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3013A - 잠재권축성을 가지는 나일론 분섬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잠재권축성을 가지는 나일론 분섬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3013A
KR20050073013A KR1020040001192A KR20040001192A KR20050073013A KR 20050073013 A KR20050073013 A KR 20050073013A KR 1020040001192 A KR1020040001192 A KR 1020040001192A KR 20040001192 A KR20040001192 A KR 20040001192A KR 20050073013 A KR20050073013 A KR 20050073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ylon
roller
component
turns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혁
정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40001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3013A/ko
Publication of KR20050073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01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8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ibres, filaments, or yarns, having different shrinkag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7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including aramid fibr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재권축성을 가지는 나일론 분섬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잠재권축성을 가지는 나일론 분섬사의 제조방법은 나일론 공중합물로 형성된 제1성분 고수축 나일론 폴리머 및 제2성분 일반 나일론 6 폴리머를 사용하여 복합방사하되, 방사구금을 편심형으로 하고 편심을 구성하는 일성분 폴리머의 중량비를 40 내지 60 중량%로 하고, 제 1 고뎃트 로울러에서의 턴수와 제2 고뎃트 로울러에서의 턴수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고 제2고뎃 로울러의 온도 80 내지 140℃로 열세팅한 후 2,500 m/min∼5,000 m/min의 와인더 속도로 와인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잠재권축성을 가지는 나일론 분섬사는 방사안정성 및 우수한 권축특성을 가질 뿐 만 아니라 원 스텝 공정으로 제조되어 제조단가가 저렴하다.
수학식 1
0 ≤ |a-b|≤1
(상기에서, a : 제1 고뎃로울러의 턴수이고, b : 제2 고뎃로울러의 턴수이다.)

Description

잠재권축성을 가지는 나일론 분섬사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NYLON HAVING POTENTIAL CRIMPING}
본 발명은 잠재권축성을 가지는 나일론 분섬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일론 공중합물로 형성된 제1성분 고수축 나일론 폴리머 및 제2성분 일반 나일론 6 폴리머를 사용하여 복합방사하되, 방사구금을 편심형으로 하고 편심을 구성하는 일성분 폴리머의 중량비를 40 내지 60 중량%로 하고, 제 1 고뎃트 로울러에서의 턴수와 제2 고뎃트 로울러에서의 턴수 및 제2고뎃 로울러의 온도를 조절하여 방사안정성 및 우수한 권축특성을 동시에 갖는 잠재권축성을 가지는 나일론 분섬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발권축성을 가지는 나일론 분섬사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서로 다른 2종의 폴리머를 사용하여 복합방사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나, 사용된 폴리머로서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2-91244호], 나일론과 폴리우레탄[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2-53925 및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3-220301호]등의 조합은 염색차에 의한 불균염 문제와 상용성의 부족으로 인하여 권축 특성이 약화된다. 따라서, 동일계 폴리머로 구성하여 시도하였으나, 사용된 고점도 및 저점도의 폴리머의 선택은 노즐표면에 곡사현상이 발생하여 방사작업성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곡사현상을 피하려는 노력으로 분배판 및 방사구금을 특수 제작하는 기술이 제시되었으나 제작 및 구성에 번거로움의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동일계 폴리머로 구성하되 동일계 공중합물을 고수축 부분으로 하고 일반 중합물을 저수축 부분으로 하는 경우, 두 성분간에 염색차나 상용성의 문제가 해소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권축특성을 갖게 된다고 밝히고 있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61-26612호 및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61-289125호].
이와 같이 동일계 폴리머를 사용하는 경우에 단면형태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 by side)으로 방사하면 방사구금이 간단하게 구성되고 권축률이 개선되기는 하나, 구금표면에서 곡사현상이 발생하여 방사작업성과 섬유균제도의 문제점이 여전히 남게된다. 따라서, 편심형의 잠재권축사가 제안되고 있지만, 이 경우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에 비하여 고수축 부분이 심부로 들어가 권축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공보 제2001-86716호에서 동일계 폴리머로서, 초부에 고수축성 공중합 나일론을, 심부로서 일반나일론을 사용하되 방사구금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 by side) 편심형 구조로 하여 권축특성이 우수한 잠재권축사를 제조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잠재권축사의 제조방법은 상기 폴리머가 방사구금을 통하여 토출된 후 3,000 m/min이상의 방사속도로 권취하여 부분연신사로 제조한 후 열연신하여 연신사로 제조될 경우, 방사공정, 연신공정 등의 각 공정에서 영향을 끼치는 외적 저해요인이 작용하여 잠재권축성을 가지는 나일론 분섬사에 적합한 원사를 생산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55-98922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6-31011호에서는 폴리아미드 분섬용 원사를 방사기에서 600 ∼ 1300m/min의 방사속도로 방사하고, 미연신사를 권취한 뒤 방사된 미연신사를 연신 공정을 거쳐 드럼 형의 무연 연신사를 사용한다고 게재하고 있다. 이러한 투 스텝 공정은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단가가 높아진다는 단점이 수반된다.
또한, 최근에는 분섬사에 크림프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분사시 가연을 해주는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크림프가 있는 분섬사의 제조 기술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가연공정시 사끼리 붙는 문제가 있어 분사만을 진행하는 방법에 비해 분사작업성이 떨어지고 가연기계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투자 및 유지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86117호에서 고속방사에 의한 원 스텝 공정(One Step Preocess)을 공지한 바 있다. 또한 상기 발명의 제조방법은 원사 섬도가 10 데니어 이상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단일성분의 열가소성 폴리아미드만을 방사구금을 용융방사하여 수행한 것으로, 권축특성의 효과가 낮다. 그러므로, 우수한 분산성 및 권축특성을 가지면서 원 스텝 공정으로 제조된 나일론 분섬사를 제조하는 방법은 아직까지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나일론 공중합물로 형성된 제1성분 고수축 나일론 폴리머 및 제2성분 일반 나일론 6 폴리머의 동일계 폴리머를 사용하여 복합방사하되, 방사구금을 편심형으로 하고, 제 1 고뎃트 로울러에서의 턴수와 제2 고뎃트 로울러에서의 턴수 및 제2고뎃 로울러의 온도를 조절하여 방사안정성 및 우수한 권축특성을 동시에 갖는 나일론 분섬사가 제조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안정성 및 우수한 권축특성을 가질 뿐 만 아니라 원 스텝 공정으로 제조되는 편심형의 나일론 잠재권축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나일론 공중합물로 형성된 제1성분 고수축 나일론 폴리머 및 제2성분 일반 나일론 6 폴리머를 사용하여 복합방사하되, 방사구금을 편심형으로 하고 편심을 구성하는 일성분 폴리머의 중량비를 40 내지 60 중량%로 하고, 제 1 고뎃트 로울러에서의 턴수와 제2 고뎃트 로울러에서의 턴수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고 제2고뎃 로울러의 온도 80 내지 140℃로 열세팅한 후, 2,500m/min∼5,000m/min의 와인더 속도로 와인딩하여 제조되는 편심형의 나일론 잠재권축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0 ≤ |a-b|≤1
(상기에서, a : 제1 고뎃로울러의 턴수이고, b : 제2 고뎃로울러의 턴수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편심형의 나일론 잠재권축사는 나일론 공중합물로 형성된 제1성분 고수축 나일론 폴리머 및 제2성분 일반 나일론 6 폴리머를 사용하여 복합방사하되, 방사구금을 편심형으로 하고 편심을 구성하는 일성분 폴리머의 중량비를 40 내지 60 중량%로 한다.
상기 고수축 나일론 폴리머 및 일반 나일론 6 폴리머는 96% 황산상대점도 차이가 0.2 이하로서 점도 차이가 적은 것이 바람직하고, 비수수축률이 10%이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2종의 동일계 폴리머를 사용한다.
이때, 점도차이가 0.2를 초과할 경우 방사노즐 직하에서의 곡사로 인하여 방사 작업성이 불량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성분이 20∼40 중량%의 나일론 6 및 60∼80중량%의 나일론 66이 공중합되고 황산상대점도가 2.5∼3.20, 비수수축률이 18∼26%인 고수축 나일론 폴리머이며, 편심형 노즐을 사용하여 복합방사할 경우, 초부로 형성된다.
또한 제2성분은 황산상대점도 2.4∼3.05, 비수수축률이 6∼9%인 일반 나일론 6이며, 편심형 노즐을 사용하여 복합방사할 경우, 심부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합물 및 노즐의 구성에 있어서는 제1성분(초부)으로서 고수축 나일론 폴리머, 제2성분(심부)으로서 일반나일론을 사용하되 방사구금을 편심형 구조로 하여 방사함에 있어 구성하는 일성분 폴리머의 중량비를 40 내지 60 중량%로 하여 편심형구조가 가지는 방사안정성 및 우수한 권축특성이 발현되도록 한다(도 1).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성하는 일성분 폴리머의 중량비는 50 내지 50 중량%이다. 특히 본 발명의 나일론 잠재권축사는 고수축 나일론 폴리머가 초부에 형성됨으로써, 종래 심부로 형성되는 것에 대비하여 권축특성이 향상된다.
상기의 2종의 폴리머를 편심형 노즐을 이용하여 복합방사할 때, 오일 로울러를 이용하여 유제를 단위 중량당 0.5∼1.5%로 되도록 부착시켜 오일링시키고, 제1고뎃트 로울러와 제2고뎃트 로울러의 속도차를 이용하여 연신하되, 제1고뎃로울러에서의 턴수와 제2고뎃 로울러에서 턴수가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해야 한다.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해야 하는 이유는 턴 방향을 서로 반대로 하여 제1 고뎃트 로울러에서 가해진 꼬임이 제 2 고뎃트 로울러에서 풀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때, 제1고뎃트 로울러의 턴수와 제2고뎃트 로울러의 턴수의 차가 1회 이상이 되면 사가 서로 꼬여 분사시 꼬임에 의해 사절된다.
이후, 제2고뎃트 로울러에 가해지는 온도를 80 내지 140℃, 바람직하게는 90℃∼120℃로 열세팅한다. 이때, 제2고뎃트 로울러에 가해지는 온도가 80℃미만일 경우 열셋팅성 부족으로 권취후 권자 형성이 불량해지고, 140℃가 넘어갈 경우 과도한 열셋팅에 의한 각 모노필라멘트 사이에 표면 융착이 발생하여 역시 분섬성이 불량해져서 권축률, 탄성률 등의 물성이 저하된다.
제2고뎃 로울러의 온도, 80 내지 140℃에서 열세팅한 후, 2,500m/min∼5,000m/min의 와인더 속도로 와인딩함으로써, 분섬성이 우수하며 후공정의 열처리 공정에서 모노필라멘트가 코일상으로 되어 잠재권축성을 가지는 나일론 분섬사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나일론 분섬사의 모노필라멘트 섬도는 10 ∼ 40 데니어이고 총섬도는 50 ∼ 300데니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과 같은 단면을 갖는 필라멘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제1성분(초부)을 나일론 66과 나일론 6의 중량조성비를 70:30으로 랜덤 공중합한 96% 황산상대점도 2.60의 고수축 나일론으로 하고, 제2성분(심부)을 황산상대점도 2.47의 일반 나일론 6을 편심형 노즐에서 복합 방사하였다. 이때 제1성분(초부)의 고수축 나일론의 비수수축률은 20%(고수축사 100%, FDY로 방사할 경우)이고, 제2성분(심부)의 일반 나일론 6의 비수수축률은 8%(일반 나일론6 100% 호모폴리머, FDY로 방사할 경우)였다. 또한 제1성분(초부):제2성분(심부)의 복합비는 50:50였다. 12개의 구멍을 가진 방사구금을 통하여 토출되는 폴리머를 제1고뎃트 로울러의 속도와 제2고뎃트 로울러의 속도간의 비율을 2.50, 제2고뎃트 로울러의 온도를 110℃, 제2고뎃트 로울러의 속도는 4,000 m/min로 설정하였으며, 제1고뎃로울러 및 제2고뎃로울러의 턴수는 공히 6.5회를 부여하였다. 이때, 하기 표1의 원사 특성 및 방사작업성을 갖는 240 데니어의 나일론 분섬사를 얻었다.
<실시예 2>
제1성분(초부)을 나일론 66과 나일론 6의 중량조성비를 65:35로 랜덤 공중합한 황산상대점도 3.18의 고수축 나일론(비수수축률 24%)으로 하고, 제2성분(심부)을 황산상대점도 3.08의 일반 나일론 6(비수수축률 8%)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240 데니어의 나일론 분섬사를 얻었다.
<비교예 1>
제1성분(초부)을 황산상대점도 2.47의 저점도 일반 나일론(비수수축률 8%)으로 하고 제2성분(심부)을 황산상대점도 3.08의 고점도 일반나일론(비수수축률 10%)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2>
제1성분(초부)을 황산상대점도 2.47의 저점도 일반나일론(비수수축률 8)으로 하고 제2성분(심부)을 황산상대점도 3.18의 고점도 고수축나일론(비수수축률 20%)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3>
복합비를 20:80으로 하여 제1성분(초부)을 황산상대점도 3.08의 일반나일론(비수수축률 10%)으로 하고, 제2성분(심부)을 황산상대점도 3.10의 고수축 나일론(비수수축률 23%)으로 하고, 제1성분(초부):제2성분(심부)의 복합비를 20:80이고, 제1고뎃 로울러의 턴수를 4.5회로 부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4>
제2고뎃트 로울러의 열 셋팅 온도를 150℃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5>
제2고뎃 로울러의 열 셋팅 온도를 60℃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나일론 분섬사에 대하여, 권축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권축률 및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1. 권축률
워프릴에서 20회를 권취하여 타래를 만든 직후, 30 분간 비수처리 후 30 분간 60℃의 온도에서 열풍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단계에서 탈수된 시료에 1/500(g/d)의 하중을 가한 후 그 길이(a)를 측정한 다음 하중을 제거하고, 다시 1/20(g/d)의 하중을 가한 후 그 길이(b)를 측정한 다음 하중을 제거하였다. 다시 1/500(g/d)의 하중을 가한 후 그 길이(c)를 측정한 다음 하중을 제거하고,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나일론 분섬사의 권축률을 계산하였다.
2. 탄성률
상기 1의 권축률의 측정방법을 따르되,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탄성률을 계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나일론 분섬사에 대한 측정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이에, 1) 복합비는 제1성분(초부)과 제2성분(심부)의 토출비이고, 2) 분섬성은 390 만m 분섬 시의 사절수를 의미하고, 3) 방사작업성은 사절 1회/일 미만인 경우, 양호 "○", 사절 1∼3회/일인 경우, 보통 "△" 및 사절 3회/일 초과인 경우, 불량 "×"로 표기하였다.
복합비1) 제2고뎃트로울러 온도(℃) 제1고뎃트로울러의턴수 방사작업성3) 탄성률 권축률 드럼 모양 사융착 정도(융착수/m) 꼬임수(개/m) 분섬성2)
실시예 1 50:50 110℃ 6.5 73.3 61.4 양호 0 0.0 1.0
실시예 2 50:50 110℃ 6.5 72.1 52.5 양호 0 0.0 1.0
비교예 1 50:50 110℃ 6.5 71.0 1.6 양호 0 0.0 1.0
비교예 2 50:50 110℃ 6.5 × - - - - - -
비교예 3 20:80 110℃ 4.5 73.3 61.4 양호 0 2.0 4.0
비교예 4 50:50 150℃ 6.5 60.0 40.0 양호 10 0.0 작업불가
비교예 5 50:50 60℃ 6.5 60.0 40.0 불량 0 0.0 5.0
상기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나일론 분섬사는 탄성률 및 권축률이 우수하였고, 사융착 또는 사의 꼬임숫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으며, 방사작업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사용한 나일론의 점도차가 각각 0.61 및 0.71인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조건에서 수행한 결과, 탄성률 특히 권축률이 현저히 저하되고, 방사작업성이 불량하였다.
또한 초부 및 심부의 구성비가 다르고 제1고뎃트 로울러의 턴수와 제2고뎃트 로울러의 턴수의 차가 1을 초과한 비교예 3의 경우, 권축특성은 양호하나 사의 꼬임이 발견되고 분섬성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비교예 4 및 비교예 5는 제2고뎃트 로울러 온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온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로서, 권축특성이 저하된 동시에 사융착 및 분섬성이 현저히 불량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원 스텝 공정으로 제조됨으로써 가격 경쟁력이 있는 나일론 잠재권축사를 제공하였고,
둘째, 제조된 나일론 잠재권축사가 탄성률 70%이상, 권축률 50%이상의 권축특성을 가짐으로써, 가연분섬사 분야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편심형의 나일론 분섬사의 단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성분(초부) 2 : 제2성분(심부)

Claims (3)

  1. 나일론 공중합물로 형성된 제1성분 고수축 나일론 폴리머 및 제2성분 일반 나일론 6 폴리머를 사용하여 복합방사하되, 방사구금을 편심형으로 하고 편심을 구성하는 일성분 폴리머의 중량비를 40 내지 60 중량%로 하고, 제 1 고뎃트 로울러에서의 턴수와 제2 고뎃트 로울러에서의 턴수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고 제2고뎃 로울러의 온도를 80 내지 140℃로 열세팅한 후, 2,500 m/min∼5,000 m/min의 와인더 속도로 와인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형의 나일론 잠재권축사의 제조방법.
    수학식 1
    0 ≤ |a-b|≤1
    (상기에서, a : 제1 고뎃로울러의 턴수이고, b : 제2 고뎃로울러의 턴수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이 20∼40 중량%의 나일론 6 및 60∼80중량%의 나일론 66이 공중합되고 황산상대점도가 2.5∼3.20, 비수수축률이 18∼26%인 고수축 나일론 폴리머이며, 초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편심형의 나일론 잠재권축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성분이 황산상대점도 2.4∼3.05, 비수수축률이 6∼9%인 일반 나일론 6이며, 심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편심형의 나일론 잠재권축사의 제조방법.
KR1020040001192A 2004-01-08 2004-01-08 잠재권축성을 가지는 나일론 분섬사의 제조방법 KR20050073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192A KR20050073013A (ko) 2004-01-08 2004-01-08 잠재권축성을 가지는 나일론 분섬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192A KR20050073013A (ko) 2004-01-08 2004-01-08 잠재권축성을 가지는 나일론 분섬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013A true KR20050073013A (ko) 2005-07-13

Family

ID=37262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192A KR20050073013A (ko) 2004-01-08 2004-01-08 잠재권축성을 가지는 나일론 분섬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30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25035T2 (de) Polytrimethylenterephthalatfasern
JP3827672B2 (ja) ポリエステル系複合繊維パーン
JP3953040B2 (ja) 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81093B1 (ko) 잠재권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그제조방법
KR101543113B1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가공사
KR20050073013A (ko) 잠재권축성을 가지는 나일론 분섬사의 제조방법
KR100537254B1 (ko) 나이론 중공 잠재권축사
KR100602284B1 (ko) 사이드-바이-사이드형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제조방법 및 사이드-바이-사이드형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JPS6358933B2 (ko)
EP0753608B1 (en) Spun yarn of polybenzazole fiber
KR100474963B1 (ko) 항균성 및 잠재권축성 복합사와 그 제조방법
JP6752757B2 (ja) サイドバイサイド分割型複合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生地の製造方法
KR100458991B1 (ko) 분섬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무연분섬용사의 제조방법
KR20070072018A (ko) 잠재권축성 및 이색효과를 가지는 나이론 분섬사의제조방법
JPH09170128A (ja) 特殊断面を有するセルロースアセテート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33622B2 (ja) 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の製造方法及び同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
JP3725064B2 (ja) スクリーン紗用ポリエステルモノフィラメント
JP3892799B2 (ja) 織編物の製造方法
KR20010028164A (ko) 고중공율의 중공사 방사구금
KR100493508B1 (ko) 나이론 잠재권축사의 제조방법
JP2002363827A (ja) ポリアミド潜在捲縮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20518A (ja) ナイロン中空マルチフィラ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274632B2 (ja) 潜在捲縮性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の製造方法
KR20030058305A (ko) 세데니어 나일론 잠재권축사의 제조방법
KR100537253B1 (ko) 잠재권축성 폴리아마이드 섬유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