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5581A - 칼시뉴린의 항상적 활성화 저해제 - Google Patents

칼시뉴린의 항상적 활성화 저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5581A
KR20050065581A KR1020057005991A KR20057005991A KR20050065581A KR 20050065581 A KR20050065581 A KR 20050065581A KR 1020057005991 A KR1020057005991 A KR 1020057005991A KR 20057005991 A KR20057005991 A KR 20057005991A KR 20050065581 A KR20050065581 A KR 20050065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neurin
leu
seq
peptide
cleav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3728B1 (ko
Inventor
히데끼 마쯔이
가즈히또 도미자와
Original Assignee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히데끼 마쯔이
가즈히또 도미자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히데끼 마쯔이, 가즈히또 도미자와 filed Critical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Publication of KR20050065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16Hydrolases (3) acting on ester bonds (3.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0Peptide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55Protease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1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rathyroid hormones
    • A61P5/22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rathyroid hormones for decreasing, blocking or antagonising the activity of calciton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Card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Endocri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시뉴린의 항상적 활성화를 저해하면서 부작용이 적고 여러가지 질환에 유효한 신경 세포 사멸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칼시뉴린의 항상적 활성화 저해제, 구체적으로는 칼파인에 의한 칼시뉴린 A 서브유닛 (CaNA)의 절단을 저해하는 약제를 제공한다. 이의 예로는 FDGATAAARKEVIRNK (서열 1) 및 REESESVLTLKGLTPTG (서열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를 들 수 있다.

Description

칼시뉴린의 항상적 활성화 저해제 {Inhibitors for Continuous Activation of Calcineurin}
본 발명은 칼시뉴린의 항상적 활성화 저해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칼파인에 의한 칼시뉴린 A 서브유닛 (CaNA)의 절단을 저해하는 약제에 관한 것이다.
칼시뉴린은 칼슘 및 칼모듈린 의존적으로 활성화되는 탈인산화 효소이고, 활성 중심을 갖는 칼시뉴린 A 서브유닛 (CaNA) 및 조절 인자인 칼시뉴린 B 서브유닛 (CaNB)을 포함하는 복합체이다. 칼시뉴린은, 자가저해 도메인에 의해 활성 중심과 기질과의 회합이 저해되고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는 세포내에서 비활성 형태로 존재한다. 세포내 칼슘 농도가 상승하면 칼시뉴린의 구조가 변화하면서 자가저해 도메인이 개방되어 (활성 형태) 기질이 활성 중심에 회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칼슘 농도가 감소하면 칼시뉴린은 다시 비활성 형태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칼시뉴린이 칼슘 농도에 따라 가역적으로 활성화된다고 알려져 있었다.
1999년에는 칼시뉴린이 신경 세포 사멸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보고되었다 (문헌 [Asai Akio, et al., J. Biological Chemistry, Vol.274, p.34450, 1999] 참조). 또한, 칼시뉴린에 특이적인 저해제 (면역억제제인 FK506 및 사이클로스포린 A)가 신경 세포 사멸을 억제한다는 보고도 있었다 (문헌 [Morioka Motohiro, et al., Progress in Neurobiology, Vol.58, p.1, 1999] 및 [Springer Joe E., et al., The Journal of Neuroscience, Vol.20, p.7246, 2000] 참조). 이들 문헌을 비롯한 많은 보고에 기초할 때, 뇌허혈 및 척추 손상 등에서 관찰되는 신경 세포 사멸에 관한 메카니즘으로서 현재 제안되고 있는 것은 신경 세포의 흥분에 의해서 글루타민산 수용체 중 하나인 N-메틸-D-아스파라긴산 수용체 (NMDA 수용체)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고 상기 수용체를 통해 다량의 칼슘이 세포내로 유입됨으로써 칼시뉴린이 활성화되어 세포 사멸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칼슘 유입은 일시적이어서 칼시뉴린의 활성화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시적인 세포내 칼슘 농도 상승에 의한 것이 아닌, 칼시뉴린을 장기간 동안 활성화시키는 임의의 다른 메카니즘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고는 있지만 그러한 메카니즘에 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면역억제제인 FK506 및 사이클로스포린 A가 신경 세포 사멸, 구체적으로는 허혈성 및 흥분성 신경 세포 사멸에 대해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약제는 칼시뉴린이 관여하는 모든 신호 도입을 억제하여 부작용 (예를 들어 신 독성 및 당뇨병 등)이 크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칼시뉴린의 장기간 활성화를 저해하고 또한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부작용이 더 적은 신경 세포 사멸 억제제가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도 1은 글루타민산 첨가에 의한 신경 세포 사멸 유도시의 CaNA 절단 및 본 발명의 CaNA의 저해제에 의한 CaNA 절단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a)는 샘플에 글루타민산을 첨가한 후에 3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결과를 나타내고, 도 1(b)는 샘플에 글루타민산을 첨가한 후에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에서, 레인 1은 대조군이고 레인 2는 글루타민산만을 첨가한 샘플이고 레인 3은 절단 저해 펩티드만을 첨가한 샘플이며 레인 4는 글루타민산 및 절단 저해 펩티드를 첨가한 샘플을 나타낸다.
도 2는 글루타민산 첨가에 의해 신경 세포 사멸이 유도된 신경 세포의 수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칼파인에 의한 칼시뉴린 A 서브유닛 (CaNA; 서열 3)의 절단 저해제는, 서열 1의 펩티드, 서열 2의 펩티드 및(또는) 이들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화합물로서, 칼파인에 의한 CaNA의 아미노산 잔기 392 내지 393 사이 또는 아미노산 잔기 421 내지 425 사이의 절단을 저해하고, 칼시뉴린의 항상적 활성화를 저해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서열 1의 펩티드의 유사체로서는, 예를 들어 서열 1의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그 일부가 결실, 치환되고(되거나) 다른 아미노산 서열이 삽입되거나 펩티드 말단에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칼파인에 의한 CaNA 절단을 저해하는 펩티드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서열 1의 펩티드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 9인 Arg이 Lys으로 치환된 펩티드 및(또는) 아미노산 잔기 10인 Lys가 Arg으로 치환된 펩티드는 본 발명에 따른 서열 1의 펩티드의 유사체에 포함된다.
상기 서열 2의 펩티드의 유사체로서는, 예를 들어 서열 2의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그 일부가 결실, 치환되고(되거나) 다른 아미노산 서열이 삽입되거나 펩티드 말단에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칼파인에 의한 CaNA 절단을 저해하는 펩티드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서열 2의 펩티드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 11인 Lys이 Arg으로 치환된 펩티드는 본 발명에 따른 서열 2의 펩티드의 유사체에 포함된다.
서열 1 또는 서열 2의 펩티드의 유사체 (유사체 펩티드)에 의한 CaNA 절단 저해 활성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평가할 수 있다: 즉, 시험 용액 (0.1 μM 또는 10 μM의 유사체 펩티드, 5 μM 정제 칼파인, 20 mM Tris-HCl (pH 7.4) 및 1 mM CaCl2)을 제조한 후에 여기에 정제 칼시뉴린 (최종 농도 1 μM)을 첨가하고, 30℃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이어서, 상기 반응액을 10% SDS-PAGE로 겔 상에서 전기영동시켜 쿠마시 블루(Coomassie blue)로 겔을 염색한다. 염색 결과로서 45 kDa 및 48 kDa의 분자량으로 확인되는, 칼파인에 의존적으로 단편화된 칼시뉴린을 정량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상기 펩티드는 Boc법 또는 Fmoc법에 의한 고상 또는 액상 합성법 등과 같이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펩티드를 에테르 침전ㆍ여과법,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관류(perfusion)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칼파인에 의한 CaNA 절단 저해제는 서열 1의 펩티드, 서열 2의 펩티드 및(또는) 이들 유사체를 함유하는 한, 추가의 화합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한 추가 화합물의 예로는 폴리아르기닌 펩티드 (예를 들어 5 개의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폴리아르기닌 펩티드) 또는 HIV 바이러스의 TAT 단백질에 함유된 11 개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진 단백질 도입 도메인 (PTD; 서열 4)) 등과 같이 아르기닌 또는 리신이 50% 이상을 구성하는 7 내지 30 개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진 세포내 도입 신호 펩티드, 또는 양이온성의 수용성 중합체인 직쇄상 폴리에틸렌이민 (PEI)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 등을 이용함으로써 서열 1 또는 서열 2의 펩티드 및(또는) 이들의 유사체에 결합 (또는 융합)시킬 수 있다: (i) 서열 1의 펩티드, 서열 2의 펩티드 및(또는) 이들의 유사체로 출발하여 통상적인 펩티드 합성법으로 합성하는 방법, 또는 (ii) 어느 하나의 펩티드에는 2가 가교제를 연결시키고 또다른 펩티드의 말단에는 시스테인 잔기를 연결시킨 후에 이들 2가지 펩티드를 반응시켜 결합시키는 방법 등.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수득된 CaNA 절단 저해제는 상술한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경 세포 사멸 억제제는, 칼파인에 의한 CaNA 절단 저해제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신경 세포에서 장기간의 신경 세포 사멸 유도를 억제하는 약제를 의미한다. 신경 세포 사멸 억제제는 신경 세포 사멸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신경 세포 사멸 억제제는, 서열 2의 펩티드 및 세포내 도입 신호 펩티드를 포함하는 CaNA 절단 저해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서열 1의 펩티드, 서열 2의 펩티드 및 세포내 도입 신호 펩티드를 포함하는 CaNA 절단 저해제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신경 세포 사멸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는, 신경 세포 사멸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유효량의 신경 세포 사멸 억제제를 포함하는 의약을 의미한다. 신경 세포 사멸과 관련된 질환의 예로는 알쯔하이머병, 치매성 질환, 뇌허혈성 질환, 지주막하 출혈 등의 뇌내출혈, 척수 손상, 파킨슨병 및 간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경 세포 사멸 억제제의 투여 경로의 예로는 경구 투여, 경정맥 투여 및 뇌내 직접 투여 등을 들 수 있고, 환자의 부담 및 부작용의 측면에서 경구 투여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경 세포 사멸 억제제의 제형은 투여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액, 유제, 현탁액 등의 액제, 정제 및 캡슐제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제 또는 캡슐제가 바람직하고, 경정맥 투여 또는 뇌내 직접 투여인 경우에는 액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경 세포 사멸 억제제의 제제화에는, 그 제형에 따라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각종 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물의 예로는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방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신경 세포 사멸 억제제의 투여량은 투여 방법, 적용할 환자의 연령, 체중 및 병상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칼파인에 의한 CaNA 절단 저해제로 환산하여 1일 0.1 mg/k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mg/k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여량이 0.1 mg/kg 미만인 경우에는 CaNA 절단 저해 효과가 반감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투여량은 본 발명의 칼파인에 의한 CaNA 절단 저해제로 환산하여 1일 100 mg/k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mg/k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여량이 100 mg/kg을 초과할 경우에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신경 세포 사멸 억제제의 투여는 단회일 수도 있고 복수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포 배양 배지 또는 뇌 슬라이스 배양 배지용 첨가제는, 적어도 CaNA 절단 저해제를 포함하는 배양 배지용 첨가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세포 배양 배지용 첨가제는 서열 2의 펩티드 및 세포내 도입 신호 펩티드를 포함하는 CaNA 절단 저해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서열 1의 펩티드, 서열 2의 펩티드 및 세포내 도입 신호 펩티드를 포함하는 CaNA 절단 저해제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배양 세포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칼파인에 의한 CaNA 절단 저해제의 첨가량은 세포 농도 1×105 세포/㎖의 배양액 중에 0.01 내지 100 nmol/㎖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10 nmol/㎖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0.01 nmol/㎖ 미만인 경우에는 CaNA 절단 저해제의 효과가 반감되는 경향이 있고, 100 nmol/㎖ 초과인 경우에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부작용이 적으며 여러가지 질환에 유효한 신경 세포 사멸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심도있게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1) 글루타민산 투여에 의해 신경 세포 사멸을 유도하면, 칼시뉴린 A 서브유닛 (CaNA)의 단편화가 관찰됨,
2) CaNA 절단 부위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아미노산 잔기 392 (아르기닌)와 393 (리신) 사이 및 아미노산 잔기 421와 425 사이임,
3) 칼시뉴린이 상기 부위에서 절단되면 칼슘 및 칼모듈린에 비의존적으로 활성을 갖는 것이 명백함,
4) 상기 단편화는 칼시뉴린과는 다른 신호 도입 경로에 속한다고 여겨지던 칼파인에 의해 야기되고 칼파인 저해제로 저해됨,
5) CaNA의 아미노산 잔기 392 내지 393 또는 아미노산 잔기 421 내지 425를 포함하는 펩티드를 신경 세포내에 도입하면 글루타민산 투여에 의한 신경 세포 사멸이 억제됨.
이와 같은 발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은 일시적인 세포내 칼슘 농도 상승에 의한 칼시뉴린 활성화 메카니즘이 아니라 칼시뉴린의 장기적 활성화 메카니즘을 표적으로 하는 세포 사멸 억제제를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1) 서열 1의 펩티드, 서열 2의 펩티드 및(또는) 이들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칼파인에 의한 CaNA 절단 저해제,
(2) 상기 (1)에 기재된 CaNA 절단 저해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신경 세포 사멸 억제제,
(3) 상기 (1)에 기재된 CaNA 절단 저해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치매성 질환 진행 억제제 및
(4) 상기 (1)에 기재된 CaNA 절단 저해제를 포함하는, 세포 및 뇌 슬라이스 배양 배지용 첨가제
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FDGATAAARKEVIRNK (서열 1) 및 REESESVLTLKGLTPTG (서열 2)를 본 발명의 CaNA 절단 저해제로서 배양 세포에 도입하기 위해서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N 말단에 세포내 도입 신호 펩티드 (10 개의 아르기닌)가 부가된 올리고 펩티드를 제조하였다 (펩티드 연구소사(PEPTIDE INSTITUTE INC.) 제조):
RRRRRRRRRRFDGATAAARKEVIRNK (서열 5),
RRRRRRRRRRREESESVLTLKGLTPTG (서열 6).
신경 세포의 제조
위스터 래트(Wister rat)의 18일째 태아로부터 뇌 해마를 적출한 후에 0.05% 트립신을 포함하는 PBS로 15분 동안 37℃에서 처리하였다. 유리 피펫을 사용하여 신경 세포를 분산시킨 후, 미리 폴리-D-리신으로 코팅해 둔 직경 3.5 cm의 배양 접시에서 1×106개 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지로는 B27 보충제 (0.03 ㎖; 인비트로젠사(Invitrogen, Inc.) 제조), 페니실린 (최종 농도 100 유닛/㎖; 인비트로젠사 제조) 및 스트렙토마이신 (최종 농도 100 μg/㎖; 인비트로젠사 제조)을 첨가한 3 ㎖ 뉴로 베이잘(Neuro Basal) 배지 (인비트로젠사 제조)를 사용하였고, 이산화탄소 기체 인큐베이터 (5% CO2, 37℃) 중에서 배양하였다.
펩티드의 첨가
배양 개시 10일 후에, 상기 서열 5 및 서열 6의 펩티드를 배양액 중에 최종 농도 1 μM로 첨가하고, 이산화탄소 기체 인큐베이터 (5% CO2, 37℃)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첨가한 지 3시간이 지난 후에 글루타민산을 최종 농도 500 μM로 첨가하고 1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배양액을 교환하고 계속 배양하였다. 글루타민산을 첨가한 지 3시간 및 24시간이 지난 후에 세포를 회수하고, 1% SDS 용액 중에서 세포를 초음파 분쇄하고 여기에 SDS-PAGE 완충액을 가하였다. 상기 샘플로 SDS-PAGE 겔 전기영동을 수행한 후, CaNA를 인식하는 항체 (토끼 혈청, 산타클루즈 바이오테크놀로지사(Santa Cruz Biotechnology, Inc) 제조)를 사용하여 웨스턴 블럿팅을 수행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글루타민산 및 절단 저해 펩티드를 첨가하지 않는 세포 샘플을 대조군으로서 이용하였다. 또한, 이와 병행하여 오직 글루타민산만을 첨가한 세포 샘플 및 오직 절단 저해 펩티드만을 첨가한 세포 샘플도 제조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글루타민산 첨가군에서는 칼시뉴린의 단편화가 관찰되었다. 한편, 절단 저해 펩티드를 도입한 신경 세포에서는 글루타민산 첨가에 의해 통상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칼시뉴린의 절단이 저해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신경 세포를 배양한 후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술한 서열 5 및 서열 6의 펩티드를 최종 농도 1 μM로 첨가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칼시뉴린 저해제인 FK506 (후지사와 세이야꾸 가부시끼 가이샤(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최종 농도 1 μM) 또는 칼파인 저해제인 ALLM (머크사(Merck, Inc); 최종 농도 25 μM)을 가하였다. 각각의 시약과 함께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글루타민산을 최종 농도 500 μM로 첨가하고 15분 동안 인큐베이션히였다. 이어서, 배양액을 교환하고 계속 배양하였다. 첨가한 지 3시간, 6시간, 12시간 또는 24시간이 지난 후에 각각의 신경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시켰다. 그 후, 세포 사멸을 일으킨 신경 세포를 확인하기 위해서 TUNEL 염색 (로쉐ㆍ다이아그노스틱스사(Roche Diagnostics, Inc) 제조)를 수행하였다. TUNEL 양성 세포를 계수하였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글루타민산 첨가군에서는 투여 후의 시간 경과에 따라 세포 사멸이 일어난 신경 세포의 수가 상승하였다. 절단 저해 펩티드는 글루타민산에 의해 유도된 신경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또한, 상기 효과는 FK506 또는 ALLM과 동일한 정도의 효과였다.
참고예 1
소의 뇌로부터 정제한 1 μM 칼시뉴린을 1 μM 칼모듈린 (머크사 제조) 및(또는) 1 μM m-칼파인 (머크사 제조)와 반응액 (20 mM Tris-HCl, pH 7.4, 1 mM CaCl2 및 1 mM MgCl2를 함유) 중에서 30℃에서 1시간 동안 각각 반응시킨 후에 12% SDS-PAGE 겔 전기영동을 수행한 후에 쿠마시 블루를 사용하여 상기 겔을 염색하였다.
그 결과, 칼파인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정제된 CaNA가 전기영동에서 60 kDa의 크기로 나타났다. 이것은 현재까지 보고되고 있는 CaNA의 크기에 상응하는 것이다. 한편, 칼모듈린 및 칼파인을 첨가한 경우, 60 kDa 밴드는 관찰되지 않았고 48 kDa 및 45 kDa 밴드가 관찰되었다. 오직 칼파인과만 반응시키면 절단된 CaNA가 45 kDa 크기로 관찰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칼시뉴린이 칼파인에 의해 절단되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칼파인에 의한 CaNA 절단 부위를 결정하였을 때, 45 kDa 절단 단백질은 아미노산 서열에서 아미노산 392까지로 이루어져 있었고, 48 kDa 절단 단백질은 아미노산 421까지, 아미노산 422까지, 아미노산 423까지 및 424까지로 이루어져 있었다.
본 발명은 CaNA 절단 저해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CaNA 절단 저해제는 칼시뉴린의 비가역적 활성화를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활성화에 의해 유발되는 신경 세포 사멸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CaNA 절단 저해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신경 세포 사멸 억제제는 치매성 질환 등과 같이 신경 세포 사멸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약 또는 치료약으로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CaNA 절단 저해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세포 배양 배지용 첨가제를 이용하면 배양 세포의 생육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CaNA 절단 저해제는 신경 세포 사멸에 관한 연구용 시약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서열 목록 프리 텍스트>
서열 5: 인간 유래의 펩티드 서열과 인공 펩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서열.
서열 6: 인간 유래의 펩티드 서열과 인공 펩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서열.
<110> Tomizawa, Kazuhito Matsui, Hideki <120> Inhibitor of constitutive active forming of carcineurin <130> JP-13650 <160> 6 <210> 1 <211> 16 <212> PRT <213> human <400> 1 Phe Asp Gly Ala Thr Ala Ala Ala Arg Lys Glu Val Ile Arg Asn Lys 1 5 10 15 <210> 2 <211> 17 <212> PRT <213> human <400> 2 Arg Glu Glu Ser Glu Ser Val Leu Thr Leu Lys Gly Leu Thr Pro Thr 1 5 10 15 Gly <210> 3 <211> 521 <212> PRT <213> human <400> 3 Met Ser Glu Pro Lys Ala Ile Asp Pro Lys Leu Ser Thr Thr Asp Arg 1 5 10 15 Val Val Lys Ala Val Pro Phe Pro Pro Ser His Arg Leu Thr Ala Lys 20 25 30 Glu Val Phe Asp Asn Asp Gly Lys Pro Arg Val Asp Ile Leu Lys Ala 35 40 45 His Leu Met Lys Glu Gly Arg Leu Glu Glu Ser Val Ala Leu Arg Ile 50 55 60 Ile Thr Glu Gly Ala Ser Ile Leu Arg Gln Glu Lys Asn Leu Leu Asp 65 70 75 80 Ile Asp Ala Pro Val Thr Val Cys Gly Asp Ile His Gly Gln Phe Phe 85 90 95 Asp Leu Met Lys Leu Phe Glu Val Gly Gly Ser Pro Ala Asn Thr Arg 100 105 110 Tyr Leu Phe Leu Gly Asp Tyr Val Asp Arg Gly Tyr Phe Ser Ile Glu 115 120 125 Cys Val Leu Tyr Leu Trp Ala Leu Lys Ile Leu Tyr Pro Lys Thr Leu 130 135 140 Phe Leu Leu Arg Gly Asn His Glu Cys Arg His Leu Thr Glu Tyr Phe 145 150 155 160 Thr Phe Lys Gln Glu Cys Lys Ile Lys Tyr Ser Glu Arg Val Tyr Asp 165 170 175 Ala Cys Met Asp Ala Phe Asp Cys Leu Pro Leu Ala Ala Leu Met Asn 180 185 190 Gln Gln Phe Leu Cys Val His Gly Gly Leu Ser Pro Glu Ile Asn Thr 195 200 205 Leu Asp Asp Ile Arg Lys Leu Asp Arg Phe Lys Glu Pro Pro Ala Tyr 210 215 220 Gly Pro Met Cys Asp Ile Leu Trp Ser Asp Pro Leu Glu Asp Phe Gly 225 230 235 240 Asn Glu Lys Thr Gln Glu His Phe Thr His Asn Thr Val Arg Gly Cys 245 250 255 Ser Tyr Phe Tyr Ser Tyr Pro Ala Val Cys Asp Phe Leu Gln His Asn 260 265 270 Asn Leu Leu Ser Ile Leu Arg Ala His Glu Ala Gln Asp Ala Gly Tyr 275 280 285 Arg Met Tyr Arg Lys Ser Gln Thr Thr Gly Phe Pro Ser Leu Ile Thr 290 295 300 Ile Phe Ser Ala Pro Asn Tyr Leu Asp Val Tyr Asn Asn Lys Ala Ala 305 310 315 320 Val Leu Lys Tyr Glu Asn Asn Val Met Asn Ile Arg Gln Phe Asn Cys 325 330 335 Ser Pro His Pro Tyr Trp Leu Pro Asn Phe Met Asp Val Phe Thr Trp 340 345 350 Ser Leu Pro Phe Val Gly Glu Lys Val Thr Glu Met Leu Val Asn Val 355 360 365 Leu Asn Ile Cys Ser Asp Asp Glu Leu Gly Ser Glu Glu Asp Gly Phe 370 375 380 Asp Gly Ala Thr Ala Ala Ala Arg Lys Glu Val Ile Arg Asn Lys Ile 385 390 395 400 Arg Ala Ile Gly Lys Met Ala Arg Val Phe Ser Val Leu Arg Glu Glu 405 410 415 Ser Glu Ser Val Leu Thr Leu Lys Gly Leu Thr Pro Thr Gly Met Leu 420 425 430 Pro Ser Gly Val Leu Ser Gly Gly Lys Gln Thr Leu Gln Ser Ala Thr 435 440 445 Val Glu Ala Ile Glu Ala Asp Glu Ala Ile Lys Gly Phe Ser Pro Gln 450 455 460 His Lys Ile Thr Ser Phe Glu Glu Ala Lys Gly Leu Asp Arg Ile Asn 465 470 475 480 Glu Arg Met Pro Pro Arg Arg Asp Ala Met Pro Ser Asp Ala Asn Leu 485 490 495 Asn Ser Ile Asn Lys Ala Leu Ala Ser Glu Thr Asn Gly Thr Asp Ser 500 505 510 Asn Gly Ser Asn Ser Ser Asn Ile Gln 515 520 <210> 4 <211> 11 <212> PRT <213> HIV virus <400> 4 Tyr Gly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1 5 10 <210> 5 <211> 26 <212> PRT <213> human <400> 5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Phe Asp Gly Ala Thr Ala 1 5 10 15 Ala Ala Arg Lys Glu Val Ile Arg Asn Lys 20 25 <210> 6 <211> 27 <212> PRT <213> human <400> 6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Glu Glu Ser Glu Ser 1 5 10 15 Val Leu Thr Leu Lys Gly Leu Thr Pro Thr Gly 20 25

Claims (4)

  1. 서열 1의 펩티드, 서열 2의 펩티드 및(또는) 이들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칼파인에 의한 칼시뉴린 A 서브유닛 절단 저해제.
  2. 제1항에 기재된 칼시뉴린 A 서브유닛 절단 저해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신경 세포 사멸 억제제.
  3. 제1항에 기재된 칼시뉴린 A 서브유닛 절단 저해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치매성 질환 진행 억제제.
  4. 제1항에 기재된 칼시뉴린 A 서브유닛 절단 저해제를 포함하는, 세포 및 뇌 슬라이스 배양 배지용 첨가제.
KR1020057005991A 2002-10-08 2003-10-07 칼시뉴린의 항상적 활성화 저해제 KR100833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94815 2002-10-08
JP2002294815 2002-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581A true KR20050065581A (ko) 2005-06-29
KR100833728B1 KR100833728B1 (ko) 2008-05-29

Family

ID=3208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991A KR100833728B1 (ko) 2002-10-08 2003-10-07 칼시뉴린의 항상적 활성화 저해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83375B2 (ko)
EP (1) EP1552847A4 (ko)
JP (1) JP4642469B2 (ko)
KR (1) KR100833728B1 (ko)
CN (1) CN100340288C (ko)
TW (1) TW200407160A (ko)
WO (1) WO20040329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9428B (zh) * 2011-04-25 2014-03-12 山东维真生物科技有限公司 钙调磷酸酶抑制因子1在制备治疗与NF-κB活性升高相关的疾病的药物中的用途
CN117511882A (zh) * 2022-08-03 2024-02-06 浙江大学医学院附属第一医院 一种通用型免疫效应细胞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0995A1 (fr) * 2000-06-29 2002-01-04 Exonhit Therapeutics Sa Compositions et methodes pour le traitement ou la detection de pathologies neurodegener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032955A1 (ja) 2006-02-09
US7183375B2 (en) 2007-02-27
TWI341208B (ko) 2011-05-01
KR100833728B1 (ko) 2008-05-29
EP1552847A4 (en) 2009-10-28
EP1552847A1 (en) 2005-07-13
CN1691960A (zh) 2005-11-02
TW200407160A (en) 2004-05-16
JP4642469B2 (ja) 2011-03-02
US20060177431A1 (en) 2006-08-10
WO2004032955A1 (ja) 2004-04-22
CN100340288C (zh) 200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6589B2 (ja) 薬物動態特性の改善されたコンプスタチンアナログ
EP2046821B1 (en) Fusion peptide for inhibiting interaction of neuronal nmda receptor (nmdar) and nmdar interacting proteins
EA006423B1 (ru) Олигопептид, обладающий биологической активностью модулятора рецептора тромбопоэтина, и способы его применения
JP2022514114A (ja) ニコチン性アセチルコリン受容体ペプチドアンタゴニストであるコノトキシン組成物、およびこれに関連する方法
Geranurimi et al. Probing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ndependent of NF-κB through conformational constraint of peptide-based interleukin-1 receptor biased ligands
JP2018522547A (ja) Il−37バリアント
KR20140048070A (ko) 신경계 질병을 치료하는 nd2 펩티드 및 방법
HUE024953T2 (en) Peptide inhibitors to mediate stress responses
KR100833728B1 (ko) 칼시뉴린의 항상적 활성화 저해제
EP3169344B1 (en) Epha4 cyclic peptide antagonists for neuroprotection and neural repair
EP0958829B1 (en) Use of a peptide compound in the treatment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EP3970796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trophic keratitis which contains pacap peptide or stabilized pacap peptide
KR101645654B1 (ko) Rage로부터 유래된 폴리펩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6982246B1 (en) Cytomodulating peptide for inhibiting lymphocyte activity
EP1626984A1 (en) Spheron components useful in determining compounds capable of treating symptoms of alzheimer&#39;s disease
EP2552940A2 (en) Peptides for promoting angiogenesis and an use thereof
KR101131512B1 (ko) 퇴행성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US11136362B2 (en) Peptide modulators of specific calcineurin protein-protein interactions
US20230374067A1 (en) Novel peptoids and use thereof for preventing or treating chronic pain
US20060036073A1 (en) Neurotrophic and neuroprotective peptides
US20230203107A1 (en) Peptide for treating sepsis derived from rv3364c protei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US20230391842A1 (en) Retro-inverso peptides
EP1041997B1 (fr) Utilisation de peptides citrullines derives de la filaggrine dans le cadre du traitement de maladies autoimmunes
WO2021247882A2 (en) Compounds and methods for treating, ameliorating, or preventing herpes ocular keratitis
CN117279887A (zh) 抑制剂及其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