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9343A -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 - Google Patents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9343A
KR20050069343A KR1020030101340A KR20030101340A KR20050069343A KR 20050069343 A KR20050069343 A KR 20050069343A KR 1020030101340 A KR1020030101340 A KR 1020030101340A KR 20030101340 A KR20030101340 A KR 20030101340A KR 20050069343 A KR20050069343 A KR 20050069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entral server
unit
yard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1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호기
박상민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30101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9343A/ko
Publication of KR20050069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934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은, 항만으로 반·출입하는 컨테이너의 기본 정보와 위치를 입력하여 컨테이너별 식별 코드를 생성한 후 중앙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함과 동시에 컨테이너 운반 차량에 식별 코드를 전송하는 코드생성부와; 상기 입력장치부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저장하고 가공, 처리하여 컨테이너의 적재 위치를 설정하는 중앙 서버와; 상기 코드생성부로부터 코드를 부여받고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컨테이너 적재 위치를 전송받는 차량단말부; 및 야적장내 블록에 설치되고, 블록위치와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식별 코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System for tracing position of container in Container Yard}
본 발명은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출, 수입, 환적을 목적으로 야적장에서 대기하고 있는 컨테이너의 반·출입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야적장내의 컨테이너 위치를 추적하고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경제의 규모가 확대되고 국제사회에서 물류의 이동량이 증가함에 따라, 해상을 통한 물류의 이동도 이와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제 화물 수송의 거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항만은 국제교역의 경쟁력 향상에 직결되는 사회간접자본이다. 화물량에 비하여 항만시설이 부족하면 유통비용 상승을 초래해 국제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수출입 무역 장애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컨테이너 터미널은 국가간 컨테이너 물류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해상운송과 육상운송의 연결점으로서 하역 및 보관의 기능을 수행하는 항만 물류시스템이다. 상기 컨테이너 터미널은 작업이 이루어지는 영역별로 크게 안벽, 장치장, 게이트로 나누어져 있다.
안벽에서는 수출입 화물의 양적하 작업이 이루어지며, 장치장은 수출입 화물이 터미널에 양하 또는 반입된 후 본선에 적하 또는 게이트를 통해 반출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공간이며, 게이트에서는 수출입 화물의 반출입 작업이 이루어진다. 게이트의 역할은 컨테이너의 경우 게이트를 통과하여야 선적이 가능하며, 수입화물의 경우 게이트를 통과함으로써 화주에게 인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예로서, 인천 내항 4부두의 41번 컨테이너 전용 야적장의 배치도이다. 상기 컨테이너 전용 야적장의 장치 능력은 7,000TEU(Twenty foot Equivalent)이며, 수출용 컨테이너의 반출입을 위한 게이트 1곳, 수입용 컨테이너의 반출입을 위한 게이트 1곳을 가지고 있다.
현재 수입용 컨테이너는 수출용 컨테이너 다음 라인부터 4개의 라인에 있는 블록에 적재되며, 야적장 전체의 60%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상기 컨테이너 야적장은 수출용 컨테이너와 수입용 컨테이너를 구분하여 전용 로케이션(Location)을 두어 관리·운영하고 있다.
수출용 컨테이너는 선적 선박별 그룹으로 관리하며, 선박이 도착하기 전에 선적을 위하여, VIP 도로와 선적 배후 공간을 활용하여 컨테이너를 다시 적재한다.
수입 컨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한 특별한 기준은 없으며, 같은 화주 컨테이너별 그룹으로 관리하고 있다.
수입물량의 반출, 공 컨테이너 반·출입은 Gate #2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블록 내 적재 현황은 수작업을 통해 서류로 작성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현재의 컨테이너 장치장의 운영 시스템에서 특히 수입 컨테이너의 게이트 통과시 수출 컨테이너의 게이트 통과시에 비해 적재위치 통보 및 확인과 같은 추가 사항으로 인해 대기 시간이 길어 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상기 도 1의 게이트 동선을 살펴보면 수입을 위한 넓은 야적장에 퍼져 있는 다수의 블록을 트레일러가 찾아 들어가는 동선과 컨테이너를 적재한 후 되돌아 나오는 동선 및 공컨테인너 반출입을 위한 트레일러의 동선이 서로 엉켜있어 지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출, 수입, 환적을 목적으로 장치장에서 대기하고 있는 컨테이너의 반·출입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야적장내의 컨테이너 위치를 추적하고 운영할 수 있는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은, 항만으로 반·출입하는 컨테이너의 기본 정보와 위치를 입력하여 컨테이너별 식별 코드를 생성한 후 중앙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함과 동시에 컨테이너 운반 차량에 식별 코드를 전송하는 코드생성부와; 상기 입력장치부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저장하고 가공, 처리하여 컨테이너의 적재 위치를 설정하는 중앙 서버와; 상기 코드생성부로부터 코드를 부여받고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컨테이너 적재 위치를 전송받는 차량단말부; 및 야적장내 블록에 설치되고, 블록위치와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식별 코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으로서, 상기 코드생성부는, 컨테이너의 기본 정보 및 위치 상태를 입출력할 수 있는 제1 입출력부와;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차량별로 코드 번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수집부; 및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송수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코드생성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와; 컨테이너 운반 차량으로부터 전송된 위치를 수신하는 위치 인식부와; 저장된 정보를 가공·처리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블록 위치를 설정하는 제2 데이터 수집부와; 설정된 블록 위치 및 야적장 내 컨테이너 운반 차량의 위치를 차량단말부에 전송하는 제2 송신부; 및 개별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제2 입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차량단말부는, 컨테이너 운반 차량에 부착되며; 상기 코드생성부로부터 부여된 코드 번호와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된 컨테이너 적재 블록 위치 및 타 컨테이너 운반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는 스크린; 및 해당 블록 위치에 컨테이너 운반을 종료한 후에 종료를 상기 중앙 서버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코드생성부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중앙 서버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차량 단말부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역된 컨테이너는 블록으로 운반되기 전 코드생성부(10)에서 컨테이너의 기본 정보가 입력되어 코드번호를 부여받고, 입력된 데이터와 코드번호는 중앙 서버(20)로 전송된다.
중앙 서버(20)는 전송된 데이터와 컨테이너 운반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위치를 수집하여 차량 단말부(30)에 적재 블록 위치와 야적장내 다른 컨테이너 운반 차량의 위치를 전송한다.
또한, 중앙 서버(20)는 블록 내에 설치된 표시 장치(40)에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코드 번호를 송신한다.
차량 단말부(30)는 차량 위치를 상기 중앙 서버(20)에 전송하고,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된 적재할 블록의 위치와 야적장내 다른 운반 차량의 위치를 스크린에 표시한다. 차량의 위치 추적에는 GPS가 사용된다.
블록 내에 설치된 표시 장치(40)는 블록의 위치와 중앙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적재될 컨테이너의 코드 번호를 스크린에 표시한다. 표시 장치(40)의 스크린으로는 LCD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표시 장치(40)에 표시된 컨테이너의 코드 번호와 블록 위치는 차량의 운전자들이 적재할 블록이 올바른지를 확인하여 잘못 적재되어 중앙 서버(20)에서 적재 컨테이너의 위치등을 파악하고 관리하는데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게 된다.
상기 코드생성부(10)는, 컨테이너의 기본 정보 및 위치 상태를 입출력할 수 있는 제1 입출력부(11, 12)로서, 예를 들어, 키보드와 모니터등을 함께 포함한다.
또한, 코드생성부(10)는 주 컨테이너 운영 회사와 물류 회사, 반입일, 반출일 등을 간단한 코드로 변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컨테이너가 게이트에서 통과되어 블록에 적재되기 위해 이동하기 전에 컨테이너에 관한 기본 정보 등을 입력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 컨테이너에 해당하는 코드 번호를 생성하는 제1 데이터수집부(13)를 포함한다. 상기의 과정을 거쳐 생성된 코드번호는 제1 송신부(15)를 통해 차량 단말부(30)에 전송된다. 코드 생성부(10)는 중앙 서버(20)로부터 제1 수신부(14)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상기 중앙서버(20)는, 상기 코드생성부(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송수신부(25, 24)와, 차량 단말부(30)로부터 전송된 위치를 수신하는 위치 인식부(26)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 컨테이너의 블록 위치를 설정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제2 데이터 수집부(23)에서 데이터를 가공·처리하여 컨테이너가 적재될 블록 위치를 선정한다. 선정된 블록 위치는 제3 송신부(27)에 의해 차량 단말부(30)로 전송되고, 블록 내에 설치된 표시부(40)에는 그 블록에 적재될 컨테이너의 코드 번호를 전송한다. 제2 데이터 수집부(23)의 블록 위치 설정 프로그램에는 반입일과 반출일, 게이트에서 블록까지의 거리 등의 조건이 입력되어 최적화된 블록 위치를 선정하게 된다.
또한, 중앙 서버(20)는 독립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입출력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키보드와 모니터 등과 같은 제2 입출력부(21, 22)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운반 차량에 부착되는 상기 차량단말부(30)는, GPS 수신기로서의 주요 기능을 하여 중앙 서버(20)에 컨테이너의 위치를 송신하고, 컨테이너 운반 차량의 운전자가 볼 수 있는 스크린(3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크린(31)에는 코드 생성부(10)로부터 전송받은 운반 컨테이너의 코드번호와 중앙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컨테이너가 적재될 블록 위치를 문자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31)에는 야적장 내에서 이동 중인 차량의 위치가 중앙 서버에서 수집되어 야적장의 구조를 보여주는 전자지도 상에 표시된다. 운전자는 스크린 상에 표시된 블록 위치를 통해 운반 목적지를 쉽게 알 수 있으며, 야적장 내에서 이동 중인 타 차량의 위치를 미리 파악하여 이동 중의 다른 차량과의 충돌 등으로 인한 지체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차량 단말부(30)에는 운반 종료를 상기 중앙 서버(20)에 통지하는 통지부(32)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 운반을 마친 차량 운전자는 상기 통지부(32)를 통해 운반 완료를 중앙 서버(20)에 통지하게 된다. 통지부(32)로부터 완료 통지를 받은 중앙 서버(20)는 제2 데이터 수집부(23)에 저장하여, 계속되는 타 컨테이너의 적재 블록 위치를 선정하는데 이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게이트 통과시 컨테이너에 개별적인 코드 번호를 부여하고, 컨테이너에 관해 입력된 정보로 야적장 내의 블록 위치를 선정하여, 컨테이너 운반 차량에 통보하게 된다. 컨테이너 운반 차량은 차량 단말부에 표시된 코드 번호, 적재 블록 위치, 야적장 내 다른 운반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지체없이 운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은, 컨테이너에 개별 코드 번호를 부여하여 게이트에서 컨테이너의 정보를 입력하고 무선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중앙서버에서 가공·처리하여 최적의 블록 위치를 선정하며, 컨테이너 운반 차량에는 GPS 수신기가 부착되어 야적장 내의 컨테이너 운반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효율적인 컨테이너의 반·출입이 이루어지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적재 후 문서로 관리하던 컨테이너 관리를 중앙 서버에서 일괄적으로 관리·운영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 또한 향상된다.
또한, 컨테이너 이동 동선을 체계화하여 최단 거리로 운반되도록 할 수 있어 컨테이너 취급 장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결과적으로 야적장 내의 컨테이너의 핸들링 비용을 줄일 수 있어 물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 전용 야적장의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에서 코드생성부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에서 중앙 서버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에서 차량 단말부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드생성부 11, 21 : 입력부
12, 22 : 출력부 13, 23 : 데이터 수집부
14, 24 : 수신부 15, 25, 27 : 송신부
26 : 위치 인식부 30 : 차량 단말부
31 : 스크린 32 : 통지부
40 : 표시부

Claims (4)

  1. 항만으로 반·출입하는 컨테이너의 기본 정보와 위치를 입력하여 컨테이너별 식별 코드를 생성한 후 중앙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함과 동시에 컨테이너 운반 차량에 식별 코드를 전송하는 코드생성부와;
    상기 입력장치부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저장하고 가공, 처리하여 컨테이너의 적재 위치를 설정하는 중앙 서버와;
    상기 코드생성부로부터 코드를 부여받고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컨테이너 적재 위치를 전송받는 차량단말부; 및
    야적장내 블록에 설치되고, 블록위치와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식별 코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생성부는,
    컨테이너의 기본 정보 및 위치 상태를 입출력할 수 있는 제1 입출력부와;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컨테이너별로 코드 번호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수집부; 및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송수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코드생성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와;
    컨테이너 운반 차량으로부터 전송된 위치를 수신하는 위치 인식부와;
    저장된 정보를 가공·처리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블록 위치를 설정하는 제2 데이터 수집부와;
    설정된 블록 위치 및 야적장 내 컨테이너 운반 차량의 위치를 차량단말부에 전송하는 제2 송신부; 및
    개별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제2 입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단말부는,
    컨테이너 운반 차량에 부착되며; 상기 코드생성부로부터 부여된 코드 번호와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된 컨테이너 적재 블록 위치 및 타 컨테이너 운반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는 스크린; 및
    해당 블록 위치에 컨테이너 운반을 종료한 후에 종료를 상기 중앙 서버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0030101340A 2003-12-31 2003-12-31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 KR20050069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340A KR20050069343A (ko) 2003-12-31 2003-12-31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340A KR20050069343A (ko) 2003-12-31 2003-12-31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343A true KR20050069343A (ko) 2005-07-05

Family

ID=3725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340A KR20050069343A (ko) 2003-12-31 2003-12-31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93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714B1 (ko) * 2003-09-05 2008-03-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방법
KR100924299B1 (ko) * 2008-12-01 2009-11-02 (주)컴서스 야적장내 자동차 위치 파악 시스템
KR102636029B1 (ko) * 2022-12-09 2024-02-13 주식회사 컨테인어스 강화학습 기반 컨테이너 장치 위치 추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714B1 (ko) * 2003-09-05 2008-03-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방법
KR100924299B1 (ko) * 2008-12-01 2009-11-02 (주)컴서스 야적장내 자동차 위치 파악 시스템
KR102636029B1 (ko) * 2022-12-09 2024-02-13 주식회사 컨테인어스 강화학습 기반 컨테이너 장치 위치 추천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eenken et al. Container terminal operation and operations research-a classification and literature review
US20200082323A1 (en) Shipmen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on of goods shipments
CN107085777A (zh) 一种物流货物实况跟踪方法及装置
CN109544081B (zh) 物流拣选模式匹配方法及系统
CN110472913A (zh) 一种出货监控方法及装置
US10332058B1 (en) Real time communication for carrier operations
JP2011523153A (ja) 車両の作業指示の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CN108100874B (zh) 一种港口自动化装卸工艺
JP4969232B2 (ja) 資材ロケ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資材搬入場所選別方法
CN113320865B (zh) 仓储管理方法、装置、仓储机器人、仓储系统及介质
KR20050069343A (ko)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
JP2015221708A (ja) コンテナ内航船情報管理システム
KR101679826B1 (ko) 컨테이너 터미널 내 복수 장비의 작업흐름 관리방법
CN109636080A (zh) 物联网模式下的新型集装箱拖车排队系统
US20070162299A1 (en) Materials location system and selecting method of materials receiving locations
JP2005335870A (ja) 物流管理システム、物流管理方法、輸送体端末、及び物流管理プログラム
CN112279096B (zh) 基于增强现实的集装箱翻箱提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adir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 Container Terminal for Speed up Clearance Process.
KR101732037B1 (ko) 가상 모선에 등록된 선적 예약을 실제 모선으로 자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자동 변환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70656A (ko) 컨테이너 반·출입을 위한 게이트-장치장 관리 시스템
JP4702697B2 (ja) コンテナ輸送品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テナ輸送品管理方法
Valentina New technologies used for automation of container handling at terminals
JP2002255350A (ja) コンテナタ−ミナルの管理方法および管理装置
CN106886879A (zh) 物流管理系统
CN113673882B (zh) 一种物品分拣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