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702B1 - 덕트형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덕트형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702B1
KR100743702B1 KR1020010035842A KR20010035842A KR100743702B1 KR 100743702 B1 KR100743702 B1 KR 100743702B1 KR 1020010035842 A KR1020010035842 A KR 1020010035842A KR 20010035842 A KR20010035842 A KR 20010035842A KR 100743702 B1 KR100743702 B1 KR 100743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type air
air conditioner
duct typ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0174A (ko
Inventor
정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35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702B1/ko
Publication of KR20030000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형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품의 내외관이 분리되어 외관이 설치된 후 내관이 설치되는 덕트형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 조화기는 일면이 개방되고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캐비닛 내측에 삽입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장품과, 상기 캐비닛 전면에 부착되고 흡입구가 형성된 전면패널로 구성되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제품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덕트, 공기 조화기, 캐비닛, 슬라이딩

Description

덕트형 공기 조화기 { an duct type air-condition }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덕트형 공기 조화기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 조화기가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 조화기의 내장품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 조화기의 슬라이딩 수단이 도시된 설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 받침부 54 : 가이드 홀
56 : 전면 패널 70 : 캐비닛
72 : 토출구 74 : 레일
본 발명은 덕트형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품의 내외관이 분리되어 외관이 설치된 후 내관이 설치되는 덕트형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방에 사용되는 공기 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한 장치로써,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스를 응축기에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를 통해 증발기에서 다시 기화시켜 흡수되는 냉매를 기화열을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냉방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특히 덕트형 공기 조화기는 비교적 큰 공간을 냉방하기 위해서 실내측 벽체에 설치되어 천정에 형성된 덕트를 통해 냉방할 장소로 냉기를 골고루 공급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덕트형 공기 조화기이다.
종래의 덕트형 공기 조화기는 내관과 외관이 일체로 형성된 덕트형 공기 조화기를 덕트에 바로 연결시키는 구조로써 내측에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품이 포함된 캐비닛(2)이 벽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설치보조대(6)와 덕트 입구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캐비닛(2)은 상측에 덕트 입구와 토출구를 연결해 주는 토출 연결부(2a)가 형성되고, 전면 하측엔 실내측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b)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은 개방되어 벽체에 형성된 홈(8)에 삽입되는 설치보조대(6)와 접하게 된다.
상기 설치 보조대(6)는 벽체에 형성된 홈(8)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고, 후면 중앙부에 가로로 형성된 지지대가 부착되어 상기 캐비닛 내측에 설치되는 실외기측 흡입구와 토출구를 나누어 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형성된 내부 구성요소들이 삽입되는 캐비닛(2)은 벽체에 형성된 홈(8)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설치보조대(6)에 후면이 삽입됨과 동시에 상측에 형성된 덕트 연결부(2a)가 덕트 입구와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실링 작업된다.
그러나, 종래의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제품의 내외관이 일체로 형성되어 벽이나 덕트 어느 한쪽과 먼저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다음 설치 작업에 있어서 정확한 실링이 어려울 뿐 아니라, 설치 및 보수시 제품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설치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품의 설치시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 벽과 덕트에 정확하게 실링함으로 제품의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제품 이동이 가능하게 하므로 제품의 설치 및 보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덕트형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 조화기는 일면이 개방되고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캐비닛 내측에 삽입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장품과, 상기 캐비닛 전면에 부착되고 흡입구가 형성된 전 면패널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 조화기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 조화기의 내장품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 조화기의 슬라이딩 수단이 도시된 설치 단면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 조화기는 도 2, 도 3,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되고 토출구(72)가 형성된 캐비닛(70)과, 상기 캐비닛(70)의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캐비닛(70) 내측에 삽입되는 받침부(52)와, 상기 받침부(52)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60) 및 상기 열교환기(60) 측으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팬(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장품(40)과, 상기 캐비닛(70) 전면에 부착되고 흡입구(56a)가 형성된 전면패널(56)로 구성된다.
상기 내장품(40)은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받침부(52) 위에 설치되는 냉동 사이클로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변화시키는 압축기(64)와, 상기 압축기(64)에서 나온 냉매를 액체 상태로 응축시키는 열교환기(68)와, 상기 열교환기(68)에서 응축된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를 저온 저압의 2상 냉매(액체와 기체의 혼합) 상태로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미도시)와, 상기 팽창 밸브(미도시)를 통과한 2상 냉매를 기체 상태로 증발시키면서 실내의 열을 흡수하는 열교환기(60)가 설치되어 있다.
또는, 내장품에는 실내기만 포함되고 실외기는 따로 실외측에 설치될 수 있 다.
상기와 같이 실내기와 실외기가 동시에 구비된 덕트형 공기 조화기에는 상기 열교환기(60,68)에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송풍팬(62,61)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62,61)은 하나의 모터(63)에 의해 구동된다.
특히, 실내기와 실외기가 동시에 구비된 덕트형 공기 조화기의 캐비닛 내에는 열교환기(60)를 통과하면서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과 실외측에서 열교환기(68)를 통과하기 위해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정확하게 구획하기 위해 받침부(52)로부터 송풍팬(62,61)들 사이를 지나는 칸막이(66)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장품(40)은 캐비닛의 개방된 일측으로 캐비닛(70)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데 그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보다 쉽게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70) 내측 및 내장품(40)의 받침부(52)에 슬라이딩 수단을 형성하여 보다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캐비닛(70) 내측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레일(74)과, 상기 레일(74)이 끼워져 안내되도록 받침부(52) 바닥에 형성된 가이드 홀(54)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홀(54)과 레일(74) 사이에는 윤활재가 첨가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캐비닛(70)은 먼저 벽체의 홀과 덕트 위치에 맞게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캐비닛 내측에서 설치 및 실링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설치 및 실링이 가능하고, 상기 캐비닛(70)이 설치된 뒤 그 내측에 내장품(40)을 삽입하는데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내측 바닥에 형성된 레일(74)이 내장품(40)이 설치되는 받침부(52) 바닥에 형성된 가이드 홀(54)에 끼워져 안내되도록 하여 두 부재 사이에 마찰력을 줄이므로 보다 쉽게 내장품을 캐비닛에 삽입할 수 있고, 상기 캐비닛(70) 전면에 전면패널(56)이 끼워짐으로 제품은 설치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덕트형 공기 조화기는 제품의 설치시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 벽과 덕트에 정확하게 실링함으로 제품의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제품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 제품의 설치 및 보수시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일면이 개방되고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개방된 일면으로 부터 캐비닛 내측에 삽입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장품과, 상기 캐비닛 전면에 부착되고 흡입구가 형성된 전면패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과 상기 받침부에는 슬라이딩 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 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캐비닛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이 끼워져 안내되도록 상기 받침부 바닥면에 형성된 가이드 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 조화기.
KR1020010035842A 2001-06-22 2001-06-22 덕트형 공기 조화기 KR100743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842A KR100743702B1 (ko) 2001-06-22 2001-06-22 덕트형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842A KR100743702B1 (ko) 2001-06-22 2001-06-22 덕트형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174A KR20030000174A (ko) 2003-01-06
KR100743702B1 true KR100743702B1 (ko) 2007-07-30

Family

ID=27710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842A KR100743702B1 (ko) 2001-06-22 2001-06-22 덕트형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589B1 (ko) * 2008-05-01 2015-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2479090B1 (ko) * 2017-12-14 2022-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638A (ko) * 1996-08-01 1998-05-15 김광호 창문형 공기조화기용 일체형케이싱
KR19990010057A (ko) * 1997-07-14 1999-02-05 변무원 화공액체용 저장탱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638A (ko) * 1996-08-01 1998-05-15 김광호 창문형 공기조화기용 일체형케이싱
KR19990010057A (ko) * 1997-07-14 1999-02-05 변무원 화공액체용 저장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174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9509B1 (en) Outdoor unit
KR10112331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743702B1 (ko) 덕트형 공기 조화기
KR20080004797U (ko) 이동식 에어컨용 덕트 연결장치
CN212901780U (zh) 空调室外机
KR100743701B1 (ko) 덕트형 공기 조화기
KR100652805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설치구조
KR200245713Y1 (ko) 패키지에어콘의실내기
KR100350439B1 (ko)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용 전장품 고정장치
CN215336689U (zh) 室内空调器
CN214223252U (zh) 一体式吊顶隐藏空调及其通风结构
CN220552009U (zh) 新风空调器
CN220250158U (zh) 新风空调器
CN220250286U (zh) 新风空调器
CN217383109U (zh) 一种上回下送风工业风冷柜机
CN220250165U (zh) 新风空调器
US11976829B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KR20100084858A (ko) 공기조화기
KR20010010617A (ko) 환기구조를 갖는 일체형 에어컨
CN215767698U (zh) 一种空调试验设备
KR100430284B1 (ko) 이동형 에어컨
AU2008100094A4 (en) Airconditioning arrangement
KR100441084B1 (ko) 수액기가 구비된 공기 조화기
KR2006000519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249513Y1 (ko) 실외기 없는 냉난방기의 열교환용 공기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