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571A - 이동 전화 내의 비디오 카메라 - Google Patents

이동 전화 내의 비디오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571A
KR20050062571A KR1020057005393A KR20057005393A KR20050062571A KR 20050062571 A KR20050062571 A KR 20050062571A KR 1020057005393 A KR1020057005393 A KR 1020057005393A KR 20057005393 A KR20057005393 A KR 20057005393A KR 20050062571 A KR20050062571 A KR 20050062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housing portion
optical
camera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이프 브룬스트롬
브요른 노르함마르
토마스 펜스조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20020021960 external-priority patent/EP1404121A1/en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50062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57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휴대용 통신 장치(1)는 제1 하우징 부분(2) 및 제2 하우징 부분(3),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 지지 부재(6), 영상 발생 장치(7), 및 상기 지지 부재 내에 위치된 상기 영상 발생 장치용 광학 입력(8)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 발생 장치(7)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1)의 제1 하우징 부분(2) 또는 제2 하우징 부분(3) 내에 위치되고, 광학 장치(11)는 상기 영상 발생 장치의 광 경로(12)를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으로부터 상기 회전 지지 부재(6) 내에 위치되는 광학 입력(8)으로 신장시킨다.

Description

이동 전화 내의 비디오 카메라{VIDEO CAMERA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정보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내장 카메라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은 휴대용 통신 장치의 예들은 이동 전화, 코드리스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커뮤니케이터, 또는 휴대용 항법 장치이다. 이들 중에서, 현재 시장 침투 및 판매량 면에서 이동 또는 셀룰러 전화가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 문헌의 나머지 부분은 시장에서 구입가능한 모든 이동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servic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D-AMPS(Digital-Advanced Mobile Phone Service)용 이동 또는 셀룰러 전화와 관련되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지 이동 전화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독립 청구항들에 의해 최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동 통신 장치의 사용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통상 GSM이라 하는 제2 세대 무선 기술(2G)이 도입됨으로써, 많은 새로운 서비스를 이 시스템의 사용자들에게 제공하였고 초창기 통신 시스템과 비교하여 향상된 음질을 지닌 음성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외에도, GSM의 사용자는 또한 해외로 여행할 수 있는데, 해외에서도 사용자는 소위 "로밍" 덕분에 자신의 이동 전화를 여전히 사용할 수 있는데, 로밍은 셀룰러 전화 서비스 제공자 그룹이 협동하여 동일 그룹 내의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등록된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정보를 전달하는데 필요로 되는 대역폭은 통상, 대단히 좁다. GSM 시스템의 경우에, 사용자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8명의 다른 사용자들과 200kHz를 공유한다. 이 대역폭은 음성 전달하는데 충분하지만, 비디오 스트림 또는 영상과 같은 많은 량의 데이터를 통신시키는데 매우 적합하지 않다.
사용자에게 보다 큰 대역폭을 제공하기 위하여,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56에서 최대 114kbps까지 연속 접속하는 데이터 속도를 제공하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라 공지된 패킷 교환 무선 통신 서비스가 도입되었다. GPRS는 GSM 통신을 기반으로 하고, 기존 서비스들 예를 들어 회로 교환 셀룰러 전화 접속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보완할 것이다.
또한 3G라 공지된 제3 세대 무선 기술은 다매체 요소들, 즉 음성, 데이터 및 비디오를 전달하는 성능을 포함한다. 이는 또한 광 대역폭 및 고속(2Mbps 이상), 라우팅 융통성(중계기, 위성, LAN), 및 유럽, 일본 및 북미 전체에 걸쳐서 로밍 성능을 제공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현대 무선 기술에 의해 제공되는 광 대역폭은 비디오 또는 정지 영상을 전송 할 수 있다. 결국, 영상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이동 통신 장치는 통신 장치의 설계를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비디오 카메라 또는 스틸 카메라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이 카메라는 통신 장치 내에 배치되도록 소형화될 필요가 있으며, 실제 카메라의 설치는 통신 장치의 사용자가 카메라를 여러 방향으로 지향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행해져야 만 하는데, 즉 사용자가 통신 장치를 사용하여 다른 사람과 직접 통신하고 있을 때 카메라를 사용자 쪽으로 지향시킬 수 있어야만 되고 사용자가 통신 장치를 카메라로서 사용하길 원할 때 반대 방향으로 지향시켜야만 한다.
소형이면서 콤팩트한 통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통신 장치는 통상, 가령 힌지와 같은 회전 지지 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 때, 카메라는 여러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힌지에 설치된다.
EP 0898405A2는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부분을 포함하는 정보 통신 단말 장치를 개시한다. 이 장치는 힌지에 내장된 비디오 카메라를 갖는데, 이 카메라는 힌지 축과 평행한 축 주위에서 회전될 수 있다. EP 0898405를 따른 비디오 카메라 및 이와 관련된 전자 회로는 통신 단말 장치의 힌지에 맞춰지도록 매우 소형이어야만 된다. 게다가, 힌지의 설계는 매우 복잡한데, 그 이유는 힌지가 카메라 및 회전 부분 둘 다를 수용하여야만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힌지 내의 카메라는 통신 단말 장치의 나머지 내의 전자 회로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될 수 있는데, 즉 케이블들은 힌지로부터 통신 장치의 제1 또는 제2 부분으로 진행하여야만 된다. 카메라, 카메라 전자장치 및 와이어링의 수용은, 힌지가 설계시에 매우 복잡하게 되고 힌지 내에 이외 다른 유용한 전자 장치를 수용할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허 문헌 JP A 2000 253124는 EP 898405에 개시된 장치와 유사한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이 통신 장치는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부품을 포함한다. 카메라는 힌지의 나머지 보다 직경이 큰 힌지의 섹션에 설치된다. 이 문헌을 따르면, 카메라를 수용하는 힌지의 섹션을 회전시킬 수 있다.
JP A 2000 253124에 따른 해결책이 지닌 한 가지 결점은, 카메라 및 이와 관련된 전자 장치들이 힌지내에 설치된다는 것이다. EP 0898405와 유사하게, 힌지의 설계는 매우 복잡하고 다른 전자장치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이용될 수 없다는 것이다.
매우 복잡한 구성 이외에도, 이동 통신 장치의 힌지 내에 카메라를 제공하는 종래 기술은 카메라를 원하는 방향으로 지향시키는 것이 번거롭다. 특히, 사용자가 통신 장치의 하우징에 대해 특정 방향으로 카메라를 돌리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하우징의 측면에 있는 별도의 놉(knob)을 사용하여 카메라를 이동시켜야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른 사람과 통신할 때 카메라를 사용하면, 즉 힌지 내의 카메라가 통신 장치가 펼쳐진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쪽으로 지향되면, 종래 기술을 따른 카메라의 광학 입력은 통신 장치가 접혀졌을 때 이 장치의 하우징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통신 장치의 측면상의 놉에 의해 카메라를 돌리지 않는 한 사용될 수 없게 된다.
통신 장치의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2가지 상이한 경우, 즉 사용자가 (비디오 및 오디오에 의해) 친구와 통신하고자 할때, 또는 사용자가 (일반적인 카메라 처럼) 사진을 찍고자할 때에만, 카메라를 사용할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는 통상, 통신 장치가 펼쳐진 상태 그리고 완전히 접혀진 상태 각 경우에서만 사용될 것이다. 종래 기술의 해결책은 카메라의 상기 정렬을 성취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하지 못한다.
도1a는 폐쇄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을 따른 이동 통신 장치의 개요도.
도1b는 개방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을 따른 이동 통신 장치의 개요도.
도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따른 개방 위치에 있는 이동 통신 장치의 개요적인 측면도.
도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따른 폐쇄 위치에 있는 이동 통신 장치의 개요적인 측면도.
도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따른 개방 위치에 있는 이동 통신 장치의 개요적인 측면도.
도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따른 폐쇄 위치에 있는 이동 통신 장치의 개요적인 측면도.
도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따른 개방 위치에 있는 이동 통신 장치의 개요적인 측면도.
도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따른 폐쇄 위치에 있는 이동 통신 장치의 개요적인 측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하기 쉽고 기계 설계가 간단한 영상 발생 성능을 지닌 휴대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장치가 카메라로서 사용될 때 함께 접혀지고 통신 장치가 다른 사람과 직접 통신하도록 사용될 때 펼쳐진 제1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부분들은 영상을 포착하는 광학 입력을 포함하는 회전 지지 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상기 회전 지지 부재는 어떠한 카메라 전자장치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견고하게 연결되어 예를 들어 땅에 떨어짐으로써 초래되는 충격에 대해 견디는 2개의 부분을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목적은 통신 장치의 접혀지고 펼쳐진 상태에 따라서 간단한 방식으로 통신 장치의 광학 입력을 자동적으로 지향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은 광학 입력이 회전 지지 부재 내에 위치될 지라도 카메라 자체가 회전 지지 부재에 설치되지 않는다는 본 발명을 이해함으로써 성취된다. 대신, 카메라는 통신 장치의 부분들중 한 부분에 설치되고 광학 장치는 회전 지지 부재 내의 광학 입력으로부터 카메라 까지의 광학 경로를 제공한다.
게다가, 광학 입력의 자동 정렬은 카메라를 하우징하는 통신 장치의 부분을 회전 지지 부재와 견고하게 연결시킴으로써 성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르면, 광학 장치는 사용자가 통신 장치를 사용하여 다른 사람과 직접 통신할 때 광학 입력을 통신 장치의 사용자를 향하여 지향시키는 프리즘 또는 미러 형태이다. 통신 장치의 2개의 부품이 함께 접혀질 때, 예를 들어, 통신 장치가 통상적인 카메라로서 사용될 때, 통신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광학 입력이 또 다른 방향으로 지향될 지라도, 광학 장치는 여전히 광 경로를 광학 입력으로부터 카메라로 지향시킨다.
휴대용 통신 장치는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 지지 부재, 영상 발생 장치, 및 상기 지지 부재 내에 위치된 상기 영상 발생 장치용 광학 입력를 포함한다.
영상 발생 장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부분 내에 위치되고, 광학 장치는 상기 영상 발생 장치의 광 경로를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으로부터 상기 회전 지지 부재 내에 위치된 광학 입력으로 신장시킨다.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광학 장치는 프리즘, 미러, 또는 도광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광학 입력은 상기 통신 장치가 개방 상태일 때 제1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고, 상기 통신 장치가 폐쇄 상태일 때 제2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영상 발생 장치는 비디오 카메라 또는 스틸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이동 전화일 수 있다.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는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 지지 부재, 영상 발생 장치, 및 상기 지지 부재 내에 위치된 상기 영상 발생 장치용 광학 입력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 상기 회전 지지 부재 간의 연결은 고정되는데, 상기 영상 발생 장치의 광학 입력은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영상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광학 장치는 상기 영상 발생 장치의 광학 경로를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으로부터 상기 회전 지지 부재 내의 광학 경로로 신장시킨다.
상기 목적들에 대한 해결책은 첨부된 독립 청구항에 의해 규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장점 및 목적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첨부된 도면 뿐만 아니라 종속항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지금부터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지금부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1a 및 도1b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1)의 투시도이다. 통신 장치(1)는 자신의 전자 회로를 하우징하는 제1 부분(2) 및 제2 부분(3)을 포함한다. 게다가, 통신 장치(1)는 디스플레이(4), 키보드(5), 회전 지지 부재(6), 영상 발생 장치(7), 광학 입력(8), 마이크로폰(9) 및 확성기(10)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통신 장치는 광학 입력(8)으로부터 영상 발생 장치(7)로 광학 경로를 생성하는 내장 광학 장치(11a, b)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1)의 제1 및 제2 부분(2 및 3)은 회전 지지 부재(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회전 지지 부재는 하우징 부분들중 한 부분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통신 장치(1)의 키보드(5) 및 디스플레이(4)가 사용되지 않을 때, 2개의 부분(2, 3)은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접혀질 수 있는데, 이 통신 장치(1)는 개방시, 즉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위치에서 보다 훨씬 적은 공간을 차지한다. 폐쇄 위치, 즉 접혀진 위치에서, 디스플레이(4) 및 키보드(5)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방 또는 재킷의 주머니에 통신 장치를 넣고 다닐 때 초래되는 마모 및 파손으로부터 보호될 것이다. 개방 위치에서, 제1 및 제2 부분(2 및 3)은 대략 150°의 각도로 펼쳐져 사용자가 키보드(5) 및 디스플레이(4)에 액세스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폰(9) 및 확성기(10)를 사용하게 한다. 그러나, 2개의 부분들(2, 3)을 펼치는 각도는 어떤 적절한 값으로 조정될 수 있음으로, 본 발명은 고정된 개방 각도로 제한되지 않는다.
스틸 카메라 또는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영상 발생 장치(7)는 통신 장치의 제1 또는 제2 (2, 3) 부분 내부에 위치되어 영상 발생 장치(7) 및 이와 관련된 광학 장치(11)에 의해 광학적으로 커버되는 볼륨에 제공되는 임의의 물리적인 물체일 수 있는 일반적인 물체중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영상(들)을 발생시킨다. 영상 발생 장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형태인데, 즉 카메라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 또는 통신 장치(1)에서 부가 처리 전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후에 디지털화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직접 발생시킨다. 각종 소형 크기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는 시장에서 입수가능하고, 예를 들어, 네트워크 카메라 또는웹 카메라로서 사용되어 인터넷을 통해서 비디오 시퀀스를 전송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하여, 용어 카메라는 본 텍스테 나머지 부분에 걸쳐서 상술된 종류의 영상 발생 장치(7)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광학 입력(8)은 통신 장치(1)의 회전 지지 부재(6)에 배치된다.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제1 부분(2) 및 제2 부분(3)을 서로 다른 각도로 접음으로써 카메라를 서로 다른 위치를 향하하도록 지향시킬 수 있다.
도2a는 개방 위치에 있는 통신 장치를 도시하는데, 이 통신 장치의 사용자는 키보드(5), 디스플레이(4), 마이크로폰(9) 및 확성기(10)를 사용하여 다른 사람과 통신한다. 다른 사람이 유사한 통신 장치, 즉 비디오 또는 스틸 영상을 수신 및 전송하는 성능을 지닌 통신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통신 장치(1)의 디스플레이(4)는 다른 사람들의 카메라가 직접 향하든지 간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할 것이다. 유사하게 다른 사람은 통신 장치(1) 내에 위치된 카메라(7)로부터 영상을 수신한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7)의 광 경로(12)는 제1 부분(2)을 통해서 소정 각도만큼 광 경로를 편향시키는 프리즘(11a) 형태의 광학 장치(11)를 거쳐 통신 장치(1)의 광학 입력(8)으로 신장된다. 이 위치의 카메라(7)가 광학 장치(11)를 거쳐서 통신 장치(1)의 사용자를 향하여 지향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은 통신 장치(1)를 사용하는 사람의 영상을 수신할 것이다.
광학 장치(11)가 카메라(7)의 광학 경로(12)를 제2 부분(3)으로부터 광학 입력(8)으로 신장시키도록 적응되는 한, 카메라(7)는 또한 통신 장치(1)의 제2 부분(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2b는 폐쇄된, 즉 접혀진 위치의 통신 장치를 도시한 것인데, 카메라(7)는 도2a의 방향과 거의 반대 방향으로 지향된다. 이 위치에서, 통신 장치(1)는 통상적인 카메라와 유사하게 기능한다. 통신 장치(1)의 사용자는 카메라를 소망 물체로 지향시킴으로써 영상 또는 비디오 시퀀스를 다른 사람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물론, 통신 장치(1)가 자신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는 또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7)의 광 경로는 광학 장치(11a)에 의해 도2a와 동일한 량만큼 편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광학 장치(11a)는 설치하기 쉽게 만드는 회전 지지 부재(6)에 고정되는데, 그 이유는 이동 부품이 필요로 되지 않기 때문이다. 광학 장치(11a)의 고정된 설치는 또한, 예를 들어, 통신 장치가 땅에 떨어지는 경우에도 통신 장치를 충격에 더욱 견디게 한다. 이것이 제1 부분(2) 또는 제2 부분(3)에 배치된 카메라(7)에 적용되는데, 그 이유는 이들 부분들은 카메라(7)가 실제 회전 지지 부재(6)에 배치되는 경우 보다 충견에 견디는 방식으로 카메라(7)를 배치시키기 위한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을 따른 광학 장치(11)의 또 다른 주요한 장점은, 통신 장치(1)의 영상 발생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기 부품들이 회전 지지 부재(6) 내부에 배치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대신, 회전 지지 부재가 예를 들어 안타네(13)를 하우징할 수 있는데, 그렇치 않다면, 이 안테나는 부분들(2, 3) 중 한 부분에 설치되거나 통신 장치(1)의 외부상에 설치되어야 만 한다.
도3은 광학 장치(11)가 프리즘(11a) 대신에 미러(11b) 형태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미러(11b)의 기능은 프리즘(11a)의 기능과 동일한데, 즉 카메라(7)의 광 경로를 편향시킨다. 프리즘(11a)과 비교하여 미러(11b)를 사용하는 이점은 광학 입력(8)으로부터 이동하는 광이 미러(11b) 표면에서 반사될 때 색수차와 같은 광학 효과가 제공되지 않는 다는 것이다.
도4는 프리즘(11a)이 도광관(11c)으로 대체되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이 도광관은 자신의 한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코히어런트 광학 영상을 전송하는 수천개의 작은 광섬유로 이루어진다. 도광관(11c)은 통신 장치(1) 내부의 거의 모든 방향에서 카메라(7)의 광 경로(8)를 돌릴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는데, 이는 카메라(7)의 광 경로(8)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 부재(6)의 벽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회전 지지 부재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3가지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술되었다. 그러나, 당업자가 인지하는 바와 같이 상술된 3가지 실시예 이외에 다른 실시예들이 마찬가지로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Claims (15)

  1. 휴대용 통신 장치(1)로서,
    제1 하우징 부분(2) 및 제2 하우징 부분(3),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 지지 부재(6),
    영상 발생 장치(7), 및
    상기 지지 부재 내에 위치된 상기 영상 발생 장치용 광학 입력(8)을 포함하는데,
    상기 영상 발생 장치(7)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1)의 상기 제1 하우징 부분(2)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부분(3) 내에 위치되고,
    광학 장치(11)는 상기 영상 발생 장치의 광 경로(12)를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으로부터 상기 회전 지지 부재(6) 내에 위치되는 광학 입력(8)으로 신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11)는 프리즘(1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11)는 미러(1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11)는 도광관(11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입력(8)은 상기 통신 장치(1)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제1 방향으로 지향되고 상기 통신 장치(1)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2 방향으로 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발생 장치는 비디오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발생 장치는 스틸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이동 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9. 휴대용 통신 장치(1)로서,
    제1 하우징 부분(2) 및 제2 하우징 부분(3),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 지지 부재(6),
    영상 발생 장치(7), 및
    상기 지지 부재 내에 위치된 상기 영상 발생 장치용 광학 입력(8)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 하우징 부분(2) 및 상기 회전 지지 부재(6) 간의 접속은 고정되는데, 상기 영상 발생 장치(7)의 광학 입력(8)은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발생 장치(7)는 상기 제1 하우징 부분(2)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11)는 상기 영상 발생 장치의 광 경로(12)를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으로부터 상기 회전 지지 부재(6) 내의 상기 광학 입력(8)으로 신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11)는 프리즘(1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3. 제 9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11)는 미러(1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11)는 도광관(11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5. 제 9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이동 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KR1020057005393A 2002-09-30 2003-08-20 이동 전화 내의 비디오 카메라 KR200500625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020021960 EP1404121A1 (en) 2002-09-30 2002-09-30 Video camera in mobile phone
EP02021960.6 2002-09-30
US41741802P 2002-10-09 2002-10-09
US60/417,418 2002-10-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571A true KR20050062571A (ko) 2005-06-23

Family

ID=32044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393A KR20050062571A (ko) 2002-09-30 2003-08-20 이동 전화 내의 비디오 카메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10495B2 (ko)
JP (1) JP2006501792A (ko)
KR (1) KR20050062571A (ko)
CN (1) CN1685708A (ko)
AU (1) AU2003253420A1 (ko)
WO (1) WO20040303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0920A1 (de) * 2005-03-09 2006-09-14 Siemens Ag Tragbares elektronisches Gerät
CN101233729B (zh) * 2005-06-14 2012-11-21 诺基亚公司 提供具有优选路径源路由、多保障QoS以及资源保留、管理和释放的高性能通信总线的装置、方法
JP6452223B2 (ja) * 2014-06-30 2019-01-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端末装置、端末制御方法及び端末制御プログラム
CN112236991B (zh) * 2018-07-17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伸出折叠式相机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5995B2 (ja) 1992-10-23 2002-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電話装置
JPH0822343A (ja) * 1994-07-07 1996-01-23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処理装置
JPH09331473A (ja) * 1996-06-13 1997-12-22 Sharp Corp 撮像装置
US6137525A (en) 1997-02-19 2000-10-24 Lg Electronics Inc. Personal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20067426A1 (en) * 1997-04-10 2002-06-06 Hideki Nagata Electronic camera having a phoelectric sensor device
JP3516328B2 (ja) 1997-08-22 2004-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通信端末装置
US6339508B1 (en) * 1999-01-02 2002-01-15 Olympus Optical Co., Ltd. Photographic optical system
JP2000253124A (ja) * 1999-03-01 2000-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機能付き情報携帯端末
CN1302152A (zh) 1999-12-24 2001-07-04 日本电气株式会社 带有照相机的便携式信息终端
US7046287B2 (en) 1999-12-24 2006-05-16 Nec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JP3546997B2 (ja) * 1999-12-24 2004-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情報端末装置
JP2002218049A (ja) * 2001-01-16 2002-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目画像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電話機
US7436599B2 (en) * 2001-05-14 2008-10-14 Olympus Corporation Electronic image pickup system
KR20030068684A (ko) * 2002-02-15 2003-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25915A1 (en) 2006-06-15
US7710495B2 (en) 2010-05-04
AU2003253420A1 (en) 2004-04-19
CN1685708A (zh) 2005-10-19
JP2006501792A (ja) 2006-01-12
WO2004030345A1 (en)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6429B2 (ja) 2重動作ヒンジ付き折畳み移動局
EP1530346B1 (en) Mobile phone having rotation type display
KR100703495B1 (ko) 양 방향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WO2004034682A1 (ja) 通信端末
US7229186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l lens assembly
JP2003309634A (ja) 携帯端末装置
KR10063013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FI114523B (fi) Videoneuvottelujärjestelmä
WO2005050980A1 (ja) 開閉式携帯端末装置
KR20050062571A (ko) 이동 전화 내의 비디오 카메라
JP2007274057A (ja) 携帯無線端末
EP1404121A1 (en) Video camera in mobile phone
KR100430595B1 (ko)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JPH07212253A (ja) 携帯型マルチメディア端末
KR100474678B1 (ko) 데이터 입력 확장성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50041693A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스피커 및 카메라 통합 장치
KR100474037B1 (ko)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KR20090003573U (ko) 카메라 모듈
KR10112642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2 축 힌지 장치
KR10107564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성 카메라 모듈
KR100487599B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KR100651538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6508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249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US8103320B2 (en)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visual and acoustic convenience and rotary type hinge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