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903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903B1
KR101024903B1 KR1020030053160A KR20030053160A KR101024903B1 KR 101024903 B1 KR101024903 B1 KR 101024903B1 KR 1020030053160 A KR1020030053160 A KR 1020030053160A KR 20030053160 A KR20030053160 A KR 20030053160A KR 101024903 B1 KR101024903 B1 KR 101024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optical cable
hinge
imag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4507A (ko
Inventor
김종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3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903B1/ko
Publication of KR20050014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빛의 전반사 성질을 이용하는 광케이블을 카메라렌즈와 카메라모듈을 연결시키는 수단으로 사용하므로써 카메라모듈이나 연성회로기판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수 있으며, 이로인해 단말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케이블, 전반사, 카메라렌즈, 카메라모듈, 카메라,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Camera device of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하우징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힌지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메라하우징 20 : 제1광케이블
30 : 제2광케이블 40 : 카메라모듈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빛의 전반사 성질을 이용하는 광케이블을 카메라렌즈와 카메라모듈을 연결시키는 수단으로 사용하므로써 카메라모듈이나 연성회로기판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수 있으며, 이로인해 단말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문자 메시지 및 각종 정보 전송은 물론이고 인터넷접속이나 화상통화 또는 화상정보의 전송도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크게 유행되고 있는데, 디지털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전화통화와 인터넷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단말 기능과, 피사체를 촬영하여 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전송 및 삭제할 수 있는 카메라 기능을 일체로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는데,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힌지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101), 폴더(102), 상기 본체(101)와 폴더(102)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장치(103) 및 상기 힌지장치(103)에 설치된 카메라(104)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104)는 힌지장치(103)의 중심부에 고정 및 일정각도내에서 회동되게 축설되고, 카메라모듈(106)은 상기 카메라(104)의 내부에 장착되어 카메라렌즈를 통하여 획득된 피사체의 영상을 처리하며, 상기 카메라모듈(106)에서 처리된 신호는 힌지장치(103)를 관통하여 형성된 연성회로기판(105)을 경유하여 영상처리 장치(미도시)가 구비된 본체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연결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카메라모듈(106)이 카메라(104)의 내부에 장착되어 많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단말기 및 카메라의 소형화를 방해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카메라모듈(106)이 장착되는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부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04)의 회전에 의하여 카메라모듈(106)과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을 연결하는 연성회기판(105)이 단선되어 카메라 고장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빛의 전반사 성질을 이용하는 광케이블을 카메라렌즈와 카메라모듈을 연결시키는 수단으로 사용하므로써 카메라모듈이나 연성회로기판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수 있으며, 이로인해 단말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는 카메라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로부터 피사체의 상을 전반사에 의해 전송하는 광전송수단과; 상기 광전송수단으로부터 전송된 피사체의 상을 처리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전송수단은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장착된 카메라렌즈에 일측이 밀착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의 축상에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회전시에도 상기 카메라 렌즈에 따른 피사체의 상을 전송하는 제1광케이블과; 상기 제1광케이블의 타단에 일측이 대향되게 밀착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를 관통하여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1광케이블로부터 전송된 피사체의 상을 전송하는 제2광케이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광케이블의 일측이 상기 힌지의 축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1광케이블의 타측에 대향되게 밀착되도록 상기 제2광케이블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구비된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광케이블의 타측이 상기 힌지의 축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끼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하우징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는 카메라하우징(10), 제1광케이블(20), 제2광케이블(30) 및 카메라모듈(40)을 포함한다.
카메라하우징(10)은 힌지(5)의 일측에 회동되도록 체결되고 그 일측에는 카메라렌즈(12)가 장착되어 피사체의 상을 전송하게되며, 상기 힌지(5)에 체결되는 카메라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1광케이블(20)에 대응되는 가이드홀(16)이 힌지(5)의 축상(X)에 형성되어 제1광케이블(20)을 지지하게된다.
제1광케이블(20)은 그 일측이 카메라 하우징(10)에 장착된 카메라렌즈(12)에 밀착되어 피사체의 상을 카메라렌즈(12)로부터 전송받고, 타측은 카메라하우징(10)에 형성된 가이드홀(16)에 끼움고정되어 힌지(5)의 축상(X)에 장착된다.
상기 제1광케이블(20)의 타측은 카메라 하우징(10)의 회전시에도 항상 힌지(5)의 축상(X)에 위치하게되어 카메라 렌즈(12)에 따른 피사체의 상을 전반사에 의하여 제2광케이블(30)에 전송하게된다.
제2광케이블(30)은 그 일측이 힌지(5)의 축상(X)에 위치되어 제1광케이블(20)의 타단에 대향되게 밀착되고, 타측은 힌지(5)를 관통하여 카메라모듈(40)에 연결되어 제1광케이블(20)로부터 전송된 피사체의 상을 전반사에 의하여 카메라모듈(4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2광케이블에 대응되는 관통홀(32)이 형성된 지지대(34)는 제2광케이블(30)의 일측이 힌지(5)의 축상(X)에 위치되도록 제2광케이블(30)을 지지한다.
카메라모듈(40)은 제2광케이블의 타단에 밀착되고, 본체에 장착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장착되어 제2광케이블(30)로부터 전송된 피사체의 상을 처리하는데, 피사체의 상을 통하여 감지된 빛의 정보를 처리하게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하우징(10)의 일측에 장착된 카메라렌즈(12)는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상을 제1광케이블(20)을 통하여 전송하고, 제1광케이블(20)은 카메라렌즈(12)로부터 전송받은 피사체의 상을 제1광케이블(20)에 대향되게 밀착된 제2광케이블(30)에 전송한다.
제2광케이블(30)은 제1광케이블(20)로부터 전송된 피사체의 상을 본체(1)에 장착된 카메라모듈(40)에 전송하며, 카메라모듈(40)은 제2광케이블(30)로부터 전송된 피사체의 상에 따른 정보를 디지털화 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하우징(10)이 회동되면 카메라렌즈(12) 및 제1광케이블(20)의 일측은 회동되지만, 힌지(5)의 축상(X)에 장착된 제1광케이블(20)의 타측은 상기 카메라하우징(10)의 회동에도 불구하고 항상 힌지(5)의 축상(X)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하우징(10)의 회동시에도 제1광케이블(20)의 타측은 제2광케이블(30)의 일측과 대향되게 밀착되어 피사체의 상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렌즈(10)에서 전송된 피사체의 상은 카메라모듈(40)까지 전송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케이블을 일예로 들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빛의 전반사 특성을 이용하는 다른 케이블이 카메라렌즈와 케마라모듈을 연결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 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는 빛의 전반사 성질을 이용하는 광케이블을 카메라렌즈와 카메라모듈을 연결시키는 수단으로 사용하므로써 카메라모듈이나 연성회로기판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수 있으며, 이로인해 단말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은 제1광케이블과 제2광케이블이 대향되게 밀착되므로써 카메라하우징의 회전시에도 피사체의 상을 카메라렌즈로부터 카메라모듈까지 전송할 수 있으며, 카메라하우징을 한 방향으로 계속적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Claims (4)

  1. 카메라 하우징이 장착된 힌지와, 본체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힌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로부터 피사체의 상을 전반사에 의해 전송하는 광전송수단; 및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광전송수단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광전송수단으로부터 전송된 피사체의 상을 처리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송수단은,
    일측이 상기 카메라 렌즈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의 축상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회전시에도 상기 카메라 렌즈에 따른 피사체의 상을 전송하는 제1광케이블; 및
    일측이 상기 제1광케이블의 타측에 대향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 내의 카메라모듈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광케이블로부터 전송된 피사체의 상을 상기 카메라모듈로 전송하는 제2광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케이블의 일측이 상기 힌지의 축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1광케이블의 타측에 대향되게 밀착되도록 상기 제2광케이블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구비된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케이블의 타측이 상기 힌지의 축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끼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KR1020030053160A 2003-07-31 2003-07-31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KR101024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160A KR101024903B1 (ko) 2003-07-31 2003-07-31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160A KR101024903B1 (ko) 2003-07-31 2003-07-31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507A KR20050014507A (ko) 2005-02-07
KR101024903B1 true KR101024903B1 (ko) 2011-03-31

Family

ID=3722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160A KR101024903B1 (ko) 2003-07-31 2003-07-31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9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9077A (ja) * 1988-12-28 1990-07-12 Olympus Optical Co Ltd ファインダー装置
KR200274103Y1 (ko) * 2002-01-15 2002-05-03 유니모테크놀로지주식회사 박형 디지털 카메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9077A (ja) * 1988-12-28 1990-07-12 Olympus Optical Co Ltd ファインダー装置
KR200274103Y1 (ko) * 2002-01-15 2002-05-03 유니모테크놀로지주식회사 박형 디지털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507A (ko) 2005-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8042A2 (en)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fiber optic cable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6788960B2 (en)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KR20030057661A (ko)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개방수단을 구비한휴대용 통신장치
KR1005568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연결장치
JP2001298516A (ja) 携帯型無線通信装置
KR100630127B1 (ko) 보조 표시부를 구비한 폴더 타입 무선 단말기 및 보조표시부 구동방법
KR1010249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KR100672513B1 (ko) 바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0605895B1 (ko) 휴대폰의 잭 타입 렌즈 모듈
KR1009842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KR20032391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와 플래쉬 일체 구조
KR20100033725A (ko) 듀얼 카메라 모듈
KR20032642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착탈식 보조렌즈장치
KR100469418B1 (ko) 목걸이에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통신단말기
KR20050083231A (ko) 카메라 일체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57665Y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카메라 및 통신 장치
KR101153511B1 (ko) 호환 가능한 분리형 카메라 및 그에 따른 칩셋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KR100652687B1 (ko)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68572B1 (ko) 화상통신용 단말기의 촬상각 변환장치
KR1009950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동장치
KR100523134B1 (ko) 폴더형 휴대폰
KR2005002748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모듈
KR100830498B1 (ko) 카메라 일체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72880A (ko)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0656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