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754A - 개선된 감광벨트 접지장치를 갖춘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 - Google Patents

개선된 감광벨트 접지장치를 갖춘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754A
KR19990018754A KR1019970041980A KR19970041980A KR19990018754A KR 19990018754 A KR19990018754 A KR 19990018754A KR 1019970041980 A KR1019970041980 A KR 1019970041980A KR 19970041980 A KR19970041980 A KR 19970041980A KR 19990018754 A KR19990018754 A KR 19990018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belt
roller
conductive
primary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장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1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754A/ko
Publication of KR19990018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754A/ko

Links

Landscapes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개선된 감광벨트 접지장치를 갖춘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에 관해 기술된다. 개시된 프린터는, 무한 궤도상을 순환하는 것으로 그 가장자리 일측에 도전층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벨트와, 상기 감광벨트를 안내하는 1차, 2차 3차 로울러와, 상기 1차로울러에 대응하게 설치되어 상기 감광벨트에 접촉되는 전사로울러와, 상기 전사로울러에 대응하게 설치되는 전사백업로울러와, 상기 감광벨트의 도전층에 접촉되어 상기 감광벨트를 접지시키는 접지장치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전사로울러와 동축상에 결합되는 도전성 로울러를 구비하고, 상기 1차로울러는 상기 도전성로울러에 대응하도록 연장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로울러는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감광벨트가 도전성 로울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별도의 접지회로가 불필요하고, 도전성 로울러의 구름운동에 의해 감광벨트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접촉압력의 일정성 및 낮은 저항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광벨트를 접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개선된 감광벨트 접지장치를 갖춘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선된 감광벨트 접지장치를 갖춘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프린터는 감광드럼 또는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을 형성시키고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로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한 뒤 기록지에 전사시켜 원하는 화상을 얻는 장치이다.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사용하는 토너에 따라 습식과 건식으로 크게 대별되는데, 습식의 경우에는 액체케리어에 토너가 섞여 있는 현상액이 사용된다. 이러한 현상액을 이용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분말 상태의 토너를 이용하는 건식의 경우보다 인쇄 품질이 좋으며, 유해한 토너 분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 그 이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칼라형 습식 프린터의 주요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지장치의 발췌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습식 프린터는 무한궤도상의 감광벨트(110)와, 이 감광벨트(110)를 폐루우프상으로 순환시키는 것으로 위치고정된 1차 로울러(121), 2차 로울러(122) 및 3차 로울러(123)의 세 개의 로울러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3차 로울러(123)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감광벨트(110)를 회전시키는 구동로울러이고, 2차 로울러(122)는 감광벨트(110)의 인장력을 조정하여 사행을 방지하는 스티어링로울러(Steering roller)이다. 그리고, 상기 1차 로울러(121)와 2차로울러(122) 사이의 감광벨트(110)의 일측부에는 감광벨트(110)를 대전시키는 주대전기(135)가 마련되고, 감광벨트(110)의 하부에는 화상신호에 따라 감광벨트(11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LSU(Laser scanning unit, 130)와,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에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를 함유한 현상액을 부착시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140)가 교번 설치되어 있다. 상기 1차로울러(123)에 인접하여 감광벨트(110)에 의해 구름운동하면서 감광벨트(110)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되는 전사로울러(124)가 설치된다. 전사로울러(124)에 인접설치되어 인쇄지(160)를 상기 전사로울러(124)에 가압하여 상기 전사로울러(124)에 옮겨진 화상을 상기 인쇄지(160)로 전사하는 가압로울러(12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2차로울러(123)에 인접하여 감광벨트(110)를 상기 2차로울러(123)에 가압하면서 감광벨트(110)에 부착된 현상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로울러(1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건조로울러(140)의 일측에는 감광벨트(110)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접지장치(17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접지장치(170)는 일반적으로 도전성 브러쉬(171)를 갖춘다. 상기 도전성 브러쉬(171)는 순환되는 감광벨트(110)의 가장자리, 즉 감광층(112)이 형성되지 않은 카본 등에 의한 도전층(113) 부분에 상시 접촉됨으로써 상기 감광벨트(110)를 접지시킨다. 이러한 접지장치(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로울러(123)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도 있으나 그 위치는 설계 조건등에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도전성 브러쉬(171)는 금속성 코어의 외주면이 코팅처리된 도전성 와이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전성 브러쉬의 단점은 감광벨트(110)의 가장자리를 마찰에 의해 손상시킬 우려가 있고, 특히 전기적 저항이 높기 때문에 감광벨트(110)를 효과적으로 접지시킬 수 없고, 또한 마찰상태에 따라 감광벨트(110)와 브러쉬(171)간의 접촉저항이 변화되기 때문에 화상의 질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감광벨트에 공급된 현상액이 그 가장자리, 즉 도전성브러쉬에가 접촉되는 부분에 유막을 형성하게 되는 경우 감광벨트의 접지가 제대로 이루어 질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감광벨트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개선된 감광벨트 접지장치를 갖춘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광벨트의 접지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개선된 감광벨트 접지장치를 갖춘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종래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의 감광벨트 접지장치의 개략적 발췌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의 개략적 구성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 사진프린터의 감광벨트 접지장치의 개략적 발췌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감광벨트 접지장치의 부분 발췌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감광벨트 접지장치의 부분 발췌 확대 측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무한 궤도상을 순환하는 것으로 그 가장자리 일측에 도전층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벨트와, 상기 감광벨트를 안내하는 1차, 2차 3차 로울러와, 상기 1차로울러에 대응하게 설치되어 상기 감광벨트에 접촉되는 전사로울러와, 상기 전사로울러에 대응하게 설치되는 전사백업로울러와, 상기 감광벨트의 도전층에 접촉되어 상기 감광벨트를 접지시키는 접지장치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전사로울러와 동축상에 결합되는 도전성 로울러를 구비하고, 상기 1차로울러는 상기 도전성로울러에 대응하도록 연장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로울러는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는 프린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도 1의 종래 레이저 프린터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무한궤도상을 순환하는 감광벨트(110)는 위치고정된 1차 로울러(121), 2차 로울러(122) 및 3차 로울러(123)의 세 개의 로울러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3차 로울러(123)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감광벨트(110)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으로서의 구동로울러이고, 2차 로울러(122)는 감광벨트(110)의 인장력을 조정하여 사행을 방지하는 스티어링로울러(Steering roller)이다. 그리고, 상기 1차 로울러(121)와 2차로울러(122) 사이의 감광벨트(110)의 일측부에는 감광벨트(110)를 대전시키는 주대전기(135)가 마련된다. 감광벨트(110)의 하부에는 화상신호에 따라 감광벨트(11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LSU(Laser scanning unit, 130)와,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에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를 함유한 현상액을 부착시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140)가 교번 설치되어 있다. 상기 1차로울러(121)에 인접하여 감광벨트(110)에 의해 구름운동하면서 감광벨트(110)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되는 전사로울러(124a)가 설치된다. 전사로울러(124a)에 인접설치되어 인쇄지(160)를 상기 전사로울러(124a)에 가압하여 상기 전사로울러(124a)에 옮겨진 화상을 상기 인쇄지(160)로 전사하는 가압로울러(12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2차로울러(123)에 인접하여 감광벨트(110)를 상기 2차로울러(123)에 가압하면서 감광벨트(110)에 부착된 현상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로울러(1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사 로울러(124)에 상기 감광벨트(110)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지장치(12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지장치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벨트(110)의 가장자리, 즉 코팅층(112)이 형성되지 않은 도전층(113)에 접촉되는 도전성 로울러(127a)을 구비한다. 상기 도전성 로울러(127)는 상기 전사 로울러(124a)와 같은 축(127b)에 결합되어 있다. 위의 구조에서 상기 축(127b)는 프린터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전성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축(127b)는 상기 접지장치(127)의 전기전도 경로로서 한 요소가 된다. 역시 상기 1차 로울러(121)도 상기 도전성 로울러(127b)에 대해 감광벨트(110)의 도전층(113) 부분을 떠 받쳐 주고 있으므로 접지장치(127)의 한 요소가 된다.
위의 구조에서 상기 도전성 로울러(127a)는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그 전체를 금속성 재료로 하거나, 아니면, 상기 도전층(112)에 접촉되는 부분만을 도전성 재료로 형성하되 그 표면과 프린터의 프레임간의 전기적 통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그 재료에 있어서도, 상기 도전성 로울러(127a)는 금속 외에 도전성 고무 등 도전성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로울러(127a)와 프린터의 프레임을 상호 전기적 연결상태를 유지위하여, 상기 축(127b)을 도전성, 예를 들어 금속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프린터의 접지장치(127)는 감광벨트(110)에 구름운동하는 도전성 로울러(127a)에 의해 상기 감광벨트(110)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기 때문에 감광벨트(110)에 대한 접촉부위, 즉 도전층(112)을 손상시키지 않을 뿐 아니라 접촉저항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러한 구조의 접지장치(127)는 기존의 구조물과 상기 전사 로울러(124a)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도정성 로울러(127a)를 이용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따라서, 부품 조립이 간단하고 경제적 부담이 적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지장치는 구름운동에 의한 접촉구조에 의해 감광벨트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접촉압력의 일정성 및 낮은 저항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광벨트를 접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무한 궤도상을 순환하는 것으로 그 가장자리 일측에 도전층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벨트와, 상기 감광벨트를 안내하는 1차, 2차 3차 로울러와, 상기 1차로울러에 대응하게 설치되어 상기 감광벨트에 접촉되는 전사로울러와, 상기 전사로울러에 대응하게 설치되는 전사백업로울러와, 상기 감광벨트의 도전층에 접촉되어 상기 감광벨트를 접지시키는 접지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전사로울러가 결합된 축에 같이 결합되는 도전성 로울러를 구비하고, 상기 1차로울러는 상기 도전성로울러에 대응하도록 연장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로울러는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감광벨트를 갖춘 접지장치를 갖춘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도전성 로울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감광벨트 접지장치를 갖춘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감광벨트 접지장치를 갖춘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
KR1019970041980A 1997-08-28 1997-08-28 개선된 감광벨트 접지장치를 갖춘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 KR199900187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980A KR19990018754A (ko) 1997-08-28 1997-08-28 개선된 감광벨트 접지장치를 갖춘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980A KR19990018754A (ko) 1997-08-28 1997-08-28 개선된 감광벨트 접지장치를 갖춘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754A true KR19990018754A (ko) 1999-03-15

Family

ID=6604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980A KR19990018754A (ko) 1997-08-28 1997-08-28 개선된 감광벨트 접지장치를 갖춘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7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5363B1 (ko) 프린터 장치 및 프린터 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
US7302219B2 (en) Fixing device
JP3236066B2 (ja) 帯電装置及び帯電部材の軸受
KR200168977Y1 (ko) 화상형성장치
US6070043A (en) Device for cleaning a transfer belt of an image-forming machine
KR19990018754A (ko) 개선된 감광벨트 접지장치를 갖춘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
KR200180194Y1 (ko) 레이저프린터의감광벨트접지장치
KR100234327B1 (ko)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 벨트 접지장치
US642481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veloping roller and a developing device to minimize image carrier wear
KR100247993B1 (ko)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벨트 접지장치
KR100255647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
US6434356B1 (en) Recording apparatus responsive to changing electrical resistance of transfer media
KR100304611B1 (ko) 화상형성장치의감광매체클리닝장치
KR100322568B1 (ko) 인쇄기용 감광 벨트 접지장치
KR100261094B1 (ko) 인쇄기의 전사롤러 언저리 오염 방지장치
KR100421978B1 (ko)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 백업장치
JP3620565B2 (ja) 画像形成装置
JP369513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247986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
JP3620564B2 (ja) 画像形成装置
JP3695133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243120B1 (ko) 습식전자사진프린터
KR200160899Y1 (ko)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
KR19990012050U (ko)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
JP3666008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