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194Y1 - 레이저프린터의감광벨트접지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프린터의감광벨트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194Y1
KR200180194Y1 KR2019970022915U KR19970022915U KR200180194Y1 KR 200180194 Y1 KR200180194 Y1 KR 200180194Y1 KR 2019970022915 U KR2019970022915 U KR 2019970022915U KR 19970022915 U KR19970022915 U KR 19970022915U KR 200180194 Y1 KR200180194 Y1 KR 200180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belt
roller
laser printer
conductive
groun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9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626U (ko
Inventor
한철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29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19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96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6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1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Abstract

습식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에 관하여 기술된다. 기술된 프린터의 접지장치는,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벨트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감광벨트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감광벨트의 일측부에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도전성 롤러와, 상기 도전성 접지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도전성 접지롤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전성 롤러의 구름운동에 의해감광벨트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접촉압력의 일정성 및 낮은 저항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광벨트를 접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벨트 접지장치{Electrical grounding device of liquid laser printer}
본 고안은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 벨트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지효과가 개선되어 감광벨트를 효과적으로 접지시킬 수 있는 습식형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벨트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프린터는 감광드럼 또는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을 형성시키고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로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한 뒤 기록지에 전사시켜 원하는 화상을 얻는 장치이다.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사용하는 토너에 따라 습식과 건식으로 크게 대별되는데, 습식의 경우에는 휘발 성분의 액체케리어에 토너가 섞여 있는 현상액이 사용된다. 이러한 현상액을 이용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분말 상태의 토너를 이용하는 건식의 경우보다 인쇄 품질이 좋으며, 유해한 토너 분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 그 이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칼라형 습식 프린터의 주요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지장치의 발췌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습식 프린터는 무한궤도상의 감광벨트(110)와, 이 감광벨트(110)를 폐루우프상으로 순환시키는 것으로 위치고정된 1차 롤러(121), 2차 롤러(122) 및 3차 롤러(123)의 세 개의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3차 롤러(123)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감광벨트(110)를 회전시키는 구동롤러이고, 2차 롤러(122)는 감광벨트(110)의 인장력을 조정하여 사행을 방지하는 스티어링롤러(Steering roller)이다. 그리고, 상기 1차 롤러(121)와 2차롤러(122) 사이의 감광벨트(110)의 일측부에는 감광벨트(110)를 대전시키는 주대전기(135)가 마련되고, 감광벨트(110)의 하부에는 화상신호에 따라 감광벨트(11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LSU(Laser scanning unit, 130)와,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에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를 함유한 현상액을 부착시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140)가 교번 설치되어 있다. 상기 1차롤러(123)에 인접하여 감광벨트(110)에 의해 구름운동하면서 감광벨트(110)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되는 전사롤러(124)가 설치된다. 전사롤러(124)에 인접설치되어 인쇄지(160)를 상기 전사롤러(124)에 가압하여 상기 전사롤러(124)에 옮겨진 화상을 상기 인쇄지(160)로 전사하는 가압롤러(12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2차롤러(123)에 인접하여 감광벨트(110)를 상기 2차롤러(123)에 가압하면서 감광벨트(110)에 부착된 현상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롤러(1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건조롤러(140)의 일측에는 감광벨트(110)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접지장치(17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접지장치(170)는 일반적으로 도전성 브러쉬(171)를 갖춘다. 상기 도전성 브러쉬(171)는 순환되는 감광벨트(110)의 가장자리, 즉 감광층(112)이 형성되지 않은 카본 등에 의한 도전층(113) 부분에 상시 접촉됨으로써 상기 감광벨트(110)를 접지시킨다. 이러한 접지장치(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롤러(123)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도 있으나 그 위치는 설계 조건등에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도전성 브러쉬(171)는 금속성 코어의 외주면이 코팅처리된 도전성 와이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전성 브러쉬의 단점은 감광벨트(110)의 가장자리를 마찰에 의해 손상시킬 우려가 있고, 특히 전기적 저항이 높기 때문에 감광벨트(110)를 효과적으로 접지시킬 수 없고, 또한 마찰상태에 따라 감광벨트(110)와 브러쉬(171)간의 접촉저항이 변화되기 때문에 화상의 질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본 고안은 감광벨트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감광벨트의 접지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감광벨트 접지장치가 적용된 레이저 프린터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종래 감광벨트 접지장치의 개략적 발췌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감광벨트 접지장치가 적용된 레이저 프린터의 개략적 구성도, 그리고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감광벨트 접지장치의 개략적 발췌 단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벨트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감광벨트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의 일측부에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도전성 롤러와, 상기 도전성 접지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도전성 접지롤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지지부를 도전체로 하고 상기 지지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도전성 롤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감광벨트에 대한 소정 탄동력으로 상기 도전성 롤러가 상기 감광벨트에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도 1의 종래 레이저 프린터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무한궤도상을 순환하는 감광벨트(110)는 위치고정된 1차 롤러(121), 2차 롤러(122) 및 3차 롤러(123)의 세 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3차 롤러(123)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감광벨트(110)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으로서의 구동롤러이고, 2차 롤러(122)는 감광벨트(110)의 인장력을 조정하여 사행을 방지하는 스티어링롤러(Steering roller)이다. 그리고, 상기 1차 롤러(121)와 2차롤러(122) 사이의 감광벨트(110)의 일측부에는 감광벨트(110)를 대전시키는 주대전기(135)가 마련된다. 감광벨트(110)의 하부에는 화상신호에 따라 감광벨트(11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LSU(Laser scanning unit, 130)와,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에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를 함유한 현상액을 부착시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140)가 교번 설치되어 있다. 상기 1차롤러(123)에 인접하여 감광벨트(110)에 의해 구름운동하면서 감광벨트(110)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되는 전사롤러(124)가 설치된다. 전사롤러(124)에 인접설치되어 인쇄지(160)를 상기 전사롤러(124)에 가압하여 상기 전사롤러(124)에 옮겨진 화상을 상기 인쇄지(160)로 전사하는 가압롤러(12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2차롤러(123)에 인접하여 감광벨트(110)를 상기 2차롤러(123)에 가압하면서 감광벨트(110)에 부착된 현상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롤러(1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건조롤러(140)의 일측에는 감광벨트(110)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접지장치(17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지장치(17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벨트(110)의 가장자리, 즉 코팅층(112)이 형성되지 않은 도전층(113)에 접촉되는 도전성 롤러(174)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175)를 갖춘다. 상기 지지부(175)는 상기 도전성 롤러(17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75)는 브래킷(177)에 스프링(178)에 의해 탄력적인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브래킷(177)에는 상기 지지부(175)를 안내하는 가이더(179)가 소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이들의 사이에 상기 지지부(175)가 위치한다. 스프링(178)이 위치하는 지지부(175)의 상부에 스프링(178)을 관통하는 가이드 로드(180)가 고정되고, 가이드 로드(180)의 상단부는 상기 브래킷(177)을 관통하며, 그 선단부에 이탈을 방지하는 링(181)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177)은 상기 접지장치(170) 전체를 지탱하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3차롤러(123)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도 있고, 2차롤러(122)와 3차 롤러 사이에 마련되는 백업롤러(미도시)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경우는 따라서 상기 현상장치(140)들이 설치된 부분에 같이 설치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접지장치(171)는 감광벨트(110)에 구름운동하는 도전성 롤러(174)에 의해 상기 감광벨트(110)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기 때문에 감광벨트(110)에 대한 접촉부위, 즉 도전층(112)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도전성 롤러(174)를 지지하는 지지부(175)가 스피링(178)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므로 도전성 롤러(174)를 적절한 압력으로서 도전층(112)에 안정되게 접촉되므로 전기적 접촉저항이 일정범위 내에서 유지되게 된다. 한편, 도전성롤러(174)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175)가 상당한 체적을 가지고 있고, 그 소재 선택에 있어서 자유롭기 때문에 저항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접촉압력의 항상성과 낮은 접촉저항은 결과적으로 감광벨트(110)를 최적의 상태를 접지시키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75)는 상기 도전성 롤러(174)를 지지함과 아울러 감광벨트(110)에 대한 접지경로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175)에 상기 도전성롤러(174)를 단순히 지지만하도록 하는 기능을 주고 별도의 접지부에 의해 상기 도전성 롤러(174)를 접지시키도록 할 수 도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부(175)를 도전체로 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 처럼 접지경로 제공 수단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지장치는 구름운동에 의한 접촉구조에 의해 감광벨트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접촉압력의 일정성 및 낮은 저항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광벨트를 접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벨트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감광벨트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의 일측부에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도전성 롤러와, 상기 도전성 접지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도전성 접지롤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소정 거리의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더를 가지는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와 브라켓의 사이에는 상기 도전성 롤러가 상기 감광벨트에 대한 소정 탄력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지지부를 도전체로 하고 상기 지지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롤러는 감광벨트의 가장자리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
KR2019970022915U 1997-08-23 1997-08-23 레이저프린터의감광벨트접지장치 KR200180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915U KR200180194Y1 (ko) 1997-08-23 1997-08-23 레이저프린터의감광벨트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915U KR200180194Y1 (ko) 1997-08-23 1997-08-23 레이저프린터의감광벨트접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626U KR19990009626U (ko) 1999-03-15
KR200180194Y1 true KR200180194Y1 (ko) 2000-05-01

Family

ID=19508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915U KR200180194Y1 (ko) 1997-08-23 1997-08-23 레이저프린터의감광벨트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1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564B1 (ko) 2005-06-29 2011-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캐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564B1 (ko) 2005-06-29 2011-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캐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626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5363B1 (ko) 프린터 장치 및 프린터 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
EP1186964B1 (en) Image carrying belt with guide member
US5552814A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wherein toner carrier member and particle-flow modulating electrode member are held in contact with each other
US4984024A (en) Image transfer unit for image recording apparatus
US7418218B2 (en) Conductive backer brush for electrostatic brush cleaning of a belt without a ground layer
US5324942A (en) Tunable scorotron for depositing uniform charge potential
US5317371A (en) Skew prevention structure for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3236066B2 (ja) 帯電装置及び帯電部材の軸受
KR200180194Y1 (ko) 레이저프린터의감광벨트접지장치
JP3267501B2 (ja) 転写装置
US4098227A (en) Biased flexible electrode transfer
US5300986A (en) Electrically tunable charging device for depositing uniform charge potential
US5055879A (en) Apparatus for ozoneless efficient charging of a photoreceptive drum in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6070043A (en) Device for cleaning a transfer belt of an image-forming machine
US6178300B1 (en) Photoreceptor web grounding structure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00247993B1 (ko)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벨트 접지장치
KR100234327B1 (ko)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 벨트 접지장치
US6314265B1 (en) Transfer printing station for an electrographic device with a contact pressure element in the transfer printing area
KR200172924Y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현상롤러크리닝장치
US642481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veloping roller and a developing device to minimize image carrier wear
KR19990018754A (ko) 개선된 감광벨트 접지장치를 갖춘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
KR100322568B1 (ko) 인쇄기용 감광 벨트 접지장치
US5208635A (en) Apparatus for electrically coupling a conductive layer of a photoreceptor to a reference potential
JP2735046B2 (ja) 画像形成装置の帯電装置
JP2873282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