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688B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688B1
KR101065688B1 KR1020040043168A KR20040043168A KR101065688B1 KR 101065688 B1 KR101065688 B1 KR 101065688B1 KR 1020040043168 A KR1020040043168 A KR 1020040043168A KR 20040043168 A KR20040043168 A KR 20040043168A KR 101065688 B1 KR101065688 B1 KR 101065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or
camera modu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7896A (ko
Inventor
최병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3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688B1/ko
Publication of KR20050117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을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마이크 본체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어 사진촬영이 가능하도록 신호선들을 연결할 수 있는 제1 커넥터가 핸즈프리용 이어마이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결합될 수 있는 제3 커넥터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카메라 모듈, 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제3 커넥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이어마이크에 장착된 일 실시예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 영역에 장착된 일 실시예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카메라 모듈 21: 카메라 렌즈
22: 플래시 23: 제3 커넥터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을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마이크 본체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산업의 발달로 다양한 기능과 형태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를 기본적인 기능으로 제공하면서 문자메시지, 무선인터넷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특히 근래에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촬영 기능을 제공하고 있 다.
카메라 촬영을 위해서는 카메라 모듈이 필요한데, 현재 카메라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잭에 삽입하는 외장형과, 단말기의 폴더와 본체의 연결부 또는 폴더 전면부 또는 본체의 후면에 고정 장착되는 내장형이 있다.
카메라 모듈이 단말기에 외장형으로 장착되는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을 이어잭에 장착했을 경우 카메라 모듈이 외부로 돌출되어 미관상, 휴대상의 불편함이 있다.
내장형의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이 단말기 자체에 위치함으로 인해, 카메라 촬영 시에 단말기를 자체를 가지고 피사체를 향해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카메라 모듈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에 돌출되지 않도록 장착되거나, 이어마이크의 본체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어 사진촬영이 가능하도록 신호선들을 연결할 수 있는 제1 커넥터가 핸즈프리용 이어마이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결합될 수 있는 제3 커넥터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어 사진촬영이 가능하도록 신호선들을 연결할 수 있는 제2 커넥터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3 커넥터는, 상기 제2 커넥터에도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소켓이고, 상기 제3 커넥터는 상기 소켓에 삽입되도록 링형태의 다수의 접촉단자를 가진 플러그이며, 상기 플러그가 상기 소켓에 결합되어 전기적인 연결이 계속되면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즈프리용 이어마이크는, 마이크와 이어폰이 도선으로 연결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설치된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카메라 모듈은, 광량 조절을 위한 플래시(flash)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수단이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이어마이크에 장착된 일 실시예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 영역에 장착된 일 실시예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포함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20)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마이크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 영역에 장착 가능하다.
기존에는 카메라 모듈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잭에만 착탈가능하였지만,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20)은 선택적으로 이어마이크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이어마이크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손으로 잡지 않고도 통화할 수 있도록 도와 주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운전 중이나 다른 업무 중에 이어마이크를 사용하면 손으로는 단말기를 잡지 않고도 다른 일을 할 수 있다.
이어마이크의 구성은, 이어마이크의 본체(10)와, 사용자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30),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이어폰(40),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잭에 연결되는 연결부(50) 및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60)를 포함한다. 이어마이크의 본체(10)와 마이크(30) 및 이어폰(40)은 도선으로 연결된다.
본체(10)에는 통화 연결/종료를 제어하기 위한 통화 연결/종료 키가 구비된다.
특히, 본체(10)에는 카메라 모듈(20)이 착탈된다.
카메라 모듈(20)은 본체(10)에 결합(착탈)되기 위한 제3 커넥터(23)를 구비하는데, 제3 커넥터(23)는 링형태의 다수의 접촉단자를 가진 플러그(plug)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의 플러그가 착탈(삽입)되도록 본체(10)에는 소켓(socket)형 태로 형성된 제1 커넥터가 구비된다.
카메라 모듈(20)의 플러그가 본체(10)의 소켓에 장착된 후에는 전기적인 연결이 계속된 상태에서 자유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다. 즉,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카메라 모듈(20)을 회전시키면 된다.
카메라 모듈(20)은 또한 촬영을 위한 렌즈(21)와, 촬영 시 광량 조절을 위한 플래시(flash)(22)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어마이크가 연결된 상태에서 카메라 촬영을 위한 메뉴를 선택하면 카메라 모듈(20)이 촬영을 위해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촬영실행을 위한 명령어가 입력되면 카메라 모듈(20)이 동작을 하는데, 촬영 실행 명령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정된 키를 입력함으로써 단말기로 전달된다.
또는, 카메라 촬영의 실행을 위한 명령어를 이어마이크에서 제어하도록 할 수 있는데, 본체(10)에 촬영 실행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에 구비되는 촬영 실행수단은 일반적으로, 통화 연결/종료 키와 같이 키 형태일 수 있으며, 통화 연결/종료 키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통화 연결/종료 키를 촬영 실행키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 촬영을 위한 메뉴가 선택될 때에는 통화 연결/종료 키가 카메라 촬영 실행키로 동작하게 되며, 그 이외의 경우에는 통화 연결/종료 키의 기능으로 동작하게 된다.
본체(10)에 카메라 모듈(20)이 장착될 때 카메라 모듈(20)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덮개(cover)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 이어마이크의 본체(10)에 착탈되도록 형성된 카메라 모듈(2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 일부 영역에도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면, 카메라 모듈(20)이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상측에 장착된 것을 볼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LCD 상부에 카메라 모듈(20)이 장착된 것을 볼 수 있다.
기존에 카메라 모듈이 이어폰 잭(일반적으로 폴더와 본체의 가운데 위치)에 착탈 가능하던 것과는 차이가 있는데, 이어폰 잭에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이 외부로 돌출되므로 미관상, 휴대상 불편함이 있었던 것에 반해 도 2나 도 3에서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 영역에 돌출되지 않는 구조로 장착되면 미관상, 휴대상 불편함이 해소되게 된다.
도 2나 도 3과 같이 카메라 모듈(20)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 영역에 돌출되지 않고 장착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작 시에 카메라 모듈(20) 장착을 위한 영역을 미리 마련해야 한다.
또한, 마련된 영역에는 카메라 모듈(20)의 제3 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는 제2 커넥터가 구비되어야 한다. 제2 커넥터 또한 소켓 형태로 형성된다.
도 2나 도 3에서 카메라 모듈(20)이 단말기에 장착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20) 장착 영역이 빈 공간으로 남을 수 있는데, 그 공간을 채울 수 있는 더미(dummy) 커버를 제공하여, 카메라 모듈(20)이 단말기에 장착되지 않는 경우에는 더미 커버를 사용하면 단말기의 형상에 크게 변화가 없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은 이어마이크의 본체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장착(착탈)할 수 있어 카메라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카메라 모듈이 이어마이크의 본체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카메라 촬영 시 이동통신 단말기 전체를 피사체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더욱 편리하다.

Claims (5)

  1. 본체 및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어 사진촬영이 가능하도록 신호선들을 연결할 수 있는 제1 커넥터가 설치된 핸즈프리용 이어마이크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어 사진촬영이 가능하도록 신호선들을 연결할 수 있는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 또는 상기 제2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한 제3 커넥터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돌출되지 않고 장착될 수 있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소켓이고,
    상기 제3 커넥터는 상기 소켓에 삽입되도록 링형태의 다수의 접촉단자를 가진 플러그이며,
    상기 플러그가 상기 소켓에 결합되어 전기적인 연결이 계속되면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용 이어마이크는
    마이크와 이어폰이 도선으로 연결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설치된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광량 조절을 위한 플래시(flas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43168A 2004-06-11 2004-06-11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65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168A KR101065688B1 (ko) 2004-06-11 2004-06-11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168A KR101065688B1 (ko) 2004-06-11 2004-06-11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896A KR20050117896A (ko) 2005-12-15
KR101065688B1 true KR101065688B1 (ko) 2011-09-19

Family

ID=37291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168A KR101065688B1 (ko) 2004-06-11 2004-06-11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6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595B1 (ko) * 2006-06-15 200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용 검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302Y1 (ko) 2000-03-03 2000-10-02 이한원 화상용 카메라를 헤드폰에 분리장착할 수 있도록 된 화상휴대폰
KR20030077860A (ko) * 2002-03-27 2003-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목걸이에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통신단말기
KR20040024325A (ko) * 2002-09-13 200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화용 카메라 장치
KR20040044031A (ko) * 2002-11-20 200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302Y1 (ko) 2000-03-03 2000-10-02 이한원 화상용 카메라를 헤드폰에 분리장착할 수 있도록 된 화상휴대폰
KR20030077860A (ko) * 2002-03-27 2003-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목걸이에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통신단말기
KR20040024325A (ko) * 2002-09-13 200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화용 카메라 장치
KR20040044031A (ko) * 2002-11-20 200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896A (ko) 200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880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613953B1 (ko) 휴대 단말기
CN101836158A (zh) 用于电子设备的薄有源照相机盖
US20070026908A1 (en) Earphone device with separabl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US20050219843A1 (en) Accessory part for a mobile station
KR1010656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05895B1 (ko) 휴대폰의 잭 타입 렌즈 모듈
JP2002094635A (ja) 携帯用電子機器
JP2004254139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
KR2005007476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삼각대
KR20032642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착탈식 보조렌즈장치
KR20040100332A (ko) 휴대단말기용 이어폰장치
KR100469418B1 (ko) 목걸이에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통신단말기
KR101474415B1 (ko) 휴대 단말기
JP2006157410A (ja) 通信端末および通話形態の制御方法
JP2004229049A (ja) 撮像機能付き携帯端末
CN201765427U (zh) 微投影装置
KR20050072880A (ko)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6211703A (ja) 携帯テレビ電話端末
KR2005000768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
KR101466026B1 (ko) 휴대 단말기
KR100606831B1 (ko) 이어폰 장치
KR20040024325A (ko) 휴대 전화용 카메라 장치
JP2004172767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KR101537697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