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9730A - 자동차 플라스틱 내장재 코팅용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동차 플라스틱 내장재 코팅용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9730A
KR20050069730A KR1020030102102A KR20030102102A KR20050069730A KR 20050069730 A KR20050069730 A KR 20050069730A KR 1020030102102 A KR1020030102102 A KR 1020030102102A KR 20030102102 A KR20030102102 A KR 20030102102A KR 20050069730 A KR20050069730 A KR 20050069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resin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2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4115B1 (ko
Inventor
진숙원
배택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030102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115B1/ko
Publication of KR20050069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9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플라스틱 내장재 코팅용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을 포함하는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내부의 손잡이, 기기판 등의 플라스틱 내장재 코팅용 도료의 주수지로 사용가능한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을 포함하는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수지조성물은,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가죽 질감과 같은 부드러운 질감을 가지며 화학물질이나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대해서도 손상이 적어 내수성 및 내스크래치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자동차 플라스틱 내장재 코팅용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료조성물 {Method for preparing water dispersion polyurethane resin composition for coating of automotive plastic interior materials, and paint composition prepa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플라스틱 내장재 코팅용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을 포함하는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내부의 손잡이, 기기판 등의 플라스틱 내장재 코팅용 도료의 주수지로 사용되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을 포함하는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수지는 2액형이면서, 저온 경화성, 도막의 유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밸런스(balance)가 양호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폴리우레탄 수지는 플라스틱용 도료의 주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폴리우레탄 도료·도막의 특징은 하기 4가지 항목으로 정리된다.
1) 저온 경화성 (상온∼80℃ 경화 가능)
2) 도막 설계상의 자유도 (유연성 부여)
3) 우수한 외관 (고광택, 선명성)
4) 우수한 내화학약품성 및 내후성
이 중에서 저온 경화성과 도막설계의 자유도가 높다는 점이 플라스틱의 도료용으로서 적합한 이유이다. 이 때 저온 경화성이 필요한 이유는 플라스틱 기재의 내열성이 비교적 낮기 때문이며, 유연성이 필요한 이유는 플라스틱 기재가 유연한 상태로 되어 있더라도 도막이 경화되면 충격에 의해서 플라스틱 기재까지도 쉽게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폴리우레탄 도료는 용제형과 수용성, 두 가지 타입으로 나눌 수 있는데,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수용성 타입의 폴리우레탄 도료의 원료개발이 환경대책 도료로서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성 폴리우레탄에는 폴리우레탄을 수성화하여 수중 분산시킨 수분산성 폴리우레탄(polyurethane dispersion, 이하 PUD라 칭함)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PUD가 자동차 외장 또는 내장 도료용이라 하더라도 내약품성이나 고내구성이 요구되는 부위에는 적용이 곤란하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용제형 2액형 폴리우레탄 도료와 동등한 레벨의 저온 경화성 및 도막물성을 목표로 하는 수성 2액형 폴리우레탄 도료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수성 도료는 하기 두 가지 사항에서 플라스틱 도료에 적합하다.
1) 용제 사용량이 작기 때문에 플라스틱 기재에의 용매 크랙(solvent crack)이 일어나기 어렵다.
2) 수성 프라이머의 방법이 용제형보다 유연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종래의 미국특허 제6,414,079호에는 수분산의 수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우레탄 및 트리아진 수지의 수용액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우레탄가 선형, 가지형 또는 환형 지방족 또는 방향족 다기능성 카르복실산 및 지방족 선형 또는 가지형 다기능성 알콜을 다기능성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되는 부드러운 질감의 코팅재용 수분산 바인더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6,211,286호에는 환형 카보네이트를 측쇄 또는 말단에 갖는 지방족의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머와 적어도 2개의 프라이머리 아미노기를 갖는 아민을 포함하며, 아민기 대 환형 카보네이트의 비가 7:3∼3:7인 부드러운 질감의 코팅재용 바인더가 기재되어 있다.
이들 종래기술에서는 N-메틸피롤리돈(N-methylpyrrolidone, 이하 NMP라 칭함) 용제하에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디메틸올프로피오닉산(dimethylolpropionic acid, 이하 DMPA라 칭함) 및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키고 중화제로 중화시킨 후 수분산하는 공정을 통해 합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NMP와 같은 용제를 다량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문제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부드러운 질감이나 내수성, 내스크래치성 등의 물성의 향상도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구검토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NMP와 같은 용제를 거의 포함하지 않아 환경문제를 야기하지 않고, 부드러운 질감이나 내수성, 내스크래치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플라스틱 내장재 코팅용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수지조성물을 포함하는 도료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플라스틱 내장재 코팅용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20∼50중량부 및 DMPA 5∼10중량부를 NMP 10∼25중량부에 용해시킨 후 이소시아네이트 5∼20중량부와 반응시켜 NCO가 0%가 되는 시점에서 반응을 종료하고 아민으로 중화시킨 후 수분산시켜 수산기 함유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공하는 단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0∼30중량부 및 DMPA 2∼10중량부를 아세톤 10∼45중량부에 용해시키고 이소시아네이트 5∼15중량부와 반응시켜 NCO가 2∼3%가 되는 시점에서 반응을 종료하고, 아민으로 중화시킨 후 수분산시키고 쇄연장제 3∼10중량부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며, 아세톤을 증류시켜 완전히 제거하여 연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산기 함유 폴리우레탄 수지 및 연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1∼1.5 : 1의 비율로 혼합 및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료조성물은,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수지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을 구성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부드러운 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수성 수지는, 크게 수산기 함유 폴리우레탄 수지 및 연성(flexible) 폴리우레탄 수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즉, 수산기 함유 폴리우레탄 수지의 남아있는 OH기와 연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남아있는 NCO기가 도료 제조시 경화반응을 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큰 특징은 연성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시 종래 사용되는 NMP 대신 아세톤을 사용하여 합성을 진행하며 반응이 종료된 후 아세톤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제의 함량이 최소화된다는 점이다. 또한, 아세톤을 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반응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는 점을 보완하여 반응이 빠른 이소시아네이트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짧은 시간내에 반응이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플라스틱 내장재 코팅용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1) 수산기 함유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
우선, 촉매의 존재하에서 글리콜과 산을 중합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제조한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글리콜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되는 산은 아디픽산 또는 이소프탈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조건은 통상의 합성조건에 따라 실시가능하며, 100∼200℃에서 반응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반응온도가 180℃이상에서는 질소 가스 등의 비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의 황변을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양 말단에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분자량이 1200∼2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20∼50중량부 및 DMPA 5∼10중량부를 NMP 10∼25중량부에 용해시킨 후 이소시아네이트 5∼20중량부와 반응시켜 NCO가 0%가 되는 시점에서 반응을 종료하고 아민으로 중화시킨 후 수분산시켜 수산기 함유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한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테트라메틸 자이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며, 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20중량부를 초과하면 하드 세그먼트(hard segment)의 증가로 도료제조시 소프트 질감이 떨어지게 되고, 5중량부 미만이면 도료제조시 경화성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함량이 50중량부를 초과하면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의 함량이 많아져서 소프트 질감은 우수해지나 내스크래치성이 떨어지며, 20중량부 미만이면 소프트 세그먼트가 부족하여 소프트 질감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DMPA의 함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지의 산가가 높아지게 되고 입자크기가 감소하여 내수성이 떨어지게 되고, 5중량부 미만이면 부착성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NMP의 함량이 25중량부를 초과하면 도료제조시 전체 용제의 함량이 증가하여 VOC의 함량이 늘어나게 되고, 10중량부 미만이면 수지 합성시 점도가 증가하여 합성시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반응혼합물의 NCO가 0%가 되는 시점에서 반응을 종료하고 아민으로 중화시킨 후 물을 투입하여 수분산시키는데, 이때 사용하는 아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아민 및 디메틸에틸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하나이상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수분산시에는 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성을 고려하여 30∼40??에서 수분산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연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
전술한 수산기 함유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와 별도로, 연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한다. 연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단계시에 필요한 성분 중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DMPA, 이소시아네이트, 아민 등은 전술한 수산기 함유 폴리우레탄 수지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0∼30중량부 및 DMPA 2∼10중량부를 아세톤 10∼45중량부에 용해시키고 이소시아네이트 5∼15중량부와 반응시켜 NCO가 2∼3%가 되는 시점에서 반응을 종료하고, 아민으로 중화시킨 후 수분산시키고 쇄연장제 3∼10중량부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며, 아세톤을 증류시켜 완전히 제거하여 얻는다.
연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단계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함량이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소프트 세그멘트의 양이 증가하여 내스크레치성이 떨어지게 되고, 10중량부 미만이면 소프트 세그멘트가 부족하여 소프트 질감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DMPA의 함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지의 산가가 높아지게 되고 입자크기가 감소하며 내수성이 떨어지게 되고, 2중량부 미만이면 부착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아세톤의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수지합성시 점도가 높아 합성 안정성이 떨어지며 45중량부를 초과하면 합성 후 아세톤을 제거하는 공정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15중량부를 초과하면 하드 세그멘트가 증가하여 스크레치성은 좋아지지만 소프트필감이 부족하게 되고, 5중량부 미만이면 경화성이 부족하게 된다.
또한, 반응혼합물의 NCO가 2∼3%가 되는 시점에서 반응을 종료하고 아민으로 중화시킨 후 물을 투입하여 수분산시키는데, 남아있는 NCO의 양이 많으면 수분산시 물과 남아있는 NCO의 반응으로 점도가 급증하거나 우레탄폼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NCO가 2∼3%이면 반응을 종료시키게 된다. 또한, 이 후 수분산을 위해 투입되는 물은 남아있는 NCO%가 수분산시 첨가되는 물과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40℃ 이하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쇄연장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에틸렌디아민, 하이드라진 디에틸렌 디아민 및 이소포론디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쇄연장제의 함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쇄연장제 첨가시 점도가 증가하여 겔이 될 우려가 있으며, 3중량부 미만이면 분자량이 작아지게 된다.
3) 도료조성물의 제조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상기 수산기 함유 폴리우레탄 수지 및 연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1∼1.5 : 1의 비율로 첨가제와 함께 혼합하고 교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두 수지의 첨가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경화가 제대로 되지 않아 내스크래치성이 떨어지거나 소프트 질감이 부족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료조성물은, 상기 수지조성물과 함께,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첨가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게 공지인 일반적인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을 구성하는 첨가제들이 선택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특히, 소포제, 습윤제, 안료 및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소포제는 미네랄오일계 소포제인 BYK사의 BYK 032, BYK 036, BYK 037, 한국산노프코사의 HS ANTIFOAMER OSI, SN DEFOAMERVL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습윤제로는 양이온형 습윤제인BYK사의 Disperbyk, Disperbyk 184, Disperbyk 191로 이루어진 군으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안료로는 통상 사용되는 안료 또는 안료를 물과 분산제와 1 : 3 : 1의 비율로 혼합한 후 한 시간 이상 분산 처리한 안료(블랙 페이스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 BYK사의 BYK 333, BYK 306, BYK 337, BYK 2102로 이루어진 군으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료조성물에 있어서의 함유량은, 수산기 함유 폴리우레탄 수지 20∼30중량부, 연성 폴리우레탄 수지 20∼30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소포제 0.1∼1중량부, 습윤제 0.1∼2 중량부, 경화제 5∼15중량부, 블랙 페이스트 5∼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체 도료조성물의 잔량은 물이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도료조성물을 이용하여 자동차 내부의 손잡이, 기기판 등의 플라스틱 내장재를 분사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코팅하면,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가죽 질감과 같은 부드러운 질감을 가지며 화학물질이나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대해서도 손상이 적어 내수성 및 내스크래치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제조
온도계가 장치된 5000ml 3구 플라스크에 EG(에틸렌글리콜, 한국폴리올사 제품) 20중량부, DEG(디에틸렌글리콜, 한국폴리올사 제품) 15중량부, 아디픽산(한국바스프사 제품) 35중량부, 이소프탈산(KP케미칼사 제품) 20중량부, Fastcat4102 촉매(아토피나사 제품) 0.1중량부를 투입하고 온도를 100℃, 150℃, 180℃ 및 200℃의 단계로 승온시키면서 반응을 진행시켰다. 온도가 180℃ 이상이 되면 질소가스를 공급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의 황변을 억제하였다. 산가를 측정하여 산가가 2∼3정도가 되면 반응을 종료하고 냉각시킨다.
2) 수산기 함유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
온도계가 장치된 2000ml 3구 플라스크에 하기 표 1에 따른 함량으로, DMPA(한국바스프사 제품), NMP(한국바스프사 제품), 1)의 단계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바이엘사 제품)를 투입하고 온도를 90℃로 승온하였다. 1시간 후 NCO%를 측정하여 0% 정도가 되면 온도를 60℃로 낮춘다.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중화한 후 30분간 유지시킨 후 물(DIW)을 10분간에 걸쳐 투입하며 수분산시킨다. 물을 투입하면 저 점도 상태에서 고점도 상태를 거쳐 다시 저 점도 상태를 유지하며 온도를 상온으로 내린 후 200mesh로 필터한다.
3) 연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
온도계가 장치된 2000ml 3구 플라스크에 하기 표 1에 따른 함량으로, DMPA(한국바스프사 제품), 아세톤, 이소시아네이트(바이엘 제품), 1)의 단계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투입하고 온도를 50℃로 승온하였다. 2시간 후 NCO%를 측정하여 3%이내에 해당되면 온도를 40℃로 낮추었다. 이후 TEA를 투입하여 중화시켰다. 약 30분 후에 온도를 30℃로 고속 교반시키면서 물(DIW)을 공급하여 수분산시켰다. 이 때의 교반속도는 300∼400rpm이다. 물을 모두 투입한 다음, 즉시 쇄연장제인 ED를 투입한 후 한시간 정도 유지하였다. 다시 온도를 50℃에서 90℃까지 단계적으로 승온시키면서 분별증류법을 이용하여 아세톤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4) 도료의 제조
하기 표 2에 따라, 2)의 단계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지에 물(DIW)을 넣고 충분히 분산시킨 후 소포제(BYK사, BYK037), 습윤제(BYK사, Disperbyk184), 블랙 페이스트(안료를 물과 분산제와 1:3:1의 비율로로 혼합한 후 한시간 이상 분산 처리하여 제조)를 순서대로 넣는다. 각 물질을 넣을 때마다 일정시간 이상 충분히 교반시켜 준다. 2) 단계의 혼합물을 교반하는 상태에서, 3)의 단계의 혼합물을 첨가한 후 경화제(BYK사, WT2102)를 넣고 충분히 교반시켰다.
이렇게 제조된 도료조성물을 시편에 스프레이한 후 80℃에서 20분 동안 경화시킨 후 도료 물성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통상의 시판제품인 이베시아사의 A662 수지와 솔루시아사의 VTW6430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의 도료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료를 제조하여 시편에 스프레이한 후 80℃에서 20분 동안 경화시킨 후 도료 물성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통상의 시판제품인 솔루시아사 VTW6420 수지와 VTW6430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의 도료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료를 제조하여 시편에 스프레이한 후 80℃에서 20분 동안 경화시킨 후 도료 물성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성분 수산기 함유 폴리우레탄 수지(중량부) 연성 폴리우레탄 수지(중량부)
폴리에스테르폴리올 30 15
DMPA 8 3
NMP 15 0
아세톤 0 25
이소시아네이트 15 8
트리에틸아민 3 3
에틸렌디아민 0 3
DIW 29 43
Total 100 100
고형분(%) 50 35
성분 중량부
수산기 함유 폴리우레탄 수지 33.2
연성 폴리우레탄 수지 22.9
DIW 18
소포제 0.3
습윤제 0.5
블랙 페이스트 9.6
경화제 10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초기 스크래치 1 2 3
내용제성 2 1 3
내수성 1 2 3
부드러운 질감 1 2 3
(1=우수, 2=보통, 3=불량)
※ 물성 측정방법
1) 초기 스크래치(scratch):
80℃에서 20분 동안 경화시킨 직후 도막의 상태를 관찰
손톱이나 핀으로 긁어서 도막이 손상되는 정도를 관찰
2) 내용제성:
도막 완전 경화 후 알콜 러빙 테스트(rubbing test)로 도막의 손상정도를 관찰함. 알콜을 묻힌 솜으로 각 시편별로 동일회수로 문질러 도료가 벗겨지는 정도를 관찰함.
3) 내수성:
도막 완전 경화 후 물(DIW) 1ml 적하하여 흡수 및 외관 상태를 관찰
물에 닿은 부분에 자국이나 얼룩이 생기는 정도를 비교함.
4) 부드러운 질감:
도막 완전 경화후 도막의 표면을 관찰
손으로 문질러 각각의 질감을 상대비교로 평가함.
전술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 및 도료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가죽 질감과 같은 부드러운 질감을 가지며 화학물질이나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대해서도 손상이 적어 내수성 및 내스크래치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자동차 플라스틱 내장재 코팅용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20∼50중량부 및 디메틸올프로피오닉산(dimethylolpropionic acid, 이하 DMPA라 칭함) 5∼10중량부를 N-메틸피롤리돈(N-methylpyrrolidone, 이하 NMP라 칭함) 10∼25중량부에 용해시킨 후 이소시아네이트 5∼20중량부와 반응시켜 NCO가 0%가 되는 시점에서 반응을 종료하고 아민으로 중화시킨 후 수분산시켜 수산기 함유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공하는 단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0∼30중량부 및 DMPA 2∼10중량부를 아세톤 10∼45중량부에 용해시키고 이소시아네이트 5∼15중량부와 반응시켜 NCO가 2∼3%가 되는 시점에서 반응을 종료하고, 아민으로 중화시킨 후 수분산시키고 쇄연장제 3∼10중량부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며, 아세톤을 증류시켜 완전히 제거하여 연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산기 함유 폴리우레탄 수지 및 연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1∼1.5 : 1의 비율로 혼합 및 교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글리콜 성분의 양 말단에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분자량이 1200∼2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테트라메틸 자이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에 따라 제조된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소포제, 습윤제, 안료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도료조성물.
KR1020030102102A 2003-12-31 2003-12-31 자동차 플라스틱 내장재 코팅용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료조성물 KR101044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2102A KR101044115B1 (ko) 2003-12-31 2003-12-31 자동차 플라스틱 내장재 코팅용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2102A KR101044115B1 (ko) 2003-12-31 2003-12-31 자동차 플라스틱 내장재 코팅용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730A true KR20050069730A (ko) 2005-07-05
KR101044115B1 KR101044115B1 (ko) 2011-06-24

Family

ID=3726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2102A KR101044115B1 (ko) 2003-12-31 2003-12-31 자동차 플라스틱 내장재 코팅용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11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799B1 (ko) * 2005-12-28 2007-06-20 (주)디피아이 홀딩스 2액형 폴리우레탄 도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83054B1 (ko) * 2006-12-29 2007-12-07 (주)디피아이 홀딩스 수용성 우레탄 수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도료조성물
KR100985274B1 (ko) * 2008-07-22 2010-10-04 이성민 플라스틱 도장용 수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플라스틱 케이스 제조방법
KR101149570B1 (ko) * 2005-12-31 2012-05-30 주식회사 케이씨씨 개선된 경화도 및 내한치핑성을 가지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
KR101412758B1 (ko) * 2007-09-10 2014-07-02 주식회사 케이씨씨 2성분형 수성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
KR101452481B1 (ko) * 2007-06-19 2014-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의 외관 도장 방법
KR20160019195A (ko) 2014-08-11 2016-02-19 주식회사 서연이화 내습성이 강화된 자동차 내장재용 친환경 경량기재
KR20160081541A (ko) * 2014-12-31 2016-07-08 벽산페인트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20180082687A (ko) * 2017-01-10 2018-07-19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차량 내외장재용 열 가소성 소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내외장재 성형품
KR20200125883A (ko) * 2019-04-28 2020-11-05 동세철 Pu올리고머 혼합물의 코팅방법
KR20220131747A (ko) * 2021-03-22 2022-09-29 한국신발피혁연구원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고고형분 수분산 폴리우레탄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4102D0 (en) 1988-03-09 1989-04-05 Ici Resins Bv Polyurethane coating compositions
KR0167002B1 (ko) * 1994-12-27 1999-03-20 김충세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의 제조방법과 이에 따른 수지가 함유된 도료 조성물
DE102005019430A1 (de) * 2005-04-25 2006-10-26 Bayer Materialscience Ag N-Methylpyrrolidon-freie Polyurethan-Dispersionen auf Basis von Dimethylolpropionsäur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799B1 (ko) * 2005-12-28 2007-06-20 (주)디피아이 홀딩스 2액형 폴리우레탄 도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49570B1 (ko) * 2005-12-31 2012-05-30 주식회사 케이씨씨 개선된 경화도 및 내한치핑성을 가지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
KR100783054B1 (ko) * 2006-12-29 2007-12-07 (주)디피아이 홀딩스 수용성 우레탄 수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도료조성물
KR101452481B1 (ko) * 2007-06-19 2014-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의 외관 도장 방법
KR101412758B1 (ko) * 2007-09-10 2014-07-02 주식회사 케이씨씨 2성분형 수성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
KR100985274B1 (ko) * 2008-07-22 2010-10-04 이성민 플라스틱 도장용 수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플라스틱 케이스 제조방법
KR20160019195A (ko) 2014-08-11 2016-02-19 주식회사 서연이화 내습성이 강화된 자동차 내장재용 친환경 경량기재
KR20160081541A (ko) * 2014-12-31 2016-07-08 벽산페인트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20180082687A (ko) * 2017-01-10 2018-07-19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차량 내외장재용 열 가소성 소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내외장재 성형품
KR20200125883A (ko) * 2019-04-28 2020-11-05 동세철 Pu올리고머 혼합물의 코팅방법
KR20220131747A (ko) * 2021-03-22 2022-09-29 한국신발피혁연구원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고고형분 수분산 폴리우레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115B1 (ko) 201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5424B2 (ja) 水酸基変性ポリウレタン分散体結合剤を含む多層コーティング系
JP6984838B2 (ja) カルボキシル基含有水性樹脂組成物、成形体、及びポリカルボジイミド化合物の製造方法
KR101791283B1 (ko) 수성 음이온 폴리우레탄 분산액
KR20020026142A (ko) 비수성 열경화성 2성분 도료 조성물
JP2004010898A (ja) 架橋性ポリウレタンの組成物
ZA200510371B (en) Water-dilutable polyurethane dispersions
CN112831012B (zh) 一种用于tpu隐形车衣的水性自修复涂料及涂层
KR101044115B1 (ko) 자동차 플라스틱 내장재 코팅용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료조성물
KR101159151B1 (ko) 수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도료 조성물
US20060183848A1 (en) Self-crosslinking high-molecular polyurethane dispersion
EP0632076B1 (de) Verfahren zur Mehrschichtlackierung
US20210054229A1 (en) Non-hazardous water-based polyurethane dispersion
KR100964158B1 (ko)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JP7058571B2 (ja) 水分散ブロック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水分散体、水系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コーティング基材
KR101609806B1 (ko) 2-메틸사이클로헥산-1,3,5-트리아민을 이용한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JPS64425B2 (ko)
EP2928937B1 (en) Nitrofunctional polyurethane dispersions for binder compositions
EP2765147A1 (en) Aqueous polyurethane dispersion derived from tertiary alkyl glycidyl esters
KR100855092B1 (ko)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방법, 수용성 플라스틱 코팅도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89476A (ko) 수용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수용성 클리어 코트 조성물
KR20230089479A (ko)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수용성 클리어 코트 조성물
KR20230105701A (ko)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용 내스크래치성 코팅제 제조방법
KR100507966B1 (ko) 이온성 에테르 폴리올을 함유하는 수분산 폴리우레탄탄성체 제조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011496B (zh) 无溶剂型水分散性氨基甲酸酯树脂的制备方法及包含由此制备的树脂的水溶性涂料组合物
KR20050069140A (ko) 수용성 자동차 보수용 우레탄 피막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