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4968A -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해양용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해양용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4968A
KR20050064968A KR1020030096584A KR20030096584A KR20050064968A KR 20050064968 A KR20050064968 A KR 20050064968A KR 1020030096584 A KR1020030096584 A KR 1020030096584A KR 20030096584 A KR20030096584 A KR 20030096584A KR 20050064968 A KR20050064968 A KR 20050064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fine
aggregate
present
fin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6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4267B1 (ko
Inventor
김형석
한기현
배우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창신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창신산업개발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6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267B1/ko
Publication of KR20050064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4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2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04B18/142Steelmaking slags, converter 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2Agglomerated materials, e.g. artificial aggregates
    • C04B18/021Agglomerated materials, e.g. artificial aggregates agglomerated by a mineral binder, e.g.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10Compositions or ingredien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absence or the very low content of a specif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강슬래그를 골재로 사용하여 해양용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강슬래그 조골재 및 세골재를 단독 또는 혼합으로 사용하고, 포틀란트 시멘트 및 물을 혼합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첨가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0~15중량부의 탈규슬래그 미분말을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해수성에 불리한 일반적인 포틀란트 시멘트를 사용하더라도 탈규슬래그 미분말을 혼화재로 사용함에 의하여 내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대신하여 탈규슬래그 미분말을 혼화재로 사용함에 의하여 제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해양용 콘크리트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marine concrete with steel-making slag aggregate}
본 발명은 제강슬래그를 골재로 사용하여 해양용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해수성에 불리한 일반적인 포틀란트 시멘트를 사용하더라도 탈규슬래그를 첨가함에 의하여 내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해양용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같은 해양용 콘크리트의 경우 내해수성이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내해수성의 향상을 위하여 일반적인 포틀란트 시멘트를 대신하여 슬래그 시멘트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해양용 콘크리트의 혼화재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주로 사용되는데,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고가이므로 사용상의 제약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해수성에 불리한 일반적인 포틀란트 시멘트를 사용하더라도 탈규슬래그 미분말을 혼화재로 사용함에 의하여 내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해양용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가의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대신하여 탈규슬래그 미분말을 혼화재로 사용함에 의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강슬래그 조골재 및 세골재를 단독 또는 혼합으로 사용하고, 포틀란트 시멘트 및 물을 혼합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첨가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0~15중량부의 탈규슬래그 미분말을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강슬래그 조골재 및 세골재를 단독 또는 혼합으로 사용하고, 포틀란트 시멘트 및 물을 혼합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혼화재로써 탈규슬래그 미분말을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혼화재로써의 상기 탈규슬래그 미분말의 첨가량이 시멘트 첨가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미만이면 내해수성 향상이 미약하고, 15중량부를 초과하면 내해수성 및 강도가 감소하므로, 상기 탈규슬래그 미분말의 첨가량은 시멘트 첨가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0~15중량부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규슬래그 미분말의 입도는 제한이 없으나, 4000브레인 미만으로 입도를 제어하게 되면 반응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탈규슬래그 미분말의 입도는 4000브레인 이상으로 제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탈규슬래그 미분말을 첨가함에 의하여 내해수성이 향상되는 이유는 포틀란트 시멘트 수화시에 발생되는 Ca(OH)2가 탈규슬래그 미분말과 반응하여 C-S-H 화합물을 생성하고, 이 수화물이 콘크리트 내의 공극을 충진하여 모세관 공극이 감소함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강슬래그의 경우 제강슬래그 내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석회의 팽창에 의하여 균열이나 파괴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이징 공정을 거친 제강슬래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이징 공정은 제강슬래그내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석회를 물과 반응시켜 Ca(OH)2로 안정화시키는 공정이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강슬래그를 골재로 사용할 경우 미량의 철분이 장기간에 걸쳐 용출되어 나옴으로써, 식물의 생육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인공어초 및 해중림초와 같은 해양생태계 복원용 구조물용으로 사용시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제강슬래그는 기존의 천연 쇄석보다 단단하여 좋은 내마모성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동일 배합의 경우에 자연쇄석을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제강슬래그 세골재:제강슬래그 조골재=1:1, 물:시멘트=1:1로 하여 콘크리트를 배합하였다. 이때, 시멘트는 포틀란트 시멘트를 사용하였고, 제강슬래그 골재는 에이징 처리를 한 제강슬래그 골재를 사용하였다. 또한, 제강슬래그 골재는 0.15~5mm를 세골재로 사용하였고, 5~25mm를 조골재로 사용하였으며, 탈규슬래그 미분말 첨가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이때, 상기 탈규슬래그 미분말의 입도는 4000브레인 이상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편을 23℃의 항온 수조에서 양생하면서 양생 3일차에 압축강도를 측정하였고, 같은 배합의 시편을 28일간 양생하여 ASTM C 1202-97에 명시된 방법에 의해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구분 탈규슬래그 미분말(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3일후 강도(kg/㎠)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coulombs)
비교재1 5 178 2217
발명재1 10 175 1825
발명재2 15 152 1734
비교재2 20 127 2109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는 발명재1 및 발명재2의 경우 2000coulomb 이하의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을 나타내어 내후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탈규슬래그 미분말의 첨가량이 본 발명의 범위보다 적은 비교재1의 경우에는 강도는 우수하게 나타났으나, 내해수성이 매우 열위하였다.
또한, 탈규슬래그 미분말의 첨가량이 본 발명의 범위보다 많은 비교재2의 경우에는 강도 및 내해수성이 모두 열위함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해수성에 불리한 일반적인 포틀란트 시멘트를 사용하더라도 탈규슬래그 미분말을 혼화재로 사용함에 의하여 내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대신하여 탈규슬래그 미분말을 혼화재로 사용함에 의하여 제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제강슬래그 조골재 및 세골재를 단독 또는 혼합으로 사용하고, 포틀란트 시멘트 및 물을 혼합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첨가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0~15중량부의 탈규슬래그 미분말을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해양용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강슬래그는 에이징 공정을 거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해양용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규슬래그 미분말의 입도는 4000브레인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해양용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20030096584A 2003-12-24 2003-12-24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해양용 콘크리트 KR100694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584A KR100694267B1 (ko) 2003-12-24 2003-12-24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해양용 콘크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584A KR100694267B1 (ko) 2003-12-24 2003-12-24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해양용 콘크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4968A true KR20050064968A (ko) 2005-06-29
KR100694267B1 KR100694267B1 (ko) 2007-03-14

Family

ID=37256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584A KR100694267B1 (ko) 2003-12-24 2003-12-24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해양용 콘크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4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898B1 (ko) * 2009-04-27 2012-06-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2149A (zh) 2009-10-01 2012-05-30 韩国铁道技术研究院 使用熔渣副产物的重质混凝土组合物
KR101372676B1 (ko) 2012-10-10 2014-03-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철강 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KR101501552B1 (ko) * 2013-06-04 2015-03-11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내해수성 그라우트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풍력발전 구조물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386B1 (ko) * 1985-07-25 1988-07-29 삼선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모드 변환 장치
KR950008587B1 (ko) * 1992-11-13 1995-08-03 쌍용양회공업주식회사 수중 공사용 불분리 시멘트조성물
KR100343839B1 (ko) * 1998-06-27 2002-08-22 주식회사 제철세라믹 인공어초 및 그 제조방법
JP2001240456A (ja) * 2000-02-29 2001-09-04 Taiheiyo Cement Corp 耐酸性のモルタル、グラウト及びコンクリート並びにその施工方法
JP2003013060A (ja) * 2001-06-29 2003-01-15 Mitsubishi Materials Corp 耐海水性地盤改良用セメント系固化材
JP2003165763A (ja) * 2001-11-28 2003-06-10 Teihyu Corp 繊維補強耐酸性コンクリート
KR100399559B1 (en) * 2003-01-07 2003-09-26 Dae Kyoo Hwang Waterproof liner having seawater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and preparation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898B1 (ko) * 2009-04-27 2012-06-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4267B1 (ko) 200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707B1 (ko) 페로니켈 슬래그를 포함하는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용 혼합재
KR100592781B1 (ko) 바텀애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KR101121724B1 (ko) 고로슬래그, 분말형 규산나트륨,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결합재를 이용하는 무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1223888B1 (ko) 활성도가 향상된 고로슬래그 미분말 조성물
KR101359277B1 (ko) 초기강도 발현이 우수한 고강도 저발열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진 콘크리트 구조물
KR101359187B1 (ko) 수축 저감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KR102424551B1 (ko) 조기강도 발현형 콘크리트 조성물
KR100999438B1 (ko) Csa계 조강결합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공법
KR101299163B1 (ko) 조강성 시멘트와 광물질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연약지반 고결용 고화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94267B1 (ko)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해양용 콘크리트
JP4171173B2 (ja) スラグ骨材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
KR20130116979A (ko) 터널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137618A (ja) 無機混和材を含有する高炉スラグ微粉末、高炉セメント、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217059B1 (ko) 혼화재 사용율을 높인 콘크리트 조성물
KR100592870B1 (ko)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KR101797350B1 (ko) PSC(Pre-stressed concrete) 거더용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JP2005324982A (ja) 超速硬性セメント組成物
KR101861228B1 (ko) 초기 강도가 향상된 콘크리트 조성물
KR20120022005A (ko) 내마모, 내충격 및 내염해성이 우수한 보수용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보수 공법
KR101958911B1 (ko) 시멘트계 경화체용 결합재,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구조체
KR101727728B1 (ko) 실리카퓸을 이용한 혼합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74614B1 (ko)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 보수방법
RU2258052C2 (ru) Бетонная смесь
KR102415848B1 (ko)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그라우트 조성물
KR100896005B1 (ko) 레미콘 혼화재용 강도증진 혼합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레미콘 생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