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460A - 암형 컨택트 - Google Patents

암형 컨택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460A
KR20050062460A KR1020040108581A KR20040108581A KR20050062460A KR 20050062460 A KR20050062460 A KR 20050062460A KR 1020040108581 A KR1020040108581 A KR 1020040108581A KR 20040108581 A KR20040108581 A KR 20040108581A KR 20050062460 A KR20050062460 A KR 20050062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leaf spring
contact
male contac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와다타카오
이쿠타케이치로
와다마사토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2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46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암형 컨택트는, 수형 컨택트의 수용 공간을 가지는 튜브 형상의 소켓과 수형 컨택트와 접촉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판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소켓의 수형 컨택트 삽입구에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는 노치에 구속되어, 판스프링이 수형 컨택트 입구부를 고정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암형 컨택트 {Female contact}
본 발명은 핀형 단자 또는 플러그 등의 수형 컨택트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하는 소켓을 구비하여, 수형 컨택트와 암형 컨택트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는 암형 컨택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 소켓 내부에 평판 스프링을 구비하는 암형 컨택트에 관한 것이다.
핀형 단자 또는 플러그 등의 수형 컨택트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을 구비하는 암형 컨택트는 일본특허공개공보 55-111082에 공지된 기술이다. 상기 암형 컨택트는 해당 암형 컨택트와 수형 컨택트와의 전기적 접촉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소켓 내부에 수용된 수형 컨택트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소켓내에 평판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 의하면, 암형 컨택트(501, 도 13참조)는 금속재질의 평판재(601, 도 10 참조)를 굽히고 절단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제작된다. 도 10 내지 도 12의 베이스 요소는 도 13의 암형 컨택트(501)의 각각의 부분이 되는 것으로, 도 13의 500번 대의 각 참조번호에 100을 더한 600번 대의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평판재(601)는, 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스프링요소(620), 소켓요소(610), 도체압착요소(630), 그리고 절연체압착요소(631)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요소(620)는 도 10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소켓요소(610)는 대략 정방형의 모양을 가지며, 일측단부의 중앙이 스프링요소(620)와 연결되어 있다. 소켓요소(610)의 타측 단부의 중앙에는 도체압착요소(630)가 연결부(630a)를 거쳐서 소켓요소(610)에 연결되어 있다. 도체압착요소(630)는 스프링요소(620)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절연체압착요소(631)는 도체압착요소(630)와 연결부(631a)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부(631a)는 연결부(630)과 도체압착요소(630)를 가로질러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다. 절연체압착요소(631)는 스프링요소(620)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도체압착요소(630)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다. 스프링요소(620)는 그 자유단의 근방에 세쌍의 돌기들(621, 622, 623)을 구비하고, 상기 돌기들(621, 622, 623)은 각각 탄성요소(620)의 폭방향으로 쌍을 이루고 있다. 소켓요소(610)는 그 중앙에 개구(610b)를 가지며, 상기 개구(610b)의 중앙에는 도 10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설편(610a)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의 지면과 수직으로 진행하는 방향을 "수직방향"으로 정의하고, 도 10에서 보이는 평판(601)의 표면을 "표면"으로 정의한다.
첫째, 스프링요소(620)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굽힌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켓요소(610)와, 돌기들(621, 622, 623)을 포함하는 스프링요소(620)의 앞부분이 표면과 표면이 접촉하도록, 스프링요소(620)를 소켓요소(610)를 향해서 180도 굽힌다. 다음으로, 소켓요소(610)와 마주보는 부분의 스프링요소(620)를, 즉 돌기들(621, 622, 623)을 포함하는 스프링요소(620)의 앞부분을, 위를 향해서 볼록하게 굽힌다. 이렇게 하면 한쌍의 돌기부(622)는 소켓요소(610)의 개구(610b)와 마주하는 동시에, 볼록부의 정상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스프링요소(620)의 전단을 위로 굽혀서 그 아래쪽 표면이 소켓요소(610)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620x 부분은 스프링요소(620)의 일부지만 볼록부, 다시 말해서 돌기들(621, 622, 623)을 포함하는 앞부분과는 달리 접혀진 두 부분의 표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접혀지며, 소켓요소(610)와 아직 굽혀지지 않은 부분들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놓인다.
도 10에 도시된 설편(610a)은 아래쪽으로 굽혀져서 래치부재(510a, 도 11참조)를 형성하여, 암형 컨택트(501)를 그 내부에 암형 컨택트를 수용하는 하우징(미도시)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소켓요소(610), 도체압착요소(630). 절연체압착요소(631), 연결부(630a), 연결부(631a)가 각각 도 12에 도시된 각각의 형상으로 굽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요소들은 도 10에 도시된 일점쇄선과 이점쇄선을 따라서 굽혀져서 소켓(510)을 형성한다. 소켓(510)은 도 10에 도시된 611, 612, 613x 와 613y로 각각 이루어진 도 12의 저벽(511), 측벽(512), 그리고 상부벽(513)으로 이루어지고 대략 사각통 형상을 가진다. 613x와 613y의 전단부를 인접시켜 연결한다. 도 10에 도시된 도체압착요소(630)와 절연체압착요소(631)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 대략 U자 형태를 가지는 도체압착부(530)와 절연체압착부(531)를 형성한다. 도 10에 도시된 연결부(630a, 631a)도 마찬가지로 각각 상부가 개방된 대략 U자 형태를 가진 연결부(530a, 531a)를 형성한다.
도 12는 스프링요소(620)의 돌기들(621, 623)이 측벽(512)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있으며, 스프링요소(620)의 돌기(622)는 개구부(510b)에 구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각각의 요소들(610, 630, 631, 630a, 631a)에 대응하는 부분은 도 12에서는 이미 완성된 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별도의 참조 번호(510, 530, 531, 530a, 531a)를 부여하였으며, 이는 도 13에서도 동일하다.
마지막으로, 도 12에서 소켓(510)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스프링요소(620)의 부분은, 다시 말해서, 볼록부가 아닌 스프링요소의 부분(620x)은 잘려 나간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남아 있는 스프링요소(620)의 볼록부가 평판스프링(520)을 형성한다. 이렇게 소켓(510)의 내부에 판스프링(520)을 구비하는 암형 컨택트(501)가 완성된다.
절단 과정을 거친 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요소(620)의 볼록부에 구비된 돌기들(621, 622, 623)은 판스프링(520)의 구성요소가 된다. 따라서, 도 13에서는 돌기들(621, 622, 623)에 대응하는 부분들에 각각 다른 참조 번호(521, 522, 523)를 부여하였다.
도 13에 도시된 암형 컨택트(501)에서, 판스프링(520)은 한쌍의 돌기(522)만으로 소켓(520)에 구속되어 있다. 도 13의 소켓(510)의 좌측에 위치하는, 소켓(510)의 수형 컨택트 입구부에 있는 판스프링(520)의 일측은 소켓(510)의 저벽(511)에 접촉하고 있기는 하지만 소켓(510)에 구속되어 있지는 않다.
암형 컨택트(501)를 갖춘 장치에서는 도통검사를 하는 동안에 판스프링(520)이 변형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예를 들면, 도통검사를 위해서 검사봉을 도 13의 좌측에 위치하는 수형 컨택트의 입구부에 삽입하면, 검사봉은 수형 컨택트 입구부의 판스프링(520)의 일측단부와 접촉하거나 또는 판스프링(520)과 소켓(510)의 저벽(511)의 사이에 끼워진다. 이렇게 되면 소켓(510)에 구속되어 있지 않은 판스프링(520)의 일측단부가 변형을 일으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판스프링(520)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소켓(510)에 수용되는 수형 컨택트가 적절한 탄성력을 공급받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수형 컨택트를 확실하게 수용 고정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러한 단점들은 판스프링(520)의 고유의 기능인 수형 컨택트와 전기적인 접촉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켓 내부에 구비되는 판스프링의 탄성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암형 컨택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형태와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형 컨택트 수용 공간을 확정하는 내벽을 가지는 튜브형상의 소켓과, 그 단부의 수형 컨택트 입구부 근방에 형성된 제 1구멍, 그리고, 수용공간에 받아들여진 수형 컨택트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서 상기 수용 공간에 구비되며, 일측단부가 수형 컨택트 입구부에 위치하고, 상기 일측단부의 근방에 상기 제 1구멍과 고정되는 제 1돌기부를 구비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컨택트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판스프링의 제 1돌기부와 소켓의 제 1구멍이 서로 구속됨으로써 판스프링이 소켓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판스프링은 그 제 1돌기부를 거쳐서 소켓의 수형 컨택트 입구부 근방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통검사를 위해서 수형 컨택트 입구부로 삽입되는 검사봉이, 수형 컨택트 입구부의 판스프링의 일측단부에 접촉하여도, 판스프링이 잘 변형되지 않아서 탄성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암형 컨택트의 실시예를 도 1, 도 2, 도 3, 그리고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서 화살표 x, y 그리고 z 는 모두 서로 직교하며, 각각 암형 컨택트(1)의 실시예의 길이방향, 폭방향, 수직방향을 나타낸다. x 방향은 수형 컨택트가 암형 컨택트(1)에 삽입되거나, 암형 컨택트(1)로부터 빼내어 지는 방향과 같고, z 방향은 후술하는 판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같다.
암형 컨택트(1)는 도 1과 도 2의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소켓(10), 도체압착부(30), 그리고 절연체압착부(31)로 이루어진다. 소켓(10)은 x 방향으로 연장된 대략 사각 통 형상을 가진다. 도체압착부(30)는 연결부(30a)를 거쳐서 소켓(10)의 일측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절연체압착부(31)는 연결부(31a)를 거쳐서 도체압착부(30)가 연결부(30a)와 연결된 반대쪽 위치에 연결되어 있다. 암형 컨택트(1)는 소켓(10)의 내부에 판스프링(20)을 더 포함하여, 소켓(10)에 수용되는 수형 컨택트에 탄성력을 공급한다. 암형 컨택트(1)의 각각의 부분들은 모두 동일한 도전성 재질,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고탄성을 가지는 황동으로 만들어진다.
도 1과 도 2의 소켓(10)의 좌측단에 구비된 개구는 수형 컨택트의 입구부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서 수형 컨택트가 소켓(10)으로 삽입된다.
소켓(10)은 저벽(11)과, 두개의 측벽(12), 그리고 상부벽(13)을 가진다. 저벽(11)은 평면 형상이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측벽(12)은 폭방향으로 놓인 저벽(11)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 다시 말해서 y 방향으로 입설되어 있다. 두개의 측벽(12)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벽(13)은 저벽(11)과 평행하게 놓여 있다. 저벽(11), 측벽(12), 그리고 상부벽(13)으로 닫혀진 공간이 수형 컨택트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0)의 저벽(11)은 대략 그 중앙에 개구(11a)를 가진다. 하우징(50, 도 4 참조)에 구비된 랜스(50a, lance)는 암형 컨택트(1)가 하우징내로 삽입되었을 때 개구(11a)를 구속하여, 암형 컨택트(1)가 하우징(50)에 고정되어 암형 컨택트(1)가 하우징(5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수형 컨택트의 입구부로 정의되는 소켓(10)의 단부에는 절개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12a)는 도 1과 도2 개구부의 좌측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절개부(12a)는 수형 컨택트 입구부의 각각의 측벽(12)에서 저벽(11)에 가까운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측벽(12)은 대략 중앙에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개구부(12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개구부(12b)는 소켓(10)의 수형 컨택트 입구부로부터 상기 절개부(12a)보다 멀리 떨어져 있으며, 상기 개구부(12b)의 위치는 z 축 방향에 대해서도 상기 절개부(12a)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10)의 상부벽(13)은 각각 평면 형상이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두개의 오목홈(13a)을 구비하며, 상기 오목홈(13a)들은 y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홈(13a)은 상부벽(13)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x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판스프링(20)은, 도 1의 평면도 상에서는 소켓(10)의 저벽(11) 보다 약간 작은 크기의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도 2의 측면도에서는, 길이방향(다시 말해서 x 방향)의 중앙이 가장 높은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판스프링(20)의 일측단부는 소켓(10)의 수형 컨택트 입구부에 위치한다. 판스프링(20)은 일측단부 근방에는 y 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후크(21)를 가진다. 상기 후크(21)는 소켓(10)의 절개부(12a)에 구속되어, 소켓(10)의 수형 컨택트 입구부에 판스프링(20)을 고정한다. 판스프링(20)의 일측단부는 소켓(10)의 저벽(11)에 접촉한다.
판스프링(20)은 볼록부 중앙에 후크와 마찬가지로 y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기(22)를 가진다. 상기 돌기(22)는 소켓(10)의 측벽(12)에 형성된 개구부(12b)에 고정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22)의 단면은 개구부(12b)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판스프링(20)의 볼록부 정상은 돌기(22)가 개구부(12b)에 유지된 상태에서 z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컨택트가 소켓(10)에 수용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 상기 판스프링(20)은 돌기(22)가 각각의 개구부(12b) 상단에 접촉한 상태에 놓여 있다. 수형 컨택트를 삽입함에 따라, 수형 컨택트의 전단이 판스프링(20)의 정상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정상이 아래쪽으로 움직인다. 수형 컨택트를 당겨 빼내는 동안, 판스프링(20)의 볼록부 정상은 원래의 위치(도 2와 도 3에 도시된 상태)인 위쪽으로 움직인다. 판스프링(20)의 이러한 움직임은 개구(12b)의 크기에 따라서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22)는 수직방향으로 각각의 개구(12b)의 상단과 하단에 접촉할 때까지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20)의 타측 단부는 수형 컨택트가 소켓(10)에 삽입되는 방향(도 1과 도 2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위치한다. 다시 말해서, 연결부(30a)의 근방에 위치한다. 판스프링(20)의 타측 단부는 아래쪽 표면이 소켓(10)의 저벽(11)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상방으로 굽혀져 있다. 수형 컨택트를 삽입하거나 빼내는 동안, 상기 판스프링(20)의 타측 단부는 소켓(10)의 저벽(11)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x 방향을 따라서 미끄러져 움직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0)에 수용된 수형 컨택트(70)는 판스프링(20)의 볼록부 정상과 오목홈(13a)이 형성된 상부벽(13)의 아래쪽 면의 사이에서 샌드위치와 같은 방식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20)은 수형 컨택트(70)의 상방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이로 인해서 수형 컨택트(70)는 소켓(10)에 견고히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컨택트들(1, 70)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압착부(30)와 절연체압착부(31) 각각은 상부가 개방된 U자 형상을 가지며, 각각 암형 컨택트(1)에 장착되는 전선(32)의 도체(32a)와 절연피복(32b)을 압착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다음으로, 도 5, 도 6, 도 7, 도 8 그리고 도 9를 참조하여 암형 컨택트(1)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고탄성의 재질인 황동판과 같은 금속판을 펀칭하여 제조된 평판재(101. 도 5와 도 6 참조)를 채택하였으며, 암형 컨택트(1)는 상기 평판재(101)를 굽힙과 절단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도 5 내지 도 9는, 도 1 내지 도 4의 참조번호 100번 대의 각각의 부분이 되는 베이스 요소를 대응하는 도 1 내지 도 4의 부분들 보다 100이 큰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5와 도 6의 평판재(101)는 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스프링요소(120), 소켓요소(110), 도체압착요소(130), 그리고 절연체압착요소(131)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요소(120)는 도 5와 도 6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소켓요소(110)는 대략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일측의 중앙부가 스프링요소(120)와 연결되어 있다. 소켓요소(110)의 타측 단부의 중앙은 도체압착요소(130)와 소켓요소(110)가 연결부(130a)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도체압착요소(130)는 스프링요소(120)의 연장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절연체압착요소(131)는 도체압착요소(130)와, 연결부(130a)의 도체압착요소(130) 반대편에 위치하는 연결부(131a)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절연체 압착요소(131)는 스프링요소(120)의 연장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도체압착요소(130)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요소(120)는, 그 자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의 중앙에 한쌍의 후크(121)와 한쌍의 돌기(122)를 가지며, 이들은 스프링요소(120)의 폭방향으로 각각 쌍을 이루고, 서로 스프링요소(120)의 길이방향으로 뻗쳐있다. 스프링요소(120)의 후크(121)와 소켓요소(110)의 사이는 좁은 폭을 가진다.
대략 정사각형 형태의 개구부(111a)는 소켓요소(110)의 중앙에 형성된다. 두개의 개구(112b)는 스프링요소(120)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개구(111a)에 대하여 스프링요소(120)의 연장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소켓요소(110)는 스프링요소(120)와 연결된 부분의 근방에 두개의 절개부(112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두개의 절개부(112a)는 스프링요소의 연장방향과 직각방향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평판재(101)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일련의 굽힙을 받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5의 지면과 직각인 방향을 "수직방향"의로 정의하고, 도 5에서 보이는 평판재(101)의 표면을 "표면"으로 정의한다.
첫째, 스프링요소(120)는 도 7과 같은 형태로 굽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요소(120)를 소켓요소(110)를 향해서 180도 굽혀서, 후크(121)와 소켓요소(120)의 절개부(112a)가 대면하도록 하고. 소켓요소(110)와 스프링요소(120)의 표면과 표면이 접촉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소켓요소(110)와 대면하고 있는 스프링요소(120)의 부분, 즉 후크(12)와 스프링요소(120)의 자유단의 사이가 상부를 향해 볼록한 형태를 가지도록 굽힌다. 이러한 방법으로 한쌍의 돌기부(122)는 소켓요소(110)의 개구(111a)에 직면하는 동시에 볼록부의 정상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스프링요소(120)의 전단을 위쪽으로 굽혀서 그 아래쪽 면이 소켓요소(110)의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120x 부분은 스프링요소(120)의 일부지만 볼록부가 아닌 부분, 다시 말해서 후크(121)와 돌기부(122)를 포함하는 앞부분이 아닌 부분은 접혀진 두 부분의 표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접혀지며, 소켓요소(110)와 다른 아직 접혀지지 않은 요소들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놓인다.
다음으로, 도 5의 소켓요소(110), 도체압착요소(130), 절연체압착요소(131), 연결부(130a) 그리고 연결부(131a)는 도 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형상으로 굽혀진다. 도 8과 도 9는, 각각의 요소(110, 130, 131, 130a, 131a)가 이미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따라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참조번호(10, 30, 31, 30a)를 부여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켓요소(110), 도체압착요소(130), 절연체압착요소(131), 연결부(130a), 그리고 연결부(131a)가 도 5에 도시된 일점쇄선을 따라서 상기 일점쇄선이 골부가 되도록 굽혀진다. 소켓요소(110)의 일점쇄선 바깥쪽 부분들, 다시 말해서, 112, 113x, 그리고 113y 부분은 소켓(10)의 측벽(12)과 상부벽(13)이 되는 부분으로, 평판재(101)가 이루는 평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고, 스프링요소(120)의 돌기부(122)와 후크(121)는 개구부(112b)와 절개부(112a)에 각각 구속된다. 다음으로, 소켓요소(110)의 이점쇄선 바깥쪽인 113x 부분과 113y 부분은 이들의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안쪽으로 굽혀지고, 이들은 소켓(10)의 저벽(11)과 평행한 평면상에 놓인다. 113x 부분과 113y 부분의 단부는 서로 접합되어서, 소켓(10)의 상부벽(13)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두개의 오목홈(13a)이 판스프링(20)의 볼록부 정상에 마주하는 부분의 상부벽(13)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형성되는 소켓(10)은 대략 사각통 형상을 가지며, 저벽(11), 측벽(12), 그리고 상부벽(13)을 포함하여, 상기 벽들이 함께 모여 스프링요소(120)의 볼록부를 둘러싸고 있다.
도체압착요소(130), 절연체압착요소(131), 연결부(130a), 그리고 연결부(131a)는 사각통 형상을 이루는 소켓요소(110)와 달리, 각각 상부가 개방된 U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도 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체압착부(30), 절연체압착부(31), 연결부(30a) 그리고 연결부(31a)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도 8과 도 9의 소켓(10) 외부로 뻗어있는 스프링요소(120)의 부분, 다시 말해서, 스프링요소(120)의 일부로서 볼록부가 아닌 부분인 120x 부분은 절단된다. 남아 있는 스프링요소(120)의 볼록부는 판스프링(20)을 형성하고, 이로써 소켓(10)의 내부에 판스프링(20)을 가지는 암형 컨택트(1)가 완성된다.
본 발명의 암형 컨택트(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20)의 후크(21)가 소켓(10)의 절개부(12a)에 구속됨으로써 판스프링(20)을 소켓에 고정한다. 이로써, 판스프링(20)은 그 후크(21)를 통해서 소켓(10)의 수형 컨택트 입구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통검사를 위해서 수형 컨택트 입구부를 통해서 소켓(10)에 삽입되는 검사봉이 판스프링(20)의 일측에 접촉하여도, 판스프링(20)이 잘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판스프링(20)의 탄성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소켓(10)의 개구부(12b)는 수형 컨택트 입구부로부터 상기 절개부(12a)보다 멀리 떨어져 있으며, 판스프링(20)이 탄성력을 가하는 방향(z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절개부(12a)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추가로, 상기 판스프링(20)은 개구부(12b)에 구속되는 돌기(22)를 구비하는데, 소켓(10)에 수형 컨택트를 삽입하거나 빼낼 때 상기 개구부(12b)의 내에서 상기 돌기(22)가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z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속된다. 판스프링(20)의 이러한 움직임은 돌기부(22)가 개구부(12b)의 단부에 접촉하는 범위 내로 제한 받는다. 이러한 구조는 수형 컨택트(70)에 적절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한다. 더욱이, 판스프링(20)이 후크(21)와 더불어 돌기부(22)를 가지고 있으므로, 판스프링(20)의 형상이 후크(21)만으로 소켓(10)에 고정되는 것과 비교해서 더욱 안정적인 형태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판스프링(20)은 수형 컨택트(70)에 적절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절개부(12a), 개구부(12b), 후크(21), 그리고 돌기부(22)는 각각 y 방향, 다시 말해서 판스프링(20)이 탄성력을 가하는 방향인 z 방향과 직각이고 또한 수형 컨택트가 삽입되고 빠지는 x 방향과도 직각인 방향에 대해서 마주보고 쌍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서로 구속되는 구멍과 돌출부도 앞서 언급한 방향에 대하여 마주보고 쌍을 이루고 있어서, 소켓(10) 내부에 판스프링(20)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수형 컨택트(70)에 가해지는 판스프링(20)의 탄성력을 균일하게 한다.
본 실시예와는 달리, 판스프링(20)의 후크(21)가 고정되는 구멍이 완전한 홀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벽요소의 근방에 형성되며, 완전한 홀은 소켓(10)의 단부가 아닌 수형 컨택트 입구부 근방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쨌든, 후크(21)가 고정되는 홀이 절개부(12a)로 형성되면, 상기 홀은 수형 컨택트 입구부로 정의되는 소켓(10)의 단부에 형성되고, 판스프링(20)은 수형 컨택트 입구부가 형성된 소켓(10)의 단부에 고정된다. 검사봉이 수형 컨택트 입구부에 위치하는 판스프링(20)의 일측단에 접촉할 때의 판스프링(20)의 변형을 감소시킨다는 관점에서 보면, 본 실시예의 판스프링(20)이 소켓(10)의 단부에 형성된 절개부(12a)를 거쳐 고정된다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다.
본 실시예와는 달리, 수형 컨택트 입구부에 위치하는 판스프링(20)의 일측단부와 소켓(10)의 저벽의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통검사를 위한 검사봉이 실수로 상기 간격에 삽입되는 경우, 결과적으로 도통검사는 실패하게 되고, 더욱이 판스프링(20) 변형의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른 한편으로, 후크(21)가 형성되는 수형 컨택트 입구부에 위치하는 판스프링(20)의 일측단부가 수형 컨택트 입구부 근방에 위치하는 소켓(10)의 저벽에 접촉한다. 즉, 수형 컨택트 입구부 근방의 소켓(10)과 판스프링(20)의 사이에 간격이 거의 없다. 따라서, 검사봉이 그러한 간격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판스프링(20)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수형 컨택트 입구부 반대편에 위치하는 판스프링(20)의 타측 단부는 소켓(10)의 저벽(11)과 접촉한다. 따라서, 판스프링(20)은 수형 컨택트(70)에 탄성력을 가할 때, 소켓의 두 지점에 의하여 지지를 받는다. 다시 말해서, 수형 컨택트 입구부 측의 단부와, 이와 반대편에 위치하는 수형 컨택트가 삽입되는 방향의 안쪽에 해당하는 타측 단부 두 지점의 지지를 받는다. 이러한 2점 지지는 1점 지지에 비하여 더 큰 탄성력을 부여하므로, 수형 컨택트(70)가 보다 확실히 소켓(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수형 컨택트 입구부의 반대편인 볼록한 모양의 판스프링(20)의 타측 단부는 소켓(10)의 저벽(11)과 반드시 접촉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경우, 판스프링(10)의 일측단에 의해서만 지지된다.
수형 컨택트 입구부에 위치하는 판스프링(20)의 일측단부는 반드시 소켓(10)의 저벽과 접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판스프링(20)의 일측단부가 절개부(12a)를 z 방향으로 상승시켜서 측벽(12)의 단부의 중앙에 형성된 절개부에 구속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판스프링(20)과 수형 컨택트 입구부의 소켓(10)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고, 검사봉이 상기 간격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하지만, 검사봉이 상기 간격에 삽입된다고 하여도, 판스프링(20)이 수형 컨택트 입구부의 소켓(10) 근방에 형성된 절개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판스프링(20)에 변형이 발생하기는 어렵다.
판스프링(20)의 후크(21)를 고정하기 위한 홀은 벽요소로 둘러싸인 형태의 완전한 홀이거나, 오목홈이거나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절개부(12a), 개구부(12b), 후크(21), 그리고 돌기부(22)가 항상 쌍을 이루도록 형성될 것이 요구되지는 않는다.
판스프링(20)의 볼록부 중앙에 위치하는 돌기부(22)는 생략될 수 있다. 판스프링(20)은 소켓(10)에 후크(21)를 통해서 고정되기 때문에 돌기부(22) 없이 소켓(1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소켓(10)과 판스프링(20)에서 돌기부(22)와 개구부(12b)가 각각 생략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를 제공한다.
판스프링(20)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볼록부 형상 대신에, 소켓(10)에 수용된 수형 컨택트(7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판스프링(20)의 후크(21)도 또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소켓(10)의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각통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벽면으로 제한되는 수형 컨택트(70)를 수용할 수 있는 튜브와 같은 모양을 가지는 범위 안에서 원통형상이나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록, 상술한 암형 컨택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단일의 평판재(101)를 채택하였지만, 소켓(10)과 판스프링(20)은 별도의 부재로부터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판스프링(20)을 소켓(10)의 내부에 조립할 수 있다. 더욱이, 암형 컨택트(10)의 부분들은 반드시 같은 재질로 제작될 필요는 없고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가 다양한 선택이나,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일예로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의 청구항으로 정의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소켓 내부에 구비되는 판스프링의 탄성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암형 컨택트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컨택트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암형 컨택트를 도 1의 지면 앞쪽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암형 컨택트를 갖춘 장치에서, 해당 암형 컨택트 내에 수형 컨택트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종단면도,
도 5는 도 1의 암형 컨택트의 제작에 사용되는 평판재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평판재를 도 5의 지면 앞쪽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1의 암형 컨택트 제작 과정에서, 도 5에 도시된 평판재의 스프링요소를 굽혀 넘기고, 일부를 볼록한 형태로 굽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도 1의 암형 컨택트 제작 과정에서, 도 5에 도시된 평판재의 소켓요소가 튜브 형상으로 가공되고, 평판재의 도체압착요소와 절연체압착요소가 U자 형상으로 가공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암형 컨택트가 절반가량 제조된 상태를 도 8의 지면 앞쪽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종래의 암형 컨택트 제작에 사용되는 평판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종래의 암형 컨택트 제조과정에서 도 10에 도시된 평판재의 스프링 요소가 굽혀 넘겨지고 부분적으로 굽혀져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종래의 암형 컨택트 제조과정에서 도 10에 도시된 평판재의 소켓요소가 튜브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판재의 도체압착요소와 절연체압착요소가 U자 형태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종래의 암형 컨택트를 나타낸 측면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 : 암형 컨택트 10 : 소켓
12a : 절개부(제 1구멍) 12b : 개구부(제 2구멍)
20 : 판스프링 21 : 후크(제 1돌기부)
22 : 돌기(제 2돌기부) 50 : 하우징
70 : 수형 컨택트 101 : 평판재
x : 수형 컨택트의 삽입방향 z : 탄성력의 작용방향

Claims (6)

  1. 암형 컨택트에 있어서,
    수형 컨택트 수용 공간을 확정하는 내벽을 가지는 튜브형상의 소켓과, 그 단부의 수형 컨택트 입구부 근방에 형성된 제 1구멍,
    그리고, 수용공간에 받아들여진 수형 컨택트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서 상기 수용 공간에 구비되며, 일측단부가 수형 컨택트 입구부에 위치하고, 상기 일측단부의 근방에 상기 제 1구멍과 고정되는 제 1돌기부를 구비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컨택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제 1구멍보다 수형 컨택트 입구부에서 멀리 위치하며,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해서 제 1구멍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제 2구멍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스프링은 수형 컨택트가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거나 빼내어질 때 상기 제 2구멍의 내부에서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되는 제 2돌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컨택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멍, 제 2구멍, 제 1돌기부, 그리고 제 2돌기부는 각각 탄성력이 제공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과, 수형 컨택트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거나 빼내어지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마주하고 쌍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컨택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멍은 수형 컨택트 입구부를 확정하는 내벽의 끝단에 형성된 절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컨택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일측단부는 수형 컨택트 입구부 근방의 내벽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컨택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판스프링의 타측 단부는 내벽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컨택트.
KR1020040108581A 2003-12-19 2004-12-20 암형 컨택트 KR200500624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21928 2003-12-19
JP2003421928A JP2005183160A (ja) 2003-12-19 2003-12-19 雌コンタク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460A true KR20050062460A (ko) 2005-06-23

Family

ID=34510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581A KR20050062460A (ko) 2003-12-19 2004-12-20 암형 컨택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29328B2 (ko)
EP (1) EP1544952A1 (ko)
JP (1) JP2005183160A (ko)
KR (1) KR20050062460A (ko)
CN (1) CN100474714C (ko)
SG (1) SG112985A1 (ko)
TW (1) TWI3356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6593A (ko) * 2016-02-16 2017-08-24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암단자 및 암단자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4104B2 (en) 1999-09-28 2015-03-31 Intel Corporation Contact resistance reduction employing germanium overlayer pre-contact metalization
JP2007141509A (ja) * 2005-11-15 2007-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4482823B2 (ja) 2005-12-26 2010-06-16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4499114B2 (ja) * 2007-01-25 2010-07-0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端子圧着方法、端子圧着装置、端子圧着構造及び電気コネクタ
JP4930439B2 (ja) * 2008-04-04 2012-05-16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12089318A (ja) * 2010-10-19 2012-05-10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US8901537B2 (en) 2010-12-21 2014-12-02 Intel Corporation Transistors with high concentration of boron doped germanium
US9484432B2 (en) 2010-12-21 2016-11-01 Intel Corporation Contact resistance reduction employing germanium overlayer pre-contact metalization
DE102011079136A1 (de) * 2011-07-14 2013-01-17 Robert Bosch Gmbh Direktsteckelement mit integrierter Verriegelung
US9118130B1 (en) * 2014-02-06 2015-08-25 Delphi Technologies, Inc. Low insertion force terminal
JP6276113B2 (ja) * 2014-06-02 2018-02-07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31611B1 (ja) * 2014-09-19 2015-12-09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の接続構造
DE102015115791B4 (de) 2015-09-18 2017-05-0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ontaktelement
KR101827118B1 (ko) * 2016-05-23 2018-02-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JP6729273B2 (ja) * 2016-10-12 2020-07-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構造
DE202017101148U1 (de) * 2017-03-01 2018-06-0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ontaktelement
DE102017131371A1 (de) * 2017-12-28 2019-07-04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Mechanisches Verbindungselement, elektrische Kontakteinrichtung sowie elektrischer Verbind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8784A (en) 1974-06-05 1975-11-11 Amp Inc Miniature connector for circuit component
US4342498A (en) 1979-03-26 1982-08-03 Akzona Incorporated Electrical socket
JPH0162671U (ko) * 1987-10-13 1989-04-21
JPH0735317Y2 (ja) * 1988-01-22 1995-08-09 菱星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
JPH0494275U (ko) * 1991-01-11 1992-08-17
US5269712A (en) * 1992-11-06 1993-12-14 The Whitaker Corporation Low-force receptacle contact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750178A (ja) * 1993-08-03 1995-02-21 Yazaki Corp 電気接続子とその製造方法
JP2725755B2 (ja) * 1993-08-31 1998-03-1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US6056604A (en) 1998-07-29 2000-05-02 Framatome Connectors Interlock, Inc. Electrical receptacle terminal with a contact spring biased against a side of the receptacle without spreading a seam in the side of the receptacle
JP3544133B2 (ja) * 1999-01-20 2004-07-21 住友電装株式会社 雌側端子金具
JP3674767B2 (ja) * 2000-07-03 2005-07-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750517B2 (ja) * 2000-11-29 2006-03-0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02184479A (ja) * 2000-12-18 2002-06-28 Jst Mfg Co Ltd 雌圧着端子
JP3576488B2 (ja) 2000-12-18 2004-10-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雌端子
US7241190B2 (en) * 2001-11-20 2007-07-1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Female electrical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JP2003331965A (ja) * 2002-05-17 2003-11-21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接続端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6593A (ko) * 2016-02-16 2017-08-24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암단자 및 암단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44952A1 (en) 2005-06-22
SG112985A1 (en) 2005-07-28
JP2005183160A (ja) 2005-07-07
TWI335698B (en) 2011-01-01
TW200531386A (en) 2005-09-16
US7229328B2 (en) 2007-06-12
CN1630146A (zh) 2005-06-22
US20050164567A1 (en) 2005-07-28
CN100474714C (zh)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62460A (ko) 암형 컨택트
JP6446109B1 (ja) コネクタ
EP2685566B1 (en) Electrical terminal pin
EP0519264A2 (en) Electrical connector
EP3340389A1 (en) Connector device
KR0178380B1 (ko) 전선과 전선을 상호연결하기 위한 블레이드 콘택트를 갖는 전기 콘넥터
CN112086790B (zh) 电性端子
EP2101375B1 (en) Coaxial connector
EP1063730A1 (en) Circuit board mounted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JP3905518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EP0191539B1 (en) Electrical connecting terminal for a connector
JP6931223B2 (ja) 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CN110679041B (zh) 大电流用端子及连接器
EP4224637A1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WO2015072153A1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るコネクタ装置
JP2023007843A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及びその組立方法
JP2006107934A (ja) 雌コンタクト
KR200339645Y1 (ko) 집적회로모듈용 테스트소켓
EP4224639A1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JP4638957B2 (ja) コネクタ
EP3306753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unit
KR101157664B1 (ko) 암 컨택트
KR20220019482A (ko) 커넥터 및 커넥터조립체
CN117335176A (zh) 直接线接触
KR20100011331A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