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3545A - 하우징 및 그 하우징을 구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하우징 및 그 하우징을 구비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3545A
KR20050073545A KR1020050000516A KR20050000516A KR20050073545A KR 20050073545 A KR20050073545 A KR 20050073545A KR 1020050000516 A KR1020050000516 A KR 1020050000516A KR 20050000516 A KR20050000516 A KR 20050000516A KR 20050073545 A KR20050073545 A KR 20050073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rame member
liquid crystal
surface port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8328B1 (ko
Inventor
후쿠요시히로카즈
오노신이치로우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filed Critical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50073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2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for double-sid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 부품을 지지 및 고정하는 하우징은 동일한 형상을 각각 갖는 한 쌍의 프레임 부재로 구성된다. 각각의 프레임 부재의 측면의 4개의 변은 조합된 경우에 외측에 배치된 외면부와 조합된 경우에 내측에 배치된 내면부가 서로에 대해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단부는 상기 외면부와 상기 내면부 사이에 형성된다. 하우징의 프레임 부재의 측면부는 상기와 같이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강도 및 조립성이 향상되고, 그에 따라 구성 부품의 위치 및 간격의 변위에 의해 야기된 표시 품질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우징 및 그 하우징을 구비한 표시 장치{HOUSING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HOUSING}
기술분야
본 발명은 하우징 및 그 하우징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면과 배면의 양면에 표시면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데 적합한 하우징 및 그 하우징을 구비한 양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평면형 표시 장치가 보급되고, 그 대형화도 진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평면형 표시 장치의 하나의 표시예로서 이하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를 일예로서 설명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소형, 박형, 저소비 전력이라는 특성 때문에 사무 자동화 기기나 텔레비전의 모니터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직하 방식(반사판 방식), 엣지 라이트 방식(사이드 라이트 방식), 또는 면상 광원 방식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 직하 방식은 높은 휘도를 필요로 하는 모니터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상기 직하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한 투명 기판들 사이에 액정이 삽입된 액정 패널(6)과, TCP(Tape Carrier Package)(8)를 경유하여 액정 패널(6)에 접속된 기판(7)이 제공된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는 액정 패널(6)을 조명하는 백라이트를 발생하는 백라이트 장치(2)와, 상기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는 하우징(4)(실드 프런트)이 더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장치(2)는 광원으로 작용하는 복수의 봉 형상의 램프(10)와, 램프(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 기판(12) 또는 리턴 기판(13), 및 상기 기판을 접속하는 리턴 케이블(14)(전원 회로부)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장치에는 램프 지지 프레임(11)과, 반사판(15)과, 확산판(18) 또는 광학 시트(19)로 구성된 광학 부재와, 백라이트 섀시(하우징)(20))가 제공된다.
또한, 최근에 전면과 배면의 양면에 표시면을 구비한 양면 액정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양면 액정 표시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및 배면의 양 방향에 백라이트를 조사하는 양면 백라이트 장치(3)가 제공된다. 한 쌍의 액정 패널(6A, 6B)은 상기 양면 액정 표시 장치의 각각의 면상에 장착된다. 기판(7A, 7B)은 TCP(8A)를 경유하여 액정 패널(6A, 6B)에 결합된다. 하우징(4A, 4B)(실드 프런트)은 각각의 액정 패널(6A, 6B)을 양면 백라이트 장치(3)에 고정한다.
상기 양면 백라이트 장치(3)는 전면과 배면의 양면에서 백라이트를 조사할 수 있도록 겉과 속이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면 백라이트 장치(3)에는 광원으로서 작용하는 복수의 봉 형상의 램프(10)와, 램프(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 기판(12)과, 리턴 케이블(14) 등의 전원 회로부가 제공된다. 상기 램프(10)는 전면과 배면의 양면으로부터 램프 지지 프레임(11A, 11B)에 의해 끼워져 지지된다. 또한, 상기 양면 백라이트 장치(3)에는 반사판(17)과, 확산판(18A, 18B) 및 광학 시트(19A, 19B)로 구성된 광학 부재와, 백라이트의 섀시(하우징)(20A, 20B))가 제공된다. 상기 반사판(17)은 광을 상기 램프(10)부터 액정 패널을 향해 광을 반사한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양면 액정 표시 장치의 예는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2001―29O445호에 개시되어 있다.
액정 표시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많은 구성 부재를 구비한다.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액정 패널이나 백라이트 장치는 유닛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유닛은 하우징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된다.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의 커지고, 프레임이 협소화되고, 그 크기가 박형화되는 경우에, 하우징의 프레임 부분의 폭 및 액정 표시 장치의 두께 방향의 폭은 작아져서, 하우징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진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저가격화를 실현하기 위해서, 각각의 유닛의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하우징 자체의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하우징 및 유닛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그에 따라 조립 시간을 줄이는 것도 중요해 진다.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일반적인 구성은 각 유닛을 지지하는 하우징은 치수가 큰 프레임 부재와 치수가 작은 프레임 부재로 구성되고, 치수가 각각 다른 한 쌍의 프레임 부재가 서로 고정되어 각각의 유닛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각각의 유닛은 도 1에서는 하우징(4)과 백라이트 장치(2)의 조합, 도 3에서는 백라이트 섀시(20A)와 하우징(4A)의 조합, 및 백라이트 섀시(20B)와 하우징(4B)의 조합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한 종래의 하우징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제 1의 문제는 액정 표시 장치(1) 전체의 강도가 충분히 유지될 수 없다는 점이다. 즉, 프레임 부재는 일반적으로 금속판을 절곡하고 제조되고, 프레임 부재의 측면은 평판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외력에 대해 구조적으로 취약하고 그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된다. 특히, 화면 크기가 커지고 프레임의 크기 및 두께가 작아짐에 따라, 프레임의 폭 및 측면의 폭은 감소하고, 그에 따라 각각의 유닛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없다.
또한, 제 2의 문제는 하우징의 조립이 어렵고, 불량한 조립에 의해 발생된 표시 품위의 열화가 일어나기 쉽다. 즉, 치수가 작은 프레임 부재를 덮도록 치수가 큰 프레임 부재가 정합되는 구조에서, 끼워 맞침 공정 중에 상기 양쪽 부재는 쉽게 기울어지고 버려, 조립 공정은 숙련을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부재들이 기울어지면서 정합되는 경우에, 각 유닛의 위치나 간격이 변위되어 그 결과 표시 품질의 악화로 이어진다. 상기 제 2의 문제점은 스크린 크기가 크지고 프레임이 작아지고 박형화됨에 따라 더욱 현저하게 나타난다.
또한, 제 3의 문제는 크기가 각각 다른 복수 형태의 프레임 부재가 조합되는 경우에, 복수 형태의 프레임 부재가 별도록 제조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없게 된다. 통상, 프레임 부재는 몰딩에 의해 금속판을 처리하여 제조된다. 복수 형태의 프레임 부재를 준비하기 위해서, 복수의 금형도 준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설계 비용이나 가공 비용이 높게 된다. 또한, 복수 형태의 프레임 부재가 조합되는 구조에서, 이러한 프레임 부재는 별도로 관리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 관리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제 4의 문제는 크기가 각각 다른 프레임 부재가 조합되는 구조에 있어서, 전면과 배면 사이의 외관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는 장치가 외관상 불량하게 보여지게 된다. 디자인의 관점에서, 전면에서 보거나 배면에서 보거나 외관이 동일하게 보이는 것이 양면 액정 표시 장치에서 중요하다.
상기 문제점은 액정 표시 장치에서만 발생하지 않고, 하우징을 이용하여 적어도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다른 형태의 표시 장치에서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고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한 것을 할 수 있는 하우징의 구조 및 그 하우징을 구비한 표시 장치, 특히, 전면과 배면의 양면에 표시면을 구비한 양면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우징은 적어도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하우징이고, 상기 하우징은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 쌍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 각각의 프레임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하나가 반전되어 다른 프레임 부재에 대향하는 경우에 서로 끼워 맞춰지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 본 발명의 하우징은 적어도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하우징이고, 상기 하우징은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 각각의 프레임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주연을 덮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측면부로 구성된다. 외측에 배치된 외면부와 내측에 배치된 내면부로 구성된 계단형 구조가 한 쌍의 프레임 부재가 서로 대향하는 상기 측면부의 적어도 한 면의 상부에,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절단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외면부와 상기 내면부에 형성된다. 한쪽의 상기 프레임 부재는 반전되는 다른 프레임 부재에 대향하고, 한 쌍의 프레임 부재는 상기 절단부에 의해 서로에 대해 정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은 적어도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하우징이고, 상기 하우징은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 각각의 프레임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주연을 덮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표시 패널의 4개의 변의 측면을 덮는 측면부로 구성된다. 외측에 배치된 외면부와 내측에 배치된 내면부로 구성된 계단형 구조는 프레임부의 중심부에 대해 점대칭이 되도록 상기 4개의 변의 각각의 면에 형성된다. 절단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외면부와 상기 내면부에 형성된다. 한쪽의 상기 프레임 부재는 반전되는 다른 프레임 부재에 대향하고, 한 쌍의 프레임 부재는 상기 절단부에 의해 서로에 대해 정합된다.
본 발명의 하우징은 상기 외면부 또는 내면부가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의 인접한 측면부의 모서리부에서 서로 연속하도록 상기 외면부와 상기 내면부를 배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은 상기 외면부 또는 상기 내면부가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의 측면부의 적어도 대향면상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은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의 측면부에서의 상기 대향하는 외면부 또는 내면부의 하나에 다른 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와 정합되는 오목부가 다른 쪽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를 서로 정합하면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은 다른 쪽을 향하여 구부러진 폴부(pawl section)가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의 측면부에서의 상기 대향하는 외면부 또는 내면부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폴부가 삽입되는 슬릿부(slit section)가 다른 쪽에 형성된다. 상기 폴부를 상기 슬릿부에 삽입하면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를 고정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은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외부 하우징이 제공될 수 있다. 나사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은 상기 외부 하우징 및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의 대응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와 나합된(threadedly engaged) 나사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에 의해 지지된 구성 부재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나사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나사 고정부와 나사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을 조명하는 백라이트 장치와, 적어도 상기 액정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장치를 지지하는 상기 하우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전면과 배면의 양면을 조명하는 양면 백라이트 장치와, 상기 양면 백라이트 장치의 각각의 면에 배치된 한 쌍의 액정 패널과, 적어도 상기 한 쌍의 액정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장치를 지지하는 상기 하우징이 적어도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하우징에 있어서, 조합된 경우에 외측에 배치된 외면부와 조합된 경우에 내측에 배치된 내면부로 구성된 계단형 구조는 점대칭이 되도록 한 쌍의 프레임 부재의 측면부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형성된다. 절단부는 상기 외면부와 상기 내면부 각각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동일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 부재는 절단부에 의해 서로에 대해 정합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는 측면부가 단일한 평판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에 비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 쌍의 프레임 부재를 다른 프레임 부재에 정합할 때에 대응하는 외면부와 내면부는 서로 가이드로서 작용하고, 그에 따라 프레임 양쪽 모두의 평행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성이 향상된다. 조립성의 향상은 조립에 의해 발생된 표시 품질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 부재는 동일 형상이기 때문에, 하우징 자체의 제조 비용이나 설계 비용, 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은 앞쪽 방향 및 뒤쪽 방향 어디에서 보아도 동일 형상이고, 이는 양면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 장치 외관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하의 효과는 본 발명의 하우징과 하우징이 제공된 표시 장치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의 제1의 효과는 표시 장치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조합된 경우에 외측에 배치된 외면부와 조합된 경우에 내측에 배치된 내면부로 구성된 계단형 구조는 점대칭이 되도록 한 쌍의 프레임 부재의 측면부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형성된다. 측면이 단일한 평판으로 구성된 프레임 부재와 비교하여, 상기 구조는 뒤틀림 등의 외력에 대해 강한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크기가 크고 협소화된 프레임을 갖는 박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특히 현저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의 제2의 효과는 조립성이 향상되고 그에 따라 조립 실패에 의해 야기된 표시 품질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한 쌍의 프레임 부재를 서로 정합시킬때에 대응하는 외면부와 내면부는 서로 가이드로서 작용하고, 그에 따라 프레임 양쪽 모두의 평행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는 프레임 부재 양쪽 모두가 기울어짐에 따라 국부적인 응력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는 내부에 지지된 구성 요소들의 위치 또는 간격의 변위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제3의 효과는 비용이 줄어든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동일 형상의 프레임 부재가 결합되고 그에 따라 프레임 부재 자체의 제조 비용이나 설계 비용, 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를 가공하는데 한 개의 몰드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제 4의 효과는 양면 액정 표시 장치의 외관성이 양호하게 제조될 수 있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양면 표시 장치는 완전한 동일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 부재를 조합함에 의해 제조되고, 이는 앞쪽 방향 및 뒤쪽 방향 어디에서 보아도 동일 형상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의 구성 부품을 지지 및 고정하는 하우징은 동일 형상의 한 쌍의 프레임 부재가 서로 정합되도록 형성된다는 개념에 기초하여 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에 있어서, 측면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프레임 부재의 4개의 변이 조합된 경우에 외측에 배치된 외면부와 내측에 배치된 내면부가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고, 통상 상기 측면 폭의 절반의 깊이를 갖는 절단부는 상기 외면부와 상기 내면부 사이에 형성된다. 정합될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계단 형상의 구조는 단일한 평판 구조에 비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의 상기 측면의 대향하는 외면부 및 내면부 각각은 서로 가이드로서 기능하고, 그에 따라, 하우징의 조립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유닛의 위치 또는 간격의 변위에 의해 유발된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계단 형상 구조 및 절단부는 다른 프레임 부재에 대해 반전되는 프레임 부재 중의 하나를 정합하도록, 프레임의 중심부에 대해 점대칭이 되게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로 인해, 프레임 부재의 제조 비용, 설계 비용, 및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상기 하우징은 앞쪽 및 뒤쪽 방향 어느쪽에서 보아도 동일 형상으로 보이도록 제조되고, 이는 양면 타입의 표시 장치의 외관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이 마련된 양면 액정 표시 장치가 도 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양면 액정 표시 장치가 각각의 구성 부품으로 분해된 조립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이 정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상면도 및 우측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하우징의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구조에 특징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하우징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된 액정 패널이나 백라이트 장치 등의 다른 구성 부품의 구성 및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양면 액정 표시 장치(1)은 그 주된 구성 부품으로서, 표면 및 배면의 양방향으로 백라이트를 조사하는 양면 백라이트 장치(3)와, 양면 백라이트 장치(3)의 각각의 면상에 장착된 액정 패널(6A, 6B)과, 각각의 액정 패널(6A, 6B)을 양면 백라이트 장치(3)에 유지하는 하우징(4A, 4B)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4A, 4B) 각각은 액정 패널(6A, 6B) 각각의 표시면의 외연을 덮는 프레임부와 액정 표시 장치(1)의 측면을 덮는 측면부으로 구성된다. 측면부 각각의 변은 외면부와 내면부가 평탄하지 않게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4A, 4B) 폭의 개략 절반의 깊이를 갖는 절단부는 각각의 변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하우징(4A, 4B)을 서로 끼워 맞추는 것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제공한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액정 표시 장치(1)의 상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한 쪽의 하우징(4A)과 다른 쪽의 하우징(4B)이 절단부(22)에서 조합되고, 한 쪽의 하우징의 외면부와 다른 쪽의 하우징의 내면부가 쌍이 되어 서로 끼워 맞춰진다. 하우징(프레임 부재)의 재료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하우징 재료인 알루미늄 판을 프레스 가공함에 의해, 또는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하우징(4A, 4B)이 서로 끼워 맞춰지는 상태를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8은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본 도 7A의 I-I 단면도이고, 도 9는 도면의 상부로부터 본 도 7B의 II-II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A)은 외면부(21B)가 좌상부측 및 우하부측에 배치되고, 내면부(21A)가 우상부측 및 좌하부측에 배치되도록 끼워 맞춰진다. 한편, 반전된 하우징(4A)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4B)은 외면부(21B)가 우상부측 및 좌하부측에 배치되고, 내면부(21A)가 좌상부측 및 우하부측에 배치되도록 끼워 맞춰진다. 절단부(22)에서 하우징(4A, 4B)을 조합시키면 외면부(21B)와 내면부(21A)가 쌍이 된 2중 구조의 측면부가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하우징(4A, 4B)의 대향한 변의 내면부(21A) 및 외면부(21B)는 하우징의 중심에 대하여 점 대칭이 되도록 배치된다. 그 이유는 다른 하우징이 긴 변을 축으로 하여 반전되거나 짧은 변을 축으로 하여 반전 되더라도, 한 쪽의 하우징의 외면부(21B)(또는 내면부(21A))와 다른 쪽의 하우징(4)의 내면부(21A)(또는 외면부(21B))가 서로 대향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9에서, 내면부(21A)와 외면부(21B)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였지만, 내면부(21A) 또는 외면부(21B)의 액정 표시 장치(1)의 두께 방향의 폭을 바꿀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부(21B)의 두께 방향의 폭을 작게 할 수 있고, 내면부(21A)의 두께 방향의 폭을 크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10에서, 각각의 하우징의 모서리부에는 외면부(21B) 또는 내면부(21A)가 배치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하우징의 모서리부에 외면부(21B)와 내면부(21A)가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즉, 주변 범위에 걸쳐 외면부(21B)와 내면부(21A)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하우징(4A, 4B) 각각은 한 쌍의 하우징(4A, 4B)을 정합하는 경우에, 서로 간섭하지 않도곡 모서리부 각각에 절단부가 형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외면부(21B)와 내면부(21A)와의 단차는 하우징의 재료의 두께나 정합의 정도를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외면부(21B)와 내면부(21A)와의 단차는 보통 재료의 두께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지만, 한 쌍의 하우징(4A, 4B)을 강하게 고정 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단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11에서, 외면부(21B)와 내면부(21A)와의 연결부를 경사지게 하여 한 쌍의 하우징이 서로에 대해 끼워 맞추는 경우에 간섭하지 않도록 하고 있지만, 그 경사각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11에서, 절단부(22)의 깊이를 하우징의 측면부의 두께 방향의 폭의 약 절반으로 설정하고 있지만, 상기 절단부(22)의 깊이는 하우징(4A, 4B)의 겹침의 정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의 구성 부재에 부하가 더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절단부의 깊이는 하우징의 측면의 두께 방향의 폭의 절반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A, 4B)이 서로 완전하게 겹쳐지도록 절단부의 깊이는 하우징의 측면의 두께 방향의 폭의 절반 이하로 하면 좋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4A, 4B)의 한 실시예가 상기에서 도시되었다. 동일 형상의 하우징(4A, 4B)이 서로 정합되는 구조를 실현하기 위해 고려된 다른 방법들이 존재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조의 변형예가 설명될 것이다.
하우징(4A, 4B)의 측면부의 4개의 변은 계단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구조는 하우징이 4개의 변에 의해 끼워 맞춰지지 않아도 액정 표시 장치(1)의 강도가 충분히 유지될 수 있는 경우, 또는 액정 패널(6A, 6B) 또는 백라이트 장치(3)를 구동하기 위한 배선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개구부가 형성되는 경우에, 가능하다. 도 13A 내지 도 13C 각각은 상면도로서, 액정 표시 장치(1)의 우측면도 및 전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의 3변(여기서, 도면의 좌우 방향의 짧은 변과 뒤쪽 측의 긴 변)에, 외면부(21B) 및 내면부(21A)가 형성된다. 나머지 변(여기서, 앞쪽 측의 긴 변)은 측면부의 폭이 액정 표시 장치(1)의 두께의 절반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각각의 하우징이 서로 겹치지 않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조의 경우에, 다른 하우징이 긴 변을 축으로 하여 반전되는 경우에 하우징(4A, 4B)은 끼워 맞춰지지 않지만, 하우징(4A, 4B)이 짧은 변을 축으로 하여 반전되는 경우에 서로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대향하는 한 쌍의 변(여기서, 도면의 좌우 방향의 짧은 변)상에, 외면부(21B) 및 내면부(21A)가 형성된다. 나머지 변(여기서, 도면의 상하 방향의 긴 변)은 측면부의 폭이 액정 표시 장치(1)의 두께의 절반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여 하우징(4A, 4B) 각각이 서로 겹치지 않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조의 경우에,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중심에 대해 점대칭이 되도록 외면부(21B) 및 내면부(21A)가 형성된다면, 어떻게 반전을 하더라도 각각의 하우징은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심지어, 짧은 변 방향을 축으로 하여 선대칭이 되도록 외면부(21B) 및 내면부(21A)가 형성되는 경우에 긴 변 방향을 축으로 하여 다른 하우징을 반전시킴에 의해 하우징은 서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긴변을 축으로 하여 다른 하우징을 반전시키는 것은 좌우 짧은 변의 상측에 내면부(21A)가 형성되며 그 하측에 외면부(21 B)가 형성되는 경우에, 각각의 하우징은 서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14에서, 각각의 변에 외면부(21B) 및 내면부(21A)의 쌍이 하나 형성되지만, 상기 각각의 변에 형성된 외면부(21B) 및 내면부(21A)의 갯수는 임의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변에 외면부(21B) 및 내면부(21A)를 3개 이상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짧은 변의 외면부(21B) 및 내면부(21A)의 갯수는 긴 변의 외면부 및 내면부의 갯수와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변측의 외면부(21B) 및 내면부(21A)의 갯수는 증가되어 구조상 약한 긴 변측을 보강하고 그에 따라 하우징의 강도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15에서 하우징의 프레임부의 폭을 동일 치수로 하였지만, 버튼 등의 조작 수단이나 스피커가 배치되도록 요구되는 경우에 예를 들면, 짧은 변 방향(또는 긴 변 방향)의 프레임부의 폭은 변경될 수 있다. 프레임부의 폭이 비대칭인 형상인 경우에, 반전 방향은 한정된다.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폭을 갖는 단변부상에 외면부(21B) 및 내면부(21A)가 형성되는 경우에, 하우징이 짧은 변 방향을 축으로 반전된 때에 외면부(21B)와 내면부(21A)가 조합되도록 하우징의 중심에 대해 점대칭으로 되도록 외면부(21B) 및 내면부(21A)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도 5 내지 도 16은 하우징(4A, 4B)을 서로에 대해 끼워 맞추는 구조를 도시하지 않는다. 도 17A는 하우징(4A, 4B)을 서로 끼워 맞추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외면부(21B) 및 내면부(21A)의 한 쪽(도면에서는 외면부(21B))상에는 볼록부(23)가 마련되고, 다른 쪽(도면에서는 내면부(21A))상에는 오목부(24)가 형성되고, 볼록부(23) 및 오목부(24)는 서로 정합되고, 그에 따라 하우징(4A, 4B)을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 구조가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하우징(치수가 큰 프레임 부재와 치수가 작은 프레임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에 적용되는 경우, 각각의 하우징은 내측 또는 외측의 한쪽에만 가압되기 때문에, 상기 구조만으로 한 쌍의 하우징이 굳게 고정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하우징의 내면부(21A)는 내측을 향해, 각각의 하우징의 외면부(21B)는 외측을 향해 가압되기 때문에, 그 결과, 볼록부 및 오목부의 정합에 의해서만 한 쌍의 하우징(4A, 4B)이 굳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굽은 폴부(pawl secton)(25)가 대응하는 외면부(21B)의 선단에 마련되며 상기 폴부(25)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슬릿부(26)가 내면부(21A)에 마련되는 도 17B에 도시된 고정 구조 또한 가능하다. 도 17B에 있어서, 폴부(25)는 슬릿부(26)에 삽입되어 걸기(latch)하여, 하우징(4A, 4B)은 더욱 강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구조는 상기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볼록부(23) 및 오목부(24), 폴부(25) 및 슬릿부(26)의 형상, 형성 위치, 형성 수량은 하우징에 요구되는 강도, 하우징 내부에서 지지되는 구성 부재의 배치, 간극의 유무 등을 감안하여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외면부(21B) 및 내면부(21A)에 상기 고정 구조를 형성하여도 좋고, 또한 임의의 한 쌍의 외면부(21B) 및 내면부(21A)에만 상기 고정 구조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각각의 외면부(21B) 및 내면부(21A)상에 복수 세트의 고정 구조를 형성하여도 좋고, 또한 오목부/볼록부 구조 및 거는 구조(latch structure)의 조합에 의해 하우징이 고정되어도 좋다.
도 17은 하우징(4A, 4B)이 오목부/볼록부 구조 및 거는 구조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하우징(4A, 4B)은 또 다른 구조체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A, 4B)의 외측상에 통형상의 외부 하우징(외부 프레임 부재)(27)이 덮여지고, 외부 하우징(27), 하우징(4A), 및 하우징(4B)은 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8에 있어서, 하우징 고정 나사(28)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구멍이 외부 하우징(27), 하우징(4A), 및 하우징(4B)상에 형성되고, 내부의 구성 부재(여기서, 양면 백라이트 장치(3))에는 하우징 고정 나사(28)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 고정부(29)가 형성된다. 하우징 고정 나사(28)는 외부 하우징(27)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부(29)에 대해 나사 체결되고, 그에 따라, 외부 하우징(27), 하우징(4A), 하우징(4B) 및 내부의 구성 부재를 일괄하여 고정하다. 상기 구조는 액정 표시 장치(1) 전체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하우징(27) 또는 하우징 고정 나사(28), 나사 고정부(29)의 형상, 배치, 수량, 나사 고정 구조 등은 도면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상기 하우징은 액정 표시 장치의 한 면에서 고정하여도 좋고, 복수의 면에서 고정하여도 좋고, 하나의 면을 복수의 나사로 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하우징(4A) 또는 하우징(4B)의 내면부(21A)상에 하우징 고정 나사(28)에 의해 나사 결합되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외부 하우징(27), 하우징(4A), 및 하우징(4B)만을 고정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4A, 4B)의 측면부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외면부(21B)와 내면부(21A)로 이루어지는 계단 형상이 형성되고, 외면부(21B)와 내면부(21A)와의 사이에 절단부(22)를 형성한다. 두개의 하우징은 하우징 중의 하나가 다른 하우징에 대해 대향하게 반전되는 경우에 한 쪽의 하우징의 내면부(21A)(또는 외면부(21B))와 다른 쪽의 하우징의 외면부(21B)(또는 내면부(21A))가 조합되도록 배치된다. 그에 따라, 동일 형상의 하우징를 조합시켜서 내부의 유닛을 지지할 수 있다. 측면부상에 계단 형상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측면부가 1장의 평판으로 구성되는 하우징에 비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각각의 외면부(21B) 및 내면부(21A)는 서로 가이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쌍방의 하우징의 평행도를 유지한 채로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는 구성 부재의 위치나 간격의 어긋남에 기인하는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쪽의 하우징은 동일 형상을 갖고 그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면 또는 배면의 방향으로부터 보아도 외관을 동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모양새도 좋게 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1)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고, 하우징(4A, 4B)의 형상은 4개의 변으로 구성된 측면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액정 표시 장치(1)의 형상에 따라 하우징(4A, 4B)의 각각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하우징(4A, 4B)은 둥근 모서리부를 갖는 형상이거나, 모서리부가 잘려진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경우에도, 각각의 하우징의 측면부의 대향 위치에, 하우징의 중심에 대해 점대칭이 되도록 외면부와 내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갖는 하우징이 직하 방식의 양면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도시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엣지 라이트(edge light) 방식이나 면광원 방식 등의 다른 백라이트의 조사 방식, 또는 한 쪽의 면 위에만 표시면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는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하지 않고, 내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끼워 고정하는 표시 장치용 하우징 전반에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의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에 한하지 않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EL 패널, 전계 방출형 표시 장치(FED) 등의 소위 벽걸이 텔레비전용의 평면형 표시 패널 등을 포함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포함하는 본질적인 문제는 상기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면에, 본 발명의 본질은 이하의 청구범위의 본질 및 범위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변형예, 수정예, 및 등가 실시예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하의 효과는 본 발명의 하우징과 하우징이 마련된 표시 장치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의 제1의 효과는 표시 장치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조합된 경우에 외측에 배치된 외면부와 조합된 경우에 내측에 배치된 내면부로 구성된 계단형 구조는 점대칭이 되도록 한 쌍의 프레임 부재의 측면부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형성된다. 측면이 단일한 평판으로 구성된 프레임 부재와 비교하여, 상기 구조는 뒤틀림 등의 외력에 대해 강한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크기가 크고 협소화된 프레임을 갖는 박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특히 현저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의 제2의 효과는 조립성이 향상되고 그에 따라 조립 실패에 의해 야기된 표시 품질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한 쌍의 프레임 부재를 서로 정합시킬때에 대응하는 외면부와 내면부는 서로 가이드로서 작용하고, 그에 따라 프레임 양쪽 모두의 평행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는 프레임 부재 양쪽 모두가 기울어짐에 따라 국부적인 응력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는 내부에 지지된 구성 요소들의 위치 또는 간격의 변위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제3의 효과는 비용이 줄어든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동일 형상의 프레임 부재가 결합되고 그에 따라 프레임 부재 자체의 제조 비용이나 설계 비용, 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를 가공하는데 한 개의 몰드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제 4의 효과는 양면 액정 표시 장치의 외관성이 양호하게 제조될 수 있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양면 표시 장치는 완전한 동일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 부재를 조합함에 의해 제조되고, 이는 앞쪽 방향 및 뒤쪽 방향 어디에서 보아도 동일 형상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를 각각의 구성 부품으로 분해된 조립도.
도 2는 종래의 백라이트 장치가 각각의 부성 부품으로 분해된 조립도.
도 3은 종래의 양면 액정 표시 장치가 각각의 구성 부품으로 분해된 조립도.
도 4는 종래의 백라이트 장치가 각각의 구성 부품으로 분해된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양면 액정 표시 장치가 각각의 구성 부품으로 분해된 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양면 액정 표시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하우징의 구성을 각각 도시하는 상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7의 II-II 단면을 좌측면으로부터 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7의 II―II 단면을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도 12에 도시된 하우징의 상면도, 측면도, 및 전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Claims (18)

  1. 표시 패널을 적어도 지지하는 표시 장치용 하우징에 있어서,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제 1의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제1의 프레임 부재 중의 하나가 반전되어 다른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에 대향하는 경우에 서로 끼워 맞춰지는 정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하우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수단은 상기 제 1의 부재의 측면부에 형성된 절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하우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의 부재의 외면부의 일부를 적어도 덮어, 상기 한 쌍의 제 1의 부재와 서로 끼워 맞춰지도록 하는 제 2의 프레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하우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양측의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의 상기 측면부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하우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의 인접한 변들의 모서리부를 제외한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하우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양측의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의 상기 측면부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고,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측면부 각각은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의 중심부에 대해 점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하우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의 인접한 변들의 모서리부를 제외한 상기 측면부, 및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의 상기 인접한 변들의 모서리부의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하우징.
  8. 제 2항에 있어서,
    볼록부가 상기 한 쌍의 제 1의 프레임 부재 중의 하나의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고, 오목부가 다른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의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의 하나가 반전되어 다른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에 대향하는 경우에 서로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하우징.
  9. 제 2항에 있어서,
    굽은 폴부(pawl section)가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 중의 하나의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굽은 폴부가 다른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에 대한 상기 굽은 폴부를 걸기(latch) 위해 삽입되는 슬릿부는 다른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의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하우징.
  10.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을 조명하는 백라이트 장치와,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장치를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제 1의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제1의 프레임 부재 중의 하나가 반전되어 다른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에 대향하는 경우에 서로 끼워 맞춰는 정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의 상기 정합 수단을 서로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장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정합 수단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측면부에 형성된 절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장치는 양면 백라이트 장치이고 상기 액정 패널은 상기 백라이트 장치의 전후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볼록부가 상기 한 쌍의 제 1의 프레임 부재 중의 하나의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고, 오목부가 다른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의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는 서로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굽은 폴부(pawl section)가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 중의 하나의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굽은 폴부가 다른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에 대한 상기 굽은 폴부를 걸기(latch) 위해 삽입되는 슬릿부는 다른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의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양측의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측면부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의 인접한 변들의 모서리부를 제외한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양측의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의 상기 측면부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고,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측면부 각각은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의 중심부에 대해 점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의 인접한 변들의 모서리부를 제외한 상기 측면부, 및 상기 제 1의 프레임 부재의 상기 인접한 변들의 모서리부의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50000516A 2004-01-09 2005-01-04 하우징 및 그 하우징을 구비한 표시 장치 KR100648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04696A JP3853792B2 (ja) 2004-01-09 2004-01-09 筐体及び該筐体を備える表示装置
JPJP-P-2004-00004696 2004-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545A true KR20050073545A (ko) 2005-07-14
KR100648328B1 KR100648328B1 (ko) 2006-11-23

Family

ID=34737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516A KR100648328B1 (ko) 2004-01-09 2005-01-04 하우징 및 그 하우징을 구비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03243B2 (ko)
JP (1) JP3853792B2 (ko)
KR (1) KR100648328B1 (ko)
CN (1) CN100381901C (ko)
TW (1) TWI26426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552B1 (ko) * 2008-02-11 2010-02-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7069B2 (ja) * 2005-03-31 2010-11-10 日本軽金属株式会社 ペリクル用支持枠、ペリクル用枠体およびペリクル用枠体の製造方法
CN100443988C (zh) * 2005-11-04 2008-12-17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双面显示器
TWI320123B (en) * 2005-12-23 2010-02-01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0769425B1 (ko) * 2006-09-21 2007-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TWI344571B (en) * 2006-12-06 2011-07-01 Au Optronics Corp Flat panel display module
JP5016963B2 (ja) * 2007-04-12 2012-09-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車輌用表示装置
CN101344661B (zh) * 2007-07-13 2010-05-26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组装方法
KR101290599B1 (ko) * 2007-10-02 2013-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모듈
JP2010243719A (ja) * 2009-04-03 2010-10-28 Victor Co Of Japan Ltd 筐体組み立て構造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966070B1 (ko) 2012-02-21 2019-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310636A (zh) * 2012-03-14 2013-09-18 海洋王(东莞)照明科技有限公司 限高警示装置
CN102645768A (zh) * 2012-05-14 2012-08-22 昆山电子羽电业制品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器框架
TWI588791B (zh) * 2012-09-28 2017-06-21 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N102879930B (zh) 2012-10-17 2014-08-1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窄边框液晶显示装置
TWI491963B (zh) * 2013-03-01 2015-07-11 Top Victory Invest Ltd Double - sid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4197228A (ja) * 2014-07-07 2014-10-16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4597641B (zh) * 2015-02-12 2017-08-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双面显示装置
JP6515652B2 (ja) * 2015-04-15 2019-05-22 オムロ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遊技機
JP6215867B2 (ja) * 2015-05-22 2017-10-18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KR20170052808A (ko) * 2015-11-04 2017-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US11175535B2 (en) * 2018-04-10 2021-11-16 Huizhou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liquid crystal display, and spliced display device
CN109166465A (zh) * 2018-11-06 2019-01-08 苏州与来视讯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化双面显示一体机
US11812564B2 (en) 2020-07-22 2023-11-07 Innolux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US11330726B2 (en) 2020-07-22 2022-05-10 Yujun CHIU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2475B2 (ja) 1988-09-29 1995-08-02 大成建設株式会社 シールドセグメント
JPH08114788A (ja) * 1994-10-14 1996-05-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JP3296160B2 (ja) * 1995-10-24 2002-06-24 富士通株式会社 表示ユニット
JPH09146466A (ja) 1995-11-27 1997-06-06 Sanyo Electric Co Ltd 表示モジュール
JP3730799B2 (ja) * 1999-04-07 2006-01-05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2001005406A (ja) * 1999-06-22 2001-01-12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及びホルダ
JP2001117084A (ja) 1999-10-15 2001-04-27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TW569059B (en) * 1999-12-09 2004-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1290445A (ja) 2000-04-06 2001-10-19 Toshiba Corp 平面表示装置
KR100873067B1 (ko) * 2002-07-11 2008-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JP2004144990A (ja) * 2002-10-24 2004-05-20 Alps Electric Co Ltd 両面発光型液晶表示モジュ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552B1 (ko) * 2008-02-11 2010-02-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328B1 (ko) 2006-11-23
JP2005196084A (ja) 2005-07-21
TW200529725A (en) 2005-09-01
CN100381901C (zh) 2008-04-16
US20050151895A1 (en) 2005-07-14
US7403243B2 (en) 2008-07-22
TWI264261B (en) 2006-10-11
JP3853792B2 (ja) 2006-12-06
CN1637501A (zh)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8328B1 (ko) 하우징 및 그 하우징을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27912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671182B1 (ko) Led 백라이트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led 모듈
US7911559B2 (en) Illuminating device and display using the same
JP2008116903A (ja) 収納容器及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WO2012014601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EP2751615B1 (en) Display apparatus
US20120182498A1 (en)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WO2014034485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7824050B2 (en) Diffusion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US9658390B2 (en) Light source cover including groove and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the light source cover
KR20030005882A (ko) 액정표시장치(lcd)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WO2014199669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4181566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20080088771A1 (en) Backlight module with lamp reflector means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same
WO2014109301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3813548B2 (ja) 液晶表示装置
WO2013011940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14074756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3051472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1111445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04045534A (ja) 液晶表示装置
KR102436466B1 (ko) 케이스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117049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WO2013094509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