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568B1 - 인쇄기용 감광 벨트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인쇄기용 감광 벨트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568B1
KR100322568B1 KR1019980011889A KR19980011889A KR100322568B1 KR 100322568 B1 KR100322568 B1 KR 100322568B1 KR 1019980011889 A KR1019980011889 A KR 1019980011889A KR 19980011889 A KR19980011889 A KR 19980011889A KR 100322568 B1 KR100322568 B1 KR 100322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belt
belt
grounding
photosensiti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9345A (ko
Inventor
이종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1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568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transf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transf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Abstract

프레임에 삽입가능하게 설치되는 벨트 유니트에 장착된 감광벨트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접지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접지부와 벨트 유니트의 삽입시 그 벨트 유니트에 접촉되는 가압부를 가지는 회동레버와; 감광벨트와 대면되도록 접지부에 설치되며, 벨트 유니트의 삽입시 감광벨트에 접촉되어 감광벨트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도전성 접지부재와; 벨트 유니트의 해제시 회동레버를 회동시켜 접지부재와 감광벨트의 접촉을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접지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인쇄기용 감광벨트 접지장치
본 발명은 인쇄기용 감광벨트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감광벨트의 교체시 그 감광벨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습식 프린터용 감광벨트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와 같은 인쇄기는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고 소정의 색상을 가지는 토너로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한 뒤 인쇄용지에 전사시켜 원하는 화상을 얻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쇄기를 나태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복수의 지지롤러(11)에 지지되어 무한궤도를 주행하는 감광벨트(10)와, 복수의 현상기(12)와, 접지장치(20)를 포함한다.
상기 감광벨트(10)는 대전기(17)에 의해 소정 전위의 대전상태로 유지되며, 각각의 현상기(12)에 인접 설치된 레이저 주사유니트(13)에서 주사된 빔에 의해 전위가 변화됨으로써,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현상기(12)는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을 감광벨트(10)의 정전잠상 영역에 선택적으로 부착한 후, 토너는 필름화하고 필름화된 토너 이외의 대부분의 캐리어는 제거되도록 한다. 상기 필름화된 토너는 전사롤러(14)에 전사되며, 표면에너지 차이에 의해 전사롤러(14)로부터 그 전사롤러(14)와 정착롤러(15) 사이로 통과되는 인쇄용지(P)에 인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접지장치(20)는 감광벨트(10)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도전성 브러쉬(22)를 갖춘다. 상기 도전성 브러쉬(22)는 순환되는 감광벨트(10)의 가장자리, 즉 감광층(10a)이 형성되지 않은 카본 등에 의한 도전층(10b)에 상시 접촉됨으로써 감광벨트(10)를 접지시킨다. 이러한 접지장치(20)는 지지롤러(11)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도 있으나 그 위치는 설계 조건등에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도전성 브러쉬(22)는 금속성 코어의 외주면에 코팅처리된 도전성 와이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2에서 참조부호 10c는 감광벨트(10)의 베이스층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감광벨트(10)는 소모성 부품이기 때문에 일정기간이 지나면, 교체를 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감광벨트(10) 교체시 그 감광벨트(10)가 장착된 벨트 유니트(30)를 프레임(1)으로부터 분해해서 감광벨트(10)를 교환한 후 다시 조립을 하게 된다. 도 2에서 참조부호 A는 벨트 유니트(30)를 프레임(1)으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B는 벨트 유니트(30)를 프레임(1)에 조립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그런데, 상기 접지장치(20)가 프레임(1) 내에 고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벨트 유니트(30)의 조립시 상기 도전성 브러쉬(22)와 감광벨트(10)의 일단부가 접촉되면서, 그 일단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창안된 것으로, 감광벨트 교체시 그 감광벨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인쇄기용 감광벨트 접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감광벨트 접지장치가 채용된 인쇄기의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광벨트 접지장치가 채용된 인쇄기의 개략적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감광벨트 접지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용 감광벨트 접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프레임 10..감광벨트
30..벨트 유니트 110..고정브라켓
120..비틀림 스프링 130..회동레버
132..접지부 134..가압부
142..지지부재 144..도전성 브러쉬
150..회동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용 감광벨트 접지장치는 프레임에 삽입가능하게 설치되는 벨트 유니트에 장착된 감광벨트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접지부와 상기 벨트 유니트의 삽입시 그 벨트 유니트에 접촉되는 가압부를 가지는 회동레버와; 상기 감광벨트와 대면되도록 상기 접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 유니트의 삽입시 상기 감광벨트에 접촉되어 감광벨트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도전성 접지부재와; 상기 벨트 유니트의 해제시 상기 회동레버를 회동시켜 상기 접지부재와 상기 감광벨트의 접촉을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감광벨트 접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감광벨트 접지장치가 채용된 인쇄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지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감광벨트 접지장치는 프레임(1)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10)과, 상기 고정브라켓(110)에 힌지결합되는 회동레버(130)와, 감광벨트(10)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접지부재(144) 및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10)은 상기 회동레버(13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류(160)에 의해 프레임(1)에 고정된다. 이 고정브라켓(110)에는 상기 스크류(160)가 통과되는 스크류공(114)과, 상기 회동레버(130)를 지지하기 위한 회동축(150)이 통과되는 축공(116)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축(150)에 의해 회동레버(130)가 고정브라켓(110)에 소정범위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브라켓(110)에는 회동레버(130)가 접촉되어 그 회동범위가 제한되도록 일단에서 연장된 돌출부(112)가 마련된다. 이러한, 고정브라켓(110)은 프레임(1)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고정브라켓(110) 없이 회동레버(130)가 프레임(1)에 직접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회동레버(130)는 가압부(134)와 접지부(132)를 가지며, 상기 가압부(134)와 상기 접지부(132)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134)는 벨트 유니트(30)가 프레임(10)에 삽입시, 그 벨트 유니트(30)와 접촉되도록, 접지부(13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굴곡되어 형성된다. 접지부(132)에는 상기 회동축(150)이 통과되는 축공(132a)이 형성되며, 상기 접지부재인 도전성 브러쉬(144)를 가지는 지지부재(142)가 설치된다. 상기 도전성 브러쉬(144)는 접지부(142)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지만, 제조 및 설치상의 편의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142)에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재(142)는 도전성 브러쉬(144)가 감광벨트(10)에 대면되도록 접지부(132)의 하측에 스크류(160)에 의해 체결된다. 이 도전성 브러쉬(144)는 감광벨트(10)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금속성 코어의 외주면에 코팅처리된 도전성 외이어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감광벨트(10)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110)과 회동레버(130) 사이에는 상기 분리수단인 비틀림 스프링(120)이 마련된다. 이 비틀림 스프링(120)은 그 양단부가 고정브라켓(110)과 회동레버(130)에 각각 지지되도록, 상기 회동축(150)에 설치된다. 이 비틀림 스프링(120)은 벨트 유니트(30)가 프레임(1)으로부터 해제시, 회동레버(130)를 도전성 브러쉬(144)와 감광벨트(10)의 접촉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리수단으로서 비틀림 스프링(120)을 도시하였으나, 그 비틀림 스프링(120)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예를 들어, 판스링이나 인장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을 고정브라켓(110)과 회동레버(130) 사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참조부호 30은 프레임(1) 내에 삽입가능하게 설치되며, 감광벨트(10)가 장착되는 벨트 유니트를 나타내며, 도 4에서 참조부호 152는 상기 회동축(150)이 고정브라켓(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회동축(150)에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감광벨트 접지장치에 있어서, 감광벨트(10)를 새것으로 교환해야 할 경우, 프레임(30)에 삽입된 벨트 유니트(30)를 분리하여야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유니트(30)를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레버(130)는 비틀림 스프링(120)의 가압력에 의해 회동된다. 따라서, 감광벨트(10)와 접촉되고 있던 도전성 브러쉬(144)가 회동레버(130)와 함께 이동되면서 그 접촉이 분리된다. 그리고, 벨트 유니트(30)가 다시 삽입되기 전까지 회동레버(130)는 접지부(132)가 상기 돌출부(112)와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프레임(1)으로부터 꺼내어 벨트 유니트(30)에 감광벨트(10)를 새것으로 장착한후, 다시 메인프레임(1)에 삽입시키게 된다. 벨트 유니트(30)의 삽입시 그 벨트 유니트(30)에 장착된 감광벨트(10)는 도전성 브러쉬(144)와 기타 다른 부재에 접촉되지 않고, 안전하게 프레임(1) 내로 옮겨진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레버(30)는 가압부(134)가 화살표(B) 방향으로 삽입되는 벨트 유니트(30)에 의해 눌려서 회동되며, 접지부(132)에 마련된 도전성 브러쉬(144)는 감광벨트(10) 쪽으로 가까이 이동된다. 그리고, 벨트 유니트(30)가 완전히 삽입되면, 도전성 브러쉬(144)는 감광벨트(10)에 접촉된다. 이와같이 접촉된 상태에서, 도전성 브러쉬(144)는 도시되지 않은 소정의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인가받아 감광벨트(10)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용 감광벨트 접지장치는 프레임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레버에 도전성 브러쉬를 설치함으로써, 벨트 유니트에 장착된 감광벨트에 접촉 또는 비접촉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벨트 유니트를 프레임 내로 삽입시, 그 벨트 유니트에 장착된 감광벨트의 일단부가 상기 도전성 브러쉬에 접촉하지 않게 하여, 그 감광벨트가 도전성 브러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프레임에 삽입가능하게 설치되는 벨트 유니트에 장착된 감광벨트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접지부와 상기 벨트 유니트의 삽입시 그 벨트 유니트에 접촉되는 가압부를 가지는 회동레버와;
    상기 감광벨트와 대면되도록 상기 접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 유니트의 삽입시 상기 감광벨트에 접촉되어 감광벨트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도전성 접지부재와;
    상기 벨트 유니트의 해제시 상기 회동레버를 회동시켜 상기 접지부재와 상기 감광벨트의 접촉을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접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재는 상기 회동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벨트와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도전성 브러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접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회동레버의 회동축 상에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접지장치.
KR1019980011889A 1998-04-03 1998-04-03 인쇄기용 감광 벨트 접지장치 KR100322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889A KR100322568B1 (ko) 1998-04-03 1998-04-03 인쇄기용 감광 벨트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889A KR100322568B1 (ko) 1998-04-03 1998-04-03 인쇄기용 감광 벨트 접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345A KR19990079345A (ko) 1999-11-05
KR100322568B1 true KR100322568B1 (ko) 2002-04-17

Family

ID=37460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889A KR100322568B1 (ko) 1998-04-03 1998-04-03 인쇄기용 감광 벨트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25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944B1 (ko) * 2004-11-04 200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위치 가변형 접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8283A (ja) * 1983-06-10 1984-12-21 Fuji Xerox Co Ltd 電子複写機の感光体接地装置
JPH03194578A (ja) * 1989-12-25 1991-08-26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3236079A (ja) * 1990-02-14 1991-10-22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8283A (ja) * 1983-06-10 1984-12-21 Fuji Xerox Co Ltd 電子複写機の感光体接地装置
JPH03194578A (ja) * 1989-12-25 1991-08-26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3236079A (ja) * 1990-02-14 1991-10-22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345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5363B1 (ko) 프린터 장치 및 프린터 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
KR100322568B1 (ko) 인쇄기용 감광 벨트 접지장치
JP3595671B2 (ja) 帯電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178300B1 (en) Photoreceptor web grounding structure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00242117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100343179B1 (ko) 인쇄기용감광벨트접지장치
JPH07219308A (ja) 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40046652A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0180194Y1 (ko) 레이저프린터의감광벨트접지장치
KR100234327B1 (ko)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 벨트 접지장치
KR100343180B1 (ko) 인쇄기용감광벨트접지장치
JP3192575B2 (ja) 帯電装置
KR200213869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전압 공급장치
KR100476778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대전롤러 접지장치
KR100214314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200157543Y1 (ko) 대전롤러의 대전전압 인가장치
JP3012089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268060B1 (ko) 현상기에서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간의 닙 유지장치
KR200158206Y1 (ko) 독터 블레이드 요동장치
KR200144683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KR200345582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닙 유지장치
KR20000020666U (ko) 정착기의 가열 롤러 클리닝장치
JP2001066848A (ja) 画像形成装置
JPH04320281A (ja) 帯電装置
KR19990024856U (ko) 전자사진 프로세스의 대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