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5294A -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5294A
KR20050065294A KR1020040098019A KR20040098019A KR20050065294A KR 20050065294 A KR20050065294 A KR 20050065294A KR 1020040098019 A KR1020040098019 A KR 1020040098019A KR 20040098019 A KR20040098019 A KR 20040098019A KR 20050065294 A KR20050065294 A KR 20050065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haped signal
optical disk
threshold value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2593B1 (ko
Inventor
모리다카유키
요네자와미노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50065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5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counting or timing of machine oper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11B2019/121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by photo-electric sensing

Abstract

레이저광의 광 디스크(D)로부터의 반사광을 판독하여, 제1 S자 신호(S1)와 제2 S자 신호(S2)를 포함하는 판독 신호를 출력하는 판독부(15)와, 판독 신호를 제1 임계치(TH1+)와 비교함으로써 제1 S자 신호(S1)를 검출하는 제1 비교부(52)와, 판독 신호를 제1 임계치(TH1+)보다도 큰 제2 임계치(TH2+)와 비교함으로써 제2 S자 신호(S2)를 검출하는 제2 비교부(53)와, 제1 비교부(52)가 제1 S자 신호(S1)를 검출한 때부터, 제2 비교부(53)가 제2 S자 신호(S2)를 검출한 때까지의 기간을 계시하는 계시부(57)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OPTICAL DISK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광 디스크의 판독 신호로부터 S자 신호를 검출하여, 광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최근, 디지털 데이터의 기록 매체로서 기록형이나 재생 전용의 DVD(Digital Versatile Disc), 또는 종래형의 CD(Compact Disc) 등, 복수 종류의 광 디스크가 보급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광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광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 종류의 광 디스크에 대응해야만 하고, 광 디스크의 종류를 식별해야 한다.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188458호 공보에는 디스크에 광 빔을 집광하여 얻어지는 반사 광 빔을 검출하고, 제1 및 제2 반사 광 강도 또는 포커스 에러 신호의 발생 간격에 기초하여 보호층의 두께를 추정하여 디스크의 종별을 판별하는 광 디스크 장치가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188458호 공보의 기술은 0레벨을 벗어났을 때에 측정 개시, O 레벨에 도착한 때에 측정 종료로 하기 때문에, 노이즈의 영향을 받은 경우에 오측정을 행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임계치를 마련하여 진폭이 다른 신호 사이를 측정하는 경우, 정확한 진폭을 검출하지 않고서 측정을 행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188458호 공보의 기술에서는, S자 신호의 제1 S자 신호(S1)로 임계치를 초과하는 상승을 검출한 경우, 다음에 검지한 상승까지의 사이를 측정함으로써 광 디스크의 보호층의 두께를 추정하고 있지만, 노이즈 등으로 제1 S자 신호(S1)의 상승을 잃은 경우, 하강을 측정 개시 위치로 해버린다. 이에 따라, 제1 S자 신호(S1)의 하강과 제2 S자 신호(S2)의 상승을 하나의 S자 신호로 오인식해 버려 측정용 카운터가 폭주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광 디스크의 판독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 종류의 S자 신호를 다른 임계치로 식별하여 광 디스크 종류를 판별함으로써, 노이즈 내성이 높은 식별 성능을 갖는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 디스크 장치로서, 레이저광의 광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판독하여, 제1 S자 신호와 제2 S자 신호를 포함하는 판독 신호를 출력하는 판독부와, 판독 신호를 제1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제1 S자 신호를 검출하는 제1 비교부와, 판독 신호를 제1 임계치보다도 큰 제2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제2 S자 신호를 검출하는 제2 비교부와, 제1 비교부가 제1 S자 신호를 검출한 때부터, 제2 비교부가 제2 S자 신호를 검출한 때까지의 기간을 계시(計時)하는 계시부를 구비하는 광 디스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광의 광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판독하여, 제1 S자 신호와 제2 S자 신호를 포함하는 판독 신호를 출력하는 광 디스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판독 신호를 제1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제1 S자 신호를 검출하는 제1 공정과, 판독 신호를 제1 임계치보다도 큰 제2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제2 S자 신호를 검출하는 제2 공정과, 제1 공정에서 제1 S자 신호를 검출한 때부터, 제2 공정에서 제2 S자 신호를 검출한 때까지의 기간을 계시하는 제3 공정을 구비하는 광 디스크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판독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S자 신호를 검출하는 S자 신호 검출 회로를 나타내고 있고, 이 S자 신호 검출 회로의 출력은 광 디스크 종별의 판정에 이용되고 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포커싱 제어부에 보조적으로 이용하는 것에도 적합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동 광 디스크 장치의 픽업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동 광 디스크 장치의 S자 신호 검출 회로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
(구성과 동작)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광 디스크(D)는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 또는 독출 전용의 광 디스크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로서 설명을 행한다.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로서는 DVD-R, DVD-RAM, CD-R, CD-RW 등의 광 디스크가 있다.
광 디스크(D)의 표면에는 스파이럴형으로 랜드 트랙 및 그루브 트랙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광 디스크(D)는 스핀들 모터(13)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광 디스크(D)에 대한 정보의 기록, 재생은 픽업(15)에 의해 행해진다.
픽업(15)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물 렌즈(22)가 설치된다. 대물 렌즈(22)는 구동 코일(21)의 구동에 의해 포커싱 방향(렌즈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대물 렌즈(22)는 구동 코일(20)의 구동에 의해 트래킹 방향(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여, 레이저광의 빔 스폿을 이동함으로써 트래킹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28)는 도시하지 않은 레이저 제어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레이저광을 발생한다.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28)로부터 발생하는 레이저광은 콜리메이터 렌즈(25), 하프 프리즘(24), 광학계(23) 및 대물 렌즈(22)를 통해 광 디스크(D)상에 조사된다. 광 디스크(D)로부터의 반사광은 대물 렌즈(22), 광학계(23), 하프 프리즘(24) 및 집광 렌즈(27)를 통해 광 검출기(26)로 유도된다.
광 검출기(26)는 4분할의 광 검출 셀로 이루어지고, 검출 신호(A, B, C, D)를 RF 앰프(12)에 공급한다. RF 앰프(12)는 DVD ROM의 DPD법에 따르면, (A+C)-(B+D)인 트래킹 에러 신호(TE)를 트래킹 제어부(38)에 공급한다.
또한, RF 앰프(12)는 비점수차법에 따르면, (A+D)-(B+C)인 포커스 에러 신호(FE)를 포커싱 제어부(37)와 복수의 임계치를 갖는 S자 신호 검출 회로(35)에 공급한다.
추가로, RF 앰프(12)는 (A+B)-(C+D)인 워블 신호(WB)를 워블 PLL부/어드레스 검출부(36)에 공급하고, (A+B)+(C+D)인 RF 신호를 데이터 재생부(34)에 공급한다.
한편, 포커싱 제어부(37)로부터 출력되는 포커스 제어 신호는 포커싱 구동 코일(21)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레이저광이 광 디스크(D)의 기록막상에 항상 저스트 포커스가 되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트래킹 제어부(38)는 트래킹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트래킹 방향의 구동 코일(20)에 공급한다.
상기 포커싱 제어 및 트래킹 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광 검출기(26)의 광 검출 셀의 출력 신호의 합신호(RF)는 기록 정보에 대응하여 광 디스크(D)의 트랙상에 형성된 피트 등으로부터의 반사율의 변화가 반영된다. 이 신호는 데이터 재생부(34)에 공급된다.
데이터 재생부(34)는 PLL 회로(16)로부터의 재생용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기록 데이터를 재생하고, 추가로 에러 정정 회로(17)에 의해 에러 정정이 이루어져 인터페이스(43) 회로를 통해 재생 신호가 예컨대 호스트 장치(44)에 공급된다. 또한, 데이터 재생부(34)는 신호(RF)의 진폭을 측정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 측정치는 CPU(40)에 의해 독출된다.
또한, 모터 제어 회로(14), PLL 회로(16), 데이터 재생부(34), 포커싱 제어부(37) 및 트래킹 제어부(38) 등은 서보 제어 회로로서 하나의 LSI 칩 내에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회로는 버스(39)를 통해 CPU(40)에 의해 제어된다.
CPU(40)는 인터페이스 회로(43)를 통해 호스트 장치(44)로부터 제공되는 동작 커맨드에 따라서 이 광 디스크 장치를 종합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CPU(40)는 RAM(41)을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하고, ROM(42)에 기록된 프로그램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S자 신호 검출 회로(3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RF 앰프(12)로부터 공급되는 포커스 에러 신호(FE)를 받는 비교기(52, 53)를 갖고 있다. 이 비교기(52)는 제1 임계치(TH1+)와 제1 임계치(TH1-)가 외부(또는 CPU)로부터 부여되고 있고, 마찬가지로, 비교기(53)는 제2 임계치(TH2+)와 제2 임계치(TH2-)가 외부(또는 CPU)로부터 부여되고 있다.
추가로, CPU(40) 또는 포커싱(37) 제어부로부터 포커스 에러 신호(FE)를 받는 방향 검지기(51)로부터의 출력이 비교기(52, 53)와, 후술하는 카운터(57)와 평균화 회로(58)에 공급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S자 신호 검출 회로(35)는 비교기(52, 53)의 출력을 각각 받는 위상 검지부(54, 55)를 갖고 있고, 위상 검지부(54, 55)의 출력을 받는 위상 보정부(56)와, 위상 보정부(56)와 위상 검지부(55)의 출력을 입력 단자에 받아 신호의 기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57)와, 이 카운터(57)의 출력을 받는 평균화 회로(58)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S자 신호 검출 회로의 동작>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S자 신호 검출 회로(35)의 처리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의 S자 신호 검출 회로(35)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동 광 디스크 장치의 S자 신호 검출 회로(35)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 도 6은 동 광 디스크 장치의 S자 신호 검출 회로(35)의 미검출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 도 7은 동 광 디스크 장치의 S자 신호 검출 회로(35)의 왕복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 도 8은 동광 디스크 장치의 S자 신호 검출 회로(35)가 검출하는 검출 신호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S자 신호 검출 회로에 의한 광 디스크 종류 판정)
처음에, S자 신호를 검출함에 따른 광 디스크(D)의 종류 판정 처리에 대해서,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S자 신호 검출 회로(35)는 반드시 광 디스크 종류 판정에 이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합한 실시 형태로서, S자 신호의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광 디스크의 종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즉, 도 4에 있어서, 기간 T1은 대물 렌즈(22)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광이 광 디스크(D)에서 떨어져 있는 상태, 기간 T2는 레이저광이 광 디스크(D)의 표면(F)에 초점된 상태, 기간 T3은 레이저광이 광 디스크(D)내의 투명 기판 속에 초점되어 있는 상태, 기간 T4는 레이저광이 기록층(R)에 초점되어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광 디스크(D)에 대하여 광 빔을 조사하고, 픽업(15)으로부터 얻어지는 포커스 에러 신호(FE)가 2개의 S자 신호(S1, S2)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1 S자 신호(S1)가 광 디스크(D)의 표면(F)의 검출 신호, 제2 S자 신호(S2)가 광 디스크(D)의 기록층(R)의 검출 신호가 된다.
제1 S자 신호(S1)의 도달에 의해 제1 S자 신호(S1)와 제1 임계치(TH1+, TH1-)의 비교를 행함으로써 광 디스크(D)의 표면(F)에 있어서의 S자 신호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S자 신호(S2)의 도달에 의해 제2 S자 신호(S2)와 제2 임계치(TH2+, TH2-)의 비교를 행함으로써 광 디스크(D)의 기록층(R)에 있어서의 S자 신호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S자 신호(S1)부터 제2 S자 신호(S2)까지의 사이를 정확히 측정함으로써 광 디스크(D)의 표면(F)부터 기록층(R)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 3개의 공정에 의해 광 디스크(D)의 종별을 판별함으로써 디스크 종별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광 디스크(D)의 표면(F)부터 기록층(R)까지의 거리 계산은 평균화 회로(58)로부터 부여된 신호를 받는 CPU(40) 등으로 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여기서, 광 디스크(D)의 표면(F)부터 기록층(R)까지의 거리는 광 디스크(D)의 종류로 규격으로서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S자 신호(S1)의 발생 개시로부터 제2 S자 신호(S2)의 발생 개시까지의 기간 t1을 측정하여, 소정치와 비교함으로써, 그 광 디스크(D)가, 예컨대, DVD(Digital Versatile Disc)인지 CD인지 등의 판단을 행할 수 있다.
이하에, 이들 동작을 도 3의 S자 신호 검출 회로(35)의 구성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비교기(52)는 S자 신호를 포함하는 포커스 에러 신호(FE)와 제1 임계치(TH1+, TH1-)와의 비교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입력되는 포커스 에러 신호 FE(S자 신호)가 임계치를 통과한 경우, 위상 검지부(54)에 비교 결과를 출력한다.
임계치는 상승 검출용 제1 임계치(TH1+)와 하강 검출용 제1 임계치(TH1-)가 있고, S자 신호(S1)가 상승으로부터라도 하강으로부터라도 측정이 가능해진다. 임계치는 2의 보수를 이용한다. 위상 검지부(54)는 S자 신호(S1)가 상승으로부터 입력되었는지 하강으로부터 입력되었는지의 검출을 행하고, 제1 임계치를 통과한 진폭 신호의 1주기를 나타낸다.
또한, 비교기(53)는 제2 S자 신호(S2)를 포함하는 포커스 에러 신호(FE)와 제2 임계치(TH2+, TH2-)의 비교를 행한다. 여기서, 입력되는 제2 S자 신호(S2)가 제2 임계치(TH2+, TH2-)를 통과한 경우, 위상 검지부(55)에 비교 결과를 출력한다. 임계치는 상승 검출용 제2 임계치(TH2+)와 하강 검출용 제2 임계치(TH2-)가 있고, S자 신호를 상승으로부터에서도 하강으로부터에서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임계치는 2의 보수를 이용한다.
위상 검지부(55)는 S자 신호가 상승으로부터 입력되었는지 하강으로부터 입력되었는지의 검출을 행하고, 제2 임계치(TH2+, TH2-)를 통과한 진폭 신호의 1주기를 나타낸다.
카운터(57)는 제1 S자 신호(S1)와 제2 S자 신호(S2)의 간격을 카운트한다. 방향 검지기(51)에서 왕로(往路)가 검출된 경우, 비교기(52)에서 검출된 결과에 따른 위상 보정부(5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카운터(57)에 의한 계시를 시작한다.
위상 검지부(54)에서 검출한 진폭 신호의 1주기분을 통과할 때까지 카운터(57)의 카운트는 계속되고, 비교기(53)로써 검출된 결과에 따른 위상 검지부(55)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카운터(57)의 카운트를 종료한다. 또한, 위상 검지부(55)에서 검출한 S자 신호(S2)의 1주기분이 통과할 때까지, 카운터(57)의 다음 카운트는 시작되지 않는다.
방향 검지기(51)로 복로(復路)가 검출된 경우, 비교기(53)로써 검출된 결과로부터 카운트를 시작한다. 위상 검지부(55)에서 검출한 진폭 신호의 1주기분을 통과할 때까지 카운트는 계속되고, 비교기(52)로써 검출된 결과로부터 카운트를 종료한다. 위상 검지부(54)에서 검출한 진폭 신호의 1주기분을 통과할 때까지 다음 카운트는 시작되지 않는다.
또한, 위상 보정부(56)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일례로서, 제1 S자 신호(S1)의 상승 검출에 실패한 경우에, 하강 검출을 대용하여 카운터(57)의 카운트를 시작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S자 신호의 검출에 디펙트가 있었던 경우에도, 신속하고 확실한 광 디스크(D)의 종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방향 검지기(51)는 S자 신호가 왕로인지 복로인지를 검출한다.
또한, 평균화 회로(58)는 S자 신호간 측정을 왕복으로 행하는 경우에, 왕로와 복로의 결과를 평균화할 수 있다. 평균화를 행하는 경우, 왕로의 측정 직후에 한번 측정 결과를 후단으로 출력하고, 복로의 측정 직후에 왕로와 복로의 측정 결과를 평균화한다. 평균화는 행하지 않을 수도 있고, 이 경우는 왕로, 복로 모두 측정 직후에 결과를 출력한다. 또한, 왕로만으로 측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측정 직후에 측정 결과를 출력한다.
다음에, 이러한 S자 신호 검출 회로(35)에 의한 동작에 있어서의 각 신호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즉, 타이밍 신호(T5)는 위상 검지부(54)의 제1 S자 신호(S1)가 제1 임계치(TH1+)를 초과한 위치부터 제1 임계치(TH1-)를 초과한 위치까지의 범위로서, 제1 S자 신호(S1)의 제1 임계치(TH1+, TH1-)에 의한 1주기를 나타낸다. 이 동안은 카운터(57)를 종료시킬 수 없다. 이것은 노이즈 등에 의한 오측정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다음에, 카운트 신호(T6)는 제1 S자 신호(S1)부터 제2 S자 신호(S2)까지의 카운트 상태를 나타낸다. 비교기(52)로써 제1 S자 신호(S1)가 제1 임계치(TH1+)를 초과한 것을 검지한 경우, 카운터(57)는 카운트를 시작한다. 또한, 비교기(53)로써 제2 S자 신호(S2)가 제2 임계치(TH2+)를 초과한 것을 검지한 경우, 카운터(57)는 카운트를 종료한다.
또한, 타이밍 신호(T7)는 위상 검지부(54)의 제2 S자 신호(S2)가 제1 임계치(TH1+)를 초과한 위치부터 제1 임계치(TH1-)를 초과한 위치까지의 범위로서, 제2 S자 신호(S2)의 제1 임계치(TH1+, TH1-)에 의한 1주기를 나타낸다.
타이밍 신호(T8)는 위상 검지부(55)의 제2 S자 신호(S2)가 제2 임계치(TH2+)를 초과한 위치부터 제2 임계치(TH2-)를 초과한 위치까지의 범위로서, 제2 S자 신호(S2)의 제2 임계치(TH2+, TH2-)에 의한 1주기를 나타낸다. 이 동안은 카운터(57)를 재차 카운트시킬 수 없다. 이것은 노이즈 등에 의한 오측정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카운트 신호(T9)는 카운터(57)로써 카운트된 최종치이다. 카운터(57)의 출력치는 측정의 종료 직후에 출력된다.
다음에, 카운터(57)의 출력치는 왕복의 경우 평균화 회로(58)에서 평균화되고, 왕복이 아닌 경우는 그대로 평균화 회로(58)를 경유하여 데이터 버스(39)를 통해 CPU(40) 등에 공급된다. CPU(40)에서는, 부여된 카운터치의 크기에 기초하여 광 디스크(D)의 표면(F)부터 기록층(R)까지의 거리를 추정하여 광 디스크(D)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 S자 신호 검출 회로(35)의 S자 신호(S1, S2)의 검출 결과는 광 디스크(D)의 종류 판별에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포커싱 제어부(37)에 공급하여 빔 광의 포커싱 제어에 이용하는 것도 적합하다.
(S자 신호 검출 회로의 디펙트 처리)
다음에, S자 신호 검출 회로(35)의 디펙트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포커스 에러 신호(FE)를 정확하게 취득할 수 없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S자 신호[S1(또는 S2)]를 오인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3의 위상 보정부(56)를 이용하여, 보정한 근사 신호를 카운터(57)에 보냄으로써, S자 신호의 전반부(S1')의 측정의 실패를 회복할 수 있고, 측정의 반복을 막아 광 디스크 종류의 판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S자 신호(S1)의 상승(S1')이 미검출로 된 경우, 타이밍 신호(T11)는 S자 신호의 제1 S자 신호(S1)이며 노이즈 등의 영향으로 상승을 검출할 수 없고 하강만의 파형으로서 출력된다.
이러한 신호 파형(T11)을 식별하면, 위상 보정부(56)는 대신에 보정 신호(H)를 카운터(57)의 입력단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카운터(57)는 보정 신호(H)의 상승에 따라 계시를 시작하고(T12), 그리고, 타이밍 신호(T13)에 의해 계시를 종료한다.
타이밍 신호(T12)는 제1 S자 신호(S1)부터 제2 S자 신호(S2)까지의 카운트 상태를 나타낸다. 비교기(52)로써 S자 신호가 제1 임계치(TH1-)를 초과한 것을 검지한 경우, 카운터(57)는 카운트를 시작한다. 비교기(53)로써 S자 신호가 제2 임계치(TH2+)를 초과한 것을 검지한 경우, 카운터(57)는 카운트를 종료한다.
타이밍 신호(T13)는 위상 검지부(55)에 의해 제2 S자 신호(S2)가 상승으로부터 시작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위상 보정부(56)에 대하여 위상의 보정을 통지한다. 이에 따라 위상 검지부(54)로써 검지된 위상은 수정되고, 카운트(57)를 종료시키지 않도록 작용하고 있던 타이밍 신호(T11)는 보정 신호(H)로 교체되어, 카운터(C)의 폭주가 억지된다. 또한, 타이밍 신호(T14)는 카운터(57)로써 카운트된 최종치이다. 카운터의 출력치는 측정의 종료 직후에 출력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제1 S자 신호(S1)의 하강이 미검출이었을 경우, 도 6에서 도시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위상 검지부(55)에 의한 제2 S자 신호(S2)의 위상 검출에 의해 위상 보정을 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에 따라, 제1 S자 신호(S1)의 상승 또는 하강이 미검출일 때에 발생한다고 생각되는 카운터(57)의 폭주를 막을 수 있고, 적정한 카운터치를 CPU(40) 등에 공급함으로써, 노이즈 등에 의한 디펙트가 있어도 광 디스크(D)의 종별을 판정할 수 있다.
(S자 신호 검출 회로의 왕복 측정)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S시 신호 판정 회로(35)에 의하면, 포커스 에러 신호(FE)의 취득이 불완전하여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15)의 레이저광의 포커스 위치를, 예컨대 CPU(40)와 포커싱 제어부(37)의 제어에 의해 광 디스크(D)에 가까이 했다가 멀리함으로써 왕복으로 S자 신호를 측정하여, 광 디스크 종류의 판정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도 7에 있어서, 왕로의 제1 S자 신호(S1), 왕로의 제2 S자 신호(S2), 복로의 제2 S자 신호(S3), 복로의 제1 S자 신호(S4)가 판독 신호에 포함되어 검출된다.
이것에 대하여, 타이밍 신호(T21)는 위상 검지부(54)의 제1 S자 신호(S1)가 제1 임계치(TH1+)를 초과한 위치부터 제1 임계치(TH1-)를 초과한 위치까지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고, 제1 S자 신호(S1)의 제1 임계치에 의한 1주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동안은 카운터(57)를 종료시킬 수 없다. 이것은 노이즈 등에 의한 오측정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카운트 신호(T22)는 왕로에 있어서의 S자 신호의 제1 S자 신호(S1)부터 제2 S자 신호(S2)까지의 카운트 상태를 나타낸다. 이 비교기(52)로써 S자 신호가 제1 임계치(TH1+)를 초과한 것을 검지한 경우, 카운터(57)는 카운트를 시작한다. 비교기(53)로써 S자 신호가 제2 임계치(TH2+)를 초과한 것을 검지한 경우, 카운터(57)는 카운트를 종료한다.
타이밍 신호(T23)는 위상 검지부(55)의 제2 S자 신호(S2)가 제2 임계치(TH2+)를 초과한 위치부터 제2 임계치(TH2-)를 초과한 위치까지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고, 제2 S자 신호(S2)의 제2 임계치에 의한 1주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동안은 카운터(57)를 재차 카운트시킬 수 없다. 이것은 노이즈 등에 의한 오측정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카운트 신호(T24)는 카운터(57)로써 카운트된 왕로의 최종치이다. 카운터(57)의 출력치는 측정이 종료 직후에 출력된다. 또한, 타이밍 신호(T25)는 방향 검지기(51)로써 검지된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복로에 있어서의 제2 S자 신호(S3)와 제1 S자 신호(S4)가 표시되어 있다. 복로이기 때문에, 왕로와는 대조적인 파형이 된다.
타이밍 신호(T26)는 위상 검지부(55)의 제2 S자 신호(S3)가 제2 임계치(TH2-)를 초과한 위치부터 제2 임계치(TH2+)를 초과한 위치까지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고, 제2 S자 신호(S3)의 제2 임계치에 의한 1주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동안은 카운터(57)를 종료시킬 수 없다. 이것은 노이즈 등에 의한 오측정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카운트 신호(T27)는 복로에 있어서의 S자 신호의 제2 S자 신호(S3)부터 제1 S자 신호(S4)까지의 카운트 상태를 나타낸다. 비교기(53)로써 S자 신호가 제2 임계치(TH2-)를 초과한 것을 검지한 경우, 카운터(57)는 카운트를 시작한다. 비교기(52)로써 S자 신호가 제1 임계치(TH1-)를 초과한 것을 검지한 경우, 카운터(57)는 카운트를 종료한다.
타이밍 신호(T28)는 위상 검지부(54)의 제1 S자 신호(S4)가 제1 임계치(TH1-)를 초과한 위치부터 제1 임계치(TH1+)를 초과한 위치까지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고, 제1 S자 신호(S4)의 제1 임계치에 의한 1주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동안은 카운터(57)를 재차 카운트시킬 수 없다. 이것은 노이즈 등에 의하 오측정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타이밍 신호(T29)의 출력은 카운터(57)로써 카운트된 복로의 최종치, 또는 왕로의 최종치와 복로의 최종치를 평균화 회로(58)에 의해 평균치를 산출한 값이다. 카운터(57)의 출력치 또는 평균치는 측정의 종료 직후에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S자 신호 검출 회로(35)에 의하면, 이러한 순서로 왕복에 있어서, S자 신호(S1, S2, S3, S4)를 순차 검출함으로써, 한쪽에서 검출하는 경우보다도 한층 더 정밀도를 높게 S자 신호를 검출하여 신호 사이의 거리를 정밀도 높게 검출함으로써, 높은 정밀도로 광 디스크 종류를 판정할 수 있다.
(S자 신호 검출 회로의 역상 S자 신호의 측정 처리)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S자 신호 검출 회로(35)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서, 제1 임계치(TH1+)와는 반대 부호로 동일한 절대치를 갖는 임계치(TH1-)를 이용하여, 마이너스 방향에서 플러스 방향으로 변위하는 위상을 갖는 제1 S자 신호(S1R)를 검출하는 비교기(52)와, 일례로서, 제2 임계치(TH2+)와는 반대 부호로 동일한 절대치를 갖는 임계치(TH2-)를 이용하여, 마이너스 방향에서 플러스 방향으로 변위하는 위상을 갖는 제2 S자 신호(S2R)를 검출하는 비교기(53)를 갖고 있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역상의 S자 신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임계치를 각각 준비함으로써,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 있어서도, 역상의 제1 S자 신호의 검출시부터 역상의 제2 S자 신호의 검출시까지의 기간 t2에 기초하여 전술한 기간 t1에서 구할 때와 마찬가지로, 광 디스크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동작 불량이나 노이즈에 의해 신호가 역회전한 경우나, 신호가 역회전하는 특수한 광 디스크에 대해서도 확실하고 신속한 종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 그 대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여러 가지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여러 가지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 표시되는 전 구성 요소로부터 몇 개인가의 구성 요소를 삭제하여도 좋은 것이다. 추가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요소를 적절하게 조합하여도 좋은 것이다.
본 발명의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광 디스크의 판독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 종류의 S자 신호를 다른 임계치로 식별하여 광 디스크 종류를 판별함으로써, 노이즈 내성이 높은 식별 성능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광 디스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 디스크 장치의 픽업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 디스크 장치의 S자 신호 검출 회로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 디스크 장치의 S자 신호 검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 디스크 장치의 S자 신호 검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시한 타이밍도.
도 6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 디스크 장치의 S자 신호 검출 회로의 미검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시한 타이밍도.
도 7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 디스크 장치의 S자 신호 검출 회로의 왕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시한 타이밍도.
도 8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 디스크 장치의 S자 신호 검출 회로가 검출하는 검출 신호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시한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 : 광 디스크
12 : RF 앰프
13 : 회전 모터
14 : 모터 제어 회로
15 : 픽업
16 : PLL 회로
17 : 에러 정정 회로
35 : S자 신호 검출 회로
36 : 워블 PLL부/어드레스 검출부
37 : 포커싱 회로
38 : 트래킹 제어부
40 : CPU
41 : RAM
42 : ROM
43 : 인터페이스 회로
44 : 호스트 장치

Claims (15)

  1. 광 디스크 장치로서,
    레이저광의 광 디스크(D)로부터의 반사광을 판독하여, 제1 S자 신호(S1)와 제2 S자 신호(S2)를 포함하는 판독 신호를 출력하는 판독부(15)와,
    상기 판독 신호를 제1 임계치(TH1+)와 비교함으로써 제1 S자 신호(S1)를 검출하는 제1 비교부(52)와,
    상기 판독 신호를 상기 제1 임계치(TH1+)보다도 큰 제2 임계치(TH2+)와 비교함으로써 제2 S자 신호(S2)를 검출하는 제2 비교부(53)와,
    상기 제1 비교부(52)가 상기 제1 S자 신호(S1)를 검출한 때부터, 상기 제2 비교부(53)가 상기 제2 S자 신호(S2)를 검출한 때까지의 기간을 계시하는 계시부(57)를 구비하는 광 디스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자 신호(S1)는 상기 광 디스크(D)의 표면(F)의 검출 신호이고,
    상기 제2 S자 신호(S2)는 상기 광 디스크(D)의 기록층(R)의 검출 신호이며,
    상기 계시부(57)가 계시하는 기간은 상기 표면(F)부터 상기 기록층(R)까지의 거리와 거의 비례하고,
    상기 기간에 따라 상기 광 디스크(D)의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판정부(40)를 더 구비하는 것인 광 디스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시부(57)가 계시한 기간을 소정치와 비교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광 디스크(D)의 종류를 DVD(Digital Versatile Disc)라고 판정하는 판정부(40)를 더 구비하는 것인 광 디스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시부(57)는 기간을 계시하기 위한 카운터부(57)를 구비하는 것인 광 디스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15)가 상기 제1 임계치(TH1+)를 이용한 상기 제1 S자 신호(S1)의 검출에 실패했을 때, 상기 제1 임계치(TH1+)와는 다른 제3 임계치(TH1-)를 이용하여 제1 S자 신호(S1)를 검출하는 제3 비교부(56)를 더 구비하는 것인 광 디스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15)가 상기 제2 임계치(TH2+)를 이용한 상기 제2 S자 신호(S2)의 검출에 실패했을 때, 상기 제2 임계치(TH2+)와는 다른 제4 임계치(TH2-)를 이용하여 제2 S자 신호(S2)를 검출하는 제4 비교부(56)를 더 구비하는 것인 광 디스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15)의 포커스를 상기 광 디스크(D)에 가까이 했다가 멀리함으로써, 상기 판독 신호에 상기 제1 S자 신호(S1), 상기 제2 S자 신호(S2), 상기 제2 S자 신호(S3), 상기 제1 S자 신호(S4)의 순으로 나타나는 각 신호를 상기 제1 비교부(52)와 상기 제2 비교부(53)에 의해 검출시켜, 상기 제1 S자 신호(S1)가 검출된 때부터 상기 제2 S자 신호(S2)가 검출된 때까지의 기간과, 상기 제2 S자 신호(S3)가 검출된 때부터 상기 제1 S자 신호(S4)가 검출된 때까지의 기간을 상기 계시부(57)에 의해 계시하게 하는 제어부(40)를 더 구비하는 것인 광 디스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치(TH1+)와는 다른 제3 임계치(TH1-)를 이용하여 마이너스 방향에서 플러스 방향으로 변위하는 위상을 갖는 상기 제1 S자 신호(S1)를 검출하는 제3 비교부(52)를 더 구비하는 것인 광 디스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임계치(TH2+)와는 다른 제4 임계치(TH2-)를 이용하여 마이너스 방향에서 플러스 방향으로 변위하는 위상을 갖는 상기 제2 S자 신호(S2)를 검출하는 제4 비교부(53)를 더 구비하는 것인 광 디스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치(TH1+)와는 다른 제3 임계치(TH1-)를 이용하여 마이너스 방향에서 플러스 방향으로 변위하는 위상을 갖는 상기 제1 S자 신호(S1)를 검출하는 제3 비교부(52)와,
    상기 제2 임계치(TH2+)와는 다른 제4 임계치(TH2-)를 이용하여 마이너스 방향에서 플러스 방향으로 변위하는 위상을 갖는 상기 제2 S자 신호(S2)를 검출하는 제4 비교부(53)와,
    상기 제3 비교부(52)가 상기 제1 S자 신호(Sl)를 검출할 때부터, 상기 제4 비교부(53)가 상기 제2 S자 신호(S2)를 검출할 때까지의 기간을 계시하는 제2 계시부(57)와,
    상기 제2 계시부(57)가 계시하는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광 디스크(D)의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제2 판정부(40)를 더 구비하는 것인 광 디스크 장치.
  11. 레이저광의 광 디스크(D)로부터의 반사광을 판독하여, 제1 S자 신호(S1)와 제2 S자 신호(S2)를 포함하는 판독 신호를 출력하는 광 디스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판독 신호를 제1 임계치(TH1+)와 비교함으로써 제1 S자 신호(S1)를 검출하는 제1 공정(52)과,
    상기 판독 신호를 상기 제1 임계치(TH1+)보다도 큰 제2 임계치(TH2+)와 비교함으로써 제2 S자 신호(S2)를 검출하는 제2 공정(53)과,
    상기 제1 공정(52)에서 상기 제1 S자 신호(S1)를 검출한 때부터, 상기 제2의 공정(53)에서 상기 제2 S자 신호(S2)를 검출한 때까지의 기간을 계시하는 제3 공정(57)을 구비하는 광 디스크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자 신호(S1)는 상기 광 디스크(D)의 표면(F)의 검출 신호이고,
    상기 제2 S자 신호(S2)는 상기 광 디스크(D)의 기록층(R)의 검출 신호이며,
    상기 계시부(57)가 계시하는 기간은 상기 표면(F)부터 상기 기록층(R)까지의 거리와 거의 비례하고,
    상기 기간에 따라 상기 광 디스크(D)의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제4 공정(40)을 더 구비하는 것인 광 디스크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치(TH1+)를 이용한 상기 제1 S자 신호(S1)의 검출에 실패했을 때, 상기 제1 임계치(TH1+)와는 다른 제3 임계치(TH1-)를 이용하여 제1 S자 신호(Sl)를 검출하는 제4 공정(56)을 더 구비하는 것인 광 디스크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임계치(TH2+)를 이용한 상기 제2 S자 신호(S2)의 검출에 실패했을 때, 상기 제2 임계치(TH2+)와는 다른 제4 임계치(TH2-)를 이용하여 제2 S자 신호(S2)를 검출하는 제4 공정(56)을 더 구비하는 것인 광 디스크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D)에 대한 포커스를 상기 광 디스크(D)에 가까이 했다가 멀리함으로써, 상기 판독 신호에 상기 제1 S자 신호(S1), 상기 제2 S자 신호(S2), 상기 제2 S자 신호(S3), 상기 제1 S자 신호(S4)의 순으로 나타나는 각 신호를 각각 검출시켜, 상기 제1 S자 신호(S1)가 검출된 때부터 상기 제2 S자 신호(S2)가 검출된 때까지의 기간과, 상기 제2 S자 신호(S3)가 검출된 때부터 상기 제1 S자 신호(S4)가 검출된 때까지의 기간을 각각 계시하게 하는 제4 공정(40)을 더 구비하는 것인 광 디스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40098019A 2003-12-25 2004-11-26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662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31452A JP2005190592A (ja) 2003-12-25 2003-12-25 光ディスク装置
JPJP-P-2003-00431452 2003-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294A true KR20050065294A (ko) 2005-06-29
KR100662593B1 KR100662593B1 (ko) 2007-01-02

Family

ID=34789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019A KR100662593B1 (ko) 2003-12-25 2004-11-26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190592A (ko)
KR (1) KR100662593B1 (ko)
CN (1) CN129690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6821B2 (ja) * 2007-09-13 2011-11-30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媒体種類判別方法,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3242B2 (ja) * 1990-08-01 1998-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位相弁別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データ再生方法とデータ再生装置
US5438461A (en) * 1991-07-19 1995-08-01 Canon Kabushiki Kaisha Magnetic reproduction apparatus for a camera
JPH09190634A (ja) * 1996-01-10 1997-07-22 Hitachi Ltd 光ディスク装置
JPH10188458A (ja) * 1996-10-31 1998-07-21 Toshiba Corp ディスク種別判別方法及びその装置
JP3975573B2 (ja) * 1998-09-08 2007-09-12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装置および記録媒体再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37875A (zh) 2005-07-13
JP2005190592A (ja) 2005-07-14
KR100662593B1 (ko) 2007-01-02
CN1296904C (zh)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5759A2 (en) Optical disc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of judging disc type
JP2000353318A (ja) 光記録媒体の非記録領域検出方法並びに装置
US7609599B2 (en) Method of identifying a type of an optical disc and the device therefor
JPH11149640A (ja) 光ディスク装置
US20060072389A1 (en) Optical dis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apidly determining unrecorded disc
US7646689B2 (en) Disk discriminating method and disk discriminating apparatus
JP3565827B2 (ja) 記録層判別装置,記録層判別プログラム及び記録層判別方法
KR100662593B1 (ko)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362681B2 (en) Recording medium type determ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esence of wobble on a recording medium
US20040130982A1 (en) Method of controlling recording operation for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TW589630B (en) Optical disc device
US7161886B2 (en) Optical disc identification method
US6956802B2 (en) Aperture ratio measuring apparatus for optical recording medium with pre-pits
JP3802234B2 (ja) 光ディスク装置
US8547809B2 (en) Optical disk device
JP2006179127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277848A (ja) ディスク判別方法及びディスク判別装置
US6879550B2 (en) Tracking method in an optical storage
KR100197593B1 (ko) 광자기디스크장치의 위치에러제어장치 및 방법
JP2006277846A (ja) ディスク判別方法及びディスク判別装置
JP4725403B2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EP1548719A2 (en) Optical disk device and phase difference detector
JP2006277847A (ja) ディスク判別方法及びディスク判別装置
JPWO2008053513A1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半導体装置
US20080002545A1 (en) Optical disc apparatus and optical disc determin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