : 케이스
1110 : 키트 고정부
1111 : 수용홈
1120 : 연결덕트
2100 : 배기관
2110 : 하우징 결합부
2120 : 키트 결합부
2121 : 제1돌출부
2122 : 제2돌출부
2123 : 고정돌기
2130 : 메쉬부
2140 : 플랜지
2200,2300,2400 : 윈도우 키트
2210 : 제1패널
2211 : 배기관 연통홀
2212 : 결합부 삽입홀
2213 : 결합부 고정홈
2215 : 제1측판
2220 : 제2패널
2225 : 제2측판
2230,2430 : 고정부재
2231,2431 : 패널결합부
2232 : 제1협폭부
2233 : 제1확장부
2234 : 돌출부
2235,2435 : 레일결합부
2236 : 제2협폭부
2237 : 제2확장부
2340 : 실링부재
2341 : 제1실링부
2342 : 제2실링부
2433 : 제3실링부
2343 : 끼움홈
a,f : 제1고정리브
b,g : 제2고정리브
c : 중간판
d : 패널끼움홈
e : 레일끼움홈
h : 제3고정리브

Claims (17)

  1. 흡입구와 배기구 및 토출부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하여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유닛;
    일측이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의 타측과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이 내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설치대상물에 상기 배기관을 고정시키는 윈도우 키트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키트는,
    상기 배기관의 타측과 결합되며, 설치대상물의 내측에 배치되는 패널부재; 및
    설치대상물의 가이드레일과 맞물리며 설치대상물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부재를 설치대상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부재는, 소정의 상하방향 길이와 소정의 좌우방향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패널부재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패널부재와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된 결합체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부재의 측부에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패널부재의 측부에 배치되는 제1실링부와, 상기 패널부재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실링부와 연결되는 제2실링부, 및 상기 패널부재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실링부와 연결되는 제3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2실링부 및 상기 제3실링부가 상기 고정부재의 측방향 외측과 상기 패널부재의 상부와 상기 설치대상물로 둘러싸인 틈 또는 상기 고정부재의 측방향 외측과 상기 패널부재의 하부와 상기 설치대상물로 둘러싸인 틈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패널부재와 설치대상물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부재와 결합되는 패널결합부; 및
    설치대상물의 가이드레일과 맞물려 결합되는 레일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결합부와 상기 레일결합부가 서로 연결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패널결합부와 상기 레일결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결합부와 상기 레일결합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중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결합부는,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고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결합부는,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상기 제1고정리브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고정리브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제1고정리브 사이에는, 상기 패널이 끼워지는 패널끼움홈이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제2고정리브 사이에는, 설치대상물의 가이드레일이 끼워지는 레일끼움홈이 형성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리브와 상기 중간판 및 상기 제2고정리브가 상기 패널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며 일체로 형성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5. 제3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1고정리브는, 상기 중간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패널부재의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제2고정리브는, 상기 중간판을 사이에 두고 설치대상물의 가이드레일의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1고정리브 간의 간격이 상기 패널부재의 두께보다 좁은 제1협폭부, 및 한 쌍의 상기 제2고정리브 간의 간격이 설치대상물의 가이드레일보다 좁은 제2협폭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고정리브 및 상기 제2고정리브는, 상기 패널부재의 두께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상기 중간판과 각각 연결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먼 단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고정리브 간의 간격이 멀어지는 제1확장부, 및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먼 단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고정리브 간의 간격이 멀어지는 제2확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장부 또는 상기 제2확장부로부터 상기 패널부재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측부에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에는, 끼움홈이 상기 패널부재의 측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상기 패널부재의 측부를 감싸며 상기 패널부재와 끼움 결합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2. 삭제
  13. 삭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결합부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서로 간의 사이에 제1개구가 형성되도록 서로 연결되는 제1고정리브와 제2고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결합부는, 상기 제2고정리브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2고정리브와의 사이에 제2개구가 형성되도록 서로 연결되는 제3고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구가 상기 제1고정리브의 일측과 상기 제2고정리브의 일측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제1고정리브의 타측과 상기 제2고정리브의 타측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개구가 상기 제2고정리브의 타측과 상기 제3고정리브의 타측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제2고정리브의 일측과 상기 제3고정리브의 일측이 서로 연결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리브와 상기 제2고정리브 및 상기 제3고정리브가 상기 패널부재의 두께방향으로 배열되며 일체로 형성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6. 삭제
  17. 삭제
KR1020190061513A 2019-05-24 2019-05-24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273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513A KR102273125B1 (ko) 2019-05-24 2019-05-24 이동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513A KR102273125B1 (ko) 2019-05-24 2019-05-24 이동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085A KR20200135085A (ko) 2020-12-02
KR102273125B1 true KR102273125B1 (ko) 2021-07-05

Family

ID=73792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513A KR102273125B1 (ko) 2019-05-24 2019-05-24 이동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1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9622A (ja) * 2003-11-04 2005-06-02 Takahashi Seisakusho:Kk 鉄筋同志の結束金具
KR101962940B1 (ko) * 2018-10-08 2019-03-27 강정수 환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3730U (ko) * 1996-06-10 1998-03-30 마운팅 클립 구조물
KR102302440B1 (ko) * 2014-08-01 2021-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KR102024970B1 (ko) * 2015-11-18 2019-11-14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설치용 유리 난간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9622A (ja) * 2003-11-04 2005-06-02 Takahashi Seisakusho:Kk 鉄筋同志の結束金具
KR101962940B1 (ko) * 2018-10-08 2019-03-27 강정수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085A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1739B2 (en) Dehumidifier housing
CN106196332B (zh) 空调机的室外机
KR102133258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US20110059686A1 (en) Ventilator
KR10228355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130043430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335748B1 (ko) 공기조화기
KR102302440B1 (ko)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KR102273125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20070066393A (ko) 천장덕트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하우징
KR20080075259A (ko) 이동식 공기조화기
KR20060083016A (ko) 공기조화기
KR20080015944A (ko) 증발기 유닛용 그릴 및 필터
KR20160086141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150120218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132170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30043431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조립방법
KR102454035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0575305B1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CN109405066B (zh) 空调机室内机
KR20020036914A (ko) 공기조화기
KR20070069537A (ko) 공기 조화기
KR20090022102A (ko) 공기조화기
KR100898118B1 (ko) 도어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97320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