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7993B1 -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벨트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벨트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7993B1
KR100247993B1 KR1019970041977A KR19970041977A KR100247993B1 KR 100247993 B1 KR100247993 B1 KR 100247993B1 KR 1019970041977 A KR1019970041977 A KR 1019970041977A KR 19970041977 A KR19970041977 A KR 19970041977A KR 100247993 B1 KR100247993 B1 KR 100247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belt
roller
conductive
laser printer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751A (ko
Inventor
공장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1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7993B1/ko
Publication of KR1999001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습식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에 관하여 개시된다. 개시된 프린터의 접지장치는,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벨트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감광벨트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감광벨트의 일측부에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도전성 로울러와, 상기 도전성 접지로울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도전성 접지로울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부와, 상기 감광벨트를 중심으로 상기 도전성 로울러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감광벨트를 상기 도전성 로울러에 대해 떠 받쳐주는 백업로울러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전성 로울러의 구름운동에 의해 감광벨트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접촉압력의 일정성 및 낮은 저항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광벨트를 접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벨트 접지장치{Groundidng device of liquid laser printer}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 벨트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지효과가 개선되어 감광벨트를 효과적으로 접지시킬 수 있는 습식형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벨트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프린터는 감광드럼 또는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을 형성시키고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로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한 뒤 기록지에 전사시켜 원하는 화상을 얻는 장치이다.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사용하는 토너에 따라 습식과 건식으로 크게 대별되는데, 습식의 경우에는 액체케리어에 토너가 섞여 있는 현상액이 사용된다. 이러한 현상액을 이용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분말 상태의 토너를 이용하는 건식의 경우보다 인쇄 품질이 좋으며, 유해한 토너 분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 그 이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칼라형 습식 프린터의 주요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지장치의 발췌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습식 프린터는 무한궤도상의 감광벨트(110)와, 이 감광벨트(110)를 폐루우프상으로 순환시키는 것으로 위치고정된 1차 로울러(121), 2차 로울러(122) 및 3차 로울러(123)의 세 개의 로울러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3차 로울러(123)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감광벨트(110)를 회전시키는 구동로울러이고, 2차 로울러(122)는 감광벨트(110)의 인장력을 조정하여 사행을 방지하는 스티어링로울러(Steering roller)이다. 그리고, 상기 1차 로울러(121)와 2차로울러(122) 사이의 감광벨트(110)의 일측부에는 감광벨트(110)를 대전시키는 주대전기(135)가 마련되고, 감광벨트(110)의 하부에는 화상신호에 따라 감광벨트(11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LSU(Laser scanning unit, 130)와,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에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를 함유한 현상액을 부착시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140)가 교번 설치되어 있다. 상기 1차로울러(121)에 인접하여 감광벨트(110)에 의해 구름운동하면서 감광벨트(110)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되는 전사로울러(124)가 설치된다. 전사로울러(124)에 인접설치되어 인쇄지(160)를 상기 전사로울러(124)에 가압하여 상기 전사로울러(124)에 옮겨진 화상을 상기 인쇄지(160)로 전사하는 가압로울러(12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2차로울러(123)에 인접하여 감광벨트(110)를 상기 2차로울러(122)에 가압하면서 감광벨트(110)에 부착된 현상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로울러(1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건조로울러(141)의 일측에는 감광벨트(110)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접지장치(17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접지장치(170)는 일반적으로 도전성 브러쉬(171)를 갖춘다. 상기 도전성 브러쉬(171)는 순환되는 감광벨트(110)의 가장자리, 즉 감광층(112)이 형성되지 않은 카본 등에 의한 도전층(113) 부분에 상시 접촉됨으로써 상기 감광벨트(110)를 접지시킨다. 이러한 접지장치(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로울러(123)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도 있으나 그 위치는 설계 조건등에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도전성 브러쉬(171)는 금속성 코어의 외주면이 코팅처리된 도전성 와이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전성 브러쉬의 단점은 감광벨트(110)의 가장자리를 마찰에 의해 손상시킬 우려가 있고, 특히 전기적 저항이 높기 때문에 감광벨트(110)를 효과적으로 접지시킬 수 없고, 또한 마찰상태에 따라 감광벨트(110)와 브러쉬(171)간의 접촉저항이 변화되기 때문에 화상의 질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감광벨트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광벨트의 접지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감광벨트 접지장치가 적용된 레이저 프린터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종래 감광벨트 접지장치의 개략적 발췌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감광벨트 접지장치의 제1실시예가 적용된 레이저 프린터의 개략적 구성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감광벨트 접지장치의 제1실시예 개략적 발췌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감광벨트 접지장치의 제1실시예 개략적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감광벨트 접지장치의 제2실시예 개략적 분해 사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벨트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감광벨트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의 일측부에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도전성 로울러와, 상기 도전성 접지로울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도전성 접지로울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부와, 상기 감광벨트를 중심으로 상기 도전성 로울러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감광벨트를 상기 도전성 로울러에 대해 떠 받쳐주는 백업로울러를 포함하는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지지부를 도전체로 하고 상기 지지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도전성 로울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감광벨트에 대한 소정 탄동력으로 상기 도전성 로울러가 상기 감광벨트에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도 1의 종래 레이저 프린터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무한궤도상을 순환하는 감광벨트(110)는 위치고정된 1차 로울러(121), 2차 로울러(122) 및 3차 로울러(123)의 세 개의 로울러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3차 로울러(123)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감광벨트(110)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으로서의 구동로울러이고, 2차 로울러(122)는 감광벨트(110)의 인장력을 조정하여 사행을 방지하는 스티어링로울러(Steering roller)이다. 그리고, 상기 1차 로울러(121)와 2차로울러(122) 사이의 감광벨트(110)의 일측부에는 감광벨트(110)를 대전시키는 주대전기(135)가 마련된다.
상기 감광벨트(110)의 하부에는 화상신호에 따라 감광벨트(11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LSU(Laser scanning unit, 130)와,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에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를 함유한 현상액을 부착시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140)가 교번 설치되어 있다.
상기 1차로울러(123)에 인접하여 감광벨트(110)에 의해 구름운동하면서 감광벨트(110)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되는 전사로울러(124)가 설치된다. 전사로울러(124)에 인접설치되어 인쇄지(160)를 상기 전사로울러(124)에 가압하여 상기 전사로울러(124)에 옮겨진 화상을 상기 인쇄지(160)로 전사하는 가압로울러(12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2차로울러(123)에 인접하여 감광벨트(110)를 상기 2차로울러(123)에 가압하면서 감광벨트(110)에 부착된 현상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로울러(14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1차로울러(121)와 3차로울러(123)의 사이에 감광벨트(110)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지장치(27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지장치(271)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벨트(110)의 가장자리, 즉 코팅층(112)이 형성되지 않은 도전층(113)에 접촉되는 도전성 로울러(274)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276)를 갖춘다. 상기 지지부(276)는 상기 도전성 로울러(27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76)는 프린터의 프레임등과 같은 부위에 고정되어 접지된다. 상기 지지부(276)는 일정한 탄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감광벨트(110)에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된다. 감광벨트(110)의 도전층(113)에 대해 상기 도전성 로울러(274)가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되게 하기 위하여 감광벨트(110)의 후측에 백업 로울러(275)가 설치된다. 역시 백업로울러(275)도 다른 지지부(27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백업로울러(275)가 고정되는 지지부(277)도 역시 일정한 탄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감광벨트(110)에 대한 접촉압력이 유연하면서도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도전성 로울러(274)와 백업 로울러(275)를 지지하기 위하여 다른 예를 지지구조를 보인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지지부가 판상의 브라켓으로 이루어 진다. 각 브라켓(276a, 277a)은 판상소재로 이루어 지며, 그 선단부에 도전성 로울러(274) 및 백업 로울러(275)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양 브라켓(276a, 277a)의 선단부와 선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후방에 로울러 고정부(276b, 276c), (277b, 277c)가 형성되어 있다. 안쪽의 고정부(276c, 277c)는 브라켓의 몸체 일부를 절개하여 벤딩된 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양 브라켓은 프린터의 프레임 등에 고정되고, 이로써 상기 양 브라켓은 전기적으로 접지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접지장치(271)는 감광벨트(110)에 구름운동하는 도전성 로울러(274)에 의해 상기 감광벨트(110)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기 때문에 감광벨트(110)에 대한 접촉부위, 즉 도전층(112)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도전성 로울러(274)가 일정한 탄력을 가진 지지부(275) 또는 브라켓(275a)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도전성 로울러(274)가 적절한 압력으로서 도전층(112)에 안정되게 접촉되므로 전기적 접촉저항이 일정범위 내에서 유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접촉압력의 항상성과 낮은 접촉저항은 결과적으로 감광벨트(110)를 최적의 상태를 접지시키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75) 및 브라켓(275a)는 상기 도전성 로울러(274)를 지지함과 아울러 감광벨트(110)에 대한 접지경로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275) 브라켓(275a)에 상기 도전성로울러(274)를 단순히 지지만하도록 하는 기능을 주고 별도의 접지부에 의해 상기 도전성 로울러(274)를 접지시키도록 할 수 도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부(275) 및 브라켓(275a)를 도전체로 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 처럼 접지 경로 제공 수단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지장치는 구름운동에 의한 접촉구조에 의해 감광벨트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접촉압력의 일정성 및 낮은 저항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광벨트를 접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벨트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감광벨트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의 일측부에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도전성 로울러와, 상기 도전성 접지로울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도전성 접지로울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부와, 상기 감광벨트를 중심으로 상기 도전성 로울러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감광벨트를 상기 도전성 로울러에 대해 떠 받쳐주는 백업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지지부를 도전체로 하고 상기 지지부를 전기적으로 접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판상 소재의 브라켓으로 이루어 지고, 브라켓의 선단부에 상기 도전성 로울러가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의 접지장치.
KR1019970041977A 1997-08-28 1997-08-28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벨트 접지장치 KR100247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977A KR100247993B1 (ko) 1997-08-28 1997-08-28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벨트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977A KR100247993B1 (ko) 1997-08-28 1997-08-28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벨트 접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751A KR19990018751A (ko) 1999-03-15
KR100247993B1 true KR100247993B1 (ko) 2000-04-01

Family

ID=1951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977A KR100247993B1 (ko) 1997-08-28 1997-08-28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벨트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799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751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5363B1 (ko) 프린터 장치 및 프린터 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
EP1186964B1 (en) Image carrying belt with guide member
EP198091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Grid Electrode And Process Cartridge Including Same
US4233611A (en) Recording head for electrostatic printing apparatus
US5233395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transfer brush of electroconductive fibers
US714279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236066B2 (ja) 帯電装置及び帯電部材の軸受
KR100247993B1 (ko)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벨트 접지장치
KR100281310B1 (ko) 접촉대전부재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유닛 및 전자사진식화상형성장치
JP2001117375A (ja) 画像形成装置
US6070043A (en) Device for cleaning a transfer belt of an image-forming machine
KR200180194Y1 (ko) 레이저프린터의감광벨트접지장치
KR100234327B1 (ko)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 벨트 접지장치
JP3454401B2 (ja) 静電記録装置
US6178300B1 (en) Photoreceptor web grounding structure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H07219308A (ja) 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39263B2 (ja) 転写ベルトのクリーニング装置
KR19990018754A (ko) 개선된 감광벨트 접지장치를 갖춘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
JP2735046B2 (ja) 画像形成装置の帯電装置
US6352807B1 (en)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having a photoreceptor web
KR100322568B1 (ko) 인쇄기용 감광 벨트 접지장치
JP2873282B2 (ja) 画像形成装置
JP3783499B2 (ja) 帯電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る電子写真装置並びに帯電方法
KR100476778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대전롤러 접지장치
JPH1026059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