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168A -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168A
KR20090017168A KR1020070081711A KR20070081711A KR20090017168A KR 20090017168 A KR20090017168 A KR 20090017168A KR 1020070081711 A KR1020070081711 A KR 1020070081711A KR 20070081711 A KR20070081711 A KR 20070081711A KR 20090017168 A KR20090017168 A KR 20090017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data
folder
brightness information
capt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애
이평준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1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7168A/ko
Publication of KR20090017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 및 그 장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제어기에 의하여 수행되는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촬영 모드에서 촬영대상의 영상을 포착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포착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오토 화이트 밸런스에 사용되는 밝기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검출된 밝기정보에 의하여 영상이 촬영된 장소가 실내인지 실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a)단계에서 포착된 영상 데이터 및 상기 (b)단계에서 검출된 밝기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을 상기 밝기정보에 상응하여 기록매체에 생성되는 실내 폴더 또는 실외 폴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을 제공하여 영상 데이터의 밝기정보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포착된 영상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영상 데이터, 밝기정보

Description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 및 그 장치{The data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설정이 없어도 자동으로 밝기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이 실내 또는 실외에서 촬영되었는지를 구분하고 구분된 영상을 각각 실내 또는 실외 폴더에 분류하여 저장하는 영상 데이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예를 들어, 미국 공개 번호 제119,876호(발명의 명칭 : Method of notification of inadequate picture quality)의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 모드에서 영상들을 포착하여 기록 매체에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이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들을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방향 신호들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촬영 모드에 있어서 포착된 영상들은 촬영 순서대로 기록 매체에 저장된다. 또한, 재생 모드가 시작되면 최근에 저장된 파일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에, 사용자로부터의 신호들에 따라 저장 순서의 역순 또는 저장 순서대로 영상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찾기 위하여 많은 횟수의 방향 신호들을 발생시켜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영상 데이터를 용이하게 제어하고 검색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제어기에 의하여 수행되는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촬영 모드에서 촬영대상을 포착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포착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오토 화이트 밸런스에 사용되는 밝기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검출된 밝기정보에 의하여 영상이 촬영된 장소가 실내인지 실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a)단계에서 포착된 영상 데이터 및 상기 (b)단계에서 검출된 밝기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을 상기 밝기정보에 따라서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은 (e) 포착된 영상 데이터의 밝기정보에 상응하는 실내 또는 실외 폴더가 생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포착된 영상 데이터의 밝기정보에 상응하는 실내 또는 실외 폴더를 기록매체에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은 (f) 상기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영상을 재생 모드에서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에서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는 (f1) 재생 모드에서, 기록매체에 생성되어 있는 상기 실내 폴더 및 상기 실외 폴더의 폴더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f2) 상기 (f1)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폴더 아이콘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폴더 아이콘의 폴더에 저장된 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f2)단계에서 저장된 영상 파일들의 인덱스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있어서, 포착된 영상의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밝기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매체,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밝기정보에 따라서 분리하여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에 의하여 분리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토 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동작하는데 사용되는 밝기정보를 사용하여 포착된 영상 데이터가 실내 또는 실외에서 포착되었는지를 구분하여 제어함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수고를 들이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포착된 영상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 데이터가 실내 또는 실외에서 포착되었는지를 자동적으로 구분하여 제어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추후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확인할 때 용이하게 포착된 영상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00)는 셔터 릴리즈 버튼(110), 모드 다이얼(120), 광각-줌 버튼(130), 망원-줌 버튼(131), 전자 뷰-파인더(Electronic View-Finder, 151), 디스플레이 패널(150), 기능 버튼들(140), 및 재생 모드 버튼(141)을 포함한다.
모드 다이얼(120)은 카메라의 촬영 모드들 예를 들어, 간편 촬영 모드, 프로그램 촬영 모드, 인물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수동 촬영 모드, 및 동영상 촬영 모드중에서 어느 한 동작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기능 버튼들(140)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100)의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메뉴 화면에서 활성화 커서의 방향-이동 버튼들 등으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기능 버튼들(140)은 셀프-타이머/우향 버튼, 플래시/좌향 버튼, 매크로/하향 버튼, 음성-메모/상향 버튼, 및 메뉴/선택-확인 버튼을 포함한다.
재생 모드 버튼(141)은 재생 또는 프리뷰(Preview) 모드로의 전환에 사용된다.
상기 버튼 및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기능을 수 행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준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체적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 버튼(130) 또는 망원(telephoto)-줌 버튼(131)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2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212)가 구동부(2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한편,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212)를 통하여 구동부(2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가 설정된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는 타이밍 회로(2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201)의 동작을 제어한다. CDS-ADC 소자(2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실시간 클럭(203)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는 CDS-ADC 소자(2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주 제어기를 내장하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2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지시용 램프들이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셔터 릴리즈 버튼(110), 모드 다이얼(120), 광각-줌 버튼(130), 망원-줌 버튼(131), 기능 버튼들(140), 및 재생 모드 버튼(141) 등을 포함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204)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205)에는 제어기로서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06)에서는 사용자의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구동부(2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180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208)와 그 접속부(180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209) 및 비디오 출력부(180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2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50) 및 스피커(SP)는 재생장치로서 역할을 한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212)는 플래시-광량 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2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60)를 구동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은 메모리 카드에 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300), 촬영 모드에서 피사체를 포착하는 단계(310), 상기 포착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 데이터에서 밝기정보를 검출하는 단계(320), 검출된 밝기정보가 실내(Indoor)를 나타내는지 실외(Outdoor)를 나타내는지 판단하는 단계(330), 생성된 폴더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340, 350), 밝기정보의 값을 판단하여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341, 351) 및 폴더에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342, 345)를 포함한다.
먼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는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에 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한다(300). 이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는 영상 포착을 수행한다(310). 즉,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는 CDS-ADC 소자(201)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음에, 밝기정보를 검출하는 단계(320)는 상기 생성된 영상 데이터에 의한 Exif 파일 정보에서 밝기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영상 파일은 JPEG 형식으로 압축된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디지탈 카메라의 경우 이러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는 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교환이미지 파일형식(Exif: 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생성된다. 상기 생성된 Exif 파일 정보는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하는 자에 의하여 임의로 그 내용의 추가나 삭제가 가능하다. 또한 Exif 파일 정보에는 오토 화이트 밸런스(AWB)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오토 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하여는 촬영하는 장소가 실내인지 실외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촬영하는 장소의 밝기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검출된 밝기정보는 오토 화이트 밸런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알고리즘에 사용되어 촬영장소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 조절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토 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밝기정보를 실내 및 실내의 경우로 나누어 값을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값을 Exif 파일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사용자가 촬영한 화상 및 화상에 대한 정보가 담긴 Exif 파일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검출된 밝기정보를 판단하는 단계(330)는 밝기정보의 값이 0인지 1인지를 디 지털 카메라 프로세서(207)에 의하여 판단하여 영상이 포착된 장소가 실내인지 실외인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밝기정보에 의해 영상이 포착된 장소가 실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실내 폴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340)한다. 기존에 실내에서 포착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여 실내 폴더가 생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생성되어 있는 실내 폴더에 새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342)하게 된다. 그러나 처음으로 실내에서 영상을 포착한 경우나 사용자가 실내 폴더를 삭제한 경우 등 실내 폴더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새로운 실내 폴더를 생성(341)한다. 새로운 실내 폴더를 생성(341)한 후에 상기 새롭게 생성한 실내 폴더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342)하게 된다.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342)에서는 상기 생성된 영상 파일(300)에 압축된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Exif 파일 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밝기정보에 의해 영상이 포착된 장소가 실외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실외 폴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350)한다. 기존에 실외에서 포착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여 실외 폴더가 생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생성되어 있는 실외 폴더에 새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352)하게 된다. 그러나 처음으로 실외에서 영상을 포착한 경우나 사용자가 실외 폴더를 삭제한 경우 등 실외 폴더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새로운 실외 폴더를 생성(351)한다. 새로운 실외 폴더를 생성(351)한 후에 상기 새롭게 생성한 실외 폴더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352)하게 된다.
상기 실내에서 포착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352)에서는 상기 생성된 영상 파일(300)에 압축된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Exif 파일 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토 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동작하는데 사용되는 밝기정보를 사용하여 포착된 영상이 실내 또는 실외에서 촬영되었는지를 구분하여 제어함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수고를 들이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포착된 영상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착된 영상 데이터를 더욱 세분하게 구분하여 제어하기 위하여 실내 또는 실외 폴더 내의 하부 폴더로 포착된 시간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구분하는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실내에서 영상을 포착한 후에 실외에서 영상을 포착하는 등 장소를 이동하여 포착을 하는 경우 실내 및 실외 장소 간에 시간적 간격이 발생하므로 실내 또는 실외 폴더에 시간에 따른 하부 폴더를 생성함으로 인하여 더욱 정확하게 영상 데이터를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폴더 아이콘 화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포착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면 도 4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영상이 촬영된 장소에 따른 실내 폴더(410)또는 실외 폴더(420)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기록매체 내에 생성된다. 이러한 폴더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삭제가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새로운 영상이 포착되는 경우 새로운 폴더가 생성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에 의하여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은 재생 모드에서 원하는 영상을 재생시키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재생방법은 재생 모드에서 폴더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500), 사용자가 폴더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510), 선택된 폴더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520, 530), 디스플레이 된 영상 파일의 영상 데이터 중 원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540), 선택한 영상 데이터의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550)를 포함한다.
재생 모드에서 폴더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500)는 사용자가 저장된 영상 파일의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재생 모드를 선택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선택에 의하여 실내 폴더 및 실외 폴더의 폴더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 된다. 재생 모드는 그 명칭에 구애되지 않으며 재생 모드 버튼(도 1의 141)을 사용하여 재생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폴더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510)는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영상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폴더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데이터가 실내에서 포착된 경우에는 실내 폴더를 선택하여 실내 폴더 내용을 볼 수 있게 하고, 실외에서 포착된 경우에는 실외 폴더를 선택하여 실외 폴더 내용을 볼 수 있게 한다.
폴더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520, 530)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선택 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폴더 아이콘의 폴더 내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파일들의 각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방식에는 기준 규격 형식이나 썸네일 형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규격이란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 전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한 영상의 규격을 의미한다. 상기 썸네일 형식은 영상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인덱스 영상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원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54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영상들 중에서 원하는 영상을 선택하여 하나의 영상을 재생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재생하는 단계(550)는 사용자가 폴더 아이콘을 선택하여 폴더의 내용을 확인한 후에 원하는 영상 파일의 영상을 선택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준 규격 또는 확대된 크기로 볼 수 있게 하는 단계이다. 폴더 내에서 썸네일(Thumbnail) 형식으로 인덱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버튼을 조작하여 원하는 영상 파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기준 규격으로 디스플레이된 경우에는 방향 버튼을 조작하여 순서대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영상이 실내 또는 실외에서 포착되었는지를 자동적으로 구분하여 제어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추후 저장된 영상 파일의 영상 데이터를 확인할 때 용이하게 포착된 영상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에 의하여 실내 및 실외 폴더에 저장된 영상 파일들의 각 영상 데이터의 모습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영상 데이터는 썸네일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9분할 썸네일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4분할이나 16분할 썸네일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 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폴더 아이콘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에 의하여 저장된 영상 파일의 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에 의하여 실내 폴더에 저장된 영상 파일의 모습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에 의하여 실외 폴더에 저장된 영상 파일의 모습이다.

Claims (5)

  1.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제어기에 의하여 수행되는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촬영 모드에서 촬영대상의 영상을 포착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의 포착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오토 화이트 밸런스에 사용되는 밝기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검출된 밝기정보에 의하여 영상이 촬영된 장소가 실내인지 실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a)단계에서 포착된 영상 데이터 및 상기 (b)단계에서 검출된 밝기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을 상기 밝기정보에 따라서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e) 포착된 영상 데이터의 밝기정보에 상응하는 실내 폴더 또는 실외 폴더가 생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포착된 영상 데이터의 밝기정보에 상응하는 실내 폴더 또는 실외 폴더를 기록매체에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f1) 재생 모드에서, 기록매체에 생성되어 있는 상기 실내 폴더 및 상기 실외 폴더의 폴더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f2) 상기 (f1)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폴더 아이콘들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폴더 아이콘의 폴더에 저장된 영상 파일들의 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f2)단계에서 저장된 영상 파일들의 인덱스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
  5. 포착된 영상의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밝기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매체;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밝기정보에 따라서 분리하여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에 의하여 분리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20070081711A 2007-08-14 2007-08-14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090017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711A KR20090017168A (ko) 2007-08-14 2007-08-14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711A KR20090017168A (ko) 2007-08-14 2007-08-14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168A true KR20090017168A (ko) 2009-02-18

Family

ID=40686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711A KR20090017168A (ko) 2007-08-14 2007-08-14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71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048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
KR101058011B1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조작 방법
KR101086409B1 (ko)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058025B1 (ko) 이중 썸네일 모드를 이용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050254793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1022469B1 (ko) 디지털 카메라 및 그 파일관리방법
KR100987773B1 (ko)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카메라
KR100627047B1 (ko) 디지털 카메라 및 그 파일관리방법
KR101086407B1 (ko) 효율적 재생 동작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05480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1058014B1 (ko) 분류 재생을 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113238B1 (ko)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표시방법
KR20040052020A (ko) 재압축을 수행하는 디지털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
KR101080404B1 (ko) 동영상을 정지 영상화하여 트리밍 하는 방법
KR20060016914A (ko) 효율적 재생 동작을 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113234B1 (ko)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표시방법
KR20090017168A (ko) 영상 데이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651811B1 (ko) 페이지 단위 이미지 삭제를 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82187A (ko) 선택적인 인덱스 재생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058027B1 (ko) 이미지 저장 방법
KR101113239B1 (ko)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표시방법
JP2005210411A (ja)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KR20090057649A (ko) 자동으로 영상을 삭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1176180B1 (ko)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표시방법
KR101058023B1 (ko) 이미지 회전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