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665Y1 -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카메라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카메라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665Y1
KR200257665Y1 KR2020010027232U KR20010027232U KR200257665Y1 KR 200257665 Y1 KR200257665 Y1 KR 200257665Y1 KR 2020010027232 U KR2020010027232 U KR 2020010027232U KR 20010027232 U KR20010027232 U KR 20010027232U KR 200257665 Y1 KR200257665 Y1 KR 200257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interface
digital camera
connection terminal
portab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용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7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6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6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 카메라 및 통신 장치가 게시된다. 본 고안의 디지털 카메라는 포획되는 피사체의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영상 데이터를 휴대용 통신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접속단자로 안내하는 커넥팅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를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신 장치의 핸즈프리용 포트에 핸즈프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통신 장치의 돌출부를 증가시키지 않으므로, 통신 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 카메라 및 통신 장치{DIGITAL CAMERA CAPABLE OF BEING COUPLED/SEPARATED TO/FROM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본 고안은 디지털 카메라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개인휴대단말기(PDA) 등과 같은 휴대용 통신 장치는,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안테나부(1)에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수화부(2)로 제공하고, 송화부(3)에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안테나부(1)를 통해 외부로 송출하여,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부(1)는 안테나(1a) 및 안테나(1a)가 체결되는 접속단자(1b)를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접속단자(1b)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장착되며, 상기 안테나(1a)는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접속단자(1b)에 체결/분리된다. 도시예에서는, 접속단자(1b)가 휴대용 통신 장치에 내장되며, 안테나(1a)가 휴대용 통신 장치에 삽입되어 접속단자(1b)에결합된다.
이와 같은 휴대용 통신 장치는, 통상적으로, 핸즈프리(즉, 이어 마이크(Ear-mic))용 포트(4)와, 상기 포트(4) 및 접속단자(1b)에 연결되어 포트(4)와 접속단자(1b)간에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5)를 구비하여, 포트(4)에 결합되는 이어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출력할 수도 있다.
더욱이, 최근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음성신호 뿐만아니라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지털 카메라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장착되어야 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착탈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디지털 카메라는 카메라 하우징(10)에 내장되는 데이터 생성부(20) 및 카메라 인터페이스(30)와, 휴대용 통신 장치의 핸즈프리용 포트(4)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외부에 장착된 연결단자(4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생성부(20)는 피사체의 영상을 포획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 다음, 카메라 인터페이스(3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30)는, 연결단자(40)를 통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휴대용 통신 장치의 인터페이스(5)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한 종래 기술의 디지털 카메라는, 연결단자(40)를 통해, 휴대용 통신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제어명령을 카메라 인터페이스(30)에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면, 연결단자(40)가 핸즈프리용 포트(4)에 결합되므로, 핸즈프리의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 카메라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1은 일반적인 휴대용 통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 기술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착탈가능한 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4는 도2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7은 도5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a 내지 도8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들의 사용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200: 데이터 생성부
300: 카메라 인터페이스 400: 렌즈
500: 커넥터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은 음성신호/영상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제1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접속단자가 구비된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는 포획되는 피사체의 영상에 상응하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 및 상기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접속단자로 안내하는 커넥팅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일면은 안테나를 구비한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본 고안의 통신 장치는 소정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며, 소정의 주변기기를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기 안테나를 포함한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잇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5 내지 도8c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6은 도5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는 카메라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에 내장되는 데이터 생성부(200) 및 카메라 인터페이스(300)와, 하우징(100)의 외면에 장착되는 렌즈(400) 및 커넥터(50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생성부(200)는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카메라 인터페이스(300)로 제공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생성부(200)는 렌즈(400)에 포획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감지하여 소정의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210) 및 상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프로세서(2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프로세서(220)는 카메라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외부(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동작되며,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카메라 인터페이스(300)로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300)는 본 고안의 디지털 카메라에 입력되는 명령을 수신하여 영상 프로세서(220)로 제공하며, 영상 프로세서(22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카메라 인터페이스(300)로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에스피아이(SPI; Serial Peripheral Interface) 및 범용 비동기식 송수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300)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입출력 단자(310)를 구비하며, 상기 입출력 단자(31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넥터(5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500)는 카메라 인터페이스의 입출력 단자(310)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500)가 입출력 단자(3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500)의 일단부는 카메라 인터페이스(300)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인터페이스의 접속단자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커넥터(500)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제어명령을 카메라 인터페이스(300)로 안내하고, 카메라 인터페이스(3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휴대용 통신 장치의 인터페이스로 안내한다. 이와 같은 커넥터(500)는 연결단자(510) 및 케이싱(520)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단자(510)는 일단부가 카메라 인터페이스의 입출력 단자(31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타단부가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접속단자에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단자(510)의 타단부는 케이싱(520)의 하단부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소정의 나사산(512)이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일반적인 휴대용 통신 장치내의 접속단자와 나사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단자(510)가 통신 장치의 접속단자에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통신 장치의 접속단자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싱(520)은 일측에 카메라 인터페이스의 입출력 단자(310)가 결합되는 안내공(522)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522)에 결합되는 입출력 단자(310)는 연결단자(51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520)은 연결단자(510)의 소정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300) 및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접속단자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된 연결단자(510)가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디지털 카메라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520)의 안내공(522)에 입출력 단자(310)를 결합하여 연결단자(510)의 일단부를 카메라 인터페이스(300)에 연결한 상태에서, 안테나를 제거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접속단자(1b)에 연결단자(510)의 타단부를 나사결합하므로써,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장착된다. 이러한 경우, 본 고안의 디지털 카메라는, 커넥터(500)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휴대용 통신 장치의 인터페이스로 제공할 수 있으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입출력 단자(310)가 케이싱(52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므로, 본 고안의 디지털 카메라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연결된 상태에서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정면 뿐만아니라 뒤쪽에 위치되는 피사체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디지털 카메라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500)의 형상을 도8a 내지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도8a 내지 도8c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첨부한다.
도8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접속단자(1b)가 통신 장치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접속단자(1b)에 결합되는 연결단자(510)의 타단부가 케이싱(520)의 내면에 장착된다. 이러한 경우, 본 실시예에서의 디지털 카메라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접속단자(1b)를 케이싱(520)에 삽입한 후에, 상기 연결단자(510)에 접속단자(1b)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단자(1b)가 안테나이다.
도8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는 커넥터의 연결단자(510)가 하우징(100)의 하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휴대용 통신 장치의 바로 위쪽에 장착될 수 있다.
도8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내측으로 소정깊이만큼 삽입되는 케이싱(520)을 구비하여, 통신 장치의 저부에서 연결단자(510)가 접속단자(1b)에 체결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디지털 카메라가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장착될 경우, 사용자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핸즈프리용 포트(4)에 이어 마이크와 같은 핸즈프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의 인터페이스(5)에 연결되는 접속단자(1b)에 안테나 또는 디지털 카메라가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단자(1b)는 디지털 카메라의 연결단자(51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접속단자(1b)가 통신 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안테나인 경우, 상기 접속단자(1b)에는 본 고안의 디지털 카메라 뿐만아니라 핸즈프리, 마우스, 키보드, 게임기, 개인휴대단말기, 퍼스널 컴퓨터, 무선 단말기, GPS 신호 송수신용 단말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장치용 주변기기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 카메라 및 통신 장치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를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신 장치의 핸즈프리용 포트에 핸즈프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 카메라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통신 장치의 돌출부가 증가되지 않으므로, 통신 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디지털 카메라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방향으로 회전가능하므로,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정면 뿐만아니라 뒤쪽에 위치되는 피사체도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디지털 카메라는 화상회의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음성신호/영상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제1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접속단자가 구비된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포획되는 피사체의 영상에 상응하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 및
    상기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접속단자로 안내하는 커넥팅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제2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접속단자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인터페이스에 연결시키는 연결단자; 및
    상기 연결단자의 소정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단자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케이싱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상기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단자에 연결되는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에스피아이(SPI; Serial Peripheral Interface), 범용 비동기식 송수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5. 안테나를 구비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며, 소정의 주변기기를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기 안테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기기가
    상기 안테나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로/로부터 상기 소정의 신호를 송신/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마우스, 핸즈프리, 키보드, 게임기, 개인휴대단말기, 퍼스널 컴퓨터, 무선 단말기, GPS 신호 송수신용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KR2020010027232U 2001-09-06 2001-09-06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카메라 및 통신 장치 KR200257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232U KR200257665Y1 (ko) 2001-09-06 2001-09-06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카메라 및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232U KR200257665Y1 (ko) 2001-09-06 2001-09-06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카메라 및 통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665Y1 true KR200257665Y1 (ko) 2001-12-24

Family

ID=7310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232U KR200257665Y1 (ko) 2001-09-06 2001-09-06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카메라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66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980A (ko) * 2002-01-14 2003-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
KR100455139B1 (ko) * 2001-12-29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리셉터클형 카메라 폰
KR100474295B1 (ko) * 2002-07-30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488868B1 (ko) * 2002-08-30 2005-05-1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가 내장된 안테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139B1 (ko) * 2001-12-29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리셉터클형 카메라 폰
KR20030061980A (ko) * 2002-01-14 2003-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
KR100474295B1 (ko) * 2002-07-30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488868B1 (ko) * 2002-08-30 2005-05-1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가 내장된 안테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28074A1 (en) Embedded Accessory for Mobile Devices
JP3756062B2 (ja) 携帯情報端末
US20020137542A1 (en)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US20080013758A1 (en) Externally connected microphone module
JPH10303824A (ja) 携帯端末機とオプション装置との接続方法および装置
US2009016324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257665Y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카메라 및 통신 장치
JP2010136388A (ja) 携帯情報端末用ディジタルカメラ及びディ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KR100777864B1 (ko) 휴대용 정보 단말 및 휴대용 정보 단말 제어 방법
KR20060120303A (ko)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장치
JP2004207837A (ja) 組み立てオプション付携帯電話機と組み立てオプション付携帯電話機のオプションの組み立て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480080B1 (ko) 이동 단말기의 다기능 인터페이스장치
JP2006332923A (ja) マイクロホン装置及びマイクロホン装置を備えた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6983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364500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JPH11252197A (ja) 着脱式無線通信端末装置
WO2004112379A1 (en) Digital camera having bluetooth module therein
KR10101367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과 유에스비 포트를 연결하는연결 커넥터
JP4467468B2 (ja) 携帯情報端末用ディジタルカメラ及びディ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JPH10126513A (ja) 移動体通信コンピュータ
KR200219502Y1 (ko) 인터넷폰용 전화기
KR20040079599A (ko) 외부 기기의 부착이 가능한 마우스
JP2002247186A (ja) 赤外線通信ユニット
KR100474862B1 (ko) 외부 통신용 케이블 및 충전 케이블 겸용 인터페이스장치를 구비하는 정보기기 및 충전용 케이블
JPH1065774A (ja) 携帯無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