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295B1 -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295B1
KR100474295B1 KR10-2002-0045074A KR20020045074A KR100474295B1 KR 100474295 B1 KR100474295 B1 KR 100474295B1 KR 20020045074 A KR20020045074 A KR 20020045074A KR 100474295 B1 KR100474295 B1 KR 100474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optical signal
unit
rotating mean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292A (ko
Inventor
황시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5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295B1/ko
Publication of KR20040011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외면에 화면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전원부 및 광신호 처리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외면에 렌즈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 상기 렌즈부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반사 및 안내하기 위한 반사광로가 형성된 카메라 모듈과; 심부에 상기 반사광로로부터 안내된 광신호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광로 및 연결봉 삽입구동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연결봉 회전수단이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일체로 결합된 회전구동모듈과; 심부에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상기 광신호 처리부에 안내하기 위한 안내광로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연결봉 회전수단에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그 회전수단의 제어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배선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봉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봉 삽입구동부에 장착된 연결봉과;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봉 삽입고정부와; 상기 배선에 연결되어 키 조작에 따라 상기 연결봉 회전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 전체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서도, 편의롭게 렌즈부를 통해 원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MOBILE HANDSET HAVING CAMERA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에 카메라 기능이 추가된 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과 같이 무선 통신과 정보 처리 기능을 결합한 차세대 개인 휴대 기기를 일컫는 통칭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각종 데이터의 입력, 저장, 처리 및 출력 등 기존의 개인용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 인터넷 통신, 전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어, 이동 중에도 각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래의 산업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장 큰 기술적 요인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개인 정보 단말기는 휴대에 간편하도록 소형으로 제작될 것, 가능한 한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어 사용자의 업무처리 기타 취미생활 등에 불편함이 없을 것 등의 요건을 만족하여야 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개인 정보 단말기의 부가 기능에는 통신에 관련된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기능의 부가가 요청되고 있는바, 관련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정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본체(1) 또는 덮개(2)의 외면에 화면부(6)를 구비하고, 내부에 전원부(미도시) 기타 기능에 필요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3은 안테나, 도 2에서 7은 키이다.
본체(1)의 일측에는 렌즈부(5)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4)이 고정되는데, 그 렌즈부(5)를 통해 인입된 피사체의 반사광은 그 카메라 모듈(4) 및 본체(1) 내부에 형성된 광로를 통해 광신호 처리부(미도시)로 전달된다.
상기 광신호 처리부는 전달된 광신호를 화면부(6)에 전달하기도 하고, 내부 기억장치에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화면부(6)를 통해 원하는 영상이 렌즈부(5)를 통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원하는 영상이 입력되는 위치에서 자세를 고정한 후, 그 영상을 기억시키거나 타 단말기에 전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하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는, 단지 카메라 모듈이 본체에 고정 장착된 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렌즈부를 통해 원하는 영상을 획득함에 있어서, 단말기 본체 전체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는 바,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 전체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서도, 편의롭게 렌즈부를 통해 원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의 외면에 화면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전원부 및 광신호 처리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외면에 렌즈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 상기 렌즈부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반사 및 안내하기 위한 반사광로가 형성된 카메라 모듈과; 심부에 상기 반사광로로부터 안내된 광신호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광로 및 연결봉 삽입구동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연결봉 회전수단이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일체로 결합된 회전구동모듈과; 심부에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상기 광신호 처리부에 안내하기 위한 안내광로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연결봉 회전수단에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그 회전수단의 제어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배선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봉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봉 삽입구동부에 장착된 연결봉과;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봉 삽입고정부와; 상기 배선에 연결되어 키 조작에 따라 상기 연결봉 회전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 회전구동모듈 및 연결봉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고정부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주요부의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본체의 외면에 화면부, 카메라 모듈이 구비되고, 내부에 전원부, 광신호 처리부 등이 형성된다는 점에서는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다.
그러나, 외면에 렌즈부(11)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 렌즈부(11)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반사 및 안내하기 위한 반사광로(12)가 형성된 카메라 모듈(10)과; 심부에 상기 반사광로(12)로부터 안내된 광신호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광로(21) 및 연결봉 삽입구동부(22)가 형성되고, 내부에 연결봉 회전수단(23)이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모듈(10)에 일체로 결합된 회전구동모듈(20)과; 심부에 상기 카메라 모듈(10)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상기 광신호 처리부(미도시)에 안내하기 위한 안내광로(31)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연결봉 회전수단(23)에 상기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그 회전수단(23)의 제어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배선(미도시)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봉 회전수단(23)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봉 삽입구동부(22)에 장착된 연결봉(30)과; 상기 본체(1)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봉 삽입고정부(40)와; 상기 배선에 연결되어 키조작에 따라 상기 연결봉 회전수단(23)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장착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즉, 카메라 모듈(10)의 렌즈부(11)를 통해 인입된 광신호를 본체(1) 내부의 광신호 처리부에 전달하는 구조를 기본적으로 갖추면서, 그 카메라 모듈(10)이 본체(1)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첨가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 전체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서도, 본체(1)의 외면에 장착된 키(7)(도 1 참조)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를 제어함으로써, 편의롭게 렌즈부를 통해 원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연결봉 회전수단(23)은 연결봉 삽입구동부(22)에 장착된 연결봉(3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한 것이므로, 기어 등에 의한 기계식, 전자식 기타 어떠한 구성을 채택하더라도 관계없다.
본 구성은 회전구동모듈(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봉(30)이 본체의 삽입고정부(40)에 고정되고, 제어부에 의해 연결봉 회전수단(23)이 연결봉(30)을 회전시키게 되면, 연결봉(30)이 본체(1)에 고정되어 있는 결과, 상대적으로 회전구동모듈(20) 및 카메라 모듈(10)이 회전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구동수단(23)이 연결봉(30)에 전달하는 회전력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카메라 모듈(10)은 회전을 일으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장치는 필요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 본체에 대해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카메라 모듈(10), 회전구동모듈(20) 및 연결봉(30)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연결봉(30)이 상기 삽입고정부(40)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 전체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서도, 편의롭게 렌즈부를 통해 원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정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주요부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0 : 카메라 모듈
11 : 렌즈부 20 : 회전구동모듈
30 : 연결봉

Claims (2)

  1. 본체의 외면에 화면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전원부 및 광신호 처리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외면에 렌즈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 상기 렌즈부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반사 및 안내하기 위한 반사광로가 형성된 카메라 모듈과;
    심부에 상기 반사광로로부터 안내된 광신호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광로 및 연결봉 삽입구동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연결봉 회전수단이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일체로 결합된 회전구동모듈과;
    심부에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상기 광신호 처리부에 안내하기 위한 안내광로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연결봉 회전수단에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그 회전수단의 제어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배선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봉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봉 삽입구동부에 장착된 연결봉과;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봉 삽입고정부와;
    상기 배선에 연결되어 키 조작에 따라 상기 연결봉 회전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2. 삭제
KR10-2002-0045074A 2002-07-30 2002-07-30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474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074A KR100474295B1 (ko) 2002-07-30 2002-07-30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074A KR100474295B1 (ko) 2002-07-30 2002-07-30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292A KR20040011292A (ko) 2004-02-05
KR100474295B1 true KR100474295B1 (ko) 2005-03-10

Family

ID=37319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074A KR100474295B1 (ko) 2002-07-30 2002-07-30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29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118A (ja) * 1999-03-01 2000-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情報端末
KR20010028989A (ko) * 1999-09-28 2001-04-06 윤종용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JP2001313697A (ja) * 2000-03-10 2001-11-09 Nokia Mobile Phones Ltd 移動通信装置の像形成
KR200257665Y1 (ko) * 2001-09-06 2001-12-24 엠텍비젼 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카메라 및 통신 장치
JP2002050978A (ja) * 2000-02-29 2002-02-15 Kddi Corp 携帯情報端末及び携帯情報端末用ディジタルカメラ並びに携帯情報端末接続ディジタルカメラ装置
KR20040003460A (ko) * 2002-07-03 2004-01-13 주식회사 엠투시스 카메라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40003266A (ko) * 2002-07-02 2004-01-13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118A (ja) * 1999-03-01 2000-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情報端末
KR20010028989A (ko) * 1999-09-28 2001-04-06 윤종용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JP2002050978A (ja) * 2000-02-29 2002-02-15 Kddi Corp 携帯情報端末及び携帯情報端末用ディジタルカメラ並びに携帯情報端末接続ディジタルカメラ装置
JP2001313697A (ja) * 2000-03-10 2001-11-09 Nokia Mobile Phones Ltd 移動通信装置の像形成
KR200257665Y1 (ko) * 2001-09-06 2001-12-24 엠텍비젼 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카메라 및 통신 장치
KR20040003266A (ko) * 2002-07-02 2004-01-13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
KR20040003460A (ko) * 2002-07-03 2004-01-13 주식회사 엠투시스 카메라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292A (ko)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4677B2 (ja) 携帯端末
US7542781B2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EP1517520A2 (en)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095180B2 (en) Mobile terminal
KR20040093517A (ko) 원 스텝 자동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정보 단말기
JP2006203842A (ja) 傾斜開閉式移動通信端末機
US20080253070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optical data connection of housing parts
EP1746808B1 (en) Sliding and swing portable terminal
EP1469672A1 (en) Camera assembly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474295B1 (ko)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20060100003A1 (en) Folding type electronic device
JP2004007276A (ja) 画像読取装置
JP2005252334A (ja) 光伝送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情報機器
JP2004120727A (ja) 携帯電話機
US5822101A (en) Structure of a light input/output section of a portable infrared data communication terminal
CN209982522U (zh) 传动机构、驱动机构组合件、安装驱动组合件及移动终端
CN210807347U (zh) 摄像头安装模组、摄像头组合件及移动终端
JPH1132379A (ja) 視覚装置付携帯電話装置並びに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装置
KR20040077291A (ko)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US7450073B2 (en) Electrical apparatus
KR20060071695A (ko)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40103538A (ko) 휴대용 기기
CN210807348U (zh) 摄像头安装模组、摄像头组合件及移动终端
KR20030087760A (ko) 개인 정보 단말기
WO2020124339A1 (zh) 摄像头安装模组、摄像头组合件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