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065B1 -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065B1
KR100887065B1 KR1020060135673A KR20060135673A KR100887065B1 KR 100887065 B1 KR100887065 B1 KR 100887065B1 KR 1020060135673 A KR1020060135673 A KR 1020060135673A KR 20060135673 A KR20060135673 A KR 20060135673A KR 100887065 B1 KR100887065 B1 KR 100887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apping
pulse
value
thickness
measu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0990A (ko
Inventor
강명구
배진수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13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065B1/ko
Publication of KR20080060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radiation, e.g. by the use of microwaves, X-rays, gamma rays or electrons
    • G01B1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radiation, e.g. by the use of microwaves, X-rays, gamma rays or electrons for measuring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heavy work, e.g. ingots, slabs, blooms, or billets, in which the cross-sectional form is unimportant ; Rolling combined with forging or pressing
    • B21B1/026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4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of the produ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 G01N33/207Welded or soldered joints; Soldera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연연속 압연에서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추종제어가 마무리되는 지점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선행재, 후행재 및 중첩된 선후행재로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선원과, 상기 추종제어가 마무리되는 지점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방출된 방사선을 펄스값으로 변환하는 검출기로 구성된 방사선계; 상기 펄스값을 주파수 혹은 초당 펄스 카운트로 산출하는 펄스 측정부; 상기 초당 펄스 카운트로부터 파악되는 상기 선후행재의 두께 변화를 통해 상기 선후행재의 중첩량을 획득하는 중첩량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의하여 연연속 압연에서 선후행재의 접합 직전 보다 정확한 중첩량이 측정되어, 접합 성공률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연연속 압연, 중첩량, 접합부

Description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Apparatus for a copula superposition quantity measurem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가 방사선계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가 방사선계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로부터 중첩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방사선원 200 : 검출기
300 : 펄스 측정부 400 : 중첩량 측정부
본 발명은 연연속 압연에서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연속 압연에서 선후행재의 접합 직전 보다 정확한 중첩량을 측정하기 위한 연연속 압연에서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연속 압연이란, 한 장의 스트립만을 단속적으로 압연하는 것과 달리, 여러 장의 스트립을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압연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연연속 압연은 열연 제품의 소재인 슬래브를 두께 25~35㎜의 바(bar) 상태로 만드는 1차 압연을 먼저 수행하고, 1차 압연된 바의 전후단부를 접합해 연속으로 압연한다.
이와 같은 연연속 압연을 위해 최근 선행재와 후행재 2개의 바 끝부분을 조금 겹쳐 비스듬하게 자르듯이 누르면 접촉면 사이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접합되는 연연속 전단변형 접합 설비가 개발되었다. 전단변형 접합 방식은 일반적인 용융접합 방식에 비해 짧은 접합시간을 가지고, 설비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설치가 간단하여 적용 가능한 강종이 많다는 장점이 있으나 현재까지 그 적용 실적이 전무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새로운 프로세서의 성공적인 제어를 위해 각종 계측기술 개발 및 접합부 신뢰성 확보가 필요하다.
한편, 상기 접합방식과 유사한 중첩 후 접합 방식으로는 선행재와 후행재 각각의 절단부를 서로 겹쳐 용접하는 메쉬시임(Mesh seam) 용접 방식이 사용되고 있 으며, 이는 선후행재가 정지한 상태에서 선행재 꼬리부분과 후행재 머리부분을 절단하여 그 중첩부(overlap)가 항상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전단변형 접합 방식에 따른 연연속 압연에서는 선후행재가 중첩 및 접합 순간에도 정지하지 않고 항상 일정 속도를 갖게 됨에 따라 압연 효율이 높아져 생산 비용이 낮아지는 효과를 가지지만, 접합 성공률이 낮아지는 문제점 또한 가지게 된다.
따라서, 현재의 연연속 압연은 보다 높은 접합 성공률을 얻기 위해 스트립의 위치 트래킹(tracking)이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다. 이에, 위치 트래킹을 위해 다수의 센서를 사용하여 그 오차를 감소시키고자 하고 있으나, 계측기 환경, 통신지연, 센서 자체 노이즈 등으로 오차의 존재 여부 및 오차의 원인을 정확히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선행재와 후행재간 접합을 이루기 위해 선행재의 꼬리 부분과 후행재의 머리 부분을 일부 겹치고, 겹쳐진 중간 부분을 예리한 나이프(knife)로 전단하게 된다. 이 때 선행재와 후행재가 겹쳐지는 부위인 중첩부의 중첩량은 적정 범위 내에 존재해야만 한다. 즉, 접합 시 중첩량이 너무 적을 경우는 접합기 나이프가 정확히 중첩부 중간에서 접합하기 어렵고, 반대로 중첩량이 너무 클 경우는 접합 후 남게 되는 접합부의 상하부 크롭(crop) 제거가 어렵기 때문에 중첩량의 적정 범위를 설정하여 접합을 수행해야 한다.
이로 인해, 현재 연연속 압연 접합기는 적정 범위의 중첩량이 설정되도록 하기 위해 레이저 및 CCD 카메라를 포함하는 중첩량 측정장치를 구비하여, 스트립 길이 방향으로 5cm 정도의 레이저 라인(line)을 3~5개 폭방향으로 배치 및 조사하고, CCD 카메라로 그 라인 간격을 측정하고 있다.
즉, 레이저 및 CCD 카메라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중첩량 측정장치는 스트립 길이 방향으로 배치 및 조사한 레이저 라인을 조사하여, 선행재 표면에서는 일정하던 라인이 중첩부 통과시에 중첩부 두께의 높이 변화로 인해 레이저 라인 간격이 줄어드는 것을 인식함으로 후행재를 감지하고, 스트립의 속도 정보를 이용해 선행재의 미단 지점을 계산함으로 전체 중첩량을 산출하는 중첩량 측정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첩량 측정방식은 선행재와 후행재 검출 센서가 다르므로 그 센서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종합하는 전산기의 신호처리 능력에 따라 중첩량의 측정결과가 크게 좌우된다. 또한, 이러한 방식의 중첩량 측정방식은 선행재 미단 지점의 거리 정보가 레이저 속도계 위치로부터 속도값을 적분하여 얻은 값임에 따라 미세한 오차가 누적되는 경우에 선행재 미단 위치가 크게 잘못될 가능성을 가진다.
그리고, 레이저 및 CCD 카메라를 이용한 중첩량 측정방법은 냉각수 및 수증기에 의해 오동작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스케일(scale) 등 스트립 표면 상태 혹은 진동에 의해 후행재를 미검출하는 사례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연속 압연에서 선후행재의 접합 전에 상기 선후행재간의 중첩량이 보다 증가된 정확도로 측정되도록 하기 위한 연연속 압연에서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연속 압연에서 선행재와 후행재의 중첩량를 측정하는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추종제어가 마무리되는 지점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선행재, 후행재 및 중첩된 선후행재로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선원과, 상기 추종제어가 마무리되는 지점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방출된 방사선을 펄스값으로 변환하는 검출기로 구성된 방사선계; 상기 펄스값을 주파수 혹은 초당 펄스 카운트로 산출하는 펄스 측정부; 상기 초당 펄스 카운트로부터 파악되는 두께 변화를 통해 상기 선후행재의 중첩량을 획득하는 중첩량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첩량 측정부는, 상기 산출된 초당 펄스 카운트를 이동평균하여 신호대잡음비가 개선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개선된 데이터의 두께 변화를 통해 중첩량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첩량 측정부는, 상기 이동평균된 데이터로부터 파악되는 중첩부 진입구간에서의 좌표값을 이용한 회귀선에 선행재 두께 평균값을 대입하여 중첩부 시작지점을 구하고, 상기 이동평균된 데이터로부터 파악되는 중첩부 진출구간에서의 좌 표값을 이용한 회귀선에 후행재 두께 평균값을 대입하여 중첩부 끝지점을 구한 후, 상기 중첩부 시작지점과 중첩부 끝지점의 거리차이를 상기 중첩량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첩량 측정부는, 상기 이동평균에 의해 두께 변화를 감지하다가 평균값에서 변동폭을 뺀 값보다 이동평균값이 더 작아지면 중첩부 진입구간으로 파악하고, 상기 이동평균값이 더 커지면 중첩부 진출구간으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연속 압연에 있어서 전단변형접합에 따른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방사선원(100)과 검출기(200)로 구성되는 방사선계, 펄스 측정부(300) 및 중첩량 측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사선계는 추종제어가 마무리되는 지점의 하단에서 방사선원(100)을 이용하여 선행재(10), 후행재(20) 및 중첩된 선후행재로 방사선을 조사하고, 상기 추종제어가 마무리되는 지점의 상단에서 검출기(200)를 이용하여 상기 조사된 방사선이 펄스값으로 변환되도록 한다.
펄스 측정부(300)는 방사선계의 검출기(200)를 통해 변환된 펄스값이 주파수 혹은 초당 방사선 펄스 카운트(1)로 산출되도록 하며, 중첩량 측정부(400)는 상기 초당 방사선 펄스 카운트(1)의 이동평균(2)으로부터 파악되는 두께 변화를 통해 선후행재간의 중첩량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연연속 압연에서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의 동작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연속 압연은 접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행재(10)와 후행재(20)가 중첩 테이블 구간에서 겹쳐져 전단변형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선행재(10)는 중첩 구간 직전에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데 비해, 후행재(20)는 중첩 구간 직전에서 급가속되었다가 중첩 구간에서 접합 제어 시스템에 의해 기 설정된 길이만큼 선행재(10)와 중첩된 후 가속을 멈추고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게 된다. 급가속된 후행재(20)의 가속을 제어하는 구간을 추종제어 구간이라 지칭한다.
한편, 연연속 압연에서 추종제어가 끝나는 시점은 중첩 테이블 롤(700)의 중 간 부분으로, 이 부분 이후로 선행재(10)와 후행재(20)의 속도는 중첩 제어되어 같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종제어가 마무리되는 시점에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가 설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중첩량 측정은 후행재(20)가 추종제어 구간으로 진입하면서부터 시작되도록 하며, 후행재(20)의 추종제어 구간 진입 여부는 도 1의 후행재 레이저속도계(500b) 또는 후행재 롤회전계(600b)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선후행재의 속도에 따라 해당 위치가 정해진 선후행재의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후행재(20)가 추종제어 구간에 진입하는 순간 방사선계를 통해 선행재(10)의 두께가 측정되기 시작하도록 한다. 여기서, 선행재(10) 두께 변화는 방사선원(100) 펄스 변동보다는 작기 때문에 선행재(10)는 일정한 두께를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방사선원(100)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이 검출기(200)에 의해 펄스값으로 변환되도록 하고, 변환된 펄스값이 펄스 측정부(300)에 의해 주파수 혹은 초당 방사선 펄스 카운트(1)로 산출되도록 한다.
한편, 펄스 측정부(300)에 의해 산출되는 초당 방사선 펄스 카운트(1)에서 하나의 펄스는 하나의 방사선 입자가 검출기(200)에 도달했음을 의미하여, 산출되는 높은 숫자의 초당 펄스 카운트는 많은 입자가 검출기(200)에 도달함을 뜻하게 된다.
따라서, 펄스 측정부(300)를 통해 산출되는 초당 방사선 펄스 카운트(1)의 높은 카운트 수는 방사선원(100)과 검출기(200) 사이에 작은 밀도의 물체 혹은 하나의 스트립만이 있음을 의미하고, 반대로 낮은 카운트 수는 높은 밀도의 물체 혹은 중첩부(60)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연연속 압연에 따른 선후행재의 밀도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를 일 실시예로 하여, 펄스 측정부(300)를 통해 산출되는 초당 펄스 카운트 수의 변화가 선후행재의 두께변화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산출되는 초당 펄스 카운트를 기반으로 두께 변화 추이를 관찰하다가 중첩부(60)를 검출하되, 방사선 특성상 많은 변동 요인을 갖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이동평균법을 이용해 신호대 잡음비(Signal-Noise ratio)를 높이게 된다.
이에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후행재(20)가 제어 구간내에 진입하게 되면 선행재(10)의 두께를 이동평균(2)하기 시작한다. 즉,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방사선원(100) 특성상 높은 변동폭으로 인해 펄스 카운트가 일정한 두께에서도 진동하는 점을 고려하여, 선행재(10)의 두께를 이동평균하게 된다.
여기서,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정확한 중첩량의 측정을 위해 신호대 잡음비가 50% 이상 향상될 수 있도록 선행재(10)에 대한 이동평균을 일 실시예로 5회 이상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중첩부(60)에 대한 오검출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변동폭(일예로, 10~30%)을 두께 이동평균값에 더하거나 뺀 범위를 일정 두께(3)로 여길 수 있다.
한편, 중첩부(60)가 검출되는 시점은 선행재(10) 위에 겹쳐진 후행재 선단부(30)가 검출기(200) 시야 범위에 진입하는 순간으로, 이 순간의 펄스 카운트 이동평균(2)은 두께 평균을 나타낸다.
그런데, 중첩부(60)가 검출되는 시점은 중첩부(60) 오검출 방지를 위한 변동폭 이내에 포함됨에 따라 진입 시점을 즉시 검출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중첩부(60)가 진행방향으로 진행하여 그 평균값이 오검출 방지 변동폭을 넘는 순간이 발생되면, 이 시점에서 중첩부(60) 계산 알고리즘을 가동시킨다.
그리고,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중첩부(60)가 계속 진행하여 중간 부분(40)에 다다르는 경우, 펄스 카운트 감소로 그 평균값이 일정한 값을 갖게 되는 것을 파악하고, 해당 평균값이 중첩부(60)의 평균값이 되도록 한다. 여기서, 펄스 카운트가 일정한 속도로 감소하는 이유는 검출기(200)가 유한한 면적을 가지기 때문이다.
한편,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일정한 속도의 중첩부(60) 선단부가 검출기(200)를 차단하여 선행재(10) 두께 평균값과 중첩부(60) 평균값 사이에 스트립 이동 속도 및 선후행재 두께와 관련된 기울기를 얻게 된다. 기울기 구간의 거리는 오직 이동 속도에만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중첩부(60)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후행재(20) 밑의 선행재 미단부(50)가 검출기(200) 시야 범위를 벗어남에 따라,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트립 이동속도 즉, 중첩부(60) 차단이 해제되는 속도에 비례하는 기울기를 갖는 직선을 얻게 된다.
도 1의 펄스 카운트 그래프의 가로축은 거리인데, 이것은 속도계 펄스값으로부터 계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일차적으로 선행재 레이저속도계(500a)와 후행재 레이저속도계(500b) 값이 중첩제어에 의해 동일한 값을 갖는다고 가정하고, 그 값을 비교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선행재 레이저속도계(500a)와 후행재 레이저속도계(500b) 값이 동일한 속도값을 가지지 않는 경우 다른 실시예로 상기 속도 차이를 적분하여 중첩량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선후행재 각각의 레이저속도계(500)가 레이저를 스트립 표면에 반사시켜서 돌아오는 반사광의 주파수 변화를 이용한 도플러 효과로부터 속도를 측정하도록 하며, 만약 수증기에 의해 수광 레이저가 미약하거나, 레이저 이상에 의해 오동작할 경우, 다른 실시예로 스트립 하부의 선후행재 롤회전계(600a, 600b)를 이용하여 속도를 측정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방사선계의 검출기(20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카운트가 방사선 특성상 많은 변동 요인을 갖고 있음을 고려하여, 이동평균법으로 신호대 잡음비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펄스 측정부(300)를 통해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중첩부 시작(30), 중간(40), 끝(50) 부분에 해당되는 카운트 펄스값이 각각 후행재 선단부(30)의 펄스 카운트값(4), 현재 방사선 측정위치의 펄스 카운트값(5), 선행재 미단부(50)의 펄스 카운트값(6)으로 획득되도록 한다. 그리고,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중첩량 측정부(400)를 통해 상기 획득되는 값들이 이동평균된 중첩부 시작값(7)과 끝값(8)을 이용하여 중첩량을 산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가 방사선계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사선계를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는 신호대 잡음비가 대단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방선선계를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의 펄스 카운트를 이동평균하여 신호대 잡음비가 1.3에서 2.0으로 개선되도록 한다. 여기서,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펄스 카운트의 이동평균값이 변동폭을 포함한 선행재(10) 두께 영역을 벗어나 더욱 감소하면 중첩부(60) 진입구간으로 간주한다.
한편, 중첩부(60) 진입구간이란 선행재(10) 두께 영역과 중첩부(60) 두께 영역 사이를 의미하며, 중첩부(60) 진출구간이란 중첩부(60) 두께 영역과 후행재(20) 두께 영역 사이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가 방사선계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로부터 중첩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방사선계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도 2의 데이터)를 이동평균(11)하여, 이동평균(11)된 값으로부터 먼저 중첩부(60) 진입구간에서의 좌표값을 이용한 회귀선(15)을 구한다. 그리고,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여기에 선행재(10)의 두께 평균값(12)을 대입하여 회귀선과 두께 평균값(12)이 만나는 지점이 중첩부(60) 시작지점 즉, 후행재 선단부(30)가 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중첩부(60) 진출구간에서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회귀선(16)을 구하고, 여기기에 후행재(20)의 두께 평균값(14)을 대입하여 회귀선(16)과 두께 평균값(14)이 만나는 지점이 중첩부(60) 끝지점 즉, 선행재 미단부(50)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선행재 미단부(50)에서 후행재 선단부(30)까지의 거리 차이를 중첩량(17)으로 획득한다.
그리고,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이와 같이 획득된 중첩량(17)을 접합기 제어기에 제공함에 따라, 이를 제공받은 접합기 제어기가 접합 가능 구간내에 선후행재간의 접합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접합 수행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중첩량(17)은 선후행재 두께의 합에 의한 펄스 카운트 감소량과 일치하는지 정합성 검사용으로 사용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스트립이 진행중인 경우에 방사선 범위 구간에서 선행재 두께를 방사선 펄스 카운트 값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그리고,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이를 이동평균하여 두께 변화를 감지하다가 평균값에서 변동폭을 뺀 값보다 이동평균값이 더 작아지면 중첩부 진입구간으로 가정하고, 중첩부 진입구간의 기울기가 스트립 이동 속도 및 선후행재 두께에 의해서만 좌우됨을 인식하여 구간내의 좌표값을 이용한 회귀선을 획득을 통해 접합부 시작점을 찾게 된다.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진출 구간에 대해서도 진입 구간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통해 접합부 끝점을 찾으며, 이로부터 시작점과 끝점을 이용하여 중첩량을 산출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연속 압연에서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는, 스트립이 진행 중인 경우에 방사선 범위 구간에서 선후행재의 두께를 방사선 펄스 카운트 값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이동평균하여 두께 변화에 따른 중첩량이 산출되도록 함에 따라, 연연속 압연에서 접합 성공률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연연속 압연에서 선행재와 후행재의 중첩량를 측정하는 접합부 중첩량 측정 장치에 있어서,
    추종제어가 마무리되는 지점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선행재, 후행재 및 중첩된 선후행재로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선원과, 상기 추종제어가 마무리되는 지점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방출된 방사선을 펄스값으로 변환하는 검출기로 구성된 방사선계;
    상기 펄스값을 주파수 혹은 초당 펄스 카운트로 산출하는 펄스 측정부; 및
    상기 초당 펄스 카운트로부터 파악되는 상기 선후행재의 두께 변화를 통해 상기 선후행재의 중첩량을 획득하는 중첩량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첩량 측정부는,
    상기 산출된 초당 펄스 카운트의 이동평균에 의해 두께 변화를 감지하다가 평균값에서 변동폭을 뺀 값보다 상기 산출된 초당 펄스 카운트의 이동평균값이 더 작아지면 중첩부 진입구간으로 파악하고, 상기 산출된 초당 펄스 카운트의 이동평균값이 더 커지면 중첩부 진출구간으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량 측정부는,
    상기 산출된 초당 펄스 카운트를 이동평균하여 신호대잡음비가 개선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개선된 데이터의 두께 변화를 통해 중첩량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량 측정부는,
    상기 이동평균된 데이터로부터 파악되는 중첩부 진입구간에서의 좌표값을 이용한 회귀선에 선행재 두께 평균값을 대입하여 중첩부 시작지점을 구하고, 상기 이동평균된 데이터로부터 파악되는 중첩부 진출구간에서의 좌표값을 이용한 회귀선에 후행재 두께 평균값을 대입하여 중첩부 끝지점을 구한 후, 상기 중첩부 시작지점과 중첩부 끝지점의 거리차이를 상기 중첩량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
  4. 삭제
KR1020060135673A 2006-12-27 2006-12-27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 KR100887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673A KR100887065B1 (ko) 2006-12-27 2006-12-27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673A KR100887065B1 (ko) 2006-12-27 2006-12-27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990A KR20080060990A (ko) 2008-07-02
KR100887065B1 true KR100887065B1 (ko) 2009-03-04

Family

ID=3981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673A KR100887065B1 (ko) 2006-12-27 2006-12-27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0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9408A (en) * 1979-09-07 1981-04-15 Nippon Steel Corp Correction for radiant ray type thickness meter
JPS5967410A (ja) 1982-09-24 1984-04-17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中間メッキのメッキ厚さを測定する方法
JPS6184512A (ja) 1984-10-03 1986-04-30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二層メツキ測定方法
KR20050063455A (ko) * 2003-12-22 2005-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9408A (en) * 1979-09-07 1981-04-15 Nippon Steel Corp Correction for radiant ray type thickness meter
JPS5967410A (ja) 1982-09-24 1984-04-17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中間メッキのメッキ厚さを測定する方法
JPS6184512A (ja) 1984-10-03 1986-04-30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二層メツキ測定方法
KR20050063455A (ko) * 2003-12-22 2005-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전자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금속판 두께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990A (ko) 200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92405A1 (zh) 移动目标状态监测方法、装置及其车辆快速检查系统
US8295608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jointed parts of strip in an endless hot rolling process
CN101501490B (zh) 基于激光多普勒测速法确定运行线的纱线质量和/或卷轴质量的方法和装置
US202102372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ducting and monitoring a machining process of a workpiece
CN103913140A (zh) 铸坯长度精确测量装置及其方法
KR101515829B1 (ko)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는 적설계
JP2007221491A (ja) 光電センサ
KR100887065B1 (ko) 접합부 중첩량 측정장치
JP4718857B2 (ja) レール底部腐食検知装置及びレール底部腐食検知方法
US10288423B2 (en) Measur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distances to points on a reflective surface coated with metal and method for same
CN104511487A (zh) 浪形钢板长度的检测方法
Nilsen et al. Adaptive control of the filler wire rate during laser beam welding of squared butt joints with varying gap width
KR100891796B1 (ko) 접합부 중첩량 측정 장치
KR20190032879A (ko) 철도레일의 계측방법
JP3719128B2 (ja) スラブの座屈検知方法
JPH03233352A (ja) スポット溶接部の検査方法
JP2009145232A (ja) レール底部腐食量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JP2004061273A (ja) 鋼材長さ測定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鋼材寸法制御方法
JP2000131048A (ja) コイル巻姿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3720939B2 (ja) レーザー自動溶接装置と溶接方法
JP7353083B2 (ja) 液位計及び液位測定方法
JP3095578B2 (ja) レーザ溶接による帯状金属の接合方法
KR101778451B1 (ko) 크롭제거 보조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및 크롭제거 보조장치를 포함하는 크롭처리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CN208647969U (zh) 基于二维三角测距原理的矿用胶带机撕裂传感器
JP2004028586A (ja) 車輪形状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