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3455A -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3455A
KR20050063455A KR1020030094861A KR20030094861A KR20050063455A KR 20050063455 A KR20050063455 A KR 20050063455A KR 1020030094861 A KR1020030094861 A KR 1020030094861A KR 20030094861 A KR20030094861 A KR 20030094861A KR 20050063455 A KR20050063455 A KR 20050063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ultrasonic
electromagnetic induction
measur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1418B1 (ko
Inventor
임종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4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418B1/ko
Publication of KR20050063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B1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B1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measuring thickness
    • G01B17/0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measuring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of co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B17/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Characterised By Use Of Acoustic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는, 측정 대상인 금속판에 대하여 그 내부에 초음파 톤버스트 신호를 인가하고, 측정 대상인 금속판의 내부를 진행하는 초음파의 다중 반사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 대상인 금속판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초음파를 발생하기 위한 초음파 발생 수단; 상기 초음파 발생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 상기 변환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제 1필터링 수단; 상기 제 1필터링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서의 다중 반사 신호에 대하여, 일정 지연시간에 대한 교차 상관을 구하기 위한 교차 상관 수단; 및 상기 지연시간을 결정하여, 측정 대상인 금속판의 두께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Method for Measuring Thickness of Metal Sheet by using Electromagnetic Acoustic Transducer}
본 발명은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유도 초음파 센서(Electromagnetic Acoustic Transducer; EMAT)의 파형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 후, 이것을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금속판에서의 초음파의 진행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금속판의 두께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한,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운송 등에 사용되는 탄소강 배관은 장기간 사용시 운송되는 가스 및 공기중의 수분과 결합하여 부식을 발생한다. 따라서 배관의 안정적 사용을 위하여 배관의 부식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초음파를 사용한 배관의 두께 측정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초음파를 이용한 두께 측정 장치는 압전 소자를 이용한 접촉식 초음파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압전 소자를 이용한 접촉식 초음파법은, 초음파 센서와 배관재 사이에 물 등의 접촉매질을 사용해야 하므로, 부식 등이 발생하여 배관재 표면이 불균일하거나 배관재의 온도가 고온일 경우 접촉 매질을 사용하여 초음파를 배관재 내부에 발생시키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접촉 매질이 필요 없는 전자 유도 초음파 센서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 유도 초음파는 압전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전달 효율이 떨어지며, 고전압/고출력의 회로를 이용하므로 신호에 잡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달 효율을 보상하기 위해 정현파의 숫자를 다수 사용해야 하므로 최소 측정 두께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자 유도 초음파 센서의 파형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 후, 이것을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금속판에서의 초음파의 진행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두께 측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에 있어서, 측정 대상인 금속판에 대하여 그 내부에 초음파 톤버스트 신호를 인가하고, 측정 대상인 금속판의 내부를 진행하는 초음파의 다중 반사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 대상인 금속판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초음파를 발생하기 위한 초음파 발생 수단; 상기 초음파 발생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 상기 변환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제 1필터링 수단; 상기 필터링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서의 다중 반사 신호에 대하여, 일정 지연시간에 대한 교차 상관을 구하기 위한 교차 상관 수단; 및 상기 지연시간을 결정하여, 측정 대상인 금속판의 두께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 유도 초음파의 파형을 나타낸 일예이다.
일반적인 전자 유도 초음파 센서(EMAT)는, 고정자석 및 전자석을 이용하여 금속체에 정자기장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코일을 이용하여 고주파의 교류 전자장을 가할 경우 금속체 내부에 초음파가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이때, 초음파의 발생 효율을 높이기 위해 높은 강한 전자기장을 가하고 높은 전류를 코일에 흘림으로써 강한 교류 전자기장을 만들 필요가 있다. 또한 단일 정현파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많은 숫자의 정현파를 연속해서 발생(톤버스트)시킴으로써 발생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발생하는 전형적인 초음파의 파형이 상기 도 1과 같다.
금속체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단일 면에서 전자 유도 초음파 센서를 사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켜 표면에서 전파한 초음파가 반대면에서 반사해서 돌아오는 반사파를 동일한 전자 유도 초음파센서를 이용하여 수신함으로써, 초음파의 전달시간을 측정하여 이것을 이미 알고 있는 초음파의 진행속도로 나누어줌으로써 금속판의 두께를 구할 수 있다. 이것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d = ΔT / 2 v
여기서, d는 판의 두께, ΔT는 초음파의 진행시간, v는 금속체에서의 초음파의 속도를 나타낸다.
역으로, 금속판의 두께를 알고 있을 경우, 동일한 식을 이용하여 초음파의 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도 있다.
초음파의 전달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영점 교차법, 교차 상관법, 위상 기울기법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전자 유도 초음파법에 그대로 적용하는 데 있어 정밀도에 문제가 있다. 즉, 고전압 회로를 사용하여 표면이 거칠거나 재질이 균질하지 못할 경우 파형에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왜곡이 발생한 전자 유도 초음파의 파형을 나타낸 일예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음파를 사용하여 두께를 측정하는 경우에,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 유도 초음파 방식을 이용하여 발생한 초음파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얻은 뒤 이 디지털 파형 신호에 대해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정밀도 높은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의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초음파부(310), 아날로그/디지털(Analog/Digital) 변환부(320), 메디안(Median) 필터링부(330), 자비츠키-골레이(Savitzky-Golay) 필터링부(340), 교차 상관부(350), 지연시간 결정부(360) 및 두께 결정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초음파부(310)는 측정 대상인 금속판에 대하여 그 내부에 초음파 톤버스트 신호를 인가하고, 측정 대상인 금속판의 내부를 진행하는 초음파의 다중 반사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 대상인 금속판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초음파를 발생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초음파부(310)를 도 4를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초음파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초음파부는, 초음파 발생기(410), 송신용 EMAT(420), 측정 대상(430), 수신용 EMAT(440) 및 초음파 송신기(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초음파 발생기(410)는 펄스 형태의 전자 유도 초음파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용 EMAT(420)에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횡파를 발생하는 수직빔 형태의 EMAT 센서를 사용하였다. 그 개념적 구성은 도 5와 같다.
도 5는 상기 도 4의 EMAT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EMAT 센서(420, 440)는 반대 방향의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된다. 각 자석의 극은 운동장 트랙의 형상을 갖는 코일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트랙 형상의 코일의 각 방향은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석과 맞추어져 있다. 한 쌍의 동일한 형태의 EMAT 센서는 각각 송신자 및 수신자로 사용된다.
상기 EMAT(420, 440)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수신기(450)는 상기 수신용 EMAT(44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A/D 변환부(320)에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6은 상기 도 4의 초음파 수신기가 수신한 초음파의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음파 수신기(450)가 수신한 신호는, 즉 상기 초음파부(310)가 발생하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측정 대상 내부에서의 다중반사에 의한 많은 톤버스트 신호를 갖는다.
한편, 상기 A/D 변환부(320)는 상기 초음파부(310)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메디안 필터링부(330)는 펄스성 잡음을 제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메디안 필터링은 신호를 부드럽게 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비선형 필터링 기법 중 하나이다. 이러한 메디안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신호의 파형을 왜곡시키지 않으면서 임펄스(Impulse)성의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일차원 신호의 경우 홀수개의 입력 데이터를 갖는 창(Window)을 원신호에 대해 이동시켜 가면서 창 내의 신호의 메디안 값을 처리된 후의 신호값으로 취하게 된다.
만약, 주어진 입력신호 및 신호 처리된 후의 출력신호를 각각 {xi}, {yi}라고 할 때, xi 가 입력신호의 홀수 개수 중에서 중간값을 가질 경우에는 신호 처리 후의 관계식은 yi = xi 가 된다.
그러나, xi 가 중간값을 갖는 대신에 최고값 또는 최저값을 가질 경우에는 이것을 단발성 잡음신호(Impulse Noise)로 간주하여 세개의 신호(xi-1, xi, xi+1 ) 중에서 중간값을 취한다. 즉, yi = median(xi-1, xi, xi+1)을 취하게 된다. 이를 일반적인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yi = median(xi-1, xi, xi+1) [3점 필터링의 경우]
이것을, 5점의 경우로 확대하게 되면 동일한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지게 된다.
yi = median(xi-2, xi-1, xi, xi+1 xi+2) [5점 필터링의 경우]
이와 같이, 상기 메디안 필터링부(330)는 인가되는 신호의 펄스성 잡음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자비츠키-골레이 필터링부(340)는 초음파의 전압신호를 상기 A/D 변환기(320)를 사용하여 디지타이징(Digitizing)함으로써 발생하는 파형의 왜곡을 복원하기 위해, 초음파 파형의 파고 및 진폭을 유지한 상태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푸리에(Fourier) 변환에 의한 잡음제거 기법은 연속파형에 대해서는 유리하나, 펄스형 신호인 전자 유도 초음파법에 의한 두께 측정의 경우에는 파형을 왜곡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비츠키-골레이 필터링을 수행한다.
자비츠키-골레이 필터링은, 잡음제거를 위한 신호 처리를 함에 있어 가중처리(Weighting)시에 계수로서 사용할 수 있는 일련의 정수의 집합( )을 유도한다. 컨볼루션 정수(Convolution Integers)라고 불리는 이러한 가중계수를 사용하는 것은 다항식 근사와 정확하게 일치한다. 또한 이것은 계산량을 고려할 때 훨씬 빠르고 효과적이다. 자비츠키-골레이의 알고리듬에 의해 평활처리된 데이터의 각 값[(yk)s]은 다음 수학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다항식의 차수 및 필터의 길이에 따라 많은 종류의 이러한 컨볼루션 정수의 집합이 사용될 수 있다. 이차함수를 이용한 평활처리를 위한 이러한 정수의 특정한 예를 아래의 표에 보였다.
이와 같이, 자비츠키-골레이 필터링을 수행하는 데 있어 다차항식을 이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2차항을 이용한 11점 법을 이용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잡음을 제거한 뒤, 상기 교차 상관부(350)는 초음파 톤버스트 신호 사이의 전달 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자비츠키-골레이 필터링부(34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서 상기 측정 대상 내부에서의 다중 반사 신호(상기 도 6에서 B1, B2 및 B3)를 취하여, 무한한 시간에 대하여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창 외부에 0을 덧붙인 뒤 일정한 지연시간 τ에 대하여 교차 상관(Cross-Correlation)을 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두 신호 X, Y 사이의 교차 상관함수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X(t)와 Y(t)는 임의의 파형이며, t는 시간, τ는 지연시간을 의미한다. 이때, 지연시간 τ는 2×△T(△T=t/v, t는 측정 대상의 두께, v는 초음파의 속도임)이므로, 따라서, 상기 두께 결정부는,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인 금속판의 두께를 결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도 6의 파형에 대하여 다중반사 신호인 B1, B2 및 B3의 신호를 취하고, 교차 상관을 구하여 결정한 지연시간 τ는 다음과 같다.
B1 : (8.75 μsec, 11.75 μsec)
B2 : (14.5 μsec, 17.5 μsec)
B3 : (20 μsec, 23 μsec)
위상 기울기법에 있어서는 창의 위치 및 크기에 매우 민감한 반면 교차상관법에 있어서는 창 내부에 톤버스트 신호가 들어가기만 하면 창의 크기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교차 상관법을 이용한 계산을 통한 지연시간의 안정성을 검증한 결과, B1과 B2를 취해 교차 상관법을 적용한 표준편차는 1.03 nsec이고 B2와 B3을 취한 경우 표준편차는 1.89 nsec이다. 100MSample/sec로 데이터를 취득할 경우 데이터 간격은 잡음을 고려할 경우 최소한 20nsec이상임을 고려할 때 이것은 10배 이상의 시간분해 능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때, 측정 대상의 표면을 별도로 연마하지 않았으며 연마할 경우 시간분해 능력은 더 높아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전자 유도 초음파 센서의 파형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 후, 이것을 메디안 필터링 및 자비츠키-골레이 필터링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금속판에서의 초음파의 진행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측정 대상인 금속판의 두께 측정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 유도 초음파의 파형을 나타낸 일예,
도 2는 왜곡이 발생한 전자 유도 초음파의 파형을 나타낸 일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4는 상기 도 3의 초음파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조도,
도 5는 상기 도 4의 EMAT의 개략 구성도,
도 6은 상기 도 4의 초음파 수신기가 수신한 초음파의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 초음파부 320 : A/D 변환부
330 : 메디안 필터링부 340 : 자비츠키-골레이 필터링부
350 : 교차 상관부 360 : 지연시간 결정부
370 : 두께 결정부 410 : 초음파 발생기
420 : 송신용 EMAT 430 : 측정 대상
440 : 수신용 EMAT 450 : 초음파 수신기

Claims (4)

  1.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에 있어서,
    측정 대상인 금속판에 대하여 그 내부에 초음파 톤버스트 신호를 인가하고, 측정 대상인 금속판의 내부를 진행하는 초음파의 다중 반사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 대상인 금속판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초음파를 발생하기 위한 초음파 발생 수단;
    상기 초음파 발생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
    상기 변환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제 1필터링 수단;
    상기 제 1필터링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서의 다중 반사 신호에 대하여, 일정 지연시간에 대한 교차 상관을 구하기 위한 교차 상관 수단; 및
    상기 지연시간을 결정하여, 측정 대상인 금속판의 두께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수단
    을 포함하는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필터링 수단은,
    상기 변환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펄스성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제 2필터링 수단; 및
    초음파 파형의 파고 및 진폭을 유지한 상태에서 해당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제 3필터링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필터링 수단은,
    메디안 필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필터링 수단은,
    자비츠키-골레이 필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
KR1020030094861A 2003-12-22 2003-12-22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 KR100671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861A KR100671418B1 (ko) 2003-12-22 2003-12-22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861A KR100671418B1 (ko) 2003-12-22 2003-12-22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455A true KR20050063455A (ko) 2005-06-28
KR100671418B1 KR100671418B1 (ko) 2007-01-18

Family

ID=37255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861A KR100671418B1 (ko) 2003-12-22 2003-12-22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4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065B1 (ko) * 2006-12-27 2009-03-04 주식회사 포스코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
KR101253933B1 (ko) * 2011-12-28 2013-04-1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전자유도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측정방법
KR101386593B1 (ko) * 2012-11-28 2014-04-17 한국과학기술원 배관 손상 영상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502B1 (ko) 2011-12-28 2013-04-19 주식회사 포스코 측정 잡음 감소를 위한 전자기 초음파 센서의 이동 거리 보상 방법 및 시스템
FR3054312B1 (fr) * 2016-07-25 2020-11-27 Centre Techn Ind Mecanique Procede et dispositif de mesure de l'epaisseur d'un revetement metalliqu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065B1 (ko) * 2006-12-27 2009-03-04 주식회사 포스코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
KR101253933B1 (ko) * 2011-12-28 2013-04-1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전자유도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측정방법
KR101386593B1 (ko) * 2012-11-28 2014-04-17 한국과학기술원 배관 손상 영상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1418B1 (ko)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03332B (zh) 改进的信号行程时间流量计
US5123286A (en) Electric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propagation delay of an electrical signal
Hong et al. The matching pursuit approach based on the modulated Gaussian pulse for efficient guided-wave damage inspection
Hong et al. Waveguide damage detection by the matching pursuit approach employing the dispersion-based chirp functions
CN105180853B (zh) 一种电磁超声金属材料测厚方法
van Willigen et al. An algorithm to minimize the zero-flow error in transit-time ultrasonic flowmeters
RU2655478C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частотной зависимости коэффициента отражения звука от поверхности
KR100671418B1 (ko)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
US11137276B1 (en) All digital travel time flow meter using time reversed acoustics
GB2596966A (en) Sizing of remnant thickness in pipes and plates using cut-off properties by widening excitation bands of frequency and wavelength
Sheng et al. Application of pulse compression technology in electromagnetic ultrasonic thickness measurement
EP3164680B1 (en) Method of measuring time of flight of an ultrasound pulse
CN108431554B (zh) 流体测量装置
JP2005043164A (ja) 音波伝播時間測定装置
CN110988853A (zh) 基于有效峰值的超声波到达时间计算方法
JP4904099B2 (ja) パルス状信号の伝搬時間測定装置及び超音波式流量測定装置
JP3861161B2 (ja) 流体の流量測定方法及び流量測定装置
JP2007309794A (ja) 板厚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RU2770889C1 (ru) Полностью цифровой расходомер, основанный на измерении времени прохождения, в котором используется обращенная во времени акустика
EP4246098A2 (en) All digital travel time flow meter using time reversed acoustics
JP2001066130A (ja) 膜厚測定方法及び装置
Hoppe et al. Optimization of buffer rod geometry for ultrasonic sensors with reference path
CN107389803B (zh) 一种液体与固体延迟材料之间声反射系数的测量方法
CN115218971A (zh) 使用时间反转声学的全数字行程时间流量计
Qiufeng et al. Study on improving time-domain resolution on detecting concrete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