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456B1 -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456B1
KR100839456B1 KR1020060109792A KR20060109792A KR100839456B1 KR 100839456 B1 KR100839456 B1 KR 100839456B1 KR 1020060109792 A KR1020060109792 A KR 1020060109792A KR 20060109792 A KR20060109792 A KR 20060109792A KR 100839456 B1 KR100839456 B1 KR 100839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oupled
roll
gravur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782A (ko
Inventor
최유찬
김상경
최성원
김종경
채호철
손준영
강병식
임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060109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456B1/ko
Priority to CN2007101636527A priority patent/CN101164775B/zh
Priority to TW96138684A priority patent/TWI332436B/zh
Publication of KR20080041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3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 H10K71/135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using ink-jet prin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인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인쇄장치는, 프레임에 지지되며, 기판의 표면으로 칼라레지스트를 인쇄하는 블랭킷 롤(Blanket roll)의 외면으로 칼라레지스트를 전이하는 그라비아 롤(Gravure Roll); 및 프레임과 그라비아 롤 사이에 마련되어 블랭킷 롤에 대한 그라비아 롤의 평행도를 조절하는 그라비아 정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라비아 롤과 블랭킷 롤의 평행도를 효율적인 구조로써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쇄장치, LCD, 그라비아 롤, 블랭킷 롤, 그라비아 정렬유닛, 쐐기이동부

Description

인쇄장치{Prin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인쇄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그라비아 롤 및 블랭킷 롤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쐐기이동부 영역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플레이트 지지부 및 스톱퍼 영역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그라비아 정렬유닛에 대한 동작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쇄장치 10 : 그라비아 롤
13 : 닥터 블레이드 20 : 그라비아 정렬유닛
21 : 프레임 21a: 프레임 하면
23 : 이동가이드부 25 : 지지플레이트
25a: 지지플레이트 상면 27 : 지지부
28 : 멈춤판 30 : 쐐기이동부
31 : 고정경사블록 31a: 제1 경사면
33 : 이동경사블록 33a: 제2 경사면
35 : 이동부 36 : 제1 모터
37 : 제1 너트 38 : 제1 스크류
39 : 가이드부 40 : 플레이트 지지부
41 : 에어발란스 43 : 스톱퍼
44 : 볼스크류 44a: 제2 너트
44b: 제2 스크류 45 : 제2 모터
46 : 웜 47 : 웜기어
50 : 블랭킷 롤 51 : 인쇄시트
53 : 시트교체수단 55 : 워크 스테이지
60 : 하부 베이스 70 : 워크 테이블
본 발명은,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랭킷 롤에 대한 그라비아 롤의 평행도를 효율적인 구조로써 조절할 수 있는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판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평판디스플레이는 TV나 컴퓨터의 모니터, 혹은 핸드폰(mobile phone), PDA,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기기의 표시장치로 많이 사용된다. 평판디스플레이의 종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있다.
평판디스플레이에는 통상적으로 칼라(color) 구현을 위한 칼라필터(CF, Color Filter)층이 형성되어 있는데, 화상표시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광이 누설되어 표시장치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가 형성되어 있는 칼라필터가 구비된다.
이러한 칼라필터를 갖는 대표적인 평판디스플레이가 전술한 LCD이다. LCD는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기판과, 칼라필터층이 형성된 칼라필터(CF) 기판과, 이들 기판 사이에 충전되는 액정(LC, Liquid Crystal)을 구비한다.
칼라필터층에는, 통상적으로 R(Red), G(Green), B(Blue) 패턴의 색소를 갖는 화소가 형성된다. 각 화소는 R, G, B를 갖는 서브화소(sub-pixel)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각 화소가 하나의 색소를 갖는 것이 보통이다.
칼라필터층을 형성함에 있어, 동일한 열에 R, G, B 패턴이 각각 배열되도록 R, G, B 패턴을 일렬로 규칙적으로 배열할 수도 있고(RGB Vertical Stripe), 동일한 행에 R, G, B 패턴을 반복적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Mosaic). 이와 같이 R, G, B 패턴의 다양한 배열에 따라 해상도의 차이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칼라필터층은 다양한 방법, 예를 들어, 염색법, 인쇄법, 점착법, 안료분산법 등의 방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종래의 수동 매트릭스 방식 중 하나인 STN(Super Twisted Nematic) 방식의 LCD에서는 주로 염색법, 인쇄법 및 점착법 등에 의해 칼라필터층을 제작했지만, 정교성이 뛰어나고 재현성이 좋으며 대면적 액정에 적용 가능한 능동 매트릭스 방식인 TFT(Thin Film Transistor) LCD에서는 주 로 안료분산법이 사용된다.
안료분산법에서는 감광성의 칼라레지스트(Color Resist)를 일반적인 포토공정(Photo Lithograpy)에 의해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칼라필터층을 제작한다. 즉, 감광성의 칼라레지스트를 기판 상에 도포하고 마스크(Mask)를 이용하여 광을 조사한 후 현상액을 작용시켜 원하는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칼라필터층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안료분산법에 의해 칼라 필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포토공정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포토공정은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더욱이 R, G, B 패턴의 색소에 대응하는 화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포토공정을 3회 반복해야만 하기 때문에 공정이 더욱 복잡해진다.
이러한 안료분산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인쇄법을 TFT LCD 분야에서도 사용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인쇄법은 칼라레지스트가 충전된 그라비아(Gravure)와 이에 대응하는 롤(roll)을 구비하여 해당 색소의 칼라레지스트 패턴을 롤의 작용에 의해 기판에 형성하고 이어서 또 다른 롤에 의해 다른 색의 칼라레지스트를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인쇄법이 실용화될 수 있다면 기판에 R, G, B 패턴을 인쇄하여 칼라필터층을 제작하는 공정을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나, 아직 이러한 인쇄법으로 칼라필터층을 제작할 수 있는 장치가 실용화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중이다.
이러한 인쇄장치에서 그라비아와 대응하여 사용되는 롤을 흔히 블랭킷 롤(Blanket roll)이라 한다. 그리고 블랭킷 롤의 외주에는 인쇄시트(Sheet)가 감겨 지고, 이러한 인쇄시트에 그라비아(평판 또는 롤 형태)로부터 칼라레지스트가 전이되며, 블랭킷 롤이 기판의 표면을 접촉 회전함에 따라 인쇄시트에 전이된 칼라레지스트가 기판의 표면에 인쇄된다.
이러한 인쇄공정에서는 그라비아와 블랭킷 롤, 블랭킷 롤과 기판이 상호 잘 정렬되어 있어야 원하는 인쇄품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중 그라비아가 롤 형태의 그라비아 롤로 마련되는 경우, 우수한 인쇄품질 유지를 위해, 그라비아 롤과 블랭킷 롤과의 평행도(또는 그라비아 롤과 블랭킷 롤과의 접촉 간격)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된다. 이들 간에 평행도나 접촉 간격이 제대로 맞지 않을 경우에는 그라비아 롤로부터 블랭킷 롤에 칼라레지스트가 원활히 전이될 수 없어 결국에는 인쇄품질이 저하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라비아 롤과 블랭킷 롤의 평행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라비아 롤과 블랭킷 롤의 평행도를 효율적인 구조로써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프레임에 지지되며, 기판의 표면으로 칼라레지스트를 인쇄하는 블랭킷 롤(Blanket roll)의 외면으로 상기 칼라레지스트를 전이하는 그라비아 롤(Gravure Roll);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그라비아 롤 사이에 마련 되어 상기 블랭킷 롤에 대한 상기 그라비아 롤의 평행도를 조절하는 그라비아 정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그라비아 정렬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그라비아 롤이 상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쐐기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쐐기이동부는 상기 프레임 및 지지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쐐기이동부가 결합되는 상기 프레임의 하면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쐐기이동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며 제1 경사면이 형성된 고정경사블록;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경사면과 대응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경사면에 대해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경사블록; 및 상기 이동경사블록을 상기 고정경사블록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 상기 이동경사블록에 결합되며, 내측에 나선홈이 형성된 제1 너트; 및 상기 나선홈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측은 제1 모터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 너트에 결합되는 제1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경사블록은 상기 블랭킷 롤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커지도록 상면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경사블록은 상기 블랭킷 롤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작 아지도록 하면이 경사진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쐐기이동부는, 상기 고정경사블록 및 상기 이동경사블록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이동경사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라비아 정렬유닛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부에 인접한 프레임 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라비아 정렬유닛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중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 영역에 인접한 상기 프레임 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접촉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중을 가압지지하는 에어발란스;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이동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stopp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톱퍼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멈춤판; 및 상기 멈춤판에 접촉 및 이격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볼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톱퍼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 상기 제2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웜; 및 상기 웜과 교차되게 배치되어 치형결합되는 웜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스크류는, 상기 웜기어와 동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너트; 및 상기 멈춤판으로 승하강가능하도록 상기 제2 너트에 결합되는 제2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장치(1)는, 그라비아 롤(10, Gravure roll)과,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으로 R(Red), G(Green), B(Blue) 칼라레지스트(칼라잉크, 칼라색소) 중 어느 한 칼라레지스트를 도포하는 디스펜서(15, Dispenser)와,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에 도포된 칼라레지스트 중 필요 없는 칼라레지스트를 제거하는 닥터 블레이드(13, Dr. Blade)와, 그라비아 롤(10)로부터 R, G, B 칼라레지스트 중 어느 한 칼라레지스트를 전이받아 칼라필터 기판(이하, 기판(G)이라 함)의 표면으로 R, G, B 패턴 중 어느 한 패턴을 인쇄하는 블랭킷 롤(50, Blanket roll)과, 기판(G)에 대한 R, G, B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한 패턴의 인쇄 작업이 진행되는 워크 스테이지(55, work stage)와, 워크 스테이지(55)의 상면으로 기판(G)을 이송시키는 워크 테이블(70, work table)과, 이들을 지지하는 하부베이스(60)를 구비한다.
여기서, 그라비아 롤(10)은 프레임(21)에서 어느 정도의 평행도 및 편심이 조절될 수 있다. 즉, 그라비아 롤(10)은 그라비아 정렬유닛(20)에 의하여 수평축선 의 기준이 되는 블랭킷 롤(50)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할 수 있는데, 이점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라비아 롤(10)은, R, G, B 칼라레지스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칼라레지스트를 블랭킷 롤(50)의 외면으로 전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그라비아 롤(10)과 블랭킷 롤(50)은 실질적으로 거의 유사한 부피를 갖는다. 이러한 그라비아 롤(10)은 하부베이스(60)에 고정되어 기립 배치된 좌우 한 쌍의 프레임(21)에 의해 해당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참고로, 기판(G)에 R, G, B 패턴을 인쇄함에 있어 하나의 인쇄장치(1)를 통해서 기판(G)에 R, G, B 패턴이 동시에 인쇄되지는 않는다. 즉, 기판(G)에 R, G, B 패턴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본 실시 예와 같은 인쇄장치(1)가 최소한 3대가 필요할 수 있으며, 3대의 인쇄장치(1)에 의해 R, G, B 패턴들이 각각 하나씩 선택되어 기판(G)에 인쇄될 수 있다.
따라서 최초,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으로 칼라레지스트를 도포하는 디스펜서(15)는, R, G, B 칼라레지스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칼라레지스트만을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으로 도포하게 된다. 쉽게 표현하여, 디스펜서(15)는, 빨간색, 녹색, 파란색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색깔의 잉크만을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으로 도포한다.
도 1에 확대 도시된 A와 같이,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에는 실질적으로 칼라레지스트가 묻는(도포되는) 요철(10a,10b)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의 요철 패턴은 양각 혹은 음각의 형태가 모두 가능하다. 양각의 형태라면 돌출된 요철부(미 도시)의 외면에 칼라레지스트가 도포되어 블랭킷 롤(50)로 전이되고, 본 실시 예와 같이 음각의 형태라면 함몰된 요홈부(10a)의 내부에 칼라레지스트가 도포되어 블랭킷 롤(50)로 전이된다.
다만, 블랭킷 롤(50)이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에서 칼라레지스트를 전이 받아 이를 기판(G)에 재전이(인쇄)하여 R, G, B 패턴을 형성함에 있어, 기판(G)의 표면으로부터 R, G, B 패턴의 두께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에 형성된 요철 패턴이 음각의 형태를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디스펜서(15)에 의해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으로 R, G, B 칼라레지스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칼라레지스트가 도포될 때, 도 1에 확대 도시된 B와 같이, 실질적으로 음각 형태의 요홈부(10a)에만 칼라레지스트가 도포되어야 한다. 하지만, 디스펜서(15)가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으로 칼라레지스트를 도포할 때, 실질적으로 음각 형태의 요홈부(10a)에만 선택적으로 칼라레지스트가 수용되도록 한번에 도포하기는 곤란하다.
따라서 디스펜서(15)가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으로 칼라레지스트를 도포할 때는 그라비아 롤(10)의 외면 모두에 칼라레지스트를 넓게 펼쳐서 도포하고, 도포가 완료되면 음각 형태의 요홈부(10a)를 제외한 나머지 면(10b)에 도포된, 필요 없는 칼라레지스트를 제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요홈부(10a) 내부에만 칼라레지스트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그라비아 롤(10)의 주변에는 필요 없는 칼라레지스트를 제거하기 위해 닥터 블레이드(13)가 마련된다.
닥터 블레이드(13)는, 나이프홀더(13b)와, 나이프홀더(13b)에 결합되는 나이 프(13a)를 구비한다.
나이프(13a)는 그라비아 롤(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어, 칼라레지스트가 도포된 상태로 회전하는 그라비아 롤(10)의 표면과 접촉(실제로는 약간의 간격이 존재)하면서 칼라레지스트를 제거하게 된다. 즉, 나이프(13a)는 그라비아 롤(10)의 길이와 거의 유사한 길이를 가지며, 그 선단이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을 긁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나이프(13a)의 선단이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회전하는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으로 칼라레지스트가 도포되면, 나이프(13a)에 의해 음각 형태의 요홈부(10a)를 제외한 나머지 면(10b)에 도포된 칼라레지스트가 자연스럽게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도 1에 확대 도시된 B와 같이, 요홈부(10a) 내부에만 칼라레지스트가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디스펜서(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으로 칼라레지스트를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디스펜서(15)는 그라비아 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뿐만 아니라 해당 위치에서 승강 혹은 일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칼라레지스트의 도포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워크 스테이지(55)는, 기판(G)에 대한 R, G, B 패턴의 인쇄 작업이 진행되는 장소이며, 워크 테이블(70)은 워크 스테이지(55)로 기판(G)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블랭킷 롤(50)은, 그라비아 롤(10)의 외면, 보다 상세하게는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에 형성된 요홈부(10a) 내에 도포된 칼라레지스트를 전이 받아 회전하면서 기판(G)에 R, G, B 패턴을 인쇄하는, 실질적인 인쇄 롤의 역할을 한다.
블랭킷 롤(50)은 그라비아 롤(10)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해야 함은 물론, 워크 스테이지(55) 상에 로딩된 기판(G)의 상면에서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블랭킷 롤(50)의 양측에는 하부베이스(60)의 측면 레일(61) 상에서 블랭킷 롤(50)을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킴은 물론 해당 위치에서 블랭킷 롤(50)을 회전시키는 이동회전부(52)가 마련되어 있다. 이동회전부(52)에서 블랭킷 롤(50)을 이동시키는 구조는 예를 들어, 정밀 제어가 가능한 리니어 모션(Linear motion)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블랭킷 롤(50)의 외면에는 그라비아 롤(10)로부터 칼라레지스트가 전이되는 인쇄시트(51)가 감겨져 있다. 물론, 적절한 한도 이상의 회수만큼 사용된 인쇄시트(51)는 교체되어야 하므로 블랭킷 롤(50)에는 인쇄시트(51)를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한 시트교체수단(53)이 더 구비된다. 시트교체수단(53)은 인쇄시트(51)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블랭킷 롤(50)의 외면에서 인쇄시트(51)가 들뜨지 않고 팽팽하게 펼쳐져서 감길 수 있도록 인쇄시트(51)에 일정한 텐션을 부여하는 역할을 겸한다. 이러한 시트교체수단(53)은 블랭킷 롤(50)에서 절개된 일면(50a)에 마련된다.
한편, 블랭킷 롤(50)은 수평축선의 기준이 되며, 이를 기준으로 워크 스테이지(55) 상의 기판(G) 및 그라비아 롤(10) 등이 정렬하게 된다. 따라서, 그라비아 롤(10)은 블랭킷 롤(50)을 기준으로 적정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며, 또한 그라비아 롤(10)이 블랭킷 롤(50)에 대해 평행하지 않거나 간극이 발생할 경우에는 블랭킷 롤(50)을 기준으로 그라비아 롤(10)의 평행도 및 편심을 조절할 수 있어야 보다 정밀한 인쇄공정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실시 예의 인쇄장치(1)는 블랭킷 롤(50)에 대하여 그라비아 롤(10)을 평행하게 정렬시키는 그라비아 정렬유닛(20)을 구비한다.
도 2는 도 1의 그라비아 롤 및 블랭킷 롤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쐐기이동부 영역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플레이트 지지부 및 스톱퍼 영역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의 그라비아 정렬유닛에 대한 동작도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비아 정렬유닛(20)은, 그라비아 롤(10)이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25)와, 지지플레이트(25)를 프레임(2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쐐기이동부(30)와, 지지플레이트(25)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23)와, 지지플레이트(25)의 하중을 가변적으로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40)를 구비한다.
프레임(21)은, 그라비아 롤(10)을 비롯한 여러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도록 그라비아 롤(10)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다. 그라비아 정렬유닛(20)은 이러한 프레임(21)에 각각 마련되며, 어느 하나의 그라비아 정렬유닛(20)만을 동작시키기도 하고, 한쌍의 그라비아 정렬유닛(20)을 모두 동작시키기도 하면서 그라비아 롤(10)의 평행도 및 편심을 조절하게 된다.
지지플레이트(25)는, 프레임(2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그라비아 롤(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플레이트(25)의 중앙영역에는 지지부(27)가 마련되어 있어 그라비아 롤(10)은 지지부(2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그라비아 롤(10)이 칼라레지스트를 전이하는 과정에서 지지부(27)가 그라비아 롤(10)을 회전시키면 그라비아 롤(10)은 원활하게 회전하면서 칼라레지스트를 전이받고, 전이받은 칼라레지스트를 다시 블랭킷 롤(50)에 전이하게 된다.
쐐기이동부(30)는, 프레임(21) 및 지지플레이트(25)에 결합되며 지지플레이트(25)를 프레임(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지지플레이트(25)가 쐐기이동부(3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이동부(30)가 결합되는 프레임(21)의 하면(21a) 및 지지플레이트(25)의 상면(25a)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쐐기이동부(30)는, 지지플레이트(25)의 상면(25a)에 결합된 고정경사블록(31)과, 프레임(21)의 하면(21a)에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경사블록(33)과, 이동경사블록(33)을 고정경사블록(31)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부(35)와, 이동경사블록(33)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39)를 구비한다.
고정경사블록(31)은, 지지플레이트(25)의 상면(25a)에 결합되며 제1 경사면(31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경사블록(31)은 블랭킷 롤(50)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커지도록 상면(31a)이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고정경사블록(31)의 상면(31a)은 제1 경사면(31a)을 형성한다.
이동경사블록(33)은, 프레임(21)의 하면(21a)에 결합되며 제2 경사면(33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경사면(33a)은 제1 경사면(31a)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이동경사블록(33)은 블랭킷 롤(50)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도록 하면(33a)이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이동경사블록(33)의 하면(33a)은 제2 경사면(33a)을 형성한다.
이동부(35)는, 이동경사블록(33)을 고정경사블록(31)에 대해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동부(35)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36)와, 이동경사블록(33)에 결합되며 내측에 나선홈이 형성된 제1 너트(37)와, 나선홈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측은 제1 모터(36)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1 너트(37)에 결합되는 제1 스크류(38)를 구비한다.
제1 모터(36)는, 프레임(21)에 고정되며 필요에 따라 정회전 및 역회전하도록 동작된다. 제1 모터(36)는 제1 스크류(38)와 결합되어 제1 모터(36)의 회전력을 제1 스크류(38)로 전달하게 된다.
제1 너트(37)는, 내측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경사블록(33)에 고정 설치되는데, 제1 스크류(38)가 회전하면서 제1 너트(37)의 내측으로 제1 스크류(38)가 인입 및 인출됨에 따라 프레임(21) 및 고정경사블록(31)에 대해 이동경사블록(33)이 이동할 수 있다. 제1 너트(37)의 나선홈은 제1 스크류(38)의 나사산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제1 스크류(38)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이 제1 모터(36)와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이 제1 너트(37) 내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제1 너트(37)와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모터(36)가 회전할 경우, 제1 스크류(38)는 제1 모터(36)와 동회전한다. 제1 스크류(38)가 회전하면, 제1 스크류(38) 타측에 결합된 제1 너트(37)의 내측으로 제1 스크류(38)가 인입 및 인출됨에 따라 이동경사블록(33)은 상면은 프레임(21)에 대해, 이동경사블록(33)의 하면(33a)은 고정경사블록(31)에 대해 상대 이동한다.
제1 모터(36)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동경사블록(33)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할 수도 있고, 제1 모터(36)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동경사블록(33)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이는 제1 스크류(38)의 나사산 및 제1 너트(37)의 나선홈의 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이동경사블록(33)의 이동방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이동경사블록(33)이 이동하면, 고정경사블록(31)에 결합된 지지플레이트(25)가 이동경사블록(33)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하게 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모터(36)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크류(38)가 제1 너트(37)로부터 인출되면서 이동경사블록(33)을 X축의 우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지지플레이트(25)는 Z축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지지부(27)에 결합된 그라비아 롤(10)을 블랭킷 롤(50)에 대해 하강시키게 된다.
반면에, 제1 모터(36)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크류(38)가 제1 너트(37)로부터 인입되면서 이동경사블록(33)을 X축의 좌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지지플레이트(25)는 Z축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지지 부(27)에 결합된 그라비아 롤(10)을 블랭킷 롤(50)에 대해 상승시키게 된다.
이처럼 지지플레이트(25)를 필요에 따라 승하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라비아 롤(10)은 블랭킷 롤(50)에 대한 평행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프레임(21)의 양측에 이와 같은 쐐기이동부(3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그라비아 롤(10)이 편심되게 기울어져 있을 경우나 간극이 있을 경우, 프레임(21)의 일측에 마련된 쐐기이동부(30)만을 조절하거나 프레임(21)의 양측에 마련된 쐐기이동부(30) 모두를 동작시켜서 그라비아 롤(10)의 평행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가이드부(39)는, 고정경사블록(31) 및 이동경사블록(33)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경사블록(33)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39)는 선형의 레일(39a)과, 레일(39a)을 따라 이동하는 블록(39b)으로 형성되는 일반적인 LM 가이드(Linear Motion Guide)가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9)는 프레임(21)과 고정경사블록(31)의 사이 및 이동경사블록(33)과 고정경사블록(31)의 사이에 각각 설치된다. 이동경사블록(33)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이동경사블록(33)의 상부에는 4개의 블록(39b)이 2쌍씩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프레임(21)의 하면에 마련된 한 쌍의 레일(39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경사블록(33)의 하부에는 한 쌍의 레일(39a)이 이격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경사블록(31)의 상부는 4개의 블록(39b)이 2쌍씩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레일(39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39)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경사블록(33)이 프레임(21) 및 고정경사블록(31)에 대해 이동할 경우, 이동경사블록(33)은 가이드부(39)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23)는, 쐐기이동부(30)에 의해 지지플레이트(25)가 이동할 경우, 지지플레이트(25)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동가이드부(23)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25)의 양측부에 인접한 프레임(21) 영역에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가이드부(23)는 크로스롤러 가이드(Cross Roller Guide)가 사용된다. 크로스롤러 가이드는, 공지된 바와 같이, 두 물체의 이동면에 작은 롤러를 서로 교차하도록 마련함으로써, 롤러들을 따라 이송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금속제 롤러간의 접촉 마찰력 감소에 의한 소음 극소화, 바운딩(떨림) 현상을 없애는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실시 예와 같이, 이동가이드부(23)로 크로스롤러 가이드가 사용되면, 큰 하중을 갖는 그라비아 롤(10)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25)가, 높은 경방향 하중, 적절한 축방향 하중, 그리고 높은 모멘트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선 접촉방식의 이동을 할 수 있다.
플레이트 지지부(40)는, 지지플레이트(25)의 하중을 지지한다. 플레이트 지지부(40)는 에어발란스(41, Air Balance)와, 스톱퍼(43, Stopper)를 구비한다.
에어발란스(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25)의 하부 영역에 인접한 프레임(21) 영역에 결합되며 지지플레이트(25)와 접촉되어 지지플레이트(25)의 하중을 균형적으로 가압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에어발란 스(41)는 프레임(21)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지지플레이트(25)의 하부 영역을 지지하도록 한 쌍 마련된다.
에어발란스(41)는 내부에 충전된 에어(Air)가 쿠션역할을 하기 때문에, 큰 하중을 갖는 그라비아 롤(10)이 장착된 지지플레이트(25) 전체의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하면서 균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에어발란스(4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25)가 Z축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지지플레이트(25)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발란스(41)가 그라비아 롤(10)이 장착된 지지플레이트(25)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작은 하중으로도 큰 하중을 갖는 그라비아 롤(10)이 장착된 지지플레이트(25)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스톱퍼(43)는, 지지플레이트(25)의 이동시 지지플레이트(25)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즉, 스톱퍼(43)는 지지플레이트(25)가 이동하면서 지지플레이트(25)에 장착된 그라비아 롤(10)이 블랭킷 롤(50)에 대해 평행도를 조절할 경우, 지지플레이트(25)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그라비아 롤(10)이 블랭킷 롤(50)에 대하여 보다 정밀하게 평행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스톱퍼(43)는 지지플레이트(25)에 마련되는 멈춤판(28)과, 멈춤판(28)에 접촉 및 이격되는 볼스크류(44, Ball Screw)와,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45)와, 제2 모터(45)에 의해 회전하는 웜(46)과, 웜(46)과 교차되게 배치되어 치형결합되는 웜기어(47)를 구비한다.
멈춤판(28)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25)의 하 부 영역에 플레이트(Plate)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플레이트(25)가 이동하면서 멈춤판(28)은 볼스크류(44)와 접촉 및 이격된다.
볼스크류(44)는,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너트(44a)와, 일측이 멈춤판(28)에 접촉 및 이격되며 타측이 제2 너트(44a)에 결합되는 제2 스크류(44b)를 구비한다. 제2 너트(44a)는 웜기어(47)와 동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스크류(44b)는 제2 너트(44a)에 인입 및 인출되면서 Z축 방향, 즉 멈춤판(28) 측을 향해 승하강한다.
제2 모터(45)는 웜(46)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웜(46)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며, 이러한 웜(46)과 웜기어(47)는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어 치형결합된다. 따라서 웜(46)이 제2 모터(45)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웜기어(47)가 교차 회전하면서 웜기어(47)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2 너트(44a)와 웜기어(47)는 동회전하게 된다. 이에 제2 너트(44a)에 결합된 제2 스크류(44b)는 제2 너트(44a)로부터 인입 및 인출되면서, Z축 방향으로 승하강한다.
웜(46)과 웜기어(47)는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웜기어(47)와 동회전하는 제2 너트(44a) 및 제2 스크류(44b)의 이동범위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스톱퍼(43)가 정밀하게 제어되면, 지지플레이트(25)가 하강하면서 멈춤판(28)이 제2 스크류(44b)에 대해 하강할 경우 그라비아 롤(10)이 블랭킷 롤(50)에 대하여 보다 정밀하게 평행도를 조절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인쇄장치의 일련의 동작과 그라비아 정렬유닛의 동작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별도의 이송장치에 의해 기판(G)이 워크 테이블(70)로 진입되기 시작한다. 그러면 워크 테이블(7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부상공들을 통해 공기가 분사됨으로써 기판(G)은 워크 테이블(7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 부상된 채로 워크 테이블(70)로 진입된다. 워크 테이블(70)로 진입하는 기판(G)은 워크 테이블(70)의 주변에 마련된 얼라인부(미도시)에 의해 예비적으로 얼라인(align)될 수 있다.
워크 테이블(70)의 상면에서 부상된 기판(G)은 별도의 진공흡착부재에 의해 워크 스테이지(55) 상면으로 이송된다. 진공흡착부재는 기판(G)의 상면을 흡착한 상태에서 기판(G)을 워크 스테이지(55)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워크 스테이지(55)에도 공기가 분사되고 있으므로, 워크 스테이지(55) 상면으로 이송된 기판(G)은 워크 스테이지(55)의 상면에서 일정 높이 부상된 상태를 취한다. 이어서, 공기의 분사 과정이 중지되면 기판(G)이 워크 스테이지(55)의 상면으로 로딩된다. 그리고는 공기라인을 통해서 공기가 흡착됨으로써 기판(G)은 워크 스테이지(55)의 상면에 흡착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기판(G)이 워크 스테이지(55)의 상면에서 위치 고정되어 흡착되면, 블랭킷 롤(50)에 대한 기판(G)의 상대적인 얼라인 과정이 진행된다. 즉, 워크 스테이지(55)의 하부에 마련된 얼라인부(미도시)에 의해 워크 스테이지(55)가 X축, Y축, Z축 및 θ축으로 이동되면서 기판(G)에 대한 얼라인이 진행된다.
다음, 디스펜서(15)가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으로 R, G, B 칼라레지스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칼라레지스트를 도포한다. 이 때, 나이프홀더(13b)에 결합된 나이프(13a) 선단이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회전하는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으로 칼라레지스트가 도포되는 과정에서 나이프(13a)에 의해 음각 형태의 요홈부(10a)를 제외한 나머지 면(10b)에 도포된, 필요 없는 칼라레지스트가 제거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요홈부(10a) 내부에만 칼라레지스트가 수용된다.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에 칼라레지스트가 도포되면, 이동회전부(42)에 의해 블랭킷 롤(50)이 그라비아 롤(10) 쪽으로 이동한다. 블랭킷 롤(50)이 이동하여 그라비아 롤(10)에 접촉되면, 그라비아 롤(10)과 블랭킷 롤(50) 간의 상대 회전에 의해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에 도포된 칼라레지스트가 그대로 블랭킷 롤(50)의 외면에 감긴 인쇄시트(51)로 전이된다.
이때, 블랭킷 롤(50)을 기준으로 그라비아 롤(10)은 적정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며, 또한 그라비아 롤(10)이 블랭킷 롤(50)에 대해 평행하지 않거나 간극이 발생할 경우에는 블랭킷 롤(50)을 기준으로 그라비아 롤(10)의 평행도 및 편심을 조절할 수 있어야 그라비아 롤(10)로부터 칼라레지스트가 정확하게 블랭킷 롤(50)로 전이될 수 있다.
따라서, 블랭킷 롤(50)에 대하여 그라비아 롤(10)의 평행도를 그라비아 정렬유닛(20)을 사용하여 인쇄작업 전에 미리 맞추어 놓는 과정이 수행되는데, 여기서 이에 대하여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수평축선 상의 기준이 되는 블랭킷 롤(50)에 대해 이동시켜야 할 그라비아 롤(10)의 이동거리를 측정한 후, 그라비아 롤(10)이 장착된 지지플레이트(25) 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가 예측되어야 한다.
이때, 지지플레이트(25)를 처음 위치보다 하강시킬 경우에는 먼저 스톱퍼(43)를 처음위치에서 지지플레이트(25)의 이동거리 만큼 하강시키게 되고, 지지플레이트(25)를 처음 위치보다 상승시킬 경우에는 지지플레이트(25)를 원하는 상승위치보다 더 높이 상승시킨 후, 스톱퍼(43)를 계산한 이동거리만큼 상승시킨 다음에 다시 지지플레이트(25)를 스톱퍼(43) 위치로 하강시킨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플레이트(25)를 처음 위치보다 하강시킬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스톱퍼(43)가 동작된다. 스톱퍼(43)의 볼스크류가 지지플레이트(25)의 이동거리만큼 이동한다. 다음으로, 쐐기이동부(30)의 제1 모터(36)가 구동된다.
제1 모터(36)가 일방향(본 실시 예에서는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스크류(38)가 회전한다. 제1 스크류(38)가 제1 너트(37)로부터 인출되면서 이동경사블록(33)을 X축의 우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동경사블록(33)이 이동함에 따라 고정경사블록(31)은 상대적으로 하강하고, 이에 따라 지지플레이트(25)는 Z축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지지부(27)에 결합된 그라비아 롤(10)을 블랭킷 롤(50)에 대해 하강시키게 된다. 하강하는 지지플레이트(25)는 멈춤판(28)이 스톱퍼(43)의 볼스크류(44)와 접촉되면서 하강을 멈추게 된다. 이에, 지지플레이트(25)의 하중은 에어발란스(45)에 균형적으로 가압지지된다.
반면에, 지지플레이트(25)를 처음위치보다 상승시킬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25)를 원하는 상승위치보다 더 높이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쐐기이동부(30)의 제1 모터(36)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스크류(38)가 제1 너트(37)로부터 인입되면서 이동경사블록(33)을 X축의 좌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동경사블록(33)이 이동함에 따라 고정경사블록(31)은 상대적으로 상승하면서, 이에 따라 지지플레이트(25)는 Z축 방향으로 상승한다. 그 다음에 스톱퍼(43)의 볼스크류(44)를 계산한 이동거리만큼 상승시킨 후 다시 지지플레이트(25)를, 전술한 도 5에 도시된 방법처럼, 스톱퍼(43) 위치로 하강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처럼 지지플레이트(25)를 필요에 따라 승하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라비아 롤(10)은 블랭킷 롤(50)에 대한 평행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프레임(21)의 양측에 이와 같은 그라비아 정렬유닛(20)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그라비아 롤(10)이 편심되게 기울어져 있을 경우나 간극이 있을 경우, 프레임(21)의 일측에 마련된 그라비아 정렬유닛(20)만을 조절하거나 프레임(21)의 양측에 마련된 그라비아 정렬유닛(20) 모두를 동작시켜서 그라비아 롤(10)의 평행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인쇄작업 전에 이러한 평행도 조절 작업이 수행된 상태이기 때문에 그라비아 롤(10)의 외면에 도포된 칼라레지스트가 블랭킷 롤(50)의 외면에 감긴 인쇄시트(51)로 원활히 전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평행도가 조절된 그라비아 롤(10)에 의해 블랭킷 롤(50)의 외면으로 칼라레지스트가 전이되고 나면, 다시 이동회전부(52)에 의해 블랭킷 롤(50)은 워크 스테이지(55)의 초입 부분으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블랭킷 롤(50)은 이동회전부(52)에 의해 기판(G)의 표면으로 이동 및 회전하면서 기판(G)의 표면에 R, G, B 패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패턴을 인쇄(재전이)하게 된다. 인쇄 작업이 완료되면 블랭킷 롤(50)은 원위치로 복귀되고, 인쇄 작업을 마친 기판(G)은 취출되어 R, G, B 패턴 중에서 다른 패턴의 인쇄 작업을 위해 다른 인쇄장치(1)로 옮겨져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블랭킷 롤(50)에 대하여 그라비아 롤(10)의 평행도를 효율적인 구조로써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그라비아 롤과 블랭킷 롤의 평행도를 효율적인 구조로써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프레임에 지지되며, 기판의 표면으로 칼라레지스트를 인쇄하는 블랭킷 롤(Blanket roll)의 외면으로 상기 칼라레지스트를 전이하는 그라비아 롤(Gravure Roll);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그라비아 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블랭킷 롤에 대한 상기 그라비아 롤의 평행도를 조절하는 그라비아 정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그라비아 정렬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그라비아 롤이 상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쐐기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이동부는 상기 프레임 및 지지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쐐기이동부가 결합되는 상기 프레임의 하면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이동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며 제1 경사면이 형성된 고정경사블록;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경사면과 대응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경사면에 대해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경사블록; 및
    상기 이동경사블록을 상기 고정경사블록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
    상기 이동경사블록에 결합되며, 내측에 나선홈이 형성된 제1 너트; 및
    상기 나선홈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측은 제1 모터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 너트에 결합되는 제1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경사블록은 상기 블랭킷 롤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커지도록 상면이 경사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사블록은 상기 블랭킷 롤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도록 하면이 경사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이동부는,
    상기 고정경사블록 및 상기 이동경사블록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이동경사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비아 정렬유닛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부에 인접한 프레임 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비아 정렬유닛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중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 영역에 인접한 상기 프레임 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접촉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중을 가압지지하는 에어발란스;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이동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stop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멈춤판; 및
    상기 멈춤판에 접촉 및 이격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볼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
    상기 제2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웜; 및
    상기 웜과 교차되게 배치되어 치형결합되는 웜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인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크류는,
    상기 웜기어와 동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너트; 및
    상기 멈춤판으로 승하강가능하도록 상기 제2 너트에 결합되는 제2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KR1020060109792A 2006-10-16 2006-11-08 인쇄장치 KR100839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792A KR100839456B1 (ko) 2006-11-08 2006-11-08 인쇄장치
CN2007101636527A CN101164775B (zh) 2006-10-16 2007-10-15 印刷机
TW96138684A TWI332436B (en) 2006-10-16 2007-10-16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792A KR100839456B1 (ko) 2006-11-08 2006-11-08 인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782A KR20080041782A (ko) 2008-05-14
KR100839456B1 true KR100839456B1 (ko) 2008-06-19

Family

ID=3964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792A KR100839456B1 (ko) 2006-10-16 2006-11-08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45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121B1 (ko) * 2009-08-21 2012-02-2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크린 프린터
KR101120060B1 (ko) 2009-11-19 2012-03-22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스테이지의 얼라인 시스템 및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패턴 형성 장치
KR101371861B1 (ko) * 2012-08-23 2014-03-1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조정 가능한 롤 샤프트 홀더
KR101518812B1 (ko) * 2012-05-23 2015-05-15 플렉스피이(주) 그라비아 옵셋 인쇄 장치의 롤을 상하 방향 이송하는 장치
KR101608601B1 (ko) 2014-12-26 2016-04-0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샤프트홀더 정밀 셋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0901A (ja) * 1998-06-17 2000-01-07 Rengo Co Ltd ロール間平行調整方法
KR20040092301A (ko) * 2003-04-26 2004-1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의 배향막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63082A (ko) * 2003-12-22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축 중심선 정렬의 자동 맞춤이 가능한 롤러 구조의 급지장치
JP2006289731A (ja) 2005-04-08 2006-10-26 Hirano Giken Kogyo Kk 印刷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0901A (ja) * 1998-06-17 2000-01-07 Rengo Co Ltd ロール間平行調整方法
KR20040092301A (ko) * 2003-04-26 2004-1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의 배향막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63082A (ko) * 2003-12-22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축 중심선 정렬의 자동 맞춤이 가능한 롤러 구조의 급지장치
JP2006289731A (ja) 2005-04-08 2006-10-26 Hirano Giken Kogyo Kk 印刷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121B1 (ko) * 2009-08-21 2012-02-2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크린 프린터
KR101120060B1 (ko) 2009-11-19 2012-03-22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스테이지의 얼라인 시스템 및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패턴 형성 장치
KR101518812B1 (ko) * 2012-05-23 2015-05-15 플렉스피이(주) 그라비아 옵셋 인쇄 장치의 롤을 상하 방향 이송하는 장치
KR101371861B1 (ko) * 2012-08-23 2014-03-1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조정 가능한 롤 샤프트 홀더
KR101608601B1 (ko) 2014-12-26 2016-04-0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샤프트홀더 정밀 셋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782A (ko) 200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456B1 (ko) 인쇄장치
CN101164776B (zh) 印刷机
KR100873847B1 (ko) 인쇄장치
KR100833116B1 (ko)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
KR100830873B1 (ko) 인쇄장치
KR100829413B1 (ko) 인쇄장치
KR100833117B1 (ko) 인쇄장치
KR100773071B1 (ko) 인쇄장치
KR100830876B1 (ko) 인쇄 장치
KR100799235B1 (ko)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
KR100924268B1 (ko) 인쇄장치
KR100851823B1 (ko) 인쇄장치
KR100959285B1 (ko) 인쇄장치
KR100807676B1 (ko) 인쇄장치
KR101108568B1 (ko) 인쇄장치
KR100837598B1 (ko) 인쇄장치
KR100840984B1 (ko) 인쇄장치
KR100793664B1 (ko) 인쇄장치
KR100804747B1 (ko) 인쇄장치
KR100846324B1 (ko) 인쇄장치
KR100830878B1 (ko) 인쇄장치
KR100826123B1 (ko) 인쇄장치
KR100845176B1 (ko) 인쇄장치
KR100788197B1 (ko)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
KR101125554B1 (ko) 인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