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3082A - 축 중심선 정렬의 자동 맞춤이 가능한 롤러 구조의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축 중심선 정렬의 자동 맞춤이 가능한 롤러 구조의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3082A
KR20050063082A KR1020030094429A KR20030094429A KR20050063082A KR 20050063082 A KR20050063082 A KR 20050063082A KR 1020030094429 A KR1020030094429 A KR 1020030094429A KR 20030094429 A KR20030094429 A KR 20030094429A KR 20050063082 A KR20050063082 A KR 20050063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rame
shaft
guid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4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3082A/ko
Publication of KR20050063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08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41J11/005Guides in the printing zone, e.g. guides for preventing contact of conveyed sheets with print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25Special roller holding or lifting means, e.g. for temporarily raising one roller of a pair of nipping rollers for inserting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Landscapes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터 또는 FAX 등의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롤러와 제 2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제 2 롤러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두 롤러 사이에 있는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는 롤러 구조의 급지 장치에서, 상기 제 1 프레임에 면접촉 지지되어 제 1 프레임과의 접촉 평면 내에서 상대운동하는 보정 프레임; 및 상기 보정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1 롤러를 회전 지지하는 제 1 샤프트를 고정하기 위한 안내홈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롤러를 지지하는 제 2 샤프트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이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홈과 끼움홈은 그 중심선이 평행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가동시 상기 제 1 롤러와 제 2 롤러의 축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가 고정되어 있는 구조물의 가공 또는 조립 오차에 영향을 받지 않고 롤러간의 맞물림 정렬을 공차 범위 이내에서 구현할 수 있어 축 중심선 정렬의 자동 맞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축 중심선 정렬의 자동 맞춤이 가능한 롤러 구조의 급지 장치{A feeding apparatus having roller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central lines of roller axes}
본 발명은 프린터 또는 FAX 등의 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가 고정되어 있는 구조물의 가공 또는 조립 오차에 영향을 받지 않고 롤러간의 맞물림 정렬을 공차 범위 이내에서 구현할 수 있는 축 중심선 정렬의 자동 맞춤이 가능한 롤러 구조의 급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팩스, 복사기 등의 인쇄장치로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장치는 통상 두 개의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두 개의 롤러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롤러 사이에 있는 용지를 이송시키도록 하는 롤러 구조로 구성된다. 도 1은 이러한 급지장치에서 일반적인 롤러의 맞물림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장치의 롤러 구조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롤러를 장착하기 위한 두 개의 프레임(10,20)을 가진다. 하부의 프레임(20)은 급지 장치 내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20)으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20)의 양측에는 구동롤러(25)를 지지하는 구동 샤프트(21)가 회전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두 개의 샤프트 지지부(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의 프레임(10)은 유동 프레임(10)으로서,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는 가압 샤프트(16)가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안내홈(17)이 형성된 샤프트 가이드(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쪽의 샤프트 가이드(12) 내측에는 가압 샤프트(16)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스프링(14)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13)가 역시 상기 유동 프레임(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 샤프트(16)에는 구동롤러(25)와 맞물려 함께 회전하는 피동롤러(1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압 샤프트(16)는 두 롤러 사이의 용지 유무, 또는 용지 두께에 따라 피동롤러(15)와 구동롤러(25)가 일정한 압력으로 맞물리도록 하기 위하여 가압 스프링(14)에 의해 구동롤러(25) 방향으로 가압되며, 상기 샤프트 가이드(12)에 형성된 안내홈(17)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가압 샤프트(16)는 피동 롤러(15)가 회전하더라도 함께 회전하지는 않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 프레임(10)은 여닫이 동작을 하도록 제조될 수도 있고, 여닫이 동작을 하지 않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도 2(a)는 유동 프레임(10)이 여닫이 동작을 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2(a)도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프레임(10)의 일측 단부가 급지 장치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 회전 운동을 하면서 필요에 따라 구동롤러(25)와 피동롤러(15)를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킨다. 한편, 도 2(b)는 유동 프레임(10)이 여닫이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 경우, 유동 프레임(10)은 급지 장치 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롤러(25)와 피동롤러(15)가 항상 맞물려 있고, 급지 동작이 진행되면 용지의 두께만큼 피동롤러(15)가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구동롤러(25)가 일측에 있는 기어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피동롤러(15)와 함께 가압된 상태에서 회전하면, 두 롤러 사이로 종이 등의 인쇄매체가 이송된다. 이때, 상기 구동롤러(25)는 고정 프레임(20)에 의해 회전 지지되어 있는 반면, 피동롤러(15)는 축 중심선의 직각방향으로 가압/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고정 프레임(10)과는 별개의 유동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프레임(10)과 고정 프레임(20) 간에 축 중심선 정렬이 제대로 되어 있으면, 상기 두 개의 롤러(15,25) 간에도 축 중심선 정렬이 제대로 맞게 되어, 용지가 정상적으로 이송된다.
그러나,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유동 프레임(10)과 고정 프레임(20) 간의 정렬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두 프레임(10,20)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피동롤러(15)와 구동롤러(25) 사이에도 축 중심선 정렬이 어긋나게 될 수밖에 없다. 이렇게 축 중심선 정렬이 서로 어긋나 있을 경우에, 용지는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으며 사행(Skew)의 원인이 된다. 특히, 유동 프레임(10)이 여닫이 구조로 되어 있고 프레임의 크기가 클 경우 정렬이 어긋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또한, 유동 프레임(10)이 여닫이 구조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상기 유동 프레임(10)과 고정 프레임(20)은 가공이나 조립시에 발생하는 오차로 인해, 어느 정도 상대적인 공차를 가지고 조립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용지가 사행할 가능성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가 고정되어 있는 구조물, 즉, 고정 프레임과 유동 프레임의 가공시 또는 조립시에 발생하는 오차에 영향을 받지 않고 롤러 사이의 맞물림 정렬을 공차 범위 이내에서 구현함으로써 용지의 사행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프레임(30)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롤러(35)와 제 2 프레임(20)에 고정되어 있는 제 2 롤러(25)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두 롤러 사이에 있는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는 롤러 구조의 급지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축 중심선 정렬의 자동 맞춤이 가능한 롤러 구조의 급지 장치는, 상기 제 1 프레임(30)에 면접촉 지지되어 제 1 프레임(30)과의 접촉 평면 내에서 상대운동하는 보정 프레임(31); 및 상기 보정 프레임(3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1 롤러(35)를 회전 지지하는 제 1 샤프트(36)를 고정하기 위한 안내홈(37)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롤러(25)를 지지하는 제 2 샤프트(26)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39)이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가이드(32)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홈(37)과 끼움홈(39)은 그 중심선이 평행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가동시 상기 제 1 롤러(35)와 제 2 롤러(25)의 축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급지 장치는, 종래와는 달리, 가동시에 샤프트 가이드가 가압 샤프트만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샤프트 가이드(32)의 하단부에 구동롤러(25)의 구동 샤프트(26)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39)을 마련하고, 가동시에 상기 구동 샤프트(26)가 샤프트 가이드(32)의 끼움홈(39)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가압 샤프트(36)와 구동 샤프트(26)를 동시에 지지한다. 이때, 안내홈(37)과 끼움홈(39)의 중심선이 동일선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피동롤러(35)와 구동롤러(25)의 축 중심선도 일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 가이드(32)를 유동 프레임(30)에 직접 형성하지 않고, 상기 유동 프레임(30)에 면접촉 지지되어 그 접촉 평면 내에서 상대운동을 하는 보정 프레임(31)을 마련하여 상기 보정 프레임(31)에 샤프트 가이드(32)를 형성함으로써, 구동롤러(25)의 축 중심선에 피동롤러(35)의 축 중심선을 맞출 수 있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지장치에서 롤러의 맞물림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4(a)는 아래쪽에서 본 모습이고, 도 4(b)는 위쪽에서 본 모습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롤러(25)가 회전 지지되어 있는 방식은 종래와 동일하다. 즉, 급지 장치 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20)의 양측에 구동롤러(25)를 지지하는 구동 샤프트(21)가 회전 지지되도록 두 개의 샤프트 지지부(22)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유동 프레임(30) 부분에 있다. 종래의 유동 프레임(10)에는 샤프트 가이드(12)가 일체로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유동 프레임(30)에 샤프트 가이드(32)가 일체로 형성되지 않는다. 종래의 유동 프레임(10)은 본 발명에서 유동 프레임(30) 부분과 보정 프레임(31) 부분으로 나뉘어 지며, 샤프트 가이드(32)는 상기 보정 프레임(31)의 양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정 프레임(31)은 상기 유동 프레임(30)에 면접촉 지지되어 유동 프레임(30)과의 접촉 평면 내에서 상대운동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상기 유동 프레임(30)과 보정 프레임(31) 사이의 결합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 4(b)의 A-A'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프레임(30)에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를 통하여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50)가 유동 프레임(30)의 하면에 있는 보정 프레임(31)과 결합한다. 이때, 상기 보정 프레임(31)에는 상기 나사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50)와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나사홈이 유동 프레임(30) 내의 상기 복수의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보정 프레임(31)은 유동 프레임(30)에 면접촉 지지된다. 이때, 상기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50)의 헤드 부분은 개구의 직경 보다 커야 하고, 유동 프레임(30)과의 접촉 평면 내에서 보정 프레임(31)이 상대운동을 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50)의 봉 부분의 직경이나 보정 프레임(31)으로부터 돌출된 나사홈의 직경은 상기 개구의 직경 보다 작아야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 프레임(30)의 중앙 부분에 큰 직사각형 모양의 개구를 형성하고, 유동 프레임(30)에 형성된 상기 직사각형 개구 보다 조금 작은 직사각형의 돌출부를 보정 프레임(31)에 형성하여, 유동 프레임(30)과 보정 프레임(31)의 결합시, 상기 직사각형 개구 내에 보정 프레임(31)의 직사각형 돌출부가 위치하도록 하는 구성을 추가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보정 프레임(31)은 유동 프레임(30)과의 접촉 평면 내에서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유동 프레임(30)에 면접촉 지지된다. 유의할 것은, 여기에서 설명한 면접촉 지지 방식은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방식에 의한 면접촉 지지 구성도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것이다.
한편, 앞서 설명하였듯이, 샤프트 가이드(32)는 상기 보정 프레임(3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가이드(32)의 중앙부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가압 샤프트(36)가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안내홈(37)이 형성되어 있다. 양쪽의 샤프트 가이드(32) 내측에는 가압 샤프트(36)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스프링(34)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33)가 형성되는데, 상기 스프링 지지부(33) 역시 유동 프레임(30)이 아닌 보정 프레임(31)에 형성된다. 그리고, 종래와 마찬가지로, 가압 샤프트(36)에는 구동롤러(25)와 맞물려 함께 회전하는 피동롤러(35)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가압 샤프트(36)는 두 롤러 사이의 용지 유무, 또는 용지 두께에 따라 피동롤러(35)와 구동롤러(25)가 일정한 압력으로 맞물리도록 하기 위하여 가압 스프링(34)에 의해 구동롤러(25) 방향으로 가압되며, 상기 샤프트 가이드(32)에 형성된 안내홈(37)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된다는 점도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가압 샤프트(36)는 피동롤러(35)가 회전하더라도 함께 회전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샤프트 가이드(32)의 하단부에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샤프트 가이드(32)의 하단부에는 구동롤러(25)의 구동 샤프트(26)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39)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홈(39)에 구동 샤프트(26)가 끼워졌을 때, 피동롤러(35)와 구동롤러(25)가 서로 축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정렬되어야 용지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끼움홈(39)은 샤프트 가이드(32) 내에 형성된 안내홈(37)과 그 중심선 방향이 일치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일정한 공차 범위 내에 있는 구동 샤프트(26)가 용이하게 끼움홈(39) 내로 안내될 수 있도록, 바깥쪽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39)의 안쪽은, 구동 샤프트(26)가 끼워졌을 때 상기 구동 샤프트(26)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는 최소의 폭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유동 프레임(30)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닫이 동작을 하도록 조립될 수도 있고 여닫이 동작을 하지 않도록 조립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가공 또는 조립시의 오차로 인해, 유동 프레임(30)과 고정 프레임(20)이 일정한 공차를 가지고 조립이 되면 종래에는 두 롤러의 축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아 용지가 사행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용지 이송 동작을 하도록 급지 장치가 가동될 때에는, 상기 샤프트 가이드(32)의 하단부에 있는 끼움홈(39)에 구동 샤프트(26)가 항상 끼워져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 샤프트(26)가 지지되는 상기 끼움홈(39)은 가압 샤프트(36)가 지지되는 안내홈(37)과 중심선 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피동롤러(35)와 구동롤러(25)의 축 중심선이 일치하게 되어 용지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샤프트(26)가 끼움홈(39)에 끼워지는 시점은, 유동 프레임(30)이 여닫이 동작을 하는 경우에는 장치가 가동 시작할 때이고, 여닫이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립시부터 이미 끼워져 있을 것이다.
유동 프레임(30)이 고정 프레임(20)에 대한 상대적인 공차 없이 정확하게 조립 및 정렬되었다면, 유동 프레임(30)의 여닫이 동작시에 또는 조립시에 상기 끼움홈(39)은 보정 프레임(31)의 이동 없이 그대로 구동 샤프트(26)에 끼워지게 된다. 도 6(a)는 유동 프레임(30)과 고정 프레임(20)이 정확하게 정렬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여준다. 즉, 피동롤러(25)와 구동롤러(25)의 축 중심선이 정확하게 일치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프레임들도 모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어떠한 이유로 유동 프레임(30)이 고정 프레임(20)에 대해 일정한 상대적 공차를 가지고 있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프레임(30)의 여닫이 동작시에 또는 조립시에 상기 끼움홈(39)은 구동 샤프트(26)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동 샤프트(26)가 끼움홈(39)에 끼워지려면 보정 프레임(31)이 유동 프레임(30)에 대해 평행 이동을 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끼움홈(39)은 바깥 부분이 점자 넓어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유동 프레임(30)을 누르면 자연스럽게 구동 샤프트(26)가 끼움홈(39)으로 안내되며, 이때의 힘에 의해 보정 프레임(31)은 적절한 위치로 평행 이동하게 된다. 도 6(b)와 도 7은 이러한 경우의 모습을 도시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 프레임(31)은 유동 프레임(30)에 대해 약간 비뚤어져 위치하고 있지만, 피동롤러(25)와 구동롤러(25)의 축 중심선은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조립 오차 또는 가공 오차에 의해 고정 프레임(20)과 유동 프레임(30)이 어긋나 있더라도, 구동 샤프트(26)가 끼움홈(39)에 끼워지면서 구동롤러(25)과 피동롤러(35)의 축 중심선이 일치되도록 보정 프레임(31)이 자동으로 정렬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상술한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롤러가 서로 다른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어 맞물리면서 용지를 이송하는 급지 장치에서, 가공 오차 또는 조립 오차에 의한 두 프레임간의 부정확한 정렬이 발생하더라도, 두 롤러의 축 중심선이 일치되도록 정렬할 수 있기 때문에 용지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급지장치에서 롤러의 맞물림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여닫이 동작을 하는 유동 프레임과 여닫이 동작을 하지 않는 유동 프레임을 각각 도시한다.
도 3은 종래의 급지장치에서 유동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간의 중심선이 일치하는 경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지장치에서 롤러의 맞물림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유동 프레임과 보정 프레임 사이의 결합 방식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급지장치에서 유동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간의 중심선이 일치하는 경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급지장치에서 유동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간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30.....유동 프레임 12,32.....샤프트 가이드
13,33.....스프링 지지부 14,34.....가압 스프링
15,35.....피동 롤러 16,36.....가압 샤프트
17,37.....안내홈 20........고정 프레임
22........샤프트 지지부 25........구동 롤러
26........구동 샤프트 31........보정 프레임
39........보정 가이드 50........체결 부재

Claims (5)

  1. 제 1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롤러와 제 2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제 2 롤러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두 롤러 사이에 있는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는 롤러 구조의 급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에 면접촉 지지되어 제 1 프레임과의 접촉 평면 내에서 상대운동하는 보정 프레임; 및
    상기 보정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1 롤러를 회전 지지하는 제 1 샤프트를 고정하기 위한 안내홈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롤러를 지지하는 제 2 샤프트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이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홈과 끼움홈은 그 중심선이 평행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가동시 상기 제 1 롤러와 제 2 롤러의 축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중심선 정렬의 자동 맞춤이 가능한 롤러 구조의 급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가이드의 하단부에 형성된 끼움홈은, 상기 제 2 샤프트가 끼움홈 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바깥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며, 안쪽은 제 2 샤프트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는 최소의 폭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중심선 정렬의 자동 맞춤이 가능한 롤러 구조의 급지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하 회전 운동을 통해 여닫이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중심선 정렬의 자동 맞춤이 가능한 롤러 구조의 급지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프레임은, 제 1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를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어 제 1 프레임에 면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중심선 정렬의 자동 맞춤이 가능한 롤러 구조의 급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이송되는 인쇄매체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 1 롤러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샤프트가 상하로 슬라이드 할 수 있는 장방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중심선 정렬의 자동 맞춤이 가능한 롤러 구조의 급지 장치.
KR1020030094429A 2003-12-22 2003-12-22 축 중심선 정렬의 자동 맞춤이 가능한 롤러 구조의 급지장치 KR20050063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429A KR20050063082A (ko) 2003-12-22 2003-12-22 축 중심선 정렬의 자동 맞춤이 가능한 롤러 구조의 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429A KR20050063082A (ko) 2003-12-22 2003-12-22 축 중심선 정렬의 자동 맞춤이 가능한 롤러 구조의 급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082A true KR20050063082A (ko) 2005-06-28

Family

ID=3725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429A KR20050063082A (ko) 2003-12-22 2003-12-22 축 중심선 정렬의 자동 맞춤이 가능한 롤러 구조의 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30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456B1 (ko) * 2006-11-08 2008-06-1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인쇄장치
KR20230082742A (ko) 2021-12-01 2023-06-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연기구구조를 적용한 코팅롤러 자가정렬구조 및 이를 구비한 필름코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456B1 (ko) * 2006-11-08 2008-06-1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인쇄장치
KR20230082742A (ko) 2021-12-01 2023-06-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연기구구조를 적용한 코팅롤러 자가정렬구조 및 이를 구비한 필름코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8659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における原稿シートの分離構造
US20020063374A1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heet feeding device
JP6458420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EP3070035A1 (en) Transportation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CN104828547A (zh) 停止装置及辅助停止单元
CN110356128B (zh) 介质支承装置及记录装置
CN211077773U (zh) 事务机的馈送机构
KR20050063082A (ko) 축 중심선 정렬의 자동 맞춤이 가능한 롤러 구조의 급지장치
US7997579B2 (en) Medium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708142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EP3772260B1 (en) Imaging system
US10502304B2 (en) Drive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rotary drive
JP2016016617A (ja) プリンター
KR101935085B1 (ko) 회전 구동 전달을 위한 구동 전달 장치
CN104709737A (zh) 供送装置以及图像记录装置
US7940428B2 (en) Image generating apparatus
KR200342954Y1 (ko) 롤인쇄지의 틀어짐 자동 보정장치를 갖는 플로터
US7686526B2 (en) Document feeder device
KR102620259B1 (ko) 열전사 헤드 자동 보정장치
CN214140746U (zh) 可换向输送打印介质的打印设备
JP2007168961A (ja) 平面媒体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印刷装置およびローラ搬送機構
CN209973893U (zh) 从动辊组件及印刷装置
SI9800056A (sl) Prilagodljiva pogonsko-pritisna gred podajalnega mehanizma tiskalnika dokumentov različnih debelin
KR100260951B1 (ko) 복사기용 용지공급장치의 상부하우징 구조
JP2023016162A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