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123B1 - 광학줌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 Google Patents

광학줌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123B1
KR101034123B1 KR1020040019024A KR20040019024A KR101034123B1 KR 101034123 B1 KR101034123 B1 KR 101034123B1 KR 1020040019024 A KR1020040019024 A KR 1020040019024A KR 20040019024 A KR20040019024 A KR 20040019024A KR 101034123 B1 KR101034123 B1 KR 101034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amera
optical zoom
zoom function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546A (ko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9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123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줌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회전 경통 내에 삽입되는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에 형성된 제1렌즈와, 상기 제1렌즈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회전 경통의 관통공에 설치된 제2렌즈와,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 조정 기구를 구비하여,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광학줌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피사체를 원거리 촬영이나 근접 촬영하는 데 있어서 높은 해상도를 유지하며 화소가 깨지지 않는 카메라 기능을 확보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휴대용 단말기, 카메라 모듈, 광학줌, 회전형 카메라

Description

광학줌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ROTATABLE CAMERA APPARATUS WITH OPTICAL ZOOM FUNCTION IN MOBILE PHONE}
도1은 종래의 카메라 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2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줌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도2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분해 사시도
도4는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0: 카메라 131: 제1렌즈
132: 카메라 모듈 133: 에프피시비
134: 제2렌즈 135: 제2렌즈 프레임
135b: 줌 손잡이 136: 회전 경통
137: 회전 손잡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사체를 원거리 촬영이나 근접 촬영하는 데 있어서 디지털 줌(Digital zoom)기능 이외에 광학줌(Optical zoom)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무선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점차 그 기능 영역이 다양화됨에 따라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인터넷, 멀티미디어 등의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원하는 피사체를 영상 파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촬영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를 장착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바(bar)형, 플립형, 폴더형 및 슬라이드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하에서는 최근 가장 널리 보급된 폴더형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종래의 카메라 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와 연결된 폴더부(20)와, 피사체의 상을 촬영하는 카메라(30)와, 본체부(10)와 폴더부(2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기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그 상면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키패드(11)와, 휴대 단말기의 통신 제어 등을 위하여 형성된 회로부(미도시)를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 케이싱(12)과, 본체 케이싱(12)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충방전되는 배터리(15)와, 통화시 음성을 송신하는 송화부(13)와, 힌지 기구(40)를 설치하기 위하여 본체부(10)의 상단에 구비된 회전 지지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폴더부(20)는 키패드(11)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거나 메시지 수신 내용이 숫자나 문자 등으로 표시되는 액정 화면(21)과, 액정 화면(21)을 감싸도록 형성된 폴더부케이싱(8)과, 통화시 음성을 수신하는 수화부(23)를 구비한다.
그리고, 카메라(30)는 본체부(10)의 회전 지지부(14)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폴더부(20)를 열고 상기 카메라(30)를 외부에 노출시켜 대응되는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1에는 카메라(30)가 회전 지지부(14)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나, 폴더부(20)의 수화부(23)근처에 형성된 것도 있으며, 본체부(10) 또는 폴더부(20)의 외면에 형성되어 촬영시 발생하는 사용자의 자세의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구성된 것도 있다.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디지털 줌에 근거하여 원거리 촬영이나 근접 촬영을 하므로 줌 기능 수행시 해상도나 메뉴에 의하여 구현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화소가 깨지거나 해상도가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현재 시판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해상도가 최대 33만 화소 정도밖에 안되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디지털 줌만으로는 고객이 원하는 해상도를 만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장치에 디지털줌 기능 이외에 광학줌 기능을 함께 갖도록 하여 피사체를 원거리 촬영이나 근접 촬영하는 데 있어서 높은 해상도를 유지하며 화소가 깨지지 않는 카메라 기능을 확보한 광학줌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에 있어서, 관통공을 구비한 회전 경통과; 상기 회전 원통에 삽입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 장착된 제1렌즈와; 상기 제1렌즈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회전 경통의 관통공에 설치된 제2렌즈와;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 조정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줌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를 제공한다.
이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원거리 촬영이나 근접 촬영하는 데 있어서, 광학줌 기능을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높은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간격 조정기구는, 상기 회전 경통의 관통공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상기 제2렌즈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렌즈를 감싸도록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부와 맞물리는 수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제2렌즈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렌즈와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광학줌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사용자의 제2렌즈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간격 조정 기구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거나 요입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렌즈는 볼록 렌즈로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2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줌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도2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분해 사시도, 도4는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줌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130)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부(10)의 회전 지지부(14)의 일측에 장착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130)는 피사체의 상을 촬영하도록 상을 모으는 제1렌즈(131)와, 제1렌즈(131)를 통과한 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32)과, 카메라 모듈(132)로부터의 신호를 본체부(10)의 회로부로 전송하는 에프피시비(133)와, 제1렌즈(131)와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렌즈(134)와, 제2렌즈(134)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렌즈 프레임(135)과, 카메라 모듈(132)을 안착시키고 회동 가능하게 회전 지지부(14)와 결합되는 회전 경통(136)과, 회전 경통(136)을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일측에 주기적인 돌기로 형성된 손잡이(1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 경통(136)은 그 외주면을 따라 요입 형성된 홈(136c)을 구비하여, 회전 지지부(14)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돌기(미도시)에 끼워져 맞물림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회전 경통(136)의 내주면에는 돌출부 사이에 카메라 모듈(132)이 안정되게 내장되도록 형성된 안착부(136b)를 구비하여, 회전 경통(136)내에 삽입된 카메라 모듈(132)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1렌즈(131)와 제2렌즈(134)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간격 조절 기구는, 회전 경통(136)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관통공(136a)과, 암나사부와 맞물리는 제2렌즈 프레임(135)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35a)와, 제2렌즈 프레임(135)을 회전시키도록 제2렌즈 프레임(135)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줌 손잡이(135b)로 구성된다.
한편, 줌 손잡이(135b)는 제2렌즈 프레임(135)의 외주면에 얇은 두께와 적당한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돌출된 줌 손잡이(135b)가 다른 부분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손가락이나 손톱이 삽입되어 제2렌즈(134)를 원활히 회전시킬 수 있도록 요입 형성된 홈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동 원리를 상술한다.
도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광학줌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상을 촬영하고자 할 경우에는, 폴더부(20)를 본체부(10)에 대하여 열고 액정 화면(21)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상을 바라보면서 구도를 잡게 된다. 디지털 줌을 사용하지 않고 광학줌을 사 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줌 손잡이(135b)를 회전시키면 제2렌즈 프레임(135)이 회전하고, 제2렌즈 프레임(135)의 회전 방향에 따라 관통공(136a)의 암나사부와 맞물려 전진 또는 후퇴를 하게 되어 제1렌즈(131)와 제2렌즈(135) 사이의 거리(L)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렌즈(135)가 회전 경통(136)의 관통공(136a)내에서 전진, 후퇴를 함에 따라 제1렌즈(131)와 제2렌즈(135) 사이의 거리(L)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렌즈의 초점 거리가 변함으로써 광학줌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 경통 내에 삽입되는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에 형성된 제1렌즈와, 상기 제1렌즈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회전 경통의 관통공에 설치된 제2렌즈와,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 조정 기구를 구비하여,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광학줌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피사체를 원거리 촬영이나 근접 촬영하는 데 있어서 높은 해상도를 유지하며 화질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화소가 깨지지 않는 카메라 기능을 확보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5)

  1. 측면에 관통공을 구비하고, 본체 회전 지지부의 일측에 장착되는 회전 경통;
    상기 회전 경통에 삽입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에 장착된 제1렌즈;
    상기 제1렌즈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회전 경통의 관통공에 설치된 제2렌즈; 및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 조정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정기구는,
    상기 회전 경통의 관통공에 형성된 암나사부;
    상기 제2렌즈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렌즈를 감싸도록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부와 맞물리는 수나사부; 및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줌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줌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요입 형성된 손잡이인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광학줌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볼록 렌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40019024A 2004-03-19 2004-03-19 광학줌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KR101034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024A KR101034123B1 (ko) 2004-03-19 2004-03-19 광학줌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024A KR101034123B1 (ko) 2004-03-19 2004-03-19 광학줌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546A KR20050093546A (ko) 2005-09-23
KR101034123B1 true KR101034123B1 (ko) 2011-05-13

Family

ID=3727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024A KR101034123B1 (ko) 2004-03-19 2004-03-19 광학줌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1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432B1 (ko) * 2002-07-26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432B1 (ko) * 2002-07-26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546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217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KR101395586B1 (ko) 이동 통신 장치를 위한 수축가능한 회전식 카메라 모듈 및 그 동작 방법
JP4053444B2 (ja)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EP1705875A2 (en) Mobile terminal having multi-directional camera
KR100560885B1 (ko) 회전 카메라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JP2009164755A (ja) 撮像装置
JP2004274777A (ja)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KR101034123B1 (ko) 광학줌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KR100575724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JP2004064350A (ja) 撮像装置搭載携帯電話機
KR1009415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4263067B2 (ja) 携帯機器
KR100556880B1 (ko) 수평 회전형 휴대용 단말기
AU200720132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KR200403480Y1 (ko) 거치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벨트 클립 장치
KR100497466B1 (ko) 듀얼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
KR200346601Y1 (ko) 회전 카메라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JP2004158930A (ja) カメラ内蔵の携帯型電子機器
KR20060099569A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KR20040066515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내장형 카메라 어셈블리
KR20040072152A (ko) 양방향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내장형 이동통신 단말기
JP2011072019A (ja) 携帯電話機
JP2004274096A (ja) 携帯端末装置
JP2005055714A (ja) 携帯端末装置
KR20050028958A (ko) 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방향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