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858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858A
KR20100084858A KR1020090004218A KR20090004218A KR20100084858A KR 20100084858 A KR20100084858 A KR 20100084858A KR 1020090004218 A KR1020090004218 A KR 1020090004218A KR 20090004218 A KR20090004218 A KR 20090004218A KR 20100084858 A KR20100084858 A KR 20100084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umulator
heat exchanger
barrier
refrigeran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4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4858A/ko
Publication of KR20100084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6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케이스 내부를 열교환실과 기계실로 구획하는 베리어와; 상기 열교환실에 배치된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에 연결된 어큐물레이터와;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냉매를 과냉각시키는 과냉각 열교환기와; 상기 어큐물레이터에 배치되는 어큐물레이터 브래킷과; 상기 베리어와 어큐물레이터 브래킷과 과냉각 열교환기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과냉각 열교환기가 베리어측에 지지되므로,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체결부재가 어큐물레이터와 과냉각 열교환기를 함께 체결시키므로 체결부재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어큐물레이터, 과냉각 열교환기와, 어큐물레이터 브래킷, 체결부재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외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과냉각시키는 과냉각 열교화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증발기 등이 냉매배관으로 연결되고, 냉매가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증발기를 순환하면서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킨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실외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과냉시킬 경우 냉각 효율이 향상되게 되고, 공개특허공보 10-2007-0009081에는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과냉시키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과냉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과냉각장치는 실외 열교환기에서 토출된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로 안내하는 메인 배관과, 메인 배관에 설치되는 과냉각기와, 실내 열교환기측 메인 배관과 과냉각기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배관과,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어 메인 배관에서 바이패스된 액 냉매를 팽창시키는 전자팽창밸브와, 과냉각기와 어큐물레이터 입구측을 연결 시키는 회수 배관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냉각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시 압축기가 구동되면,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후 메인 배관을 통과하고, 메인 배관을 통과한 냉매 중 일부가 메인 배관에 연결된 바이패스 배관으로 유입되어 전자팽창밸브에서 팽창된다. 전자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는 과냉각기로 유입되고, 메인 배관을 통과하는 냉매를 냉각시킨 후, 어큐물레이터의 흡입측과 연결된 바이패스 배관을 통해 어큐물레이터로 공급된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10-2008-0058782호에는 판형과냉각기가 구비된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판형과냉각기는 내부에 복수개의 격판이 배치되고, 격판의 전면에 실외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유동되고, 격판의 후면에 과냉각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가 유동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베리어와 어큐물레이터와 과냉각 열교환기를 일체로 체결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케이스 내부를 열교환실과 기계실로 구획하는 베리어와; 상기 열교환실에 배치된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에 연결된 어큐물레이터와;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냉매를 과냉각시키는 과냉각 열교환기와; 상기 어큐물레이터에 배치되는 어큐물레이터 브래킷과; 상기 베리어와 어큐물레이터 브래킷과 과냉각 열교환기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베리어와 어큐물레이터 브래킷은 상기 체결부재가 베리어와 어큐물레이터 브래킷를 차례로 관통한 후 상기 과냉각 열교환기에 체결되도록 상기 체격부재가 관통되는 체결공이 각각 대향되게 형성된다.
상기 과냉각 열교환기는 상기 어큐물레이터 브래킷을 향하는 면에 상기 베리어의 체결공과 상기 어큐물레이터 브래킷의 체결공을 차례로 관통한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과냉각 열교환기는 상기 체결부가 형성된 반대면에 냉매 배관이 연결되는 배관 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과 체결부는 복수 셋트가 이격 형성된다.
상기 어큐물레이터는 상기 베리어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어큐물레이터 브래킷은 상기 어큐물레이터의 외주 일부를 감싸는 어큐물레이터 고정부와, 상기 어큐물레이터 고정부에서 상기 베리어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돌출부와, 상기 베리어와 상기 과냉각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베리어와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베리어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리어와 어큐물레이터 브래킷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어큐물레이터 브래킷을 상기 베리어와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어큐물레이터와 과냉각 열교환기는 상기 압축기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어큐물레이터와 과냉각 열교환기가 베리어에 일체로 체결되어 베리어측에 지지되므로 과냉각 열교환기 뿐만 아니라 어큐물레이터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체결부재가 어큐물레이터와 과냉각 열교환기를 함께 체결시키므로 어큐물레이터와 과냉각 열교환기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재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어큐물레이터가 베리어와 이격된 상태에서 과냉각 열교환기가 베리어측에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어, 과냉각 열교환기의 설치를 위해 어큐물레이터를 베리어에 밀착되게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어큐물레이터의 설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압축기의 서비스시 과냉각 열교환기가 압축기의 서비스를 방해하지 않으므로, 압축기의 서비스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어큐물레이터 브래킷이 베리어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어큐물레이터 및 과냉각 열교환기와 베리어 사이의 열전달이 최소화되므로 열전달에 따른 성능 저하를 최소화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실내기(1∼4)와, 복수개의 실내기(1∼4)와 연결된 실외기(10)를 포함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로서, 냉방과 난방이 선택적으로 실시되는 히트 펌프형 멀티형 공기조화기로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실내기(1∼4) 각각은 냉매가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실내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실내 열교환기(11)와, 실내기(1∼4) 내부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 열교환기(11)와 열교환되게 한 후 실내기(1∼4) 외부로 토출시키는 실내 송풍기(12)와, 실내 열교환기(11)를 향해 유동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내 팽창기구(13)를 포함한다.
실내 팽창기구(13)는 실외기(10)의 후술하는 실외 열교환기(40)와 실내 열교환기(11) 사이에 설치되어 냉매를 팽창시키는 것으로서, 냉매의 팽창을 조절할 수 있는 LEV나 EEV 등의 전자팽창밸브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외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외기(10)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1∼4)와 액 냉매가 통과하는 액관(15)과 가스 냉매가 통과하는 가스관(16)으로 연결된다.
실외기(10)는 압축기(24)와, 실외 열교환기(40)와, 실외 송풍기(44)와, 실외 팽창기구(50)와, 냉/난방 절환 밸브(60)와, 과 냉각장치(70)를 포함한다.
압축기(24)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것으로서, 실외기(1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설치된다.
압축기(24)는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단수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압축기(24)는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 어느 하나가 인버터 압축기 등의 용량 가변형 압축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나머지들이 정속 압축기로 이루어지고, 압축기(24)로 흡입되는 냉매가 통과하는 흡입 배관이 병렬로 연결되며, 압축기(24)에서 토출된 냉매가 통과하는 토출 배관이 병렬로 연결된다.
압축기(24)는 단수개 설치되는 경우 인버터 압축기 등의 용량 가변형 압축기로 이루어진다.
압축기(24)는 흡입 배관이 어큐물레이터(27)와 연결되고, 그 토출 배관의 각각에 오일분리기(29)가 설치된다.
어큐물레이터(27)는 액냉매가 축적되고 기상 냉매가 압축기(24)로 흡입되는 일종의 기액분리기로서, 압축기(24)의 흡입 배관(27a)과 연결되고, 냉/난방 절환 밸브(60)와 냉/난방 절환 밸브 연결배관(27b)으로 연결된다.
실외 열교환기(40)는 냉매가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어 냉방 운전시 응축기로 작용하고, 난방 운전과 제상시 증발기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 유로(42)가 형성된다.
실외 열교환기(40)의 주변에는 실외 공기를 실외 열교환기(40)로 유동시키는 실외 송풍기(44)가 설치된다.
실외 송풍기(44)는 실외 팬모터(46)와, 실외 팬모터(46)에 설치된 실외 팬(48)으로 이루어진다.
실외 팽창기구(50)는 실외 열교환기(40)를 통과한 냉매가 통과할 때는 냉매를 팽창되지 않고, 실외 열교환기(40)를 향해 냉매가 통과할 때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것으로서, 실외 열교환기(40)와 실내 열교환기(11) 사이 특히, 실외 열교환기(40)의 냉매 유로(42)와 실내 팽창기구(13) 사이에 설치된다.
실외 팽창기구(50)는 병렬로 연결된 LEV나 EEV 등의 실외 팽창밸브(52)와 체크 밸브(54)로 이루어지거나, LEV나 EEV 등의 실외 팽창밸브(52)로 이루어진다.
냉/난방 절환밸브(60)는 냉방 운전시 압축기(24)에서 압축된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40)로 유동되게 함과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실내 열교환기(11)를 통과한 냉매가 압축기(24)를 향해 유동되게 하고, 난방 운전시 압축기(24)에서 압축된 냉매가 도 1에 도시된 실내 열교환기(11)로 유동되게 함과 아울러 실외 열교환기(40)를 통과한 냉매가 압축기(24)를 향해 유동되게 하는 것으로서, 압축기(24)와, 실외 열교환기(40)와, 실내 열교환기(11)와, 어큐물레이터(27)와 연결된다.
과냉각장치(70)는 냉방 운전시 실외 열교환기(40)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매 가 실내 팽창기구(13)에서 팽창되기 이전에 과냉되게 하는 것으로서, 실외 열교환기(40)와 실내 팽창기구(13) 사이의 냉매 배관이 연결된다.
과냉각장치(70)는 실외 열교환기(40)에서 응축된 후 실외 팽창기구(50)를 통과한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 유로(71)와, 냉매 유로(71)를 통과하는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각 유로(72)를 갖는 과냉각 열교환기(73)와, 냉매 유로(71)를 통과한 냉매가 냉각 유로(72)로 유입되게 연결된 과냉각 바이패스 배관(74)과, 과냉각 바이패스 배관(74)에 설치된 과냉각 팽창밸브(75)와, 냉각 유로(72)를 통과한 냉매가 압축기(24)의 흡입측인 어큐물레이터(27)로 흡입되게 연결된 냉매 회수 배관(76)을 포함한다.
냉매 유로(71)는 실외 열교환기(40)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매가 과냉각 팽창밸브(75)에서 팽창된 냉매로 열을 빼앗기는 일종의 방열 유로로서, 실외 열교환기(40)와 실내 팽창기구(13) 사이의 냉매 배관 특히, 실외 팽창기구(50)와 실내 팽창기구(13) 사이의 냉매 배관과 연결된다.
냉매 유로(71)는 실외 팽창기구(50)와 실외 팽창기구 연결배관(15a)으로 연결되고, 도 1에 도시된 실내 팽창기구(13)와 실내 팽창기구 연결배관(15b)으로 연결된다.
냉각 유로(72)는 냉매 유로(71)를 통과한 후 과냉각 팽창밸브(75)에서 팽창된 냉매가 냉매 유로(71)를 통과하는 냉매의 열을 흡열하는 일종의 흡열 유로로서, 과냉각 바이패스 배관(74)과 냉매 회수 배관(76)이 연결된다.
과냉각 열교환기(70)는 냉매 유로(71)와 냉각 유로(72)가 열교환판(77)을 사 이에 두고 교대로 구획 형성되고, 냉매 유로(71)와 냉각 유로(72)가 복수개의 열교환판(77)에 의해 복수개 형성된 판형 열교환기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열교환판(77)의 개수가 많을수록 냉매 유로(71)와 냉각 유로(72)의 개수가 많아지면서 냉매를 과냉시킬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된다.
과냉각 바이패스 배관(74)은 일단이 실내 팽창기구 연결배관(15b)에 연결되고 타단이 냉각 유로(72)에 연결된다.
과냉각 바이패스 배관(74)은 실내 팽창기구 연결배관(15b)과 과냉각 팽창밸브(75)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입구배관(78)과, 과냉각 팽창밸브(75)와 냉각 유로(72)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출구배관(79)을 포함한다.
과냉각 팽창밸브(75)는 과냉각 바이패스 배관(74)을 통과하는 냉매가 저온 저압으로 팽창되게 하는 것으로서, 전자팽창밸브(EEV)로 이루어진다.
과냉각 팽창밸브(75)는 냉방 운전시 냉매가 통과하면서 팽창되도록 개도 조절되고, 난방 운전시 과냉각 바이패스 배관(74)으로 냉매가 통과하지 않도록 밀폐 조절된다.
냉매 회수 배관(76)은 일단이 냉각 유로(72)에 연결되고 타단이 냉/난방 절환밸브(60)와 어큐물레이터(27) 사이의 냉매 배관인 냉/난방 절환 밸브 연결배관(27b)에 연결된다.
실외기(10)는 그 외관이 형성하는 실외기 케이스(100)에 실외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그릴과, 실외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실외 열교환기(40)와 열교환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 그릴이 마련되고, 실외기 케이스(100) 내부에 압축기(24) 와, 어큐물레이터(27)와, 오일분리기(29)와, 실외 열교환기(40)와, 실외 송풍기(44)와, 실외 팽창기구(50)와, 냉/난방 절환밸브(60)와, 과냉각장치(70) 등이 설치된다.
실외기(10)는 실외기 케이스(100)의 내부를 열교환실(혹은 송풍실, 이하 열교환실로 칭하여 설명한다.)과 기계실로 구획하는 베리어(미도시)가 배치되고, 실외 열교환기(40)와, 실외 송풍기(44)가 열교환실에 배치되며, 압축기(24)와, 어큐물레이터(27)와, 오일분리기(29)와, 실외 팽창기구(50)와, 냉/난방 절환밸브(60)와, 과냉각장치(70) 등이 기계실에 배치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외기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외기의 기계실이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외기의 내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과냉각 열교환기가 장착되기 이전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과냉각 열교환기가 장착된 이후의 사시도이다.
실외기(10)는 실외기 케이스(100)가 렉(102)을 갖는 베이스(104)와, 베이스(104)의 상측에 세워지게 설치된 복수개의 프레임(미도시)과, 베이스(104) 상측에 위치되게 프레임에 설치된 외관 패널(106)과, 베이스(104) 상측에 위치되게 프레임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가 실외기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되게 하는 흡입 그릴(108)과, 베이스(104) 상측에 위치되게 프레임에 설치되어 실외기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실외 열교환기(40)와 열교환된 공기가 실외기 케이스(100) 외부로 토 출되게 하는 토출 그릴(110)을 포함한다.
베이스(104)에는 압축기(24)가 올려지고, 압축기(24)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부재로 베이스(104)에 고정된다.
외관 패널(106)은 단수개의 부재 또는 복수개의 부재가 기계실(M)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흡입 그릴(108)은 실외 열교환기(40)와 대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관 패널(106) 중 후판부의 옆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토출 그릴(110)은 외관 패널(106) 중 전판부의 옆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실외기 케이스(110)는 외관 패널(106)과 흡입 그릴(108)과 토출 그릴(110) 사이 상측을 덮게 배치되는 탑 커버(112)를 더 포함한다.
실외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실외기 케이스(110) 내부를 기계실(M)과 열교환실(B)로 구획하는 베리어(120)가 배치된다.
베리어(120)는 베이스(104)와 탑 커버(112)의 사이에 위치되게 배치되고, 외관 패널(106) 및 탑 커버(112)과의 사이에 기계실(M)을 형성하며, 흡입 그릴(108) 및 토출 그릴(110)과의 사이에 열교환실(B)을 형성한다.
열교환실(B)에는 실외 열교환기(40) 및 실외 송풍기(44)가 배치된다.
기계실(M)에는 압축기(24)와 어큐물레이터(27)와 과냉각 열교환기(73) 등이 배치되고, 어큐물레이터(27)에는 어큐물레이터 브래킷(13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베리어(120)와 어큐물레이터 브래킷(130)과 과냉각 열교환기(73)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140)를 포함하고, 어큐물레 이터(27)와 과냉각 열교환기(73)는 베리어(120)에 매달리듯이 설치되어 베리어(120)에 지지된다.
베리어(120)에는 체결부재(140)가 관통되는 체결공(122)이 형성된다.
어큐물레이터 브래킷(130)은 체결부재(140)가 베리어(120)와 어큐물레이터 브래킷(130)을 차례로 관통한 후 과냉각 열교환기(73)에 체결되도록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공(132)이 베리어(120)의 체결공(122)과 대향되게 형성된다.
한편, 과냉각 열교환기(7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큐물레이터 브래킷(130)을 향하는 면에 베리어(120)의 체결공(122)과 어큐물레이터 브래킷(130)의 체결공(132)을 차례로 관통한 체결부재(140)가 체결되는 체결부(80)가 형성된다.
체결부(80)는 과냉각 열교환기(73) 중 어큐물레이터 브래킷(130)을 향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고 체결부재(140)가 일부 삽입되는 체결보스로 이루어지거나, 과냉각 열교환기(73) 중 어큐물레이터 브래킷(130)을 향하는 면에 형성된 체결공으로 이루어진다.
체결부(80)는 베리어(120)의 체결공(122) 및 어큐물레이터 브래킷(130)의 체결공(132)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체결부재(140)가 수나사로 이루어질 경우 암나사가 형성된다.
과냉각 열교환기(73)는 체결부(80)가 형성된 반대면에 냉매 배관 즉, 실외 팽창기구 연결배관(15a)과, 실내 팽창기구 연결배관(15b)과, 냉매 회수 배관(76)과, 바이패스 출구배관(79)이 연결되는 배관 연결부(82)가 각각 의 배관 별로 형성된다.
한편, 체결공(122)(132)과 체결부(80)와 체결부재(140)는 어큐물레이터(27) 및 과냉각 열교환기(73)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 셋트가 이격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를 컴팩트화하면서 기계실(M)에 설치된 각종 부품 예를 들면, 압축기(24) 등의 서비스 편의성을 위해 어큐물레이터(27)와 과냉각 열교환기(73)를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24) 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되게 설치하고, 열손실이나 진동 등을 고려해 어큐물레이터(27)를 베리어(120)와 이격되게 설치한다.
베리어(120)는 체결부재(140)가 관통되는 체결공(122)이 베이스(104)에 설치된 압축기(24)의 상단 옆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어큐물레이터 브래킷(130)은 어큐믈레이터(27)를 베리어(120)에 장착되게 하는 일종의 어큐물레이터 마운터로서, 어큐물레이터(27)의 외주 일부를 감싸는 어큐물레이터 고정부(134)와, 어큐물레이터 고정부(134)에서 베리어(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돌출부(136)와, 베리어(120)와 과냉각 열교환기(73) 사이에 위치되게 돌출부(136)에서 베리어(120)와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베리어 체결부(138)를 포함한다.
어큐물레이터 고정부(134)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어큐물레이터(27)에 외벽에 고정되거나 끼움식으로 어큐물레이터(27)에 외벽에 고정된다.
어큐물레이터 고정부(134)는 적어도 일부가 어큐물레이터(27) 외벽과 밀착되게 어큐믈레이터(27) 외벽과 같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돌출부(136)는 과냉각 열교환기(73)가 베리어(120)에 최대한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어큐물레이터 고정부(134)와 베리어 체결부(138)의 위치를 맞춰주는 부분으로서, 어큐물레이터 고정부(134) 및 베리어 체결부(138) 각각과 대략 직교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리어 체결부(138)는 베리어(120)와 과냉각 열교환기(73) 사이에 위치된 판체부로서, 체결공(132)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베리어(120)와 어큐물레이터 브래킷(130)의 사이에 위치되어 어큐물레이터 브래킷(130)을 베리어(120)와 이격시키는 이격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이격부재(150)는 체결부재(140)가 체결되는 체결공(152)이 형성되고, 체결부재(140)가 수나사로 이루어질 경우 체결공(152)에 암나사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어큐물레이터(27)와 과냉각 열교환기(73)의 설치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어큐믈레이터 브래킷(130)의 어큐물레이터 고정부(134)를 어큐물레이터(27)에 고정하고, 베리어 체결부(138)가 베리어(120)와 과냉각 열교환기(73) 사이에 위치되게 베리어(120)와 베리어 체결부(138)와 과냉각 열교환기(72) 순서로 배치시키면서 이격부재(150)를 베리어(120)와 베리어 체결부(138)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후, 체결부재(140)를 송풍시(B) 위치에서 베리어(120)의 체결공(122)을 관 통시키고, 이격부재(150)의 체결공(152)을 관통시키며, 베리어 체결부(138)을 체결공(132)을 관통 시킨 후 어큐물레이터(27)의 체결부(80)에 체결시킨다.
상기와 같은 체결부재(140)의 체결시, 어큐물레이터(27)는 어큐물레이터 브래킷(130)을 통해 베리어(120)에 체결되고, 과냉각 열교환기(73)도 어큐물레이터(27)와 함께 베리어(120)에 체결되며, 어큐물레이터(27)와 과냉각 열교환기(73)는 체결부재(140)를 통해 베리어(120)에 고정됨과 아울러 베리어(120)에 매달린 상태로 지지된다.
한편, 압축기(24) 등의 서비스시 사용자는 외관 패널(106)을 분리하면, 실외기(10)는 기계실(M)이 개방되고, 이때 어큐물레이터(27)와 과냉각 열교환기(73)는 압축기(24)의 상측에 베리어(120)측에 근접하게 위치하므로, 압축기(24) 등의 서비스를 방해하지 않고, 작업자는 압축기(24) 등을 편리하게 서비스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외기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외기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외기의 기계실이 도시된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외기의 내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평면도,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과냉각 열교환기가 장착되기 이전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과냉각 열교환기가 장착된 이후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4: 압축기 27: 어큐물레이터
70: 과냉각장치 73: 과냉각 열교환기
80: 체결부 100: 실외기 케이스
120: 베리어 122: 체결공
130: 어큐물레이터 브래킷 132: 체결공
134: 어큐물레이터 고정부 136: 절곡부
138: 베리어 체결부 140: 체결부재
150: 이격부재 152: 체결공

Claims (10)

  1. 실외기 케이스 내부를 열교환실과 기계실로 구획하는 베리어와;
    상기 열교환실에 배치된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에 연결된 어큐물레이터와;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냉매를 과냉각시키는 과냉각 열교환기와;
    상기 어큐물레이터에 배치되는 어큐물레이터 브래킷과;
    상기 베리어와 어큐물레이터 브래킷과 과냉각 열교환기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와 어큐물레이터 브래킷은 상기 체결부재가 베리어와 어큐물레이터 브래킷를 차례로 관통한 후 상기 과냉각 열교환기에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공이 각각 대향되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과냉각 열교환기는 상기 어큐물레이터 브래킷을 향하는 면에 상기 베리어의 체결공과 상기 어큐물레이터 브래킷의 체결공을 차례로 관통한 상기 체결부재 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냉각 열교환기는 상기 체결부가 형성된 반대면에 냉매 배관이 연결되는 배관 연결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과 체결부와 체결부재는 복수 셋트가 이격 형성된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큐물레이터는 상기 베리어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큐물레이터 브래킷은 상기 어큐물레이터의 외주 일부를 감싸는 어큐물레이터 고정부와,
    상기 어큐물레이터 고정부에서 상기 베리어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돌출부와,
    상기 베리어와 상기 과냉각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베리어와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베리어 체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와 어큐물레이터 브래킷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어큐물레이터 브래킷을 상기 베리어와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큐물레이터와 과냉각 열교환기는 상기 압축기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KR1020090004218A 2009-01-19 2009-01-19 공기조화기 KR20100084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218A KR20100084858A (ko) 2009-01-19 2009-01-19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218A KR20100084858A (ko) 2009-01-19 2009-01-19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858A true KR20100084858A (ko) 2010-07-28

Family

ID=4264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218A KR20100084858A (ko) 2009-01-19 2009-01-1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48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42905A (ja) * 2019-09-11 2021-03-18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熱源装置
WO2023090630A1 (ko) * 2021-11-22 2023-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열 교환기 조립체와 열 교환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실외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42905A (ja) * 2019-09-11 2021-03-18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熱源装置
WO2023090630A1 (ko) * 2021-11-22 2023-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열 교환기 조립체와 열 교환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실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8081A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770643B1 (ko) 실외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EP315092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10330357B2 (en) Air conditioner and cooling receiver of air conditioner
KR20100032200A (ko) 공기조화기
JP2011007463A (ja) 冷却装置
KR101526337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84858A (ko) 공기조화기
CN217082744U (zh) 空调室外机
KR20100032198A (ko) 공기조화기
KR10123257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CN213542668U (zh) 空调室外机
CN212901780U (zh) 空调室外机
KR20100084402A (ko) 공기조화기
KR20100081850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218269313U (zh) 空调器室内机
KR101416936B1 (ko) 공기조화기
KR101457592B1 (ko) 공기조화기
CN217131392U (zh) 空调器
CN213480419U (zh) 一种空调器
KR20070074794A (ko) 공기조화기의 어큐뮬레이터
CN212618709U (zh) 空调室内机
KR20110083346A (ko) 공기조화장치
KR100743701B1 (ko) 덕트형 공기 조화기
KR102439236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