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415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415B1
KR101474415B1 KR1020070094364A KR20070094364A KR101474415B1 KR 101474415 B1 KR101474415 B1 KR 101474415B1 KR 1020070094364 A KR1020070094364 A KR 1020070094364A KR 20070094364 A KR20070094364 A KR 20070094364A KR 101474415 B1 KR101474415 B1 KR 101474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display module
disposed
termin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9095A (ko
Inventor
김태완
박상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4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415B1/ko
Priority to US12/205,449 priority patent/US8046033B2/en
Publication of KR20090029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한 무선 이동통신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前面) 하부에 키패드가 배치된 단말기 본체; 카메라가 배치되며, 키패드의 상측에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바디; 및 슬라이드 바디의 이동에 의하여 열려지는 단말기 본체의 영역에 배치되며, 카메라를 조작시키는 카메라 조작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단말기 본체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카메라가 배치된 슬라이드 바디를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켜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한 상태를 얻을 수 있으며,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카메라 조작부는 슬라이드 바디에 의하여 열려지는 공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므로 카메라의 사용성이 높은 휴대 단말기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한 무선 이동통신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 기기이다.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기도 한다. 이들은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device) 형태로 구현되기도 한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 분야가 발달함에 따라 전문가 집단이 아닌 일반인들도 기존의 미디어보다 빠르고 의미있는 정보들을 생산해 내면서 이른바 UCC(User Created Contents) 문화를 형성하기도 한다. 사진이나 동영상을 글과 함께 결합하여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업로드시킬 수 있는 UCC를 통하여 다른 이용자도 손쉽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용이하게 생산하기 위해서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또는 카메라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의 배치가 고려될 것을 요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카메라 조작부를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배치가 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 컨텐츠를 다른 컴퓨터나 인터넷에 용이하게 접속함으로써 정보 전달성이 우수한 휴대 단말기를 제안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전면(前面) 하부에 키패드가 배치된 단말기 본체; 카메라가 배치되며, 키패드의 상측에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바디; 및 슬라이드 바디의 이동에 의하여 열려지는 단말기 본체의 영역에 배치되며, 카메라를 조작시키는 카메라 조작부를 포함한다.
카메라는 슬라이드 바디의 이동에 의하여 열려지는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카메라는 사용시에만 단말기 본체로부터 노출되므로 비사용시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드 바디의 전면에는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될 화상 또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슬라이드 바디는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카메라 조작부는 카메라의 사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드선택 다이얼; 및 카메라의 줌인/줌아웃을 구현할 수 있도록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줌선택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카메라의 세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키들은 카메라 조작부의 영역 내에 둠으로써 카메라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모드선택 다이얼의 중심에는 촬영을 지시하는 셔터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에 배치되는 키패드는 상기 카메라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방향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방향키는 카메라 조작부의 하부의 인접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방향키는 카메라의 세부 기능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카메라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조작수단의 집중적인 배치를 얻을 수 있다.
키패드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무선적으로 업로드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에의 접속을 지시하는 접속키를 포함함으로써 촬영된 영상이나 사진을 보다 빨리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와 슬라이드 바디 사이에는 슬라이드 바디가 열리면 카메라의 동작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드 바디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바디의 이동만으로 카메라를 곧바로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대기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인가하고, 이후 카메라의 실행 조작을 해야하는 복잡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싱 유닛은 슬라이드 바디에 배치되는 마그넷; 및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어 마그넷의 근접 여부에 의하여 동작하는 자기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카메라 모드 전환부는 발광부와 발광부의 빛을 인식하는 광센서의 조합에 의하여도 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와 슬라이드 바디 사이에는 슬라이드 바디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모듈은, 단말기 본체에 고정되는 제1슬라이드 부재; 슬라이드 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드 부재; 및 제1슬라이드 부재와 제2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슬라이드 바디를 일정 거리로 이동시키는 동안 탄성 복원에너지가 저장되었다가, 슬라이드 바디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에너지에 의하여 슬라이드 바디를 이동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슬라이드 바디는 단말기 바디에 대하여 부드러우면서도 이른바 반자동식의 개폐구조를 얻을 수 있다.
슬라이드 바디는 카메라가 배치된 영역에서 제1두께로 형성되고, 카메라 조작부를 개폐시키는 영역에서 상기 제1두께보다 작은 제2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카메라가 배치된 영역에서 슬라이드 바디는 디스플레이부의 두께에 카메라의 설치두께를 합한 두께가 감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화소수가 높은 카메라인 경우에 유리하다. 카메라 조작부를 개폐시키는 영역에서는 제1두께보다 제2두께로 형성되는 것은 카메라 조작부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지나치게 구부리거나 왜곡시켜 사용성을 떨어뜨리는 것을 최소화하는데 의미가 있다.
슬라이드 바디는 단말기 본체를 쥔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벌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때 열릴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손가락의 사용상 자연스러운 방향 인 엄지 손가락을 벌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바디를 열리도록 하고, 카메라 조작부가 설치된 단말기 본체의 열리는 영역은 자동적으로 엄지손가락이 접근되기 용이한 위치로 되는 것이다.
슬라이드 바디의 전면과 상기 키패드의 전면은 균등한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외관상 복잡한 외양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슬라이드 바디의 상단에는 통화음을 출력하는 제1음향출력부가 배치되고, 슬라이드 바디의 후면에는 멀티미디어 재생음을 출력하는 제2음향출력부가 배치됨으로써 멀티미디어 기기로서의 특성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단말기 본체의 하단에는 통화음을 증폭하는 제1마이크가 배치되고,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녹음을 위한 제2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생산을 쉽게 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는 전방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전방카메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방카메라는 사용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화상통화) 용도로서 적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카메라가 배치된 슬라이드 바디를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켜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한 상태를 얻을 수 있으며,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카메라 조작부는 슬라이드 바디에 의하여 열려지는 공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므로 카메라의 사용성이 높은 휴대 단말기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전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는 키패드(20)가 전면에 배치된 단말기 본체(10)를 구비하고 있으며, 키패드(20)의 상측에는 시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1)가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3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31)는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는 무선 이동통신을 위한 수단을 갖출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내부적으로 단말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전파 신호를 처리하여 통화가 가능한 음으로 변환하거나, 역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전파 신호로 처리하여 송신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기 본체(10)의 외부에는 상대방과의 통화음을 출력하는 제1음향출력부(11) 및 통화음을 증폭시키는 제1마이크(12)가 단말기 본체(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1음향출력부(11)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번호의 입력 또는 편집모드에서 문자의 입력을 위하여 키패드(20)는 숫자, 문자 또는 각종 기호를 표시하는 일반키들(21)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일반키들(21)의 동작 여부는 디스플레이부(31)를 통하여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게 시각화될 수 있다. 키패드(2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슬라이드 바디가 단말기 본체에 대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31)는 단말기 본체(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바디(30)에 탑재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슬라이드 바디(30)는 단말기 본체(10)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즉, 슬라이드 바디(30)는 그 이동에 의하여 키패드(20)를 가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바디(30)의 이동과 독립적으로 통화 모드 또는 메시지 전송 모드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슬라이드 바디(30)의 전면과 키패드(20)의 전면은 균등한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외관상 복잡한 외양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 바디(30)가 단말기 본체(1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도 1 참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바디(30)가 단말기 본체(1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슬라이드 바디(30)의 열린 상태는 단말기 본체(10)를 쥔 상태에서 엄지 손가 락을 벌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때 열릴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오른손으로 휴대 단말기(1)를 잡았을 때 슬라이드 바디(30)는 손가락의 사용상 자연스러운 방향인 엄지 손가락을 벌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열려지게 된다.
슬라이드 바디(30)가 열려짐에 따라 노출되는 단말기 본체(10)의 영역에는 제1카메라(도 3의 32번 참조)를 조작하기 위한 카메라 조작부(40)가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 조작부(40)는 복수의 키(key) 또는 버튼(button)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의하면, 카메라 조작부(40)는 제1카메라(32)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모드선택 다이얼(41)과, 제1카메라(32)의 줌인/줌아웃을 구현하는 줌선택 스위치(42)를 포함하고 있다.
모드선택 다이얼(41)은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한 휠을 포함하고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휠의 주위에는 각 모드를 표시하는 기호 또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모드선택 다이얼(41)의 중심부에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모드시에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촬영을 지시하기 위한 셔터키(43)가 구비될 수 있다.
줌선택 스위치(42)는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모드선택 다이얼(41)과 줌선택 스위치(42)는 카메라 조작부(40)의 설치 영역 내에서 도 2와 다른 위치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모드선택 다이얼(41) 및 줌선 택 스위치(42)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모드선택 다이얼(41)과 줌선택 스위치(42)는 제1카메라(32)의 조작을 위한 수단의 일 예로 든 것이나, 이외에도 제1카메라(32)의 기능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 또는 키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10)에 배치되는 키패드(20)는 제1카메라(32)의 세부 기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방향키(22)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도 2에 의하면, 방향키(22)는 카메라 조작부(40)의 하부의 인접된 영역에 배치되고 있다. 방향키(22)는 제1카메라(32)의 세부 기능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1)에서 표시되는 화상의 밝기, 셔터 속도 등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조작부(40)와 방향키(22)는 전체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바디(30)가 열려짐에 따라 노출되는 영역과 그 주변영역에 배치되는 것이므로 손가락을 이용하여 조작하기 편리한 면이 있다.
키패드(20)는 제1카메라(32)에 의하여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을 무선적으로 업로드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에의 접속을 지시하는 접속키(23)를 포함하고 있다. 즉, 접속키(23)가 눌려지면, 사진이나 동영상을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할 수 있는 포털 사이트, 블로그(blog) 사이트 또는 UCC 사이트 등에 곧바로 접속됨으로써 생성된 컨텐츠를 빠른 시간에 올리거나 내려받을 수 있다. 접속키(23)는 휴대 단말기(1)를 통한 용이한 기록이나 저장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단말기 본체(10)의 하단에는 단말기 본체(10)를 삼각대와 같은 거치대에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홈(19)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홈(19)에는 규격화된 삼각대의 나사산에 맞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슬림화된 크기에 맞게 삼각대에 연결되기 위한 어댑터(adaptor)에 맞는 암나산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흔들림이 없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한 곳에서 지속적으로 촬영하게 용이하다.
단말기 본체(10)의 측면에는 제1카메라(32)를 통하여 얻은 동영상을 피씨(PC) 또는 다른 서버장치와의 접속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인터페이스(15)가 구비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1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휴대 단말기(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저장성을 높이고, 저장된 컨텐츠를 용이하게 다른 매체에 이식시킬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1)의 측면에는 외장 메모리(16)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 본체(10)의 상단 정면 제2카메라(13)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카메라(13)는 휴대 단말기(1)의 전방에 있는 피사체 즉, 사용자 자신 등을 촬영하기 적합하며, 화상통신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제2카메라(13)는 제1카메라(32)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32)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카메라(13)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1카메라(32)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기에 고 화소를 가지 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단말기 본체(10)의 후면 일측에는 녹음을 위한 제2마이크(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마이크(50)는 제2음향출력부(33) 등과의 간섭으로 인한 하울링을 초래하지 않을 정도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2마이크(50)는 지향성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촬영될 동영상에 부가될 음원에 생기는 잡음을 배제하는데 유리하다.
제1카메라(32)는 슬라이드 바디(30)의 이동에 의하여 열려지는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시에만 단말기 본체(10)로부터 노출되므로 비사용시 제1카메라(32)를 보호할 수 있다.
제1카메라(3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34)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34)는 제1카메라(3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제2음향출력부(33)는 멀티 미디어 파일을 보다 풍부한 음량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출력이 큰 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1음향출력부(11)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제2음향출력부(33)는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 바디(30)의 후면의 끝단쪽에는 제1카메라(32)의 외면보다 돌출된 돌기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바디(30)의 이동에 의하여 제1카메라(32)의 렌즈가 단말기 본체(10)의 외면과 접촉되어 긁히거나 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는 도 2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단말기 본체(10)와 슬라이드 바디(30) 사이에는 슬라이드 바디(30)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모듈(60)이 설치되어 있다. 도 4a에 의하면, 탄성모듈(60)은 단말기 본체(10)에 고정되는 제1슬라이드 부재(62)와, 슬라이드 바디(30)에 고정되며 제1슬라이드 부재(6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드 부재(61)를 구비하고 있다.
제1슬라이드 부재(62)와 제2슬라이드 부재(61)는 각각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로드(rod)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슬라이드 부재(62)와 제2슬라이드 부재(61) 사이의 탄성적인 이동을 위하여 제1슬라이드 부재(62)와 제2슬라이드 부재(61) 사이에는 스프링(63)이 구비되어 있다. 스프링(63)은 슬라이드 바디(30)를 일정 거리로 이동시키는 동안 탄성 복원에너지가 저장되었다가, 슬라이드 바디(3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에너지에 의하여 슬라이드 바디(30)를 이동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슬라이드 바디(30)는 단말기 본체(10)에 대하여 부드러우면서도 이른바 반자동식의 개폐구조를 얻을 수 있다.
단말기 본체(10)와 슬라이드 바디(30) 사이에는 슬라이드 바디(30)가 열리면 제1카메라(32)의 동작 모드로 곧바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드 바디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 유닛(70)이 설치된다. 도 4a에 의하면, 센싱 유닛(70)은 슬라이드 바디(30)에 배치되는 마그넷(72)과, 단말기 본체(10)에 설치되어 마그넷(72)의 근접 여부에 의하여 동작하는 자기스위치(71)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마 그넷(72)이 자기스위치(71)로부터 멀어져 있는 도 4a의 상태에서 마그넷(72)이 자기스위치(71)에 근접된 위치로 되는 도 4c의 상태로 바뀌면, 자기스위치(71)는 온(ON)되어 있던 제1카메라(32)의 실행모드를 종료하고 대기 모드로 전환되도록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도 4a에 의하면, 슬라이드 바디(30)는 제1카메라(32)가 배치된 영역에서 제1두께(D1)로 형성되고, 카메라 조작부(40)를 개폐시키는 영역에서 제1두께(D1)보다 작은 제2두께(D2)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카메라(32)가 배치된 영역에서 슬라이드 바디(30)는 디스플레이부(31)의 두께에 제1카메라(32)의 설치두께를 합한 두께가 더해진다. 이 경우, 제1두께는 화소수가 높은 카메라인 경우에 유리하다. 그리고, 카메라 조작부(40)를 개폐시키는 영역에서 제1두께(D1)보다 제2두께(D2)로 형성되는 것은 카메라 조작부(40)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지나치게 구부리거나 왜곡시켜 사용성을 떨어뜨리는 것을 최소화하는데 의미가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타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시된 본 발명의 일예는 무선통신 모듈(81), 조작부(84), 영상입력부(86), 영상입력부(86), 디스플레이부(31), 음향출력부(11,33), 센싱 유닛(70), 외부 인터페이스(15), 메모리(87), 전원 공급부(18), 제어부(80) 등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 다. 또한, 제어부(8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제1카메라(32)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무선통신 모듈(8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8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8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82)를 포함한다.
키패드(20) 및 카메라 조작부(40)를 포함하는 조작부(8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80)에 제공한다.
제1카메라(32) 및 제2카메라(13)를 포함하는 영상 입력부(86)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31)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31)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86)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87)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81)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영상입력부(86)는 통화모드시 사용될 수 있는 제1마이크(12) 및 녹음모드나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2마이크(5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입력부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8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통신 모듈(81)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87)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영상입력부(86)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31)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출력부(11,33)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8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87)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부(11,33)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부(11,33)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 유닛(70)은 슬라이드 바디(3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80)에 인가한다. 이외에도, 센싱유닛(70)은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8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8)의 전원 공급 여부, 외부 인터페이스(15)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외부 인터페이스(15)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1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87)는 제어부(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모리(87)는 착탈 가능한 형태인 외장 메모리(16)와 내장되는 내장 메모리(88)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8)는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6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드 바디(30)는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열려짐으로써 제1카메라(32)를 조작시키는 카메라 조작부(40)가 노출되며,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10)를 쥐고 있는 손으로 카메라(32)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지게 된다. 보다 간편한 제1카메라(32)의 동작을 위하여 슬라이드 바디(30)를 여는 동작만으로도 곧바로 카메라(32)가 곧바로 실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키패드(20)에 설치되는 접속키(23)는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하기 위한 인터넷 사이트에의 액세스를 보다 빠르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명칭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슬라이드 바디가 단말기 본체에 대해 열려진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a는 도 2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
도 4b, 도 4c는 각각 도 4a의 상태에서 슬라이드 바디가 닫히는 과정을 보인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도

Claims (16)

  1. 수화기가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송화기 및 단말기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메인 키패드를 포함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단말기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안착홈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이동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보조 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배면에 배치되는 카메라를 구비하며,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가 배치된 영역에서 상기 카메라의 설치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조 키패드를 개폐시키는 영역에서 상기 슬라이드 이동에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제2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 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마주보는 일면이 덮혀지도록 서로 대응되게 단차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키패드는,
    상기 카메라의 사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드선택 다이얼; 및
    상기 카메라의 줌인/줌아웃을 구현할 수 있도록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줌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 다이얼의 중심에는 상기 촬영을 지시하는 셔터버튼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카메라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방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키패드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사진이나 영상을 무선적으로 업로드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에의 접속을 지시하는 접속키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와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열리면 상기 카메라의 동작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배치되는 마그넷; 및
    상기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마그넷의 근접 여부에 의하여 동작하는 자기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와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단말기 본체에 고정되는 제1슬라이드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고정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와 제2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일정 거리로 이동시키는 동안 탄성 복원에너지가 저장되었다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 복원에너지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단말기 본체를 쥔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벌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때 열릴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는 멀티미디어 재생음을 출력하는 제2음향출력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녹음을 위한 마이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는 전방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전방카메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094364A 2007-09-17 2007-09-17 휴대 단말기 KR101474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364A KR101474415B1 (ko) 2007-09-17 2007-09-17 휴대 단말기
US12/205,449 US8046033B2 (en) 2007-09-17 2008-09-05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364A KR101474415B1 (ko) 2007-09-17 2007-09-17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095A KR20090029095A (ko) 2009-03-20
KR101474415B1 true KR101474415B1 (ko) 2014-12-30

Family

ID=4069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364A KR101474415B1 (ko) 2007-09-17 2007-09-17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4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8924B (zh) * 2018-02-09 2024-04-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5564A1 (en) * 2002-11-21 2004-07-29 Matias Duarte Data processing device having multiple adjustable display and keyboard orientations
KR20040105944A (ko) * 2003-06-10 2004-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KR20070030413A (ko) * 2005-09-13 2007-03-16 주식회사 팬택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5564A1 (en) * 2002-11-21 2004-07-29 Matias Duarte Data processing device having multiple adjustable display and keyboard orientations
KR20040105944A (ko) * 2003-06-10 2004-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KR20070030413A (ko) * 2005-09-13 2007-03-16 주식회사 팬택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095A (ko) 200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264B1 (ko) 휴대 단말기
US8046033B2 (en) Mobile terminal
KR101463818B1 (ko) 휴대 단말기
EP2136538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18766A (ko) 휴대 단말기
KR20120031830A (ko) 휴대 단말기
KR20090102242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74415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77605A (ko) 휴대 단말기
KR101371022B1 (ko) 휴대 단말기
KR101427271B1 (ko) 휴대 단말기
US8024017B2 (en) Slidable mobile terminal having a slide module
KR101480453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사용되는 배터리
KR101437972B1 (ko) 휴대 단말기
KR10105362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12208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49635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123698A (ko) 휴대 단말기
KR200352488Y1 (ko)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내장용 개인통신기기
KR101474435B1 (ko) 휴대 단말기
KR101513618B1 (ko) 휴대 단말기
KR101413472B1 (ko)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66026B1 (ko) 휴대 단말기
KR101545572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