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8808A -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카메라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8808A
KR20050068808A KR1020030100620A KR20030100620A KR20050068808A KR 20050068808 A KR20050068808 A KR 20050068808A KR 1020030100620 A KR1020030100620 A KR 1020030100620A KR 20030100620 A KR20030100620 A KR 20030100620A KR 20050068808 A KR20050068808 A KR 20050068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deleted
key
dele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7773B1 (ko
Inventor
전영준
남경태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0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773B1/ko
Priority to US11/024,173 priority patent/US7502055B2/en
Priority to CNA2004100818045A priority patent/CN1638461A/zh
Publication of KR20050068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7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모드; 및 저장된 영상파일을 재생하는 재생모드;를 구비하고, 재생모드에서, 삭제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및 재생모드에서 촬영모드로 모드변환되는 시점 이후에서, 삭제예정버퍼에 정보가 기록된 파일을 저장매체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는, 재생모드에서 삭제 선택된 파일을 즉시 메모리카드에서 삭제하지 않고, 촬영모드로 전환된 시점 이후에 삭제 선택된 파일을 메모리카드에서 삭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한 파일삭제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카메라{File managament method of the digital camera and a digital camer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카메라에서 삭제될 파일의 관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지털 카메라는 한번 삭제된 파일은 복구할 수 없다. 이로 인하여, 디지털 카메라는 파일을 삭제하는데 있어서 여러 단계의 삭제 확인 절차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면, 새로운 영상 촬영을 위한 저장공간 확보를 위해 미리 기존의 영상 파일들을 삭제하여 저장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미리 파일을 삭제하는 작업에 의하여, 촬영후 메모리에 빈공간이 실제로 더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삭제된 파일들을 복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재생모드에서 삭제 선택된 파일을 즉시 메모리카드에서 삭제하지 않고, 소정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 메모리카드에서 삭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한 파일삭제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 및 그 파일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모드; 및 저장된 영상파일을 재생하는 재생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모드에서, 삭제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모드에서 촬영모드로 모드변환되는 시점 이후에서, 상기 삭제예정버퍼에 정보가 기록된 파일을 저장매체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일관리방법은, 삭제 선택된 파일의 정보를 삭제예정버퍼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파일관리방법은, 상기 삭제하도록 선택된 파일과 선택되지 않은 파일의 영상을 구분하여 간이보기할 수 있다.
상기 파일관리방법은, 상기 재생모드에서 상기 촬영모드로 변경되기 전에는, 상기 삭제 선택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파일관리방법은, 상기 삭제 선택된 파일의 용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일관리방법은, 상기 삭제 선택된 파일의 용량과 저장매체의 빈공간의 용량을 합한 용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관리방법은, 상기 삭제 선택된 파일의 용량을 촬영가능매수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관리방법은, 상기 삭제 선택된 파일의 용량을 동영상 촬영가능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관리방법은, 상기 삭제 선택된 파일의 용량을 녹음가능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는,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 파일을 간이보기로 표시하되, 삭제 선택된 파일과 그렇지 않은 영상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간이보기 영상에서 커서를 이동하는 방향키; 상기 커서가 위치한 파일을 삭제 선택하는 삭제키; 상기 삭제 선택된 파일을 복구하는 복구키; 촬영모드와 재생모드를 선택하는 모드키; 및 삭제 선택된 파일의 정보를 기록하는 삭제예정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키 입력에 의하여 촬영모드로 변경되는 시점 이후에, 상기 삭제예정버퍼에 기록된 삭제 선택된 파일을 상기 저장매체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서가 삭제 선택된 파일에 위치하면, 복구키가 활성화되고 삭제키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커서가 삭제 선택되지 않은 파일에 위치하면, 복구키가 비활성화되고, 삭제키는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삭제키 또는 상기 복구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삭제 선택된 파일의 용량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는,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 파일을 간이보기로 표시하되, 삭제 선택된 파일과 그렇지 않은 영상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간이보기 영상에서 커서를 이동하는 방향키; 상기 커서가 위치한 파일을 삭제 선택하는 삭제키; 촬영모드와 재생모드를 선택하는 모드키; 및 삭제 선택된 파일의 정보를 기록하는 삭제예정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키 입력에 의하여 촬영모드로 변경되는 시점 이후에, 상기 삭제예정버퍼에 기록된 삭제 선택된 파일을 상기 저장매체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삭제키의 삭제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커서가 삭제 선택된 파일에 위치하면, 상기 삭제키는 상기 삭제 선택된 파일을 복구하는 기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삭제키의 복구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삭제 선택된 파일의 용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 및 그 파일관리방법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본개념은, 재생모드에서의 삭제작업이 즉시 저장매체에 반영되는 것이 아니라, 그 삭제작업의 내용이 임시로 디지털 카메라에 내장된 삭제예정버퍼에 기록되고, 재생모드에서 촬영모드로 모드변환이 되는 시점 이후에 삭제예정버퍼에 기록된 파일이 저장매체에서 삭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 안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7)는 타이밍 회로(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7)는 CDS-ADC 소자(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기타 임시 처리 데이터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칼라 LCD 패널(17)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18)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8)와 그 접속부(19)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9) 및 비데오 출력부(20)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능 선택 버튼, 줌 버튼, 방향이동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을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드 선택 버튼은 특히, 촬영모드와 재생모드를 토글하게 할 수 있고, 재생모드에서의 파일 삭제 작업이, 촬영모드로 변경되는 시점 이후에 메모리 카드에 반영되도록 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는 렌즈 구동부(1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및 조리개(aperture) 모터(MA)가 광학계(OPS) 안의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조리개를 각각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12)는 플래시-광량 센서(1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5)를 구동한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는, 도 1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사양에 따라 그 구성요소 중 일부가 삭제되거나, 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에서 수행되는 파일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촬영모드인가를 판단한다(S100). 촬영모드가 아니면 즉 재생모드이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삭제될 파일이 선택되면(S102 단계), 삭제 선택된 파일의 정보를 삭제예정버퍼로 이동한다(S104 단계). 만일 사용자가 복구될 파일을 선택하면(S106 단계), 복구 선택된 파일의 정보를 삭제예정버퍼로부터 제거한다(S108 단계).
S108 단계 후에, S100 단계로 진행하여 촬영모드로의 모드변경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S108 단계 후에, 사용자의 지시 예컨대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된 다른 재생 관련 기능키의 입력에 따라 재생에 관련된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 때 만일 촬영모드로 변경되면, S110 단계로 진행한다.
도 3은 도 2의 S110 단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S110 단계에서는 저장매체 예컨대 메모리 카드에서 실질적으로 파일 삭제가 수행된다. 재생모드에서 촬영모드로 모드변경(S100)이 이루어지면, 삭제예정버퍼에 삭제될 파일정보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S112 단계).
삭제예정버퍼에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삭제예정파일을 메모리 카드에서 삭제한다(S114 단계). 이 때, 비로소 메모리 카드에는 파일 삭제로 인하여 물리적인 빈공간이 형성된다.
삭제예정버퍼에 삭제될 파일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S114 단계 후에 S110 단계를 종료한다.
S110 단계가 종료되면, 디지털 카메라는 대기상태가 되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촬영, 녹음, 재생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2의 S100 단계로 진행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을 다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디지털 카메라의 재생모드(playback mode)에서, 삭제파일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저장매체(미도시), 삭제키(100), 복구키(102), 표시부(106), 방향키(114)를 구비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촬영모드와 재생모드를 선택하는 모드키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모드키가 입력되는 시점에, 도 4 및 도 5의 재생모드에서 수행된 삭제 선택작업이 메모리 카드에 반영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저장매체는, 영상 파일, 및 영상 파일의 정보가 저장된 영상폴더가 저장된다. 저장매체는 메모리 카드, 플래시 메모리 등에 의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영상폴더에 대하여는 도 6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부(106)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 파일을 간이보기(thumbnail view)로 표시하되, 삭제 선택된 파일과 그렇지 않은 영상을 구분하여 표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106)에는 간이보기 화면의 일 예로서, 9개의 파일 영상이 간이보기로 표시되어 있다.
방향키(114)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표시부(106)에 표시된 간이보기 영상에서 커서를 이동한다.
삭제키(1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커서가 위치한 간이보기 영상 파일을 삭제 선택한다.
복구키(102)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커서가 위치한 간이보기 영상 파일로서, 삭제 선택되었던 파일을 복구한다.
사용자의 삭제키 입력에 의하여, 삭제 선택된 파일의 정보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관리폴더의 영상폴더로부터 휴지통 폴더로 이동하게 된다.
재생키(104)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커서가 위치한 간이보기 영상 파일을 재생하도록 한다. 재생표시(112)는 재생키(104)가 사용가능한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생키(104)와 재생표시(112)는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다.
도 4를 참조하여, 삭제 파일 선택과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사용자는 방향키(114)의 상(U),하(D),좌(L),우(R)키를 이용하여, 표시부(116)의 간이보기 화면에서 커서를 삭제 파일 위치로 이동한다. 여기서 커서는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를 표시함으로써 다른 파일과 구별한다. 커서의 위치는 방향키에 의해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냄비"를 촬영한 5번째 파일에 커서가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표시부(106)에는, 삭제키(100) 및 복구키(102)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여부(108, 110)가 표시될 수 있다. 활성화된 키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기능을 수행하고, 비활성화된 키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도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4에서는, "DEL"(108)는 밝게, "UNDEL"(110)은 어둡게 표시됨으로써, 삭제키(100)는 활성화 상태, 복구키(102)는 비활성화 상태임을 표시한다. 도 4에서, "냄비"를 촬영한 5번째 파일에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삭제키(100)가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삭제키(100)를 입력하면, 5번째 파일은 삭제 선택된다. 파일이 삭제 선택된 경우에, 즉시 저장매체에서 파일이 삭제되는 것이 아니라, 삭제 선택된 파일의 정보가 삭제예정버퍼로 이동한다. 삭제예정버퍼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에 내장된 DRAM(4)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 5번째 파일이 삭제 선택된 후의 간이보기 화면을 나타낸다. 삭제 선택된 파일은 간이보기 화면에서 다른 파일과 다르게 표시 예컨대 흐리게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커서는 여전히 삭제 선택된 5번째 파일에 위치하게 되고, 삭제키(100)는 비활성화고, 복구키(102)가 활성화된다. 이 때, 표시부(106)에는 삭제키(100) 및 복구키(102)의 활성화 여부를 표시(108, 110)할 수 있다. 만일 도 5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복구키(102)를 입력하면, 흐리게 표시되었던 5번째 파일이 원래의 영상으로 복원되고, 도 4의 상태가 된다.
삭제 파일의 선택은, 방향키(114)에 포함된 선택키(OK)에 의해 일차적으로 파일이 선택된 후에, 삭제키(100)의 입력에 의하여 삭제 파일 선택되는 이단계의 과정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메모리카드의 영상폴더 및 삭제예정버퍼의 상태를 나타내는 파일트리이다.
도 5에서 5번째 파일이 삭제 선택되면, 5번째 파일은 메모리카드에서 즉시 삭제되는 것이 아니다. 영상폴더에 5번째 파일(IMAG0005)가 그대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다만, 삭제예정버퍼에 5번째 파일(IMAG0005)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삭제예정버퍼에 정보가 기록된 5번째 파일(IAMG0005)는 최종 삭제 조건 또는 최종 삭제 지시 등이 입력되면, 그 때 파일이 메모리 카드에서 삭제될 수 있는 상태이다.
도 7은 사용자가 둘 이상의 파일을 삭제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방향키(114)를 조작하여 커서를 1번째 파일 위치로 이동한 상태이다. 이 때, 사용자는 활성화(108)된 삭제키(100)를 선택하여 1번째 파일을 삭제 선택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서 1번째 파일이 삭제 선택된 후의 간이보기 화면을 나타낸다. 삭제 선택된 1번째 파일은 간이보기 화면에서 흐리게 표시되된다. 그리고 커서는 여전히 삭제 선택된 1번째 파일에 위치하게 되고, 삭제키(100)는 비활성화고, 복구키(102)가 활성화된다. 도 8은 결국 1번째 파일과 5번째 파일이 삭제 선택된 상태를 나타낸다. 만일 도 8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복구키(102)를 입력하면, 흐리게 표시되었던 1번째 파일이 원래의 영상으로 복원되고, 도 7의 상태가 된다.
도 7 및 도 8의 변형된 실시예로서, 둘 이상 파일의 삭제 선택은, 방향키(114)에 포함된 선택키(OK)에 의해 일차적으로 둘 이상의 파일이 선택된 후에, 삭제키(100)의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파일이 동시에 삭제 선택되는 이단계의 과정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메모리카드의 영상폴더 및 삭제예정버퍼의 상태를 나타내는 파일트리이다.
도 8은, 도 6과 비교할 때, 삭제예정버퍼에 1번째 파일(IMAG0001)이 추가된 것을 제외하면 도 6과 동일하다. 다시말해 영상폴더에 1번째 파일(IMAG0001)과 5번째 파일(IMAG0005)이 모두 그대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삭제예정버퍼에 정보가 기록된 1번째 파일(IMAG0001)과 5번째 파일(IAMG0005)은 최종 삭제 조건 또는 최종 삭제 지시 등이 입력되면, 그 때 파일이 메모리 카드에서 삭제될 수 있는 상태이다.
도 10은 삭제 선택되었던 파일이 복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방향키(114)를 조작하여 커서를 5번째 파일 위치로 이동한 상태이다. 이 때, 사용자는 활성화(108)된 복구키(102)를 선택하여 삭제 선택되었던 5번째 파일을 복구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서 5번째 파일이 복구된 후의 간이보기 화면을 나타낸다. 5번째 파일의 영상이 원래대로 복원되고, 삭제키(100)가 활성화표시(108)되고, 복구키(102)가 비활성화표시(110)됨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메모리카드의 영상폴더 및 삭제예정버퍼의 상태를 나타내는 파일트리이다. 도 12은, 도 8과 비교할 때, 삭제예정버퍼에서 5번째 파일(IMAG0005)이 제거되었다.
재생모드에서는 도 4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일을 삭제 선택 또는 복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에 의하여 메모리카드의 영상폴더내의 파일구조에는 변화가 없다. 재생모드에서 삭제 선택되어, 도 6,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삭제예정버퍼에 정보가 기록된 파일들은, 촬영모드로 모드변경이 되는 시점 이후에 영상폴더에서 삭제되고, 메모리 카드에서 삭제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저장수단으로서 메모리 카드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플래시카드 등이 저장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디지털 카메라에 삭제키(100) 및 복구키(102)가 구비되고, 재생모드에서 삭제키(100) 또는 복구키(102)의 조작에 의해 삭제 선택작업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삭제키(100)와 복구키(102)는 통합되어 하나의 키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 4로 돌아가서, 삭제키(100)만 존재하고 복구키(102) 및 복구키 활성화표시(110)은 없다고 가정한다.
삭제키(100)는 커서가 위치한 파일을 삭제 선택한다. 커서가 위치한 파일이 삭제 선택되기 전에는 삭제키(100)는 삭제 선택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표시부(106)에는 삭제키(100)의 삭제기능이 표시(DEL, 108)된다.
커서가 위치한 파일이 삭제 선택된 후에는, 삭제키(100)는 삭제 선택된 파일을 복구하는 기능으로 전환된다. 이 때, 표시부(106)의 참조번호 "108"은, "DEL" 에서 "UNDEL"로 변경됨으로써, 삭제키(100)의 복구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표시부(106)에는 삭제 선택된 파일의 용량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06)의 우측 상단부에, 삭제 선택된 파일의 용량과 저장매체의 빈공간의 용량이 합산되어 촬영가능매수로 표시될 수 있다. 저장매체의 빈공간의 촬영가능매수가 2매인 경우에, 도 4의 표시부(106)의 우측상단에는 "2" 가 표시되어, 현재 촬영가능매수가 2매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재생모드에서 하나의 파일이 삭제 선택되면, 표시부(106)의 우측상단에는 저장매체의 빈공간 2매와 삭제 선택된 파일 1매가 합산된 "3"이 표시되어, 삭제 선택된 파일을 삭제할 경우에 3매가 촬영가능함을 표시할 수 있다. 만일 도 5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복구키(102)를 선택하여, 삭제 파일 선택을 해제하면, 표시부(106)의 우측상단에는 다시 "2"가 표시된다.
이러한 삭제 선택된 파일의 용량과 저장매체의 빈공간 용량의 표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촬영가능매수로 표시할 수도 있고, 그외 동영상 촬영가능시간이나, 녹음가능시간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재생모드에서의 파일 용량의 표시는, 직전에 설정되어 있던 촬영모드의 동작을 기준으로 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시말해 직전의 촬영모드에서 사진촬영이 수행되었다면, 재생모드에서 삭제 선택된 파일의 용량은 촬영가능매수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직전의 촬영모드에서 동영상 촬영이나 녹음이 수행되었다면, 재생모드에서 삭제 선택된 파일의 용량은 동영상 촬영가능시간 또는 녹음가능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재생모드에서의 파일 용량의 표시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촬영가능매수, 동영상 촬영가능시간, 또는 녹음가능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에는 이러한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키가 별도로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이라 함은 특정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능력을 갖는 장치 내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되는 일련의 지시 명령으로 표현된 것을 말한다. 또한 컴퓨터라는 용어도 실제 사용되는 명칭의 여하에 불구하고 메모리, 입출력장치, 연산장치를 구비하여 프로그램에 의하여 특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모든 장치를 총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컴퓨터에는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된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포함되며, 기록매체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연결된 ROM 등의 저장장치가 포함된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는, 재생모드에서 삭제 선택된 파일을 즉시 메모리카드에서 삭제하지 않고, 촬영모드로 전환된 시점 이후에 삭제 선택된 파일을 메모리카드에서 삭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한 파일삭제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에서 수행되는 파일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도 2의 S110 단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디지털 카메라의 재생모드(playback mode)에서, 삭제파일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5번째 파일이 삭제 선택된 후의 간이보기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메모리카드의 영상폴더 및 삭제예정버퍼의 상태를 나타내는 파일트리이다.
도 7은 사용자가 둘 이상의 파일을 삭제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1번째 파일이 삭제 선택된 후의 간이보기 화면을 나타낸다.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메모리카드의 영상폴더 및 삭제예정버퍼의 상태를 나타내는 파일트리이다.
도 10은 삭제 선택되었던 파일이 복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5번째 파일이 복구된 후의 간이보기 화면을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메모리카드의 영상폴더 및 삭제예정버퍼의 상태를 나타내는 파일트리이다.

Claims (20)

  1.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모드; 및
    저장된 영상파일을 재생하는 재생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모드에서, 삭제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모드에서 촬영모드로 모드변환되는 시점 이후에서, 상기 삭제 선택된 파일을 저장매체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삭제 선택된 파일의 정보를 삭제예정버퍼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하도록 선택된 파일과 선택되지 않은 파일의 영상을 구분하여 간이보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모드에서 상기 촬영모드로 변경되기 전에는,
    상기 삭제 선택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선택된 파일의 용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선택된 파일의 용량과 저장매체의 빈공간의 용량을 합한 용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선택된 파일의 용량을 촬영가능매수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선택된 파일의 용량을 동영상 촬영가능시간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선택된 파일의 용량을 녹음가능시간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10.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 파일을 간이보기로 표시하되, 삭제 선택된 파일과 그렇지 않은 영상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간이보기 영상에서 커서를 이동하는 방향키;
    상기 커서가 위치한 파일을 삭제 선택하는 삭제키;
    상기 삭제 선택된 파일을 복구하는 복구키;
    촬영모드와 재생모드를 선택하는 모드키; 및
    삭제 선택된 파일의 정보를 기록하는 삭제예정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키 입력에 의하여 촬영모드로 변경되는 시점 이후에, 상기 삭제예정버퍼에 기록된 삭제 선택된 파일을 상기 저장매체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가 삭제 선택된 파일에 위치하면, 복구키가 활성화되고 삭제키는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가 삭제 선택되지 않은 파일에 위치하면, 복구키가 비활성화되고, 삭제키는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삭제키 또는 상기 복구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여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삭제 선택된 파일의 용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15.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 파일을 간이보기로 표시하되, 삭제 선택된 파일과 그렇지 않은 영상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간이보기 영상에서 커서를 이동하는 방향키;
    상기 커서가 위치한 파일을 삭제 선택하는 삭제키;
    촬영모드와 재생모드를 선택하는 모드키; 및
    삭제 선택된 파일의 정보를 기록하는 삭제예정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키 입력에 의하여 촬영모드로 변경되는 시점 이후에, 상기 삭제예정버퍼에 기록된 삭제 선택된 파일을 상기 저장매체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삭제키의 삭제기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가 삭제 선택된 파일에 위치하면, 상기 삭제키는 상기 삭제 선택된 파일을 복구하는 기능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삭제키의 복구기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삭제 선택된 파일의 용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2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30100620A 2003-12-30 2003-12-30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카메라 KR100987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620A KR100987773B1 (ko) 2003-12-30 2003-12-30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카메라
US11/024,173 US7502055B2 (en) 2003-12-30 2004-12-28 File management method of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CNA2004100818045A CN1638461A (zh) 2003-12-30 2004-12-30 数字照相装置的文件管理方法和执行该方法的数字照相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620A KR100987773B1 (ko) 2003-12-30 2003-12-30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808A true KR20050068808A (ko) 2005-07-05
KR100987773B1 KR100987773B1 (ko) 2010-10-13

Family

ID=3469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620A KR100987773B1 (ko) 2003-12-30 2003-12-30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카메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02055B2 (ko)
KR (1) KR100987773B1 (ko)
CN (1) CN16384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1842B2 (ja) * 2005-01-24 2010-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006165A (ja) * 2005-06-24 2007-01-11 Fujifilm Holdings Corp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JP4809294B2 (ja) 2007-06-11 2011-11-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JP4930293B2 (ja) 2007-09-05 2012-05-1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4539720B2 (ja) * 2008-01-08 2010-09-0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6685695B2 (ja) * 2015-10-30 2020-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端末及び撮像装置
CN105488190A (zh) * 2015-12-02 2016-04-13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图片管理方法及终端
JP6521856B2 (ja) * 2015-12-25 2019-05-2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CN105653402A (zh) * 2016-01-12 2016-06-08 浪潮(北京)电子信息产业有限公司 一种ssd以及用于ssd的数据恢复方法
JP6765977B2 (ja) * 2017-01-31 2020-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5517A (ja) * 1993-09-22 1995-04-07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取り扱い装置
JPH07170480A (ja) * 1994-12-15 1995-07-04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取り扱い装置
JPH09214880A (ja) 1996-02-07 1997-08-15 Ricoh Co Ltd デジタルスチルビデオカメラ
US6249316B1 (en) * 1996-08-23 2001-06-19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temporary group of images on a digital camera
US5861918A (en) * 1997-01-08 1999-01-19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removable memory in a digital camera
JPH10304234A (ja) * 1997-04-24 1998-11-13 Sony Corp 撮像システム、及びビデオカメラ装置
JP3535693B2 (ja) 1997-04-30 2004-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画像処理方法、撮像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610195B2 (ja) * 1997-07-04 2005-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0278573A (ja) * 1999-03-23 2000-10-06 Minolta Co Ltd データ記憶媒体の駆動システム
JP4393652B2 (ja) * 1999-03-30 2010-01-06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および文書撮影方法
JP2002051242A (ja) 2000-08-01 2002-02-15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装置
JP2002057978A (ja) * 2000-08-08 2002-02-22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装置
JP3914705B2 (ja) * 2000-11-29 2007-05-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KR100814426B1 (ko) * 2001-07-14 2008-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 채널 영상 중계 처리기 및 이를 적용한 다 채널 영상보안 시스템
US7015941B2 (en) * 2001-10-12 2006-03-21 Malloy Desormeaux Stephen G Hybrid cameras that download electronic images in selected geometric formats and methods
JP2003304482A (ja) * 2002-02-08 2003-10-24 Nikon Corp 電子カメラ
JP2004038515A (ja) * 2002-07-03 2004-02-05 Sanyo Electric Co Ltd データ記録装置
JP3781017B2 (ja) * 2002-07-22 2006-05-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管理システム及び画像管理方法、デジタルカメラ
US20040156615A1 (en) * 2002-07-25 2004-08-12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recording, and programs therefor
KR100530746B1 (ko) 2002-12-24 2005-11-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촬영 상태가 부적절하였음을 알려주는 디지털 카메라 및그 제어방법
US20050093998A1 (en) * 2003-11-03 2005-05-05 Haas William R. Digital camera with variable size delete buf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7773B1 (ko) 2010-10-13
CN1638461A (zh) 2005-07-13
US20050140800A1 (en) 2005-06-30
US7502055B2 (en) 200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54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using duplex thumbnail mode
KR101022469B1 (ko) 디지털 카메라 및 그 파일관리방법
KR100987773B1 (ko)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카메라
KR100627047B1 (ko) 디지털 카메라 및 그 파일관리방법
KR101396341B1 (ko)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05480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US7330207B2 (en) Method of managing storage space in a digital camera
KR10054800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1080404B1 (ko) 동영상을 정지 영상화하여 트리밍 하는 방법
KR101113234B1 (ko)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표시방법
KR100604313B1 (ko)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파일들을 관리하는 방법
KR100651811B1 (ko) 페이지 단위 이미지 삭제를 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058033B1 (ko) 분할촬영 방법, 재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이미지처리장치
KR101113239B1 (ko)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표시방법
KR101176180B1 (ko)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표시방법
KR101109585B1 (ko)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재생방법
KR10070295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표시하는 방법
KR101105849B1 (ko) 디지털 이미지 재생방법 및 장치
KR100673959B1 (ko) 신속한 파일 관리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378330B1 (ko) 디지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80100630A (ko)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이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90057649A (ko) 자동으로 영상을 삭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KR20090017168A (ko)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2010232863A (ja) 撮像装置、画像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213219A (ja) 撮像装置、画像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