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7680A -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7680A
KR20050007680A KR1020030047246A KR20030047246A KR20050007680A KR 20050007680 A KR20050007680 A KR 20050007680A KR 1020030047246 A KR1020030047246 A KR 1020030047246A KR 20030047246 A KR20030047246 A KR 20030047246A KR 20050007680 A KR20050007680 A KR 20050007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zoom lens
lever
lens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7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7680A/ko
Publication of KR20050007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68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줌렌즈와 스크류결합되는 레버에 의해 줌렌즈가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단말기에 구비된 렌즈와 소정간격 이격되거나 밀착되므로써 원거리촬영이나 접사촬영이 가능하도록 광학적인 줌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는 상기 렌즈로부터 이격되거나 밀착되게 이동되어 광학적인 줌을 제공하는 줌렌즈부와; 상기 줌렌즈부와 스크류결합되어 좌,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줌렌즈부를 전,후로 스크류이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은 간단한 레버의 조작만으로도 광학적인 줌기능에 의한 원거리촬영이나 접사촬영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가능하게되어 디지털 줌만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Optical zoom structure of mobile phone having a camera}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줌렌즈와 스크류결합되는 레버에 의해 줌렌즈가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단말기에 구비된 렌즈와 소정간격 이격되거나 밀착되므로써 원거리촬영이나 접사촬영이 가능하도록 광학적인 줌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통화와 인터넷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단말 기능과, 피사체를 촬영하여 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전송 및 삭제할 수 있는 디지털카메라 기능을 일체로 가지고 있으며, 화상통화나 화상정보의 전송에 필수적이다.
도 5를 참조하여 통상적인 카메라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상적인 카메라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와(101), 폴더(102)와, 힌지장치(103)와, 상기 힌지장치(103)에 설치된 카메라(104)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104)는 힌지장치(103)에 고정되거나 회동되도록 장착되며, 연성회로기판(105)에 의하여 영상처리장치(미도시)가 구비된 본체(101)의 인쇄회로기판(106)에 연결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지털방식의 줌(digital zoom)은 가능하지만, 광학방식의 줌(optical zoom)을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원거리 촬영이나, 접사촬영과 같이 디지털 줌만을 이용하여 촬영하면화소가 깨지거나 해상도가 줄어든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줌렌즈와 스크류결합되는 레버에 의해 줌렌즈가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단말기에 구비된 렌즈와 소정간격 이격되거나 밀착되므로써 원거리촬영이나 접사촬영이 가능하도록 광학적인 줌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사도이다
도 2는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렌즈와, 줌렌즈가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렌즈와, 줌렌즈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통상적인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메라모듈 20 : 렌즈
30 : 레버 40 : 줌렌즈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는 상기 렌즈로부터 이격되거나 밀착되게 이동되어 광학적인 줌을 제공하는 줌렌즈부와; 상기 줌렌즈부와 스크류결합되어 좌,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줌렌즈부를 전,후로 스크류이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줌렌즈부는 상기 레버의 좌,우 회전에 의하여 전,후로 스크류이동되는 줌렌즈하우징과; 상기 줌렌즈하우징의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줌렌즈하우징의 전,후이동에 따른 상기 렌즈와의 거리에 따라 광학적인 줌을 제공하는 줌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줌렌즈하우징은 그 외주면의 일부가 절곡된 원형의 중공체로서, 상기 절곡된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에 대응되게 스크류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수나사에 대응되게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줌렌즈하우징을 이송시키고, 그 외주면의 일측에는 레버의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레버손잡이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를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사도이고, 도 2는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줌구조는 카메라모듈(10), 렌즈(20), 레버(30) 및 줌렌즈부(40)를 포함한다.
카메라모듈(10)은 단말기의 하부케이스(3)의 상단에 형성된 카메라홈(5)을 향하도록 인쇄회로기판(7)에 장착되며, 렌즈(20)를 통하여 전달된 피사체의 상을 인식 및 처리한다.
렌즈(20)는 하부케이스(3)에 형성된 카메라홈(5)에 장착되어 피사체의 상을 카메라모듈(10)에 제공한다.
레버(30)는 내주면에 암나사(32)가 형성되어 상기 줌렌즈부(40)와 스크류결합되고, 외주면의 상단에는 레버가 좌,우회전되도록 레버손잡이(34)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레버손잡이(34)의 좌,우 회전에 의하여 줌렌즈부(40)를 전,후로 스크류이동시킨다.
줌렌즈부(40)는 상기 렌즈(20)로부터 이격되거나 밀착되게 이동되어 광학적인 줌을 제공하며, 줌렌즈하우징(42) 및 줌렌즈(44)를 포함한다.
상기 줌렌즈하우징(42)은 외주면의 일부가 절곡된 원형계단 형상의 중공체로서, 상기 원형계단 형상의 외주면에는 수나사(46)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32)에 대응되게 스크류결합된다.
상기 줌렌즈(44)는 줌렌즈하우징(42)의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줌렌즈하우징(42)이 레버(30)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이동되면, 줌렌즈(44)도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렌즈(20)와의 거리변화에 따라 광학적인 줌을 제공하게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렌즈와, 줌렌즈가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렌즈와, 줌렌즈가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30)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레버(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32)가 우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암나사(32)에 대응되게 형성된 수나사(46)에 의하여 줌렌즈하우징(42)이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줌렌즈하우징 (42)에 구비된 줌렌즈(44)는 렌즈(20)와 밀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30)를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레버(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32)가 좌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암나사(32)에 대응되게 형성된 수나사(46)에 의하여 줌렌즈하우징(42)이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줌렌즈하우징(42)에 구비된 줌렌즈(44)는 렌즈(2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광학적인 줌을 제공하게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시된 암나사와 수나사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는 줌렌즈와 스크류결합되는 레버에 의해 줌렌즈가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단말기에 구비된 렌즈와 소정간격 이격되거나 밀착되므로써 광학적인 줌을 제공하게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간단한 레버의 조작만으로도 광학적인 줌기능에 의한 원거리촬영이나 접사촬영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가능하게되어 디지털 줌만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된다.

Claims (4)

  1. 렌즈와,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렌즈로부터 이격되거나 밀착되게 이동되어 광학적인 줌을 제공하는 줌렌즈부와;
    상기 줌렌즈부와 스크류결합되어 좌,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줌렌즈부를 전,후로 스크류이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줌렌즈부는 상기 레버의 좌,우 회전에 의하여 전,후로 스크류이동되는 줌렌즈하우징과;
    상기 줌렌즈하우징의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줌렌즈하우징의 전,후이동에 따른 상기 렌즈와의 거리에 따라 광학적인 줌을 제공하는 줌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줌렌즈하우징은 그 외주면의 일부가 절곡된 원형의 중공체로서, 상기 절곡된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에 대응되게 스크류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수나사에 대응되게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줌렌즈하우징을 이송시키고, 그 외주면의 일측에는 레버의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레버손잡이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
KR1020030047246A 2003-07-11 2003-07-11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 KR20050007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246A KR20050007680A (ko) 2003-07-11 2003-07-11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246A KR20050007680A (ko) 2003-07-11 2003-07-11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680A true KR20050007680A (ko) 2005-01-21

Family

ID=3722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246A KR20050007680A (ko) 2003-07-11 2003-07-11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768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5270A (ko) * 2003-12-06 2005-06-1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줌 렌즈 설치구조
KR20060095827A (ko) * 2005-02-28 2006-09-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촬영모드의 전환이 용이한 이동통신단말기
JP2007155849A (ja) * 2005-11-30 2007-06-21 Fujitsu Ltd カメラ付き電子機器
KR101142581B1 (ko) * 2005-05-13 201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5270A (ko) * 2003-12-06 2005-06-1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줌 렌즈 설치구조
KR20060095827A (ko) * 2005-02-28 2006-09-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촬영모드의 전환이 용이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142581B1 (ko) * 2005-05-13 201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JP2007155849A (ja) * 2005-11-30 2007-06-21 Fujitsu Ltd カメラ付き電子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8960B2 (en)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KR20050069548A (ko) 카메라 렌즈 모듈의 렌즈 홀더 장치
JP2008507936A (ja) 光学ズーム機能が可能な携帯用端末器カメラモジュール
US10812640B2 (en) Mobile terminal
KR20030050046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05000768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광학적인 줌구조
WO2020048171A1 (zh) 移动终端
KR100959862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KR20032642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착탈식 보조렌즈장치
KR100575724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032391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와 플래쉬 일체 구조
KR100531936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28156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장착 구조
KR1010656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40063Y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JP3938543B2 (ja) 接写機能付き携帯端末
KR20050028621A (ko) 근접촬영 절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KR20050072880A (ko)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034123B1 (ko) 광학줌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JP2006177996A (ja) カメラの表示装置
JP2005215565A (ja) レンズ装置、カメラシステム及びカメラ
KR20060010065A (ko)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536395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92888B1 (ko) 줌기능을 갖는 카메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249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