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4045A - 스캐닝 장치 - Google Patents

스캐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045A
KR20050074045A KR1020040002256A KR20040002256A KR20050074045A KR 20050074045 A KR20050074045 A KR 20050074045A KR 1020040002256 A KR1020040002256 A KR 1020040002256A KR 20040002256 A KR20040002256 A KR 20040002256A KR 20050074045 A KR20050074045 A KR 20050074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white roller
frame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2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4045A/ko
Publication of KR20050074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04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개시된 스캐닝 장치는, 스캐닝 장치는,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독취수단과, 상기 독취수단의 일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그 사이로 원고를 이송시키는 화이트 롤러와, 상기 화이트롤러의 샤프트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싱과, 상기 부싱이 결합되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부싱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하는 부싱회전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스캐닝 장치{Image scan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캐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이트롤러의 부싱 구조가 개선된 스캐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캐닝 장치는, 문자 또는 화상정보가 기록된 원고로부터 그 정보를 읽어들이는 장치를 말하며, 팩시밀리와 복합기의 송신부, 스캐너, 복사기의 스캔장치 등에 적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스캐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보면, ADF롤러(1)는 그 외주에 접촉된 분리부재(2)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원고(D)를 한 장씩 분리하여 원고(D)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접촉화상센서(contact image sensor:CIS)(3)로 공급한다.
화이트 롤러(4)는 CIS(3)의 스캔 글래스(3a)에 접촉되어 회전된다. CIS(3)는 탄성부재(150)에 의해 화이트 롤러(4) 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따라서, 화이트 롤러(4)는 CIS(3)의 스캔 글래스(3a)에 압접된다. 이 상태에서 화이트 롤러(4)가 회전되면, 원고(D)는 화이트 롤러(4)와 스캔 글래스(3a) 사이로 스캔 글래스(3a)에 밀착된 채로 이송된다. CIS(3)는 원고(D)에 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량을 검출함으로써 원고(D)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인다. CIS(3)는 원고(D)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독취수단의 일 예이다. CIS(3) 대신에 CCD(charge coupled devide)가 채용될 수도 있다.
CIS(3)를 통과한 원고(D)는 배출롤러(5)와 이에 압접되어 회전되는 핀치롤러(6)에 의해 배출된다.
상기 화이트롤러(4)의 일측은 기어(7)가 장착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미도시된 스캐닝 장치의 프레임에 형성된 부싱(8)에 의해 회전되게 지지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이트롤러의 부싱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부싱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화이트롤러(4)는 금속 샤프트(4a)의 외주에 실리콘 고무와 같은 롤러(4b)가 끼워져 있다. 화이트롤러(4)의 일측, 즉 샤프트(4a)의 일측은 회전되면서 접지 플레이트(9)에 접촉된다. 용지 등으로터의 정전기는 화이트 롤러(4)의 샤프트(4a)를 통해서 접지 플레이트(9)에 전달되어서 외부로 흘러간다.
한편, 상기 부싱(8)에는 수직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장공이 형성된 것은 화이트 롤러(4)를 스캐닝 장치에 조립시, 기어(7)가 부착되지 않은 쪽을 먼저 상기 장공에 경사지게 삽입한 후, 기어(7)가 형성된 타측을 하방으로 내리면서 조립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장공이 형성된 부싱(8) 구조는 화이트 롤러(4)의 회전시 화이트 롤러(4)의 일측 샤프트(4a)의 유동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접지 플레이트(9)에 화이트 롤러(4)의 일측 샤프트(4a)가 회전접촉되므로 소음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화이트 롤러의 샤프트의 일측을 안정되게 지지하면서도 화이트 롤러를 접지시 이음이 발생되지 않는 스캐닝 장치의 화이트 롤러의 부싱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캐닝 장치는,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독취수단;
상기 독취수단의 일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그 사이로 원고를 이송시키는 화이트 롤러;
상기 화이트롤러의 샤프트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싱;
상기 부싱이 결합되는 본체 프레임; 및
상기 부싱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하는 부싱회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싱 회전수단은,
상기 부싱의 일측 외주에 형성된 단턱;
상기 단턱에서 수평방향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한쌍의 회전돌기; 및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부싱의 단턱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돌기가 수납되는 홈이 양측에 형성된 지지턱;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턱의 상기 수납홈으로부터의 상부면은 상기 부싱과 반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지지턱의 상부의 중앙부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간극에는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간극에서 상기 단턱의 상부를 상기 화이트롤러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스냅 피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싱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회전돌기의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에는 그 일단이 통과되어서 상기 화이트롤러로부터의 정전기를 그라운드 시키도록 상기 회전돌기와 접촉되게 설치되는 접지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싱에서 상기 화이트롤러의 일측 샤프트가 출입하는 홀은 정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화이트롤러의 부싱 결합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화이트롤러의 부싱 결합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며, 종래 발명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캐닝 장치의 프레임(100)에는 화이트롤러(4)의 일측이 결합된다. 화이트롤러(4)는 중심축인 금속 샤프트(4a)의 외주에 실리콘 고무와 같은 롤러(4b)가 끼워져 있다.
프레임(100)에는 화이트 롤러(4)의 샤프트(4a)의 일단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부싱(110)이 결합된다. 부싱(110)의 양측에는 서로 바깥쪽으로 돌출된 한 쌍의 회전돌기(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싱(110)에는 화이트롤러(4)의 샤프트(4a)의 일단이 수납되는 정원형의 홀(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싱(110)의 외주에서 화이트롤러(4) 측으로 소정 두께의 단턱(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돌기(111)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턱(113)에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에는 상기 부싱(110)이 삽입되는 수납홀(10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납홀(101)의 주변에는 상기 부싱(110)의 단턱(113)을 지지하는 지지턱(1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턱(102)의 양측에는 상기 회전돌기(111)가 수납되는 홈(10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돌기(111) 수납홈(103)에 상기 회전돌기(111)가 삽입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에서 상기 회전돌기(111) 수납홈(103)의 일측에는 관통홀(10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홀(107)에는 접지 플레이트(130)의 일단이 통과되게 설치되고 상기 일단은 상기 회전돌기(111)와 접촉되게 설치된다.
상기 부싱(110)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따라서 화이트 롤러(4)의 회전시 발생되는 정전기는 화이트 롤러(4)의 샤프트(4a), 상기 샤프트(4a)에 접촉되는 부싱(110), 상기 부싱(110)과 접촉되게 설치된 접지 플레이트(130)를 통해서 그라운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캐닝 장치의 부싱(110)의 결합 선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턱(102)은 상기 회전돌기(111)를 중심으로 상부면(102a)은 바깥쪽으로 소정 각도, 예컨대 15 도 기울어져 있으며, 하부면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싱(110)을 회전돌기(111)를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회전시키면 부싱(110)은 회전하면서 상기 부싱(110)의 단턱(113) 상부는 대응되는 지지턱(102) 상부면과 접촉되면서 화이트롤러(4)의 일측 샤프트(4a)를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턱(102)의 상부의 중앙부에는 소정 간격의 간극(10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간극(104)에는 스냅 피트(snap-fit)(10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냅 피트(105)의 일측은 프레임(100)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은 접촉되는 부싱(110)을 내측방향으로 밀도록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이트롤러(4)의 결합구조의 결합 작용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부싱(110)의 회전돌기(111)가 프레임(100)의 수납홈(103)에 안착되게 하면서 부싱(110)을 프레임(100)에 결합한다. 도 6은 부싱(110)이 프레임(100)에 결합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어서, 부싱(110)의 단턱(113)의 상부가 상기 지지턱(102)의 상부 경사면(102a)을 따라서 약 15도 후면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한다(도 7 참조). 이때 도 7에서 보듯이 스냅피트(105)는 그 일단이 뒤로 밀리면서 상기 부싱(110)의 상부에 대해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어서, 화이트롤러(4)의 샤프트(4a)의 일단을 상방으로 경사지게 위치한 부싱(110)에 끼워넣는다. 이어서, 미도시된 화이트롤러(4)의 타단을 하방으로 내리면서 스캐닝 장치에 조립한다. 그러면, 화이트롤러(4)는 수평하게 조립된다. 이때 스냅피트(105)는 접촉되는 부싱(110)이 뒤로 회전되지 않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부싱(110)에 제공한다.
한편, 접지 플레이트(130)의 일측을 관통홀(107)로 넣어서 상기 부싱(110), 예컨대 일측의 회전돌기(111)와 접촉되게 설치한다. 따라서, 회전하는 화이트롤러(4)로부터의 정전기는 부싱(110), 접지 플레이트(130)를 통해서 외부로 그라운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부싱 구조에 따르면, 화이트 롤러에 발생되는 정전기가 화이트롤러의 샤프트, 샤프트에 접촉되는 도전성 부싱, 상기 부싱의 회전돌기의 일측에 접촉되는 접지 플레이트에 의해서 그라운드된다.
또한, 상기 부싱에 화이트롤러를 결합시 부싱이 바깥쪽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므로, 상기 부싱에 화이트롤러의 일단을 결합한 다음, 화이트 롤러를 타단에 결합시 부싱이 회전하는 구조이며, 따라서 부싱의 홀이 화이트 롤러의 샤프트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화이트 롤러의 회전시 화이트롤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캐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이트롤러의 일측이 결합되는 부싱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싱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화이트롤러의 부싱 결합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화이트롤러의 부싱 결합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스캐닝 장치의 부싱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프레임 101: 부싱 수납홀
102: 지지턱 102a: 경사면(상부면)
103: 회전돌기 수납홈 104: 간극
105: 스냅 피트 107: 관통홀
110: 부싱 111: 회전돌기
112: 정원형 홀 113: 단턱
130: 접지 플레이트

Claims (5)

  1.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독취수단;
    상기 독취수단의 일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그 사이로 원고를 이송시키는 화이트 롤러;
    상기 화이트롤러의 샤프트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싱;
    상기 부싱이 결합되는 본체 프레임; 및
    상기 부싱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하는 부싱회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 회전수단은,
    상기 부싱의 일측 외주에 형성된 단턱;
    상기 단턱에서 수평방향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한쌍의 회전돌기; 및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부싱의 단턱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돌기가 수납되는 홈이 양측에 형성된 지지턱;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턱의 상기 수납홈으로부터의 상부면은 상기 부싱과 반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지지턱의 상부의 중앙부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간극에는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간극에서 상기 단턱의 상부를 상기 화이트롤러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스냅 피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회전돌기의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에는 그 일단이 통과되어서 상기 화이트롤러로부터의 정전기를 그라운드 시키도록 상기 회전돌기와 접촉되게 설치되는 접지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에서 상기 화이트롤러의 일측 샤프트가 출입하는 홀은 정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장치.
KR1020040002256A 2004-01-13 2004-01-13 스캐닝 장치 KR20050074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256A KR20050074045A (ko) 2004-01-13 2004-01-13 스캐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256A KR20050074045A (ko) 2004-01-13 2004-01-13 스캐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045A true KR20050074045A (ko) 2005-07-18

Family

ID=37262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256A KR20050074045A (ko) 2004-01-13 2004-01-13 스캐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40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38920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документа для факсими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варианты)
KR0184964B1 (ko) 팩시밀리의 콘택트 이미지센서 장착구조
KR20050074045A (ko) 스캐닝 장치
JP2005341306A (ja) 画像読取装置
EP213122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60215235A1 (en) Scanner with an adjustable upper casing
JP3537623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144671Y1 (ko) 모사전송기의 독취원고 좌,우 치우침 방지장치
JP2003039732A (ja) 露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0270152A (ja) 読取装置
US6961156B2 (en) Guiding mechanism for an image capturing device
JP4285496B2 (ja) 軸受け支持構造および自動原稿搬送装置
JPH09270890A (ja) ブック型画像読取装置
KR100538947B1 (ko) 롤러 고정용 스냅피트 및 이를 구비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롤러조립체
KR100334097B1 (ko) 플랫 베드형 스캐너의 외광 차단장치
KR100602648B1 (ko) 스캔장치
JPH09270896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195165Y1 (ko) 핸드스캐너의 가이드장치
JPS6340445A (ja) 手動式スキヤナ
JP3569648B2 (ja) 光コネクタ
KR100322568B1 (ko) 인쇄기용 감광 벨트 접지장치
KR200195164Y1 (ko) 핸드스캐너의 정속유지장치
KR100203044B1 (ko) 팩시밀리의 밀착 이미지 센서 조립체 구조
JP2005165177A (ja) 自動原稿送り装置
KR100231006B1 (ko) 팩시밀리의 화이트 롤러 크리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